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논문 : 제주문화와 제주어 ; 제주도 도서지역어의 생태학적 연구 -우도·비양도·가파도·마라도의 어촌생활어를 대상으로

        김순자 ( Soon Ja Kim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3 탐라문화 Vol.0 No.43

        이 논문은 우도·비양도·가파도·마라도 등 제주도 안의 4개 도서를 3지점으로 나누어 어촌생활어를 생태학적으로 조사, 연구한 것이다. 조사된 어휘 가운데 바 다동물 관련 35개 어휘와 바다식물 관련 16개 어휘 등 51개 어휘를 포함하여 총 8개 분야 106개 어휘에 대하여, 생태 측정을 위한 설문지가 작성되었다. 설 문 조사는 30·40대, 50대, 70대 이상 등 3세대로 나눠 실시하였다. 30대와 40 대를 묶어서 조사한 것은 조사 지점이 도서지역이어서 30대 인구가 많지 않기 때문이다. 조사 결과, 70대 이상 응답자들은 51개의 해산물 관련 어휘 중 52.9%인 27 개 어휘에서 방언형을 100% 쓰고 있으나, 50대에선 29.4%인 15개 어휘, 30대 에선 11.7%인 6개 어휘만 방언형을 쓰고 있다. 생태 지수가 50% 이하인 어휘 는 70대 이상에서 13.7%인 7개 어휘이고, 50대에서는 5.9%인 3개 어휘, 30·40 대에서는 27.5%인 14개 어휘로 나타났다. ``이해하지 못하거나 모르겠다``는 응답을 보인 어휘는 70대에서 ``듬북`` 외 6개 어휘, 50대에선 ``보제기`` 외 9개 어휘로 나타났다. 30대에서는 ``모르거나 이해하지 못하겠다``고 응답한 어휘가 72.5%인 37개나 되었다. 위의 결과를 보면, 세대가 낮을수록 ``모르겠다``는 응답자가 많아 생태 지수 가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더욱이 해당 지역의 30대·40대 인구 비율이 현저히 낮을 뿐만 아니라 이들 세대가 어로 활동과 관련한 일을 하지 않는 것도 언어 사멸 속도를 빠르게 하고 있다. 따라서 사멸되거나 사멸의 길을 걷는 어촌생활 어는 물론 환경 등의 변화로 사라질 위기에 놓인 제주도방언의 체계적인 조사와 연구가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Vocabularies about ocean creatures (ocean animals and ocean plants) in islets near Jeju Island are searched and systematized ecologically. 4 islets near Jeju Island, U-do, Biyang-do, Gapa-do and Mara-do, are divided into three groups. Vocabularies about sea creatures are searched for this study. After that, 51 words are chosen including 35 words about ocean animals and 16 words about ocean plants. Then the survey form with 106 questions is made from the result. The survey for three age groups is conducted to check ecological index. The age groups are the thirties-forties, the fifties and over seventies. There are not so many people in their thirties in these islets so one groups have to be consisted of the thirties and forties. The result shows younger generation doesn`t understand dialect more and this means their ecological index is low. There are a few young people in their thirties or forties and they usually don`t have fishery jobs so it quickens extinction of the language. That is why we need a methodical approach to extinct or endangered vocabularies about sea creatures and endangered Jeju dialect.

      • KCI등재후보

        李崇寧 선생의 方言 採集과 方言 硏究

        이병근 한국방언학회 2009 방언학 Vol.0 No.9

        This article has its purpose on describing how Professor Lee Soong Nyoung has contributed to Korean Dialectology, by studying how he did his Dialect research and what kind of Dialect he collected at the beginning of the establishment of Korean Dialectology. Professor Lee(1908-1994) is a scholar who spent his whole life exploring Modern Korean Linguistics. He especially focused on the research of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For this study, he carefully examined classics, collected nationwide dialects and focused deeply on the theory of general jargon literature(reference by Professor Lee Kee Moon). This was for the wide collection of philological expressions and dialect data, and for a scientific research using the theory of general linguistics. Professor Lee also became the frontier of Modern Korean Linguistics by researching several divisions of Korean phoneme, coinage, vocabulary, structure and dialects and the history of linguistics. He had conquered all the prior Korean Research that Japanese scholars had done during the reign of Japanese imperialism, and exploited the under-studied parts of Korean literature. After the regain of independence of Korea, Professor Lee emphasize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the study of dialectology again, since he started his studies of Korean Linguistics including philological expressions and dialects. He stated that in future, there would even be researches on geographic literature. He suggested dialects, jargon and baby’s languages as official languages, and said that dialects can become categorized as a part of “language that is strictly localized to an area”(eg: Gyeongju Dialect etc.) – such as French Literature’s ‘Patois’(dialect, provincial accent) – that could become an independent form. Professor also added that new forms of researches would appear of theories of language development distribution and circulation, and of new theories that did not exist in the remaining classical, official or philological expressions.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senior scholars did make a modern meaning of ‘dialect’, but this was not done for dialectology itself, but for the study of official language and its relations. Due to this, Professor Lee focused on collecting dialects from isle areas and mountain areas, especially on Jeju Island dialects, by researching, collecting and complementing research data from Professor Ogura(小倉). His collection included ‘marine language’(island language) and ‘jargon’(jargon used by mountain ginseng collectors) for geological characteristics, among with the overall general vocabulary collection. The research of his official data was originally based on synchronic linguistics, but in times of need, the research got held based on diachronic values. Most of the researches on dialects are included as part of research on Korean Language History, and there are not much papers of Dialectology that has been independently published. Professor Lee is releasing his unpublished data collection notes to the public this time. Although it is hard to say that Professor Lee Soong Nyoung is a scholar of Dialectology, it is certainly true that he is a pioneer who established Korean Dialectology. 이 글은 국어방언학이 수립되던 초기에 李崇寧 선생이 어떤 방언을 채집하고 또 어떻게 방언 연구를 행했는지 정리해 선생이 국어방언학에 기여한 바를 서술함에 그 목적이 있다. 李崇寧(1908∼1994) 선생은 일생 동안 현대국어학을 개척한 학자다. 특히 선생의 중심 과제는 국어사 연구였다. 이를 위해 선생은 古典을 두루 詳考하고 全國의 方言을 샅샅이 採集했으며 一般言語學의 理論을 널리 살폈다(李基文 교수의 언급). 이는 文獻語와 方言 등의 자료를 널리 수집하고 일반언어학의 이론을 수용해 과학적 정신으로 연구하기 위한 것이었다. 일제하에서의 일본인학자들이 행한 국어(조선어⋅한어) 연구를 극복하고 미개척 분야를 개척해 가면서 선생은 국어학의 음운․조어․어휘․형태 및 방언과 어학사 등의 분야를 연구해 현대국어학의 프론티어가 됐다. 문헌어와 방언을 함께 고려해 국어 연구를 시작한 이래 선생은 광복 후에는 다시 방언학의 수립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공시적 언어로 ‘方言’ ‘隱語’ 및 ‘애기의 國語’로 들고, 그 중에서 프랑스언어학의 ‘파투아’(俚語, 사투리) 즉 “한 지방어에 국한된 지역어”(예: 경주사투리 등)로부터 同類를 체계화해 ‘方言’(예: 영남방언)이라는 한 개별언어의 하위언어를 설정하고, 남아 있는 고어의 고형 및 표준어나 문헌어에서 볼 수 없는 여러 원리 그리고 언어의 발달 분포 유동 등의 원리들을 연구하며 나아가 지리언어학의 연구도 등장할 것이라 했다. 20세기 전반기에 선배 학자들에 의해 현대적인 개념으로서의 ‘방언’이 등장하기는 했으나 그것은 늘 표준어 사정과 관련된 것이었지, 방언학의 연구대상으로서의 그것은 아니었다. 선생은 이에 따라 小倉進平의 조사 자료를 보완하되 특히 島嶼 지역과 山嶽 지대의 방언(또는 지역어, 때로는 ‘은어’)을 집중적으로 채취했는데, 특히 제주도방언의 채집과 연구에 집중했다. 채집 항목은 일반 어휘의 바탕에, 지역적 특성을 살려 ‘海洋語’(‘島嶼語’) 그리고 ‘은어’(산삼채취인의 은어) 등도 포함시켰다. 이들 공시적 자료에 대한 연구는, 물론 공시론적 연구에 기초해, 필요한 경우 통시론적 가치가 드러나도록 이뤄졌다. 방언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국어사 연구에 포함되었으며, 별도의 방언학 논문으로 발표된 것은 그리 많은 편이 아니었다. 선생의 미발표 자료 채집 노트를 이번에 공개한다. 이숭녕 선생은 방언학자라고 말하기는 어려우나 분명 국어방언학의 수립을 위해 힘쓴 개척자라고는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