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재미 작가 김보현 작품의 디아스포라 이미지 분석

        정금희(Jung, Kum Hee),조사라(Cho, Sa Rah)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3 디아스포라 연구 Vol.7 No.1

        1955년 도미한 화가 김보현은 한국 근현대미술사에 있어서 마지막 남은 추상표현주의 1세대로 미술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인물이다. 그는 굴곡의 한국 근현대사 속에서 좌우 이념의 희생양이 되어 고국을 등진 후 60년 가까이 뉴욕에서 작업 활동을 하고 있다. 김보현은 한국에서 3차례나 정신적ㆍ신체적으로 고통을 겪게 되면서 한국 화단과 40년 간 단절하였다. 도미 후 그의 60여년 화업에 있어서 고국에서 받았던 트라우마는 예술의 근원으로 작용했다. 디아스포라의 전형적 삶을 살았던 김보현의 예술세계도 자연 그로부터 자유롭지 못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디아스포라적인 김보현의 예술을 이해하기 위해 먼저 재미 한인사와 미술사를 알아본다. 미국으로 이주한 한인들은 초기에는 하와이와 로스앤젤레스를 중심으로 살았으나 1950년대 이후 미국 전역으로 확산된다. 김보현이 도미했던 당시 뉴욕은 현대미술의 메카로 떠오르면서, 전 세계 수많은 미술가들을 비롯해 한국 작가들도 서서히 모여들었고, 현대미술의 흐름을 주도하고 있었다. 본 논문은 김보현의 작품 속에 드러나는 디아스포라적 이미지와 특성이 무엇이며, 그의 예술이 지닌 의미와 가치에 대해 문제를 제기시켜 본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오늘날 디아스포라 미술의 의미와 디아스포라의 정의 및 형성을 알아보고 김보현 예술을 이러한 디아스포라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범주는 김보현이 미국으로 이주한 1950년대 말부터 1960년대 초창기 작품을 중심으로 한다. 김보현 예술에 대한 디아스포라적 관점의 분석은 현대미술에 드러난 디아스포라적 이미지와 특징을 도출해낼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이다. 또한 글로벌 시대 디아스포라적 관점에서 한국의 정체성과 특질을 연구한 사례로 의미를 가지며, 한국근현대미술사의 한 영역으로서 재미 작가 재조명 측면에서도 일정 부분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Bo-hyun Kim, Korean-American artist, went to America in 1955. He is the last one of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abstract expressionists, having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art history. Kim was scapegoated in the long and winding modern history of Korea, and forced to leave his native country. He has been in New York for six decades. After he suffered both mental and physical pain three times in Korea, Kim had to cut himself from the Korean artist community for over four decades. The trauma he has had to endure over the past six decades has always been the source of his artistic inspiration. Kim who had to flee his native country is a classic example of ‘diaspora’. This study examines the Korean-American history and the American art history first to understand his works inspired by diaspora. The Korean-American history traces back to 1903 when the Gaelic docked in Honolulu with around 100 Korean immigrants - who left their home country to pursue the American Dream - aboard. It has been 110 years since then, and around two million Koreans now live in the United States. Early generations of Korean Americans settled first in Hawaii and Los Angeles, and, in the 1950s, they started to spread across the country. Currently, the 40 percent of Korean Americans live in New York and Los Angeles, the two largest cities in the United States. When Bo-hyun Kim arrived at New York first, the city was rising as the mecca of contemporary American art, attracting many artists around the world including those from Korea and leading the contemporary art trend of the time. This study analyzes the images and characters of diaspora that is melted in his works, and raises questions on the implications and values of his works in art history. To do so, the implications of today’s diaspora art and the definition and development of diaspora are reviewed.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Kim’s early works from the late 1950s to the early 1960s. Analyzing Kim’s works from the aspect of diaspora will serve as a ground to extract general images and characters of diaspora that is expressed in modern art. It will also have implications for studying the identity and characters of Korea from the same perspective in this global era, as well as for contributing to the history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art by discovering and shedding new light on Korean-American artists.

      • KCI등재

        싱가포르조정협약상 조정에 의한 국제화해합의의 집행에 있어서 준거법 - 협약의 소개를 겸하여 -

        오석웅 한국국제사법학회 2022 國際私法硏究 Vol.28 No.1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International Settlement Agreements resulting from Mediation(‘the Singapore Mediation Convention’) was negotiated by the United Nations Commission on International Trade Law (‘UNCITRAL’) on 20 December 2018 and entered into force on 12 September 2020. It currently has 55 signatories and 10 parties have ratified it. The Singapore Convention establishes a legal framework for the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international commercial mediated settlement agreements(MSA) similar to that provided by the Convention on the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Foreign Arbitral Awards(‘New York Convention’) for the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Foreign Arbitral Awards. It is an instrument for the facilitation of international trade and the promotion of mediation as an alternative and effective method of resolving trade disputes. Contracting States are obliged to ensure that international commercial mediated settlement agreements are enforced by their courts. Like the New York Convention concerning arbitral awards, the Singapore Convention identifies limited grounds to decline summary enforcement of a mediated settlement agreement. Article 5 of the Singagpore Convention defines the grounds upon which a competent court may fail to grant relief at the request of the disputing party against whom it is invoked. This articles introduces the Singapore Mediation Convention and analyzes the applicable law in the the enforcement of mediated settlement agreements under the Singapore Mediation Convention. UN 국제상거래법위원회(United Nations Commission On International Trade Law: UNCITRAL)는 2018년 12월 “조정에 의한 국제화해합의에 관한 UN협약(United Nations Convention on International Settlement Agreements Resulting from Mediation: 싱가포르조정협약)”을 채택하였고 2020년 9월 발효되었다. 싱가포르협약은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미국, 중국 등 55개국이 서명하고 싱가포르 등 6개국이 비준했다. 싱가포르협약은 국제적 성격을 갖는 조정의 결과로 도출된 당사자 간의 화해합의를 동 협약의 체약국에서 집행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국제상사중재의 경우 외국중재판정은 1958년의 “외국중재판정의 승인 및 집행에 관한 UN협약(Convention on the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Foreign Arbitral Awards: 뉴욕협약)”에 의하여 그 승인 및 집행이 국제적으로 널리 보장된다. 싱가포르조정협약은 뉴욕협약의 내용을 차용하여 새로운 분야로 확산하기 위한 시도로서, 뉴욕협약과 같이 단순하고 정형적인 절차에 의하여 조정에 의한 화해합의의 집행이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동 협약의 체약국에서는 소송 등을 제기하는 일 없이 해당 화해합의에 근거해 강제집행을 실시할 수 있게 되었다. 싱가포르협약의 성공적인 수용을 위해 각 체약국은 화해합의의 강제집행에 관한 국내 이행법률을 제정하여야 한다. 국내법이 제정되면 체약국의 법원은 소정의 절차를 거침으로써 별개의 판결이나 중재판정 없이 화해합의 내용을 즉시 집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협약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는 매우 중요하다. 싱가포르협약은 국제적인 상사조정에 의한 화해합의에 적용된다. 즉 협약은 외국적 요소를 가지는 상사분쟁을 조정에 의한 화해합의를 통해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준거법에 관한 문제가 제기될 수 밖에 없다. 싱가포르협약과 관련하여 제기될 수 있는 준거법으로서 크게 조정합의의 준거법, 조정절차의 준거법 및 화해합의의 준거법으로 대별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화해합의를 체결할 수 있는 당사자능력의 준거법, 분쟁대상의 조정가능성의 준거법, 화해합의의 집행절차의 준거법 등도 거론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싱가포르협약의 성립배경과 주요내용을 간략히 소개하고, 협약 제5조에 따른 집행거부사유의 판단에 있어서 준거법에 관한 문제를 주요 검토대상으로 한다.

      • KCI등재

        “국제 조정을 통한 합의서 집행협약”의 도입과 법적 쟁점

        이재민(Jaemin Lee) 한국비교사법학회 2018 比較私法 Vol.25 No.4

        국제적 성격의 조정을 통해 도출된 합의서에 대한 제3국에서의 집행을 위한 국제협약의 채택은 그 선례가 없는 새로운 시도이다. 2018년 7월 문안이 확정된 이 협약은 2019년 8월 싱가포르에서 서명이 추진되고 있다. 그 이후 2020년경 이 협약이 발효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초의 시도인 만큼 발효 후 이 협약의 여러 조항이 실제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면밀히 살펴보면 여러 국가들이 현재 갖고 있는 여러 의문점이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아직은 이 협약이 1958년 뉴욕협약에 버금가는 새로운 국제체제를 도입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 그러나 일단 이협약은 최근 국제거래에 참여하는 여러 주체들의 요구에 따라 도입되었으므로 상황에 따라서는 빠른 속도로 확산될 가능성도 적지 않다. 우리 입장에서는 앞으로 이 협약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여부를 일단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현재 협약이 제시하고 있는 내용들 중 일부는 우리 법제와는 부합하지 않는 부분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글에서는 일단 그러한 부분을 확인하고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만약 국제거래에 나서는 우리 개인과 기업들도 이러한 새로운 국제 집행 제도를 필요로 하는 상황이라면 우리 법제도 이에 맞추어 변경 내지 발전시킬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 경우 일단 모델법안을 참고하여 우리 국내법령에 이를 반영하고, 추후 필요에 따라 동 협약 가입여부도 검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After three years of negotiation, the UNCITRAL finalized a new international convention in July 2018. This convention is to enable and facilitate enforcement of settlement agreements resulting from mediation that possess interna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mediation between parties from different states. The State Parties to this new convention will have to enforce those settlement agreements through their judicial systems as if it were foreign judgments or arbitral awards. In a sense, this is an expansion of the framework of the 1958 New York Convention to the mediation area. The negotiation of this convention has been prompted by the increasing demand from the business entities operating in the global market. The convention is scheduled to be signed in late 2018 or early 2019 in Singapore, followed by probable entry into force in 2020. As a novel attempt, it is not entirely clear how the provisions contained in the convention will apply in actual settings. Once the convention is put into operation, many questions will be answered and meanings clarified. Korea has been keenly following this recent development as this convention may affect the interest of the Korean business entities and individuals significantly. The final version of the convention indicates that there are inconsistencies between the basic elements of the convention and Korea’s municipal laws and practices. If Korea desires to accede to this convention in the future (possibly in the near future if the convention spreads fast), then legislative measures will be needed to address these inconsistencies. Korea may start testing the new regime by incorporating some of the core provisions of the convention via a companion Model Law. It will then consider proceeding to joining the convention,if necessary. In any event, this convention is regarded as an important turning point for the settlement of international disputes in the global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