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3기 신도시 계획과제와 남양주 왕숙2지구 마스터플랜

        조영주(Cho, Youngju) 한국도시설계학회 2021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2 No.1

        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 주관한 3기 신도시 설계공모는 1 · 2기 신도시의 교훈과 사회적 통합을 기대하며 도시 · 건축통합계획이라는 새로운 방식으로 제시되었다. 남양주 왕숙2지구의 당선안인 『유유자족(悠悠自足) 도시』는 보편적인 신도시 개발방식에서 벗어나 자연과 도시가 공존하고, 소로 중심의 휴먼스케일의 도시를 지향하며, 다양한 유형의 도시주거가 대안적 라이프스타일을 가능토록 하는 도시를 제안하고 있다. 3기 신도시의 계획과제를 바탕으로 당선안이 갖는 1 · 2기 신도시와의 계획적 차별성 및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응하여 자연과 공존하는 도시모델을 제안하고 있다. 공공서비스의 분산과 녹지의 균질한 배분은 자족적 정주여건을 제공하여 언택트 시대에 대응한다. 둘째, 단지식 개발에서 벗어나, 열린 중정을 중심으로 여러 유형의 도시주거와 다양한 용도가 유기적으로 결합되는 ‘왕숙형 중정’을 제안하고 있다. 셋째, 지형과 수계를 고려한 도로망 배치와 자율주행 시대에 대비한 세심하고 스마트한 교통체계를 도입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미래 도시 구성원의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예측과 지역산업밀착형 신성장동력 발굴을 통해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고 있다. The master plan competitions for the 3<SUP>rd</SUP> generation new towns hosted by LH were to require three-dimensional urban space planning for an integrated plan for urban and architecture, with the lessons learned from the 1st and 2nd generation new towns and the goal of social integration. ‘The Slothophical City’, the winning proposal for Namyangju Wangsuk2 District, created a human-scale and street-oriented city in which the city and nature can coexist, and provided a variety of housing types with alternative lifestyles. The significances and distinctions of the winning proposal are as follows. First, it is a new type of city model for the post-Covid19 era, by adjusting the natural terrain to good use in a small city, and providing a self-sufficient city environment through redefined public services and open space throughout the entire city. Second, it proposes the ‘Wangsuk Courtyard’, places for socializing and community activities surrounded by different housing typologies and programs. Third, the road network is sensitive to the topography and accommodated to smart traffic system customized for the era of self-driving vehicles. Last but not least, the master plan focused on urban sustainability by promoting the individual’s lifestyle, creating the community-driven industry and bring back natural environment.

      • KCI등재

        복합환승센터 권역을 중심으로 살펴본 3기 신도시의 복합화ㆍ입체화 공간계획 특성 연구 - 인천 계양, 남양주 왕숙, 하남 교산 신도시를 중심으로

        이지은,주혜린,전아현,김홍기,김벽연 한국도시설계학회 2022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는 대중교통 거점시설 권역을 중심으로 3기 신도시의 복합화ㆍ입체화 공간계획 특성을 파악하여 이에 관한 기초자료를 수립하고자 한다. 문헌연구를 통해 설계공모 지침서에서 강조된 3기 신도시의 복합화ㆍ입체화 설계방향과 과제를 이해하고 네 가지 분석항목을 도출하였다. 이를 중심으로, 인천 계양, 남양주 왕숙 1, 하남 교산 신도시의 설계공모 당선작에 실린 계획안과 토지이용계획도를 분석하고, 다음과 같이 세 가지 계획특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대중교통 거점시설 및 이를 중심으로 형성된 보행권 안에 주거와 직장뿐만 아니라 문화여가와첨단산업까지 용도복합의 대상을 확대하였다. 둘째, 수평방향에서의 적극적인 용도혼합을 통해단일용도의 지역과 블록 구획을 지양하였으나, 대중교통 거점시설 내에서 수직방향으로의 용도혼합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하층에서 지상2층까지 이동수단별로 분리된 대중교통망과 녹지 중심의 공중보행로를 구축하고, 이를 대중교통 거점시설로부터 도시 전체로 연계ㆍ 확장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