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지배구조지수와 재무성과의 관련성 분석

        차진화(Cha Jin-Hwa) 글로벌경영학회 2015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지배구조지수와 재무성과, 기업지배구조지수 향상과 재무성과의 관련성을 실증분석하는 것이다. 먼저, 재무성과(FNP)를 종속변수로 하고 기업지배구조지수(CGI)를 독립 변수로 하는 회귀분석에서 재무성과(FNP)의 대용변수는 총자산순이익율(ROA), 매출액총이익율 (ROS), 자기자본순이익율(ROE), 부채비율(LEV)을 이용하여 기업지배구조지수와 재무성과의 관련 성을 분석하였으며, 다음으로 재무성과(FNP)를 종속변수로 하고 기업지배구조지수(CGI), 기업지 배구조지수의 향상(△CGI), 기업지배구조지수의 단순향상(△CGIn)을 독립변수로 하는 회귀분석을 하였다. 독립변수를 이용하여 기업지배구조지수 세 개의 변수 중 어느 것이 기업의 재무성과 (FNP)와 더 큰 관련성이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기간은 2012년부터 2014년까지 3년간이며 1,629개(기업/년)의 표본이 실증 분석에 이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기업지배구조지수(CGI)는 한국기업지배구조원(CGS)에서 제공하는 기업지배구조 점수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기업지배구조지수 향상(△CGI)은 CGI의 변화율로 측정하였고, 기업지배구조지수 단순향상(△CGIn)은 전년 대비 당해연도 기업지배구조지수의 단순향상 값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지배구조지수와 재무성과의 관련성 분석결과, 기업지배구조지수(CGI)와 총자산순이 익율(ROA)과 음(-)의 관련성, 부채비율(LEV)과는 양(+)의 관련성이 확인되었고, 매출액총이익율 (ROS), 자기자본순이익율(ROE) 간 유의적인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 지배구조가 우수하면 재무성과가 우수할 것이라는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부분도 있지만 그 반대의 결과를 제시하기도 한다. 둘째, 기업지배구조지수 향상과 재무성과의 관련성 분석결과, 기업지배구조지수(CGI)는 재무성 과와 유의적인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기업지배구조지수 향상(△CGI)은 매출액총이익율 (ROS)과 유의한 음(-)의 관련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부채비율(LEV)과 유의한 양(+)의 관련성을 나타내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mpirical relevance of corporate governance index and financial performance, corporate governance index and improve financial performance. First, proxy variables of financial performance(FNP) from the regression analysis to financial performance(FNP)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Corporate Governance index(CGI) as independent variables return on assets(ROA), profit margin ratio(ROS), return on equity ratio(ROE), a debt-to-equity ratio (LEV) analyzed the association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index and financial performance, followed by financial performance(FNP)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corporate Governance index (CGI), corporate governance improvement of the index (△CGI), a simple improvement of the corporate governance index(△CGIn) were the independent variables in the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analyzed period of three years from 2012 to 2014 and was used in the empirical sample of 1629(corporate / year). Corporate Governance index in this study (CGI) was measured using a corporate governance score provided by CGS, corporate governance index improved (△ CGI) enhances was measured by the rate of change of the CGI, Corporate Governance index Simple (△CGIn) was used to enhance the value of the previous year the year the simplicity of corporate governance index. The summary of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levant analysis of the corporate governance index and financial performance, corporate governance index (CGI) with return on assets(ROA) and negative (-) association, the debt ratio(LEV) and confirms the relevance of the positive(+) was, profit margin ratio(ROS), return on equity ratio(ROE) showed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If these results are also part of good corporate governance it is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that have superior financial performance, but also presented the results of its opposition. Second, the relevant analysis of the improve corporate governance index and improve financial performance, corporate governance index(CGI) did not hav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financial performance show, the corporate governance index improved(△CGI) profit margin ratio(ROS) and significant negative(-), and represents the association between, there is shown the relationship of debt (LEV)and a significant positive.

      • KCI등재

        기업지배구조지수와 실물이익조정에 관한 연구

        이봉학,반경희,차진화 한국상업교육학회 2016 상업교육연구 Vol.3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지배구조지수와 실물이익조정의 관계와 기업지배구조지수 향상과 실물이익조정의 관계를 실증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 기간은 2012년부터 2014년까지 3년이며 연구의 표본은 우리나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 중 CGS로부터 2011년부터 2014년까지 4년 동안 연속적으로 기업지배구조지수를 입수할 수 있는 기업으로 금융업종에 속하는 기업은 표본에서 제외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CGS로부터 2012∼2014년의 기간에 대하여 기업지배구조지수 입수가능기업은 각각 710개, 693개, 694개 기업이었다. 이들 기업 중 2011∼2014년의 4년 동안 연속적으로 기업지배구조지수를 입수할 수 없는 기업, 금융업에 속하는 기업, 결산일이 12월 31일이 아닌 기업, 분석에 필요한 회계자료를 입수할 수 없는 기업, 극단치를 제외하고 1,614개(기업/년)를 최종표본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기업지배구조지수는 CGS로부터 제공받았으며, 실증분석에 필요한 재무자료는 KIS-VALUE로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기업지배구조지수와 실물이익조정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기업지배구조지수는 실물이익조정의 대용치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 또는 음(-)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기도 하여 [가설 1]을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결과이다. 또한, 기업지배구조지수 향상과 실물이익조정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기업지배구조지수의 향상은 실물이익조정의 대용치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한 양(+)의 관계를 가지고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거나 모형의 적합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기도 하여 [가설 2]는 기각되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확장하여 기업지배구조와 실물이익조정의 관계를 실증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기업지배구조지수와 실물이익조정의 관계를 분석한 실증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실증연구의 증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그러나, 기업지배구조지수가 높을수록 실물이익조정이 유의적으로 감소한다는 선행연구들과 부합하지 않은 결과를 보여줌으로써 연구모형에서 사용된 변수들 외에 기업지배구조지수와 실물이익조정의 관계, 기업지배구조지수의 향상과 실물이익조정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이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선행연구에 부합하지 않은 연구결과를 조심스럽게 해석해야 하는 한계점이 있지만, 기업지배구조지수와 기업지배구조지수의 향상을 활용하여 추가적인 실증적 증거를 제공하였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mpirical relationship of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index and real earnings, and between improved corporate governance index and financial performance. The study period from 2012 to 2014 three years to a sample of the research is a company that can acquire continuously corporate governance index from among companies listed on the Korean Stock Market CGS from 2011 to 2014 for four years companies belonging to the financial sector were excluded from the sample. For this study can now get Governance Index for the period of 2012-2014 CGS from the company, respectively 710, 693, 694 now. This study analyzed period of three years from 2012 to 2014 and was used in the empirical sample of 1614(corporate / year). Corporate Governance Index in this study had received offers from CGS, the financial data necessary for the empirical analysis were collected by KIS-VALU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corporate governance index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or negative adjustment to the real benefit - to have the relationship shown in. This is the result of partially supporting the [H1]. In addition, corporate governance index improving the actual benefit adjustment appeared to have the relationship of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And, it has a significant positive(+)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r not the conformity of the model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2] was dismissed. This study extends previous studies were presented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real earnings. This study is meant to suggest that the evidence of the empirical studies in situations that lack empirical studies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index and real earnings. However, the higher the corporate governance index showed that the results are not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that real earnings are significantly reduced. And, in addition to the variables used in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index and the real earnings, a variety of factors that could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rovement of corporate governance and real earnings it was confirmed that they exist. This limitation should carefully interpret the findings are not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but the empirical evidence provided additional leverage to improve corporate governance, corporate governance index and the index may point contrib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