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카하마 교시의 『조선』 론 ─ 교정되는 텍스트를 중심으로 ─

        황소연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6 일본학연구 Vol.49 No.-

        일본 근대기 하이진(俳人)으로 유명한 다카하마 교시(高浜虛子)는 소설가 지망생이었다. 그가 남긴 소설은 사생문체이며 일본 사소설의 원류로 주목을 받고 있다. 1911년 조선을 방문하고 집필한 것이 『조선』이라는 소설이다. 소설 『조선』은 신문에 140회를 연재하고 단행본으로도 수차례 간행되었으나 이 과정에서 많은 부분이 삭제가 되었다. 삭제된 내용을 정리하면, 첫째로 식민지 조선과 조선인에 대한 부정적인 표현, 둘째로 조선 거주 일본인과 일본 사회에 대한 부정적인 표현, 셋째로 등장인물의 이탈적인 삶에 대한 표현 등이 삭제되었다. 이러한 수정 방향은 당대의 일본 주류 사회의 인식과 사회 저변에 사는 인간들의 욕망의 분출을 표현하고자 한 다카하마 교시의 소설관의 충돌로 이해된다. 갈등이 발생할 수 있는 부분을 수정해 무난하고 착한 소설로의 전이과정의 결과물이 단행본 『조선』인 것이다. 이러한 텍스트의 변화는 연재소설로 발표한 후에 그 평가가 저조하자 시류에 맞춰 수정한 작가의 가변적인 태도에 기인한다고 본다. 다카하마 교시는 소설 『조선』의 일련의 수정 과정을 통해, 욕망의 외현화보다는 세상 질서의 내면화를 강화시켰다고 하겠다. 외부의 평가를 의식하며 정제된 언어로 형상화한 결과물이 단행본 『조선』인 것이다. Takahama Kyosi who is well-known for Haijin(俳人) in modern period was a would-be novelist.His works were mostly written in photographic style and have received public attention as an origin of Japanese autobiographical fiction. Among his novels, Choseon which was serialized 140 times in a daily newspaper and was also published in book form several times, is based upon his visit to Choseon. Many parts of Choseon serialized in a daily newspaper were deleted in the process of being published in book form. Erased conten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negative expressions of colonialized Choseon and its people. Second, negative views of Japanese residents in Choseon and of Japanese society. Third, deviant behaviors of female characters. These kinds of rectifications can be appreciated as the inner conflicts of Takahama Kyosi’s literary views between his sense of Japanese mainstream society at that time and his wish to express the lower-class people’s desires. The corrections to resolve the conflicts for him to choose an easier way resulted in Choseon in bookform. It may be assumed that this transition comes from the writer’s variable attitude to follow current trends after the unfavorable public estimation of newspaper serial. It is apparent that Takahama Kyosi tried to solidify the internalization of the world order instead of exposing people’s inner desires. His refined languages in Choseon result from his strong sense of public appraisal.

      • KCI등재

        전자공증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김상영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법학연구 Vol.63 No.4

        미국, 독일 및 일본의 전자공증제도에서 살펴보았듯이 모두 전자공증의 도입에 이어 이름은 미국의 경우 RON, 독일의 경우 화상회의를 통한 온라인 공증, 일본의 경우 화상통화(テレビ電話)에 의한 인증 등 각각 다르지만 최근에 이르러 COVID19의 영향으로 원격 온라인 공증까지 도입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일본은 화상공증의 경우 우리보다 조금 뒤에 도입하였지만, 우리한테는 없는 전자확정일자제도를 갖고 있고, 나아가 2025년까지 전자공정증서의 도입까지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전자공증제도의 도입에 이어 엄격한 대면요건을 완화한 화상공증제도를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지만, 종이공증이라는 낡은 패러다임에서 완전히 탈각하지 못한 채로 그 대상영역이 제한되어 종이공증의 일부밖에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제도상의 한계 외에도 전자공증이 아직 기대한 만큼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운영상의 문제점 등 앞으로 개선하여야 할 적지 않은 과제를 안고 있다. 공증인법 제1조(목적)에 ‘공증사무의 적절성과 공정성’을 확보함을 목적으로 한다고 규정되어 있는바, 자연의 빛이나 음파를 통해 시공간의 제약 하에 눈으로 보고 귀로 듣는 것이나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라 첨단기술장비를 통하여 시공간을 초월하여 눈으로 보고 귀로 듣는 것이나 본질적인 차이는 없고, 오히려 더 잘 보고 더 잘 듣게 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므로, 공증사무의 적절성과 공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본질이지 온라인 세상인 현재 구시대적인 공증사무소 출석이나 공증인과의 물리적 대면요건을 고집할 것은 아니라고 본다. 종이문서를 대체하는 전자문서라는 정보기술혁명이 이미 대세로 자리 잡고, COVID19 사태로 인하여 비대면 전자공증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급증하여 전자공증의 활성화 기반이 마련된 현재, 새로운 패러다임의 관점에 입각하여 종이공증에서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를 전자공증에서도 구현할 수 있도록 전자공증시스템에서 하나의 완결된 체계, 이른바 원스톱 서비스(One Stop Service)를 제공할 수 있는 제도를 설계하고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에 전자공정증서 서비스, 전자확정일자 서비스 등 전자공증의 대상 영역을 확대하고, 전자공증시스템의 안전성과 편리성의 증대, 전자공증시스템의 운영주체의 변경과 지정공증인의 증원, 공증인의 교시의무의 강조, 공증법령의 정비, 전자공증의 홍보 강화 등을 통해 전자공증의 활성화를 꾀할 것을 제안하였다. 다만, 제도 개선만으로 모든 것이 해결되지는 않으므로, 우선 전자공증에 임하는 공증인의 자세와 의식의 변화가 필요하고, 공증실무의 근간인 공증인의 교시의무의 이행에 공증인이 진력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상월(上月)의 불성개현사상

        황상준(Hwang, Sang Ju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8 佛敎學報 Vol.0 No.82

        불교는 깨달음을 추구하는 종교이다. 불교의 시작은 석존의 깨달음으로부터 비롯되었다는 사실과 함께 그 목표도 석존이 깨달은 진리의 구현에 있기 때문이다. 근현대 한국불교 속에서 천태종 중창을 이뤄낸 박상월(朴上月, 1911-1974)에 의하여 전개된 불성개현사상(佛性開顯思想)은 한국불교의 유구한 흐름 위에서 펼쳐진 또 하나의 깨달음 운동이며 진리구현의 모습이다. 본 논고의 목적은 상월의 불성개현사상과 대한불교천태종의 그 실천에 대한 고찰이다. 더불어 근현대 한국불교계의 상황 속에서 그 의의를 조망함으로써 상월이 주창한 불성개현 사상의 가치를 드러내고자 한다. 스스로 깨달은 정법에 의한 법력과 원력으로 상월은 당시의 암울한 불교계의 상황 속에서도 민중을 위해 불성개현운동을 펼치고자 했다. 상월의 불성개현사상의 중심은 법화천태교관(法華天台敎觀)과 관음신앙(觀音信仰)을 중심으로 한신대승불교의 일환으로 기존의 불교에서 대중불교와 생활불교로의 전환이다. 상월의 실천수행과 교화행을 통한 천태종의 불성개현운동은 신행 중심축 이동에 의한 운동으로 한국불교 신행사(信行史)에서 매우 큰 의미가 있다. 승려와 일부 수행자의 전유물로만 인식되던 수행과 성불의 실천본원(實踐本願)의 중요성을 일깨웠으며, 실생활과 유리된 채 홀로 지향하던 승원불교(僧院佛敎)를 생활불교로 회귀시켰다. 상월은 천태종 중창이후 열반에 들 때까지 출 ․ 재가를 막론하고 구인사를 찾는 모든 대중들에게 불성(佛性)의 자각과 개현에 관한 교화를 펼쳤으며, 유훈(遺訓)으로 발보리심(發菩提心)할 것을 천태종도들에게 당부하였다. 그리고 법회의식(法會儀式)을 통한 출 ․ 재가불자의 불성개현에 대한 자각과 관음주송(觀音呪誦)을 통한 실천수행법의 제시는 기존 전통의 불교와는 차별화된 것이다. 상월의 불성개현사상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스스로 깨달은 정법에 바탕을 둔 실천수행법을 제시하였다. 둘째, 천태종도의 불성개현을 위한 천태종의 신행체제의 확립이다. 셋째, 불교신행활동과 생활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는 생활불교의 정착이다. 끝으로 불교의 근본목적인 불자들의 깨달음 추구를 위한 실제적인 방편을 제시한 것이다. 상월의 중생구제 서원과 깨달음은 불교의 근본정신으로 돌아가 석존이 깨달은 진리를 오늘의 현대사회에 되살리기 위한 종교 구원사적 의미를 지닌다고 말할 수 있다. 상월의 불성 개현사상은 불교의 본래 모습과 달리 왜곡되었던 이 시대의 불교를 새롭게 혁신한 신대승불교운동의 시작이자 현재 한국불교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Buddhism is a religion that pursues enlightenment. This is because the beginning of Buddhism comes from the truth that the Buddha realized, and the goal is the realization of the Buddha.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Sangwols thought on the manifestation of the Buddha nature is invaluable, and it is said that Sangwols thought is another movement for the Buddhists enlightenment in contemporary Korean Buddhist society. This present study focuses on both Sangwols thought on the manifestation of the Buddha nature and its practice of the Cheontae Order of Korean Buddhism. In addition, I would like to express the value of Sangwols thought by looking at its significance in the context of the modern Korean Buddhist system. Sangwol does not rely on the Korean traditional Buddhist Sangha, but rather, he built a new Buddhist order, which is based on his own enlightenment and Dharma power to guide all sentient beings in finding the manifestation of the Buddha nature even though Korean Buddhism looked away and pretended not have noticed their aspiration for the enlightenment in the situation of the gloomy Buddhist period of that time. Sangwols thought on the manifestation of the Buddha nature is the conversion from the existing Buddhism to the Popular Buddhism and the Daily Life Buddhism as a part of the New Mahayana Buddhism centered on both Cheontae Buddhism and the Avalokitesvara cult. This paradigm shift in the Buddhist faith system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It is a quite different feature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Korean Buddhist order. Sangwol theory of the awareness of the Buddha nature is that all sentient beings have it, and he revealed the Buddha nature to all Buddhists in the Cheontae Order since he reestablished the Order and left instructions as a great inspiration of the earnest aspiration to attain enlightenment. They faithfully followed their dharma teachers instruction by the Dharma ceremony, Daily Life Buddhism, and invoking the name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The awareness of the manifestation of the Buddha nature through Buddhist rituals and the presentation of Buddhist practice through the practice of Buddhism is different from traditional Korean Buddhism. Sangwols thought on the manifestation of Buddha natur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angwol suggested a practice method based on his own enlightenment and Dharma power. Second, he established the Cheontae Orders new mechanism for enlightenment as the practice of faith. Third, it is in the settlement of Daily Life Buddhism that Buddhist new activity and life can be achieved together. Finally, it is a practical way to pursue the enlightenment of the Buddha, which is a fundamental Buddhist goal. Sangwols thought, the manifestation of the Buddha nature, is the beginning of the new Buddhist movement because of the gloomy Buddhist period of Modern Korean Buddhism and presently his thought reveals the direction that Korean Buddhism should take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