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생산량 증대 및 품질균일화 개발연구

        이윤복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10

        곤충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으로 곤충자원의 개발 및 이용촉진 및 곤 충산업 발전에 법적토대 형성따라 현재 흰점박이 꽃무지 곤충대량 사육 매뉴얼 부 족으로 체계적인 생산 및 대량사육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기존의 농장 자체적으로 계대사육을 실시한 결과 성충에 크기가 많이 작고 또한 산란 개체수가 매우 적은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계대사육(연속사육)을 할 경우 월동을 한 유충이 성충이 되는것에 비하여 건강상태나 산란률이 떨어지는 것을 보완하며 동시에 유충을 한시적으로 보유 하는 것이 아니라 항시 보유하여 언제든 판매 가능한 굼벵이 보유룰 목적으로 이 실험을 실시 하였다. 이 실험은 같은 월동을 실시한 굼벵이를 자연상태로 또한 가온을 하여 성충우화 시기를 조절하여 계대사육의 문제점을 보완한 실험으로 기존의 자연상태에서 가 온을 하지 않고 우화된 성충의 산란률과 가온을 실시하여 우화된 성충의 산란률을 비교하여 연속적인 사육이 아닌 시기를 나누어 산란을 시킴으로써 건강한 개체와 산란률을 유지하는 것이 얼마나 효율적인가를 판단하는 실험으로 연구를 실시하 였다.

      • 조각깔따구(파리목:깔따구과)의 계대사육

        백민정,윤태중,황정미,모형호,조기종,배연재 한국응용곤충학회 2008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8 No.10

        우리나라의 도시하천에 흔히 서식하는 조각깔따구(Glyptotendipes tokunagai Sasa)를 수서생태계의 새로운 수질지표종 또는 독성실험종으로 개발하기 위해 실온에서 계대사육하였다. 사육을 위해 우화한 성충을 교미・산란실(¢120×H210 mm)로 옮겨주어 교미와 산란을 유도하였으며, 산란된 알집은 항온기(온도 25±0.5℃; 광주기 16L:8D)로 옮겨 유충기간 동안 사육하였다. 우화할 시기가 되면 항온기에서 우화실(W550×L420×H415 mm)에 있는 수조(W300×L220×H220 mm)로 옮겨주어 우화할 수 있는 공간을 넓혀 주었다. 유충의 먹이는 Tetramin® (TetraWerke, Melle, Germany)을 0.2 mm이하로 갈아서 제공하였고, 배양액으로는 하루이상 폭기시킨 1차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배양용기의 바닥에는 멸균된 가는 모래(<0.5 ㎜)를 넣어주었다. 우화한 성충과 알집의 수는 24시간마다 기록하였다. 또한 각 세대별 알집의 수, 알집당 알의 수 및 부화율을 측정하였으며, 우화된 성충은 두폭, 가슴폭, 날개폭, 날개길이 및 체장을 측정하였다. 조각깔따구의 사육결과 2007년 4월부터 2008년 9월까지 11세대 이상의 계대사육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번 발표에서는 2008년 7월까지 진행된 6세대까지의 사육결과를 수집・측정하여 제시하였다. 우화한 성충의 수는 제 3세대에서 성충이 1,634개체로 가장 많이 우화하였고, 이 세대의 성충이 산란한 제 4세대의 알집이 486개로 가장 많았지만, 다음 세대부터 우화한 성충의 개체수와 알집 수는 점점 감소하였다. 우화한 성충의 성비(암컷 개체수/전체 개체수)가 0.24~0.46 범위를 나타냄으로써 암컷보다 수컷의 우화한 개체수가 모든 세대에서 더 많았다. 각 세대에 따른 알은 제 1세대에서 제 6세대로 진행될수록 첫 번째의 알집과 두 번째의 알집 모두 알집당 알의 수가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알의 부화율은 세대에 따른 특성과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첫 번째의 알집은 전 세대에서 80% 이상의 높은 부화율을 보였다. 성충의 크기 측정값은 세대가 진행됨에 따라 전반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보아 조각깔따구의 사육 조건은 공간의 크기에 민감하며, 11세대가 지나는 시점에서도 비교적 번식력이 양호한 개체군이 유지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에서 깔따구류의 야생종을 순화하여 실내 계대사육을 시도한 최장기간(11세대)의 기록이며,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로 보아 조각깔따구는 수질평가를 위한 독성실험 등 다양한 환경생물학적 연구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네발나비과 나비류의 계대사육법 체계확립

        설광열,김남정,홍성진,Seol, Kwang-Youl,Kim, Nam-Jung,Hong, Seong-Ji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5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4 No.4

        곤충관의 연중 전시용으로서 붉은 색 계통의 화려한 나비로서 공급하기 위하여 네발나비류의 계대사육법 체계확립을 위해 일련의 시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실내 제대사육용 인공사료를 개발하기 위해 3종의 사료를 공시한 결과 종에 따라 선호하는 사료의 종류가 달랐으나 Bu사료가 대체로 사육 성적이 양호하였으며 사료 중 기주잎 분말은 냉동 건조한 것이 좋았으며 C/N율은 1:1이 가장 양호한 결과로 나타났다. 또한 발육단계 별 냉장가능기간을 조사한 결과 알의 경우 $5^{\circ}C$에서는 3일간, $15^{\circ}C$에서는 5일간 저장이 가능하였고 번데기의 경우에는 저온에 오래 보관할수록 기형 나비의 출현율이 높아 $15^{\circ}C$에서 최대 15일간 냉장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나비의 장기 저온보호시험을 통해 냉장전의 흡밀기간, 냉장 온도에는 관계없이 법 장기간이 생존을, 산란전기간 및 산란수에 영향하였으며 60일까지 냉장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네발나비는 기주식물의 자극없이는 산란하지 않아 페트리 접시를 이용한 간이 인공산란용 키트를 개발하여 기주식물(한삼덩굴)잎의 에테르 물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암컷 1마리 당 평균 $278{\pm}27$개를 산란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네발나비류의 연중 실내제대사육 체계도를 완성하였다. In order to establish the successive rearing system brush-footed butterflies (Lepidoptera : Nymphalidae) were reared in a room. Artificial diets were developed for a year-round rearing. Bu-diet was best to rear these butterflies among 3 kinds of diet used. The freeze-dried host plant leaf powder in diet was better than heat-dried one $(60^{\circ}C)$ in the growth of larvae. The rearing results were best in the diet C/N ratio was 1:1. The 24-hrs old eggs could be stored for 5 days at $15^{\circ}C$ or for 3 days at $5^{\circ}C$ and showed 75% of hatchability. On the other hand, pupae could be stored for maximum 15 days at $15^{\circ}C$ because the emergence of abnormal adults appeared much more as the cold storage period got longer. And the adult was able to be stored until 60 days at refrigerator without relation of nectar-sucking period before cold-storage and storage temperature. Also a simple artificial ovipositing kit was devised by ${\Phi}9$ cm of petri-dish and a female oviposited $278{\pm}27$ of eggs with adding the ether extract of host plant to this kit. The systematic successive rearing method of brush-footed butterflies in a room was completed.

      • 비 휴면처리 서양뒤영벌(B. terrestris)의 산란 및 봉군발육

        박인균,윤형주,이상범,이경용,황재삼,황석조 한국응용곤충학회 2008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8 No.05

        비 휴면 개체를 계대 선발하기 위하여 인공월동이나 CO2 처리 등과 같은 인위적인 휴면처리를 하지 않은 서양뒤영벌(Bombus terrestris) 여왕벌의 산란과 봉군발육 특성을 CO2 처리한 여왕벌과 비교하여 조사하였다. 산란율은 비 휴면 처리구에서 90.9%로 CO2 처리구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첫산란 소요일수는 20.6일로 CO2 처리구 보다 길게 나타나 효율측면에서 다소 다른 경향을 보였다. 성충의 우화율은 일벌과 여왕벌의 출현에 있어서 비 휴면 처리구가 CO2 처리구보다 각각 50마리, 34마리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계속해서 비 휴면처리 1세대 여왕벌에서 우화한 2세대 여왕벌과 CO2 처리구에서 우화한 2세대 여왕벌을 비 휴면 공시충으로 처리하여 산란율과 봉군특성을 조사하였다. 앞선 1세대 비 휴면 처리구에서 우화한 여왕벌의 산란율과 첫산란소요일수가 각각 66.0%와 23.7일로 1세대 처리구에서 우화한 여왕벌과 비교하여 효율이 낮게 나타났다. 성충 출현율과 출현수에 있어서도 1세대 비휴면 처리구에서 우화한 여왕벌이 산란한 봉군에서 각각 일벌과 여왕벌 28.0%, 8.0%, 14.8마리, 2.0마리로 처리구보다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1세대 뒤영벌의 경우 CO2처리구보다 오히려 비 휴면처리구가 산란특성 과 봉군발육에서 다소 우수한 경향을 보여 경제적 효율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지만, 그 이후의 2세대에서는 모든 조사항목에서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왕벌 생존율에 있어서도 같은 경향으로 1세대 비 휴면 처리구가 CO2 처리구보다 시기별로 생존율이 낮아 대량증식을 위한 여왕벌의 계대사육에 있어서 휴면처리 효율은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 A study o f the Reduction of D iamide R esistance of Spodoptera exigua in Jindo according to the Breeding of the generation

        Hyunwoo Sim,Sora Kim 한국응용곤충학회 2023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3 No.10

        대파(Allium fistulosum L.)는 동양에서 옛날부터 중요한 식재료로 재배되어온 중국 원산지의 향신 채소이다. 적어도 통일신라시대부터 재배되어 온 기록이 있으며 현재에도 식재료로 수요가 많아 전국적으로 재배면적이 넓어지고 있고, 종자의 유통량 또한 많다. 대파에는 파굴파리(Liriomyza chinensis), 파좀나방(Acrolepiopsis sapporensis),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등이 주요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전남 진도군은 국내 대파 주산단지로 파밤나방의 발생이 많고 다이아마이드 계통 농약의 저항성이 발현되고 있어 계대사육에 따른 저항성 감소를 실험하고자 한다. 실험은 진도군의 대파밭에서 파밤나방 개체를 채집하여 실내에서 약제처리를 통해 살충률과 섭식률을 검정, 몇세대에 걸쳐 저항성이 감소되는지 알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