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취업이 결혼희망연령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임훈민(Hoonmin Lim),김중백(Joongbaeck Kim) 한국인구학회 2013 한국인구학 Vol.36 No.3

        현재의 저출산 현상은 초혼연령의 증가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따라서 미혼남녀의 결혼희망연령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의 분석은 저출산 문제 해결에 함의를 줄 수 있다. 본 논문은 결혼에 필요한 사회·경제적 자원을 공급하는 취업이 미혼남녀의 결혼희망연령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결혼과정과 관련된 개인적 특성-교육수준, 연령, 부모와의 동거여부, 성별-이 취업과 결혼희망연령의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moderating) 상호작용효과를 통해 살펴본다. 자료는 「2009 결혼 및 출산 동향 조사」를 사용하였고 만 20세에서 44세까지의 미혼남녀 가운데 결혼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을 분석 대상으로 한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개인의 배경 변수를 통제한 이후에도 취업 상태의 응답자는 비취업 상태의 응답자에 비해 낮은 결혼희망연령을 보인다. 이는 취업을 통해 결혼에 필요한 사회·경제적 자원을 얻게 된 효과로 해석할 수 있다. 한편 상호작용 회귀계수로 검증한 조절효과 결과에 따르면 취업자와 비취업자 간 결혼희망연령의 차이는 대학진학 이상 응답자에 비해 고졸 이하 응답자가 더 적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취업자와 비취업자 간 결혼희망연령의 차이는 줄어들며 29세 이후에는 비취업자가 오히려 낮은 결혼희망연령을 나타낸다. 또한 취업자와 비취업자 간 결혼희망연령의 차이는 부모와 동거하는 경우에 더욱 크다. 마지막으로 결혼희망연령의 취업자와 비취업자 간 차이는 남성에 비해 여성이 더 적으며 이는 향후 여성취업자가 증가할수록 초혼연령이 더욱 늦어질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본 논문의 결과는 미혼남녀가 결혼연령을 계획하는 과정이 매우 복합적임을 보여주고 있다. Current low fertility rate in Korea is strongly associated with the trend of late marriage. We need to understand age at marriage to resolve the issue of low fertility. This study investigates (1) whether employment status has an association with desired age at marriage adjusting for control variables, and (2) the extent to which individual attributes-age, gender, educational level, and cohabitation with parents-moderate the association between employment status and desired age at marriage. Employing data from 「2009 National Marriage and Fertility Study」, we select 2,342 unmarried adults who report marriage intention. Employment status is related to decreased desired age at marriage, implying that people who are employed intend to marry earlier than people who are not. For moderating effects, we found educational level, gender, age, and cohabitation with parents moderate the association. These findings show that the association between employment status and desired age at marriage varies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미혼남녀의 결혼의향과 결혼희망연령에 대한 가족 가치관의 영향 추세 연구

        진미정(Meejung Chin),정혜은(Hye-eun Chung) 한국인구학회 2010 한국인구학 Vol.33 No.3

        본 연구는 미혼남녀의 결혼지연 현상을 가치관 접근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2005, 2009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조사 중 미혼남녀 5,984명의 자료를 분석하여 결혼, 출산, 성역할 규범 등 가족 가치관의 변화를 살펴보고, 가족 가치관이 결혼의향과 결혼희망연령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지난 5년 사이 남성의 결혼과 자녀의 필요성에 대한 동조성은 낮아지고, 전통적 성역할분업과 남성생계부양모델에 대한 동조성은 높아졌다. 여성의 결혼의 필요성과 혼전 동거에 대한 동조성은 높아지고, 자녀의 필요성에 대한 동조성은 낮아진 반면, 성역할태도는 보수적으로 변화하였다. 결혼과 자녀의 필요성에 대한 동조성이 높고 전통적인 성역할태도와 부양모델에 동조하는 사람일수록 걸혼의향이 더 높았다. 남녀 모두 결혼 필요성에 대해 동조할수록 결혼희망연령이 빨랐으며, 여성은 혼전동거에 대해 수용적일수록 결혼희망연령이 높았다. 결혼 및 자녀의 필요성과 같은 당위적 규범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은 최근으로 올수록 약화된 반면, 자녀의 정서적 가치가 미치는 영향은 최근으로 올수록 강화되었다. 가족 가치관이 미혼남녀의 결혼의향과 결혼계획연령에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으며, 그 영향력이 성별, 가치관 영역, 시기에 따라 서로 다르게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changes in family values (attitudes toward marriage, children, and traditional sex roles) and examines how the values influence on their intentions of marriage and expected age at first marriage. A sample consists of 5,984 never married men and women drawn from the 2005 and 2009 National Marriage and Fertility Study. The results show that the endorsement on marriage and children has decreased while endorsement on traditional sex role attitude has increased over the past five years. Those who have higher values on marriage, children, and traditional sex role have a higher likelihood of marriage intention. However, the effects of the family values on marriage intention have weakened during the period. The endorsement on marriage lowers the mean ages of the expected first marriage. Comparing the effects of the family values during the period, this study find that normative aspects of the family values have lower effects, whereas individual aspects of the values have stronger effects over tim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effects of family values vary across sex, time, and the aspect of the values.

      • KCI등재

        종교가 결혼인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조광덕 한국종교사회학회 2022 종교와사회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종교가 결혼의향과 결혼희망연령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특히 종교와 출산의 관계를 설명하는 골드췌이더(1971)의 ‘특정 신학 가설’과 ‘특성 가설’, ‘상호작용 가설’을 종교와 결혼에 적용하여 분석 모형을 구성하였다. 이를 위해서 <한국종합사회조사> 2018년 자료를 바탕으로 이항로지스틱 모형과 로그화된 다중선형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종교는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을‘상호작용가설’로 해석할 수 있지만, 종교는 결혼희망연령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즉 결혼의향에는 개신교 신봉자의 높은 믿음의 정도가 영향을 미치지만 결혼희망연령에는 천주교 신봉자의 낮은 믿음 정도가 오히려 결혼희망연령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러한 결과는 첫째, 본 연구에서 사용된 낮은 표본의 수로 인한 결과일 수 있고, 둘째, 골드췌이더의 가설이 출산과 관련한 주장이며, 마지막으로 이 가설이 1970년을 기준으로 설정된 것이기 때문에 현대사회의 결혼 현상을 설명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에 결혼의향과 결혼희망연령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인구학적 및 경제학적 변수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는 것은 종교와 결혼의 관계에서의 결과도 충분히 수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대학생의 구직관련태도 및 자아존중감과 성역할태도가 결혼희망연령에 미치는 영향

        유계숙(Yoo, Gye-Sook),오아림(Oh, Ah-Rim) 한국가족학회 2011 가족과 문화 Vol.23 No.2

        본 연구는 서울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24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하여 대학생이 가지고 있는 구직태도의 비현실성과 구직포기의도, 자아존중감과 성역할태도가 결혼희망연령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구직태도의 비현실성 척도, 구직포기의도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성역할태도 척도를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학생이 가지고 있는 구직태도의 비현실성과 구직포기의도, 자아존중감과 성역할태도, 결혼희망연령의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구직태도는 비교적 현실적이고 구직포기의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은 전반적으로 높고, 성역할태도는 비교적 양성평등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평균 결혼희망연령은 평균 29.98세이며,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의 결혼희망연령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보다 전통적인 성역할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미혼 남녀대학생의 결혼희망연령을 예측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본 결과, 여성보다 남성이, 가족의 소득수준과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구직태도가 현실적일수록 늦은 연령에 결혼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unreality of job search attitudes, intention to give up searching for jobs, self-esteem, and gender-role attitudes on their expected marriage age. Data were collected from 243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six colleges located in Seoul. The questionnaire measurements were based on recommendations from the literature review.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e unreality of job search attitudes scales, intention to give up searching for jobs scales, self-esteem scales, and gender-role attitudes scal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college students showed realistic job search attitudes and low levels of intention to give up searching for jobs. They also reported high levels of self-esteem, egalitarian gender-role attitudes and the mean expected marriage age at 29.98. They showed gender differences in gender-role attitudes and expected marriage age. Male students had more traditional gender-role attitudes and higher expected marriage age compare with female students. Finally, serial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students' gender, family income, self-esteem, and unreality of job search attitudes significantly predicted one's expected marriage 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