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John Steinbeck’s Play-Novelette Would Be Burning Bright: On Burning Bright and The Moon Is Down

        이건근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5 외국문학연구 Vol.- No.59

        John Steinbeck, a Novel-Literature-Prize laureate, published three play-novelettes—Of Mice and Men (1937), The Moon Is Down (1942), and Burning Bright (1950). The play-novelette is a play that is easy to read or a short novel that can be performed directly by lifting out the dialogue from a playscript. In this way, Steinbeck intended to give an immediately powerful communication of a theme to both readers and audiences. As a result, Of Mice and Men won the New York Drama Critics Award for the best play of the season in 1937, and The Moon Is Down came in the second of the same award in 1942. However, the third work Burning Bright gave Steinbeck a disastrous failure. This paper aims to illuminate the causes of the failure of Burning Bright with the help of the earlier research and the analysis of its text. Based on the results, I observe the whole stories of The Moon Is Down, which has not been covered by the other critics. As a consequence, in Burning Bright, the arbitrary abstractness in the form and language leads to over-extension, abridgement, and minute description. Also, the utilitarianism of American pragmatism in its thematic part seems to be applied too much to the human right. On the other hand, The Moon Is Down is distinctive of more abundant contents, fast moving stories, clear characterization, dramatic tension, competitive composition, change of characters’ thought and emotion. Besides, the abstained and clear expression gives an efficient treatment for the superiority of democracy (the spirit of the times), and the plain humanity that the author loves. All in all,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the failure of Burning Bright is that Steinbeck himself violated the regulations he had set up in its foreword from the previous experience of The Moon Is Down.

      • KCI등재

        John Steinbeck’s Play-Novelette Would Be Burning Bright

        Lee, Geongeun(이건근)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5 외국문학연구 Vol.- No.59

        노벨 문학상 수상자 존 스타인벡은 세 편의 플레이-노블레, 즉 『생쥐와 인간』(1937)과 『달이 지다』(1942) 그리고 『벌겋게 타오르다』(1950)를 출간 하였다. 플레이-노블레란 읽기에 쉬운 연극대본이면서 동시에 연극대본에서 담화구조를 강조함으로써 즉시 연기가 가능하게 한 실험적인 중편소설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스타인벡은 독자와 관객 모두에게 주제 전달을 강력하게 해줄 것을 의도하였다. 그 결과 『생쥐와 인간』은 1937년 뉴욕 드라마 비평가 최고 작품상을 받았고, 『달이 지다』는 1942년 상대적으로 짧은 공연기간에도 불구하고 같은 상 후보 2위의 기록을 보였다. 그러나 세 번째 작품인 『벌겋게 타오르다』는 스타인벡에게 재난과 같은 실패를 안겨 주기도 했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벌겋게 타오르다』의 실패의 원인들을 선행연구의 도움과 텍스트에 대한 분석을 통해 밝히고자 한다. 또한 이를 기초로 하여 『달이 지다』의 이야기들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그런데, 이 작업은 아직 다른 비평가에 의해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바이다. 그 결과 『벌겋게 타오르다』는 형식과 언어 면에서의 자의적인 추상화가 과도한 의미의 확장, 축약 그리고 미시적 서술을 이끌었고, 내용면에서는 미국 프래그머티즘에 기초한 공리주의가 인권에 대해 과도하게 적용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반해 『달이 지다』는 풍부한 내용, 빠른 이야기 전개, 분명한 인물설정, 극적 긴장감, 경쟁적 구도, 등장인물들의 사고와 감정의 변화가 특징이다. 게다가 이것들의 절제되고 명료한 표현이 당시 시대정신인 민주주의 우월성과 스타인벡이 사랑하는 소박한 인간성이라는 주제를 효율적으로 다루고 있음이다. 대체적으로 볼 때 스타인벡이 『달이 지다』에서의 사전 경험으로부터 『벌겋게 타오르다』의 서문에 정해놓은 규칙들을 스스로 어겼음이 그것의 실패에 대한 가장 중요한 이유이다. John Steinbeck, a Novel-Literature-Prize laureate, published three play-novelettes?Of Mice and Men (1937), The Moon Is Down (1942), and Burning Bright (1950). The play-novelette is a play that is easy to read or a short novel that can be performed directly by lifting out the dialogue from a playscript. In this way, Steinbeck intended to give an immediately powerful communication of a theme to both readers and audiences. As a result, Of Mice and Men won the New York Drama Critics Award for the best play of the season in 1937, and The Moon Is Down came in the second of the same award in 1942. However, the third work Burning Bright gave Steinbeck a disastrous failure. This paper aims to illuminate the causes of the failure of Burning Bright with the help of the earlier research and the analysis of its text. Based on the results, I observe the whole stories of The Moon Is Down, which has not been covered by the other critics. As a consequence, in Burning Bright, the arbitrary abstractness in the form and language leads to over-extension, abridgement, and minute description. Also, the utilitarianism of American pragmatism in its thematic part seems to be applied too much to the human right. On the other hand, The Moon Is Down is distinctive of more abundant contents, fast moving stories, clear characterization, dramatic tension, competitive composition, change of characters’ thought and emotion. Besides, the abstained and clear expression gives an efficient treatment for the superiority of democracy (the spirit of the times), and the plain humanity that the author loves. All in all,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the failure of Burning Bright is that Steinbeck himself violated the regulations he had set up in its foreword from the previous experience of The Moon Is Down. 노벨 문학상 수상자 존 스타인벡은 세 편의 플레이-노블레, 즉 『생쥐와 인간』(1937)과 『달이 지다』(1942) 그리고 『벌겋게 타오르다』(1950)를 출간 하였다. 플레이-노블레란 읽기에 쉬운 연극대본이면서 동시에 연극대본에서 담화구조를 강조함으로써 즉시 연기가 가능하게 한 실험적인 중편소설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스타인벡은 독자와 관객 모두에게 주제 전달을 강력하게 해줄 것을 의도하였다. 그 결과 『생쥐와 인간』은 1937년 뉴욕 드라마 비평가 최고 작품상을 받았고, 『달이 지다』는 1942년 상대적으로 짧은 공연기간에도 불구하고 같은 상 후보 2위의 기록을 보였다. 그러나 세 번째 작품인 『벌겋게 타오르다』는 스타인벡에게 재난과 같은 실패를 안겨 주기도 했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벌겋게 타오르다』의 실패의 원인들을 선행연구의 도움과 텍스트에 대한 분석을 통해 밝히고자 한다. 또한 이를 기초로 하여 『달이 지다』의 이야기들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그런데, 이 작업은 아직 다른 비평가에 의해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바이다. 그 결과 『벌겋게 타오르다』는 형식과 언어 면에서의 자의적인 추상화가 과도한 의미의 확장, 축약 그리고 미시적 서술을 이끌었고, 내용면에서는 미국 프래그머티즘에 기초한 공리주의가 인권에 대해 과도하게 적용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반해 『달이 지다』는 풍부한 내용, 빠른 이야기 전개, 분명한 인물설정, 극적 긴장감, 경쟁적 구도, 등장인물들의 사고와 감정의 변화가 특징이다. 게다가 이것들의 절제되고 명료한 표현이 당시 시대정신인 민주주의 우월성과 스타인벡이 사랑하는 소박한 인간성이라는 주제를 효율적으로 다루고 있음이다. 대체적으로 볼 때 스타인벡이 『달이 지다』에서의 사전 경험으로부터 『벌겋게 타오르다』의 서문에 정해놓은 규칙들을 스스로 어겼음이 그것의 실패에 대한 가장 중요한 이유이다. John Steinbeck, a Novel-Literature-Prize laureate, published three play-novelettes?Of Mice and Men (1937), The Moon Is Down (1942), and Burning Bright (1950). The play-novelette is a play that is easy to read or a short novel that can be performed directly by lifting out the dialogue from a playscript. In this way, Steinbeck intended to give an immediately powerful communication of a theme to both readers and audiences. As a result, Of Mice and Men won the New York Drama Critics Award for the best play of the season in 1937, and The Moon Is Down came in the second of the same award in 1942. However, the third work Burning Bright gave Steinbeck a disastrous failure. This paper aims to illuminate the causes of the failure of Burning Bright with the help of the earlier research and the analysis of its text. Based on the results, I observe the whole stories of The Moon Is Down, which has not been covered by the other critics. As a consequence, in Burning Bright, the arbitrary abstractness in the form and language leads to over-extension, abridgement, and minute description. Also, the utilitarianism of American pragmatism in its thematic part seems to be applied too much to the human right. On the other hand, The Moon Is Down is distinctive of more abundant contents, fast moving stories, clear characterization, dramatic tension, competitive composition, change of characters’ thought and emotion. Besides, the abstained and clear expression gives an efficient treatment for the superiority of democracy (the spirit of the times), and the plain humanity that the author loves. All in all,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the failure of Burning Bright is that Steinbeck himself violated the regulations he had set up in its foreword from the previous experience of The Moon Is Dow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