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도로에 대한 투자가 제조업 물류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SP 기법 활용-

        Chung, Il-Young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1999 大韓交通學會誌 Vol.17 No.1

        '90년대 들어 미국을 중심으로 Double Counting 문제와 Keynesian/Neo-classical economics theory 까지 연계되어 교통투자가 경제성장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이론과 영향을 많이 준다는 상충되는 연구결과가 계속 발표되었다. 본 논문은 교통에 대한 투자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계량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범위를 좁혀 도로에 대한 투자가 생산성 즉 제조업체의 물류비에 미치는 영향을 Stated Preference Technique를 이용하여 분석한 것이다. 도로이용 승객의 시간가치를 추정하는 일반적인 Cost/Benefit Analysis와는 달리 화물수송과 관련된 투자효과를 분석하였다. 먼저 도로에 대한 투자가 화물의 수송시간절약과 그에 따른 창고시설, 재고관리등에 미치는 영향을 continuous review system과 periodic review system으로 나누어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Utility Model에 기초하여 시간가치(value of time)와 화물도착의 정확성 (value of reliability)을 도착지별(depot/consumer)과 상품별로 econometrics 기법을 활용 분석한 후 영국의 COBA와 비교 검토하였다. 종합적으로 도로에 대한 투자가 시간절약, 운행비용절감, 사고비용절감 등 직접적인 효과(direct benefit)외에 depot감소, 운행차량감소, 재고비용절약, 유휴자원의 활용 등(secondary benefits)을 통하여 경제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ecently, much literature has surveyed the economic effects of transportation investment,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investment and economic development. Although the conventional views assume that transportation investment stimulates economic growth, the results of recent studies are not conclusive and in some cases reject the conventional views. The contradictory results are linked with double counting Problem and Keynesian/Neo-classical economics theory.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economic effects of road transportation with regard to freight transport using Stated Preference technique. This study examines, in particular, the value of time saving for freight which has been rarely studied in this area. In the first part, the value of time saving, excluding the value for driver and operating cost, is theoretically investigated through the model of continuous review system and periodic review system. At last, the empirical study using the Seated Preference technique shows the value of time saving for freight and the value of reliability, compared with other studies and the value of those in COBA. The result makes us conclude that road investment produces the secondary effects as well as the direct benefit such as time saving for passengers, operating cost saving. and accident cost reduction. The secondary effect includes the contribution to economic development.

      • KCI우수등재

        Effects of a Hand-Free Cellular Phone Use on Driver's Mental Workload and Performance in an Urban Area

        Cha, Doo-Wonn,Tsuyoshi, Katayama,Nobuyuki, Uchida,Park, Peom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2000 대한교통학회지 Vol.18 No.4

        근래 폭발적인 휴대폰 사용자의 증가와 비례한 운전 중 휴대폰 사용에 의한 교통사고 빈도 및 상해정도의 증가는 운전 중 휴대폰 사용을 새로운 주요한 교통사고의 요인으로 떠오르게 하고 있다. 이는 휴대폰 사용에 의한 운전자의 조정 및 감시, 경계 행위의 방해, 인지 및 정신적 부하의 증가에 의한 '부적합한 경계 (improper lookout)'와 '부주의 (inattention)' 상태 발생에서 유발되며, 현재 많은 국가들이 법제정을 통한 운전 중 휴대 폰 사용금지를 실행중이거나 고려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대부분의 국가에서 실질적 규제 대상에서 제외되어 있는 운전 중 핸드프리 휴대폰의 사용이 운전자의 부하 및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을 시각분석 정신적 부하, 부가작업 수행도, 스티어링 엔트로피의 측정을 통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은 일본 도시 중심부에서 실시되었으며, 결과는 부가작업의 형태에 따른 4가지의 실험상황과 시험구간의 직선부와 곡선부 (우회전) 사이의 비교분석 통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실험설계, 적용평가방법, 및 실시과정에서의 문제점을 바탕으로 핸드폰관련 실제 도로시험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Cellular Phone use while driving is one of the critical causes of traffic accident by falling the driver into the improper lookout and inattention situations by disturbing the driving behaviors and by increasing the driver's mental workloads. These days, therefore, governments in many countries are trying to Prohibit the cellular Phone use while driving by the law focused on the hand-held type of cellular phone. This Paper investigated the impacts on the hands-free cellular Phone use while driving to the drivers Performance among normal and two different level of secondary task driving conditions in the urban of Japan. As the results, quantitative differences of drivers eye movement, subjective mental workload, steering wheel angle entropy, and cognitive Performance of secondary tasks were compared between straight and curve (right turn) section for each driving condition.

      • KCI우수등재

        Determining Optimal Aggregation Interval Size for Travel Time Estimation and Forecasting with Statistical Models

        Park, Dong-Joo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2000 대한교통학회지 Vol.18 No.3

        실시간 통행시간관련자료의 집계시간간격은 보다 신뢰성있는 통행시간정보제공과 교통정보센터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기존 VDS 및 TCS교통정보 데이터는 통계학적·공학적 차원에서의 합리적인 연구나 검증없이 경험적 간격으로 집계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링크 및 교통축(Corridor) 통행시간 산정 및 예측시의 최적 집계 시간간격을 결정할 수 있는 통계학적 모형을 개발하고 실제 도로망에서 수집되는 통행시간자료에 적용하는 것이다 첫째로, 본 연구는 링크 및 교통축 통행시간 산정 및 예측으로 인한 오차를 계량화하는 통계학적 모형을 제시하고, 제시된 모형의 의미를 교통류이론 측면과 통행시간정보 이용자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둘째로, 미국 Texas, Houston의 도시고속도로에서 AVI시스템을 통해 수집된 통행시간자료를 제시된 모형에 적용하였다. 적용결과 링크통행시간 산정을 위한 최적 집계시간간격보다 링크통행시간예측을 위한 최적 집계시간간격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통축 통행시간 산정 및 예측을 위한 최적 집계시간간격은 교통축을 구성하는 링크간의 상관관계 (Correlation)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We propose a general solution methodology for identifying the optimal aggregation interval sizes as a function of the traffic dynamics and frequency of observations for four cases : i) link travel time estimation, ii) corridor/route travel time estimation, iii) link travel time forecasting. and iv) corridor/route travel time forecasting. We first develop statistical models which define Mean Square Error (MSE) for four different cases and interpret the models from a traffic flow perspective. The emphasis is on i) the tradeoff between the Precision and bias, 2) the difference between estimation and forecasting, and 3) the implic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links on the corridor/route travel time estimation and forecasting, We then demonstrate the Proposed models to the real-world travel time data from Houston, Texas which were collected as Part of the Automatic Vehicle Identification (AVI) system of the Houston Transtar system. The best aggregation interval sizes for the link travel time estimation and forecasting were different and the function of the traffic dynamics. For the best aggregation interval sizes for the corridor/route travel time estimation and forecasting, the covariance between links had an important effect.

      • KCI우수등재

        New Method for Vehicle Detection Using Hough Transform

        Kim, Dae-Hyon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1999 대한교통학회지 Vol.17 No.1

        차량대수, 속도, 대기행렬길이, 정체 및 유고 검지 등의 실시간 교통 정보를 얻기 위하여 현재 영상처리기술(Image Processing technique)이 기존의 루프검지기(Loop Detector)가 갖는 여러 단점들을 보완하는 효과적인 대체검지기로 널리 인식되고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는 대부분의 영상검지기는 아주 작은 영역에서의 흑백 강도값(gray level)를 사용하며, 따라서 검지기의 정확도는 취급하는 영상의 화질에 크게 영향을 밭을 뿐만 아니라 3차원 실제 공간이 2차원 영상평면으로 표출되므로 생기는 투시사영(perspective projection)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없다. 이런 문제 때문에 현재 영상검지기는 가능한 한 높게 그리고 도로면에 수직으로 카메라를 설치하여 가능한 한 평면화 된 2차원의 영상을 얻어 처리한다. 그러나 이는 한대의 검지기가 포함할 수 있는 영역이 매우 작을 뿐만 아니라, 가능한 한 카메라를 높게 설치해야 하므로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본 연구에서는 카메라의 설치 위치 또는 각도에 따라 인식율의 정확도에 큰 차이를 보이는 기존의 알고리즘에서 탈피하여, 낮은 위치에 설치할 때 나타나는 투시사영 문제 및 물체 영상의 일부가 가려져 다음 물체의 인식이 곤란한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은 차량의 검지뿐만 아니라 차량의 위치, 3차원 공간에서의 차량의 관계 등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사용된 알고리즘은 3차원 공간에서의 물체 인식에 우수한 확장된 Hough Transform에 기초하고 있다. Image Processing Technique has been used as an efficient method to collect traffic information on the road such as vehicle counts, speed, queues, congestion and incidents. Most of the current methods which have been used to detect vehicles by the image processing are based on point processing, dealing with the local gray level of each pixel in the small window. However, these methods have some drawbacks. Firstly, detection is restricted by image quality. Secondly, they can not deal with occlusion and perspective projection problems, In this research, a new method which possibly deals with occlusion and perspective problems will be proposed. It extracts spatial information such as the position, the relationship of vehicles in 3-dimensional space, as well as vehicle detection in the image. The main algorithm used in this research is based on an extension of the Hough Transform. The Hough Transform which is proposed to estimates parameters of vertices and directed edges analytically on the Hough Space, is a valuable method for the 3-dimensional analysis of static scenes, motion detection and the estimation of viewing parameters.

      • KCI우수등재

        A Numerical Algorithm for Evaluating Progression Efficiency along Coordinated Arterials Using Shock Wave Theory

        Kim, Young-Chan,Baek, Hyon-Su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1999 대한교통학회지 Vol.17 No.2

        신호화 간선도로에서 연동신호계획의 효율성이 간선도로 교통운영의 핵심사안이다. 본 논문에서는 연동화 신호시간계획의 우수성을 평가하는 컴퓨터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링크내에서 이동하는 차량군의 동적 특성과 옾셑값의 변화에 민감한 지체도의 산정이 수학모형의 중요부분이다. 개발되는 알고리즘의 이론적인 배경은 Michalopoulos의 해석적 모형에 기반을 두고 있는데, 이 모형을 다양한 교통조건이나 신호조건에 적용되도록 하는 실용화 과정이 본 논문에 기술되어 있다. 제시된 알고리즘에 대하여 옾셑값의 변화에 따른 지체도의 민감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를 통하여 본 알고리즘은 교통수요, 링크길이, 회전교통량비율과 같은 교통조건의 변화에 따라 적절한 민감도와 추정력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A computer algorithm is presented that evaluate the performance of coordinated signal timing plans for the signalized arterials. The procedures calculating delay and stops are based on Michalopoulos's analytical model derived from shock wave theory. The delay-offset relationship predicted from the algorithm produced consistent results with the delays venerated by TRANSYT-7F. From performance test, the delays estimated using the proposed a1gorithm are shown to be sensitive to the quality of progression as well as to traffic demand, link length, and turning flow ratio from upstream signal.

      • KCI우수등재

        Using Traffic Prediction Models for Providing Predictive Traveler Information : Reviews & Prospects

        Ran, Bin,Choi, Kee-Choo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1999 大韓交通學會誌 Vol.17 No.1

        본 논문은 현재 및 가까운 미래에 있을 교통정보의 제공에 관한 일반적인 가능성으로서 교통현상의 기술이 가능한 교통예측모형의 사용에 대한 총체적인 정리를 함과 함께 바람직한 모형의 제시가 주요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우선 동적교통배정모형, 통계모형, 모의실험모형, 및 휴리스틱모형이 어떵게 교통정보제공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지를 각 모형별 제반 특성적 측면에서 검토를 한다. 다음에 이러한 모형의 각종 요구사항이 분석되며, 더 나아가 단기간 교통 상황을 예측하기 위한 각 모형의 능력 및 장단점이 서술적인 관점에서 기술되어진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각각의 장점을 수용할 수 있을 만한 포괄적인 예측모형의 전형이 그러한 모형을 구축함에 있어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의 요구조건과 함께 제시된다. This paper first reviews current practices of traveler information providing and provides some perspectives regarding the possible near term milestones in traveler information providing. Then, reviews of four types of prediction models: 1) dynamic traffic assignment (DTA) model; 2) statistical model; 3) simulation model; and 4) heuristic model are described in the sense that various prediction models are needed to support providing predictive traveler information in the near future. Next, the functional requirements and capabilities of the four types of prediction models are discussed and summarized along with som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se models with reference to short-term travel time prediction. Furthermore, a comprehensive prediction procedure, which combines the four types of prediction models, is presented, together with the data requirements for each type of prediction model.

      • KCI우수등재

        Artificial Intelligence Estimation of Network Flows for Seismic Risk Analysis

        Kim, Geun-Young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1999 大韓交通學會誌 Vol.17 No.3

        지진은 교량과 도로 구조물들에 피해를 입혀서 교통시스템 운행전반과 지역경제에 심각한 피해를 초래하도록 한다. 지진위험도 분석방법은 안전도에 문제가 있는 고속도로 교량들에 대하여 구조물 보강공사를 실시하기 위한 우선순위 결정에 사용되어 진다. 지진위험도 분석방법들은 한 교량의 상대적 중요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일일 평균교통량을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도로붕괴시 교통시스템에 추가로 부과되는 시스템비용의 관점에서 수많은 교통량분석을 실행하는데 비용-효과적인 교통망 분석방법을 개발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통망 분석방법의 핵심은 인공지능분야에서 개발된 연상기억모형의 사용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통망 분석방법을 평가하기 위하여 7개의 교통죤으로 구성된 교통망이 구축되었다. 다양한 교통링크 붕괴 시나리오들이 지진으로 붕괴된 교통망에서의 교통량들을 추정하기 위하여 무작위로 선정되었다. 이러한 교통링크 붕괴 시나리오에 대한 교통량의 변화는 여러 연상기억모형들을 이용하여 예측하였고, 그 예측능력을 평가하였다. 다양한 시나리오로부터의 예측결과는 교통량 예측분야에서 연상기억 모형들의 적용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Earthquakes damage roadway bridges and structures, resulting in significant impacts on transportation system Performance and regional economy. Seismic risk analysis (SRA) procedures establish retrofit priorities for vulnerable highway bridges. SRA procedures use average daily traffic volumes to determine the relative importance of a bridge. This research develops a cost-effective transportation network analysis (TAN) procedure for evaluating numerous traffic flow analyses in terms of the additional system cost due to failure. An important feature of the TNA Procedure is the use of an associative memory (AM) approach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held. A simple seven-zone network is developed and used to evaluate the TNA procedure. A subset of link failure system states is randomly selected to simulate synthetic post-earthquake network flows. The performance of different AM model is evaluated. Results from numerous link-failure scenarios demonstrate the applicability of the AM models to traffic flow esti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