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STEAM 융합교육과 유아음악교육 실행 사례연구

        김선희(Sun-Hee Kim) 한국영유아음악교육학회 2022 영유아음악교육연구 Vol.1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January to the middle of June, 2022 to utilize various applications and media for implementing STEAM convergence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targeting 78 sophomore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who attended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lasses in Gyeonggi-do province. The study method includes survey & reference research, and individual interviews. The applications utilized in STEAM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are body sensor player, drum pad, QR code, garage band, and song maker. The media-utilized PPT music fairy tales are ‘Magic Market,’ ‘Three Little Pigs,’ and ‘Shall We Go Out?.’ The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level of STEAM convergence education through surveys is shown in the following order: the keen interest and understanding about the field, class implementation & execution, and experiences. The results of interviews include interest, excitement, knowledge absorption, understanding various application methods, direct experiences,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All these could be utilized as basic materials for prospect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STEAM convergence education in implementing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STEAM 융합교육 이해를 위한 다양한 앱과 미디어를 활용한 유아음악교육의 실행 사례연구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대상은 경기도의 4년제 유아교육과 2학년 유아음악교육 수강학생 78명으로, 연구기간은 2022년 1월~2022년 6월 중순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설문지의 조사연구, 반구조화 질문지를 통한 개별 면담으로 진행되었다. STEAM 수업, 과제 제출 및 피드백, 발표 및 평가를 통한 유아음악교육 실행 사례에 적용된 앱은 바디센서플레이어, 드럼패드, 리듬패드, 스마트 칼림바, 루프스테이션, QR코드, 개러지밴드, 송 메이커였고, 미디어를 활용한 음악동화로는 마법시장, 아기 돼지 삼형제, 흥부와 놀부, 화가 호로록 풀리는 책, 혹부리 영감, 나갈까?, 해와 달이 된 오누이 PPT 음악동화였다. 실행 사례의 결과는 첫째, 설문을 통한 STEAM 융합교육의 인식 및 만족도는 현장에 대한 관심 및 이해, 수업수행 및 실행, 경험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내용 분석한 면담의 결과는 흥미. 재미・즐거움, 지식 습득, 다양한 적용방법 이해, 직접경험, 협력・소통으로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들의 STEAM 융합교육의 중요성 인식과 이해를 통한 유아음악교육 교과의 실행 가능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세종음악경연대회 피아노 부문 지정곡의 창작 기법을 응용한 전래동요 및 민요 반주법 모색

        차선희(Sunhee Cha),유승지(Seung-Ji Ryu) 한국영유아음악교육학회 2023 영유아음악교육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세종음악경연대회의 피아노 부문 지정곡 중 전통 음계의 구성음을 기초로 반주가 창작된 5곡을 분석한 후, 그 작품들에서 사용된 특징적 반주법을 응용하여 전래동요 및 민요의 분위기를 살릴 수 있는 쉬운 피아노 반주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5곡의 분석 결과 작곡가들은 전통 화성 체계에서 주로 사용되는 3도 음정을 쌓아 올리는 형태의 반주를 지양하고, 4도 및 5도 음정 등을 사용하여 서양음악과 구별된 음색을 만들어 낸 것이 발견되었다. 또한 장단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보여 주는 단순한 리듬, 셈여림, 아티큘레이션, 및 지시어 등을 사용하여 노래 고유의 느낌을 잘 살려낸 것도 관찰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연구자는 유선율 피아노 반주 유형 6가지, 무선율 피아노 반주 유형 2가지를 단계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적 분위기를 살릴 수 있는 피아노 반주법의 원리를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고, 실제 영유아 음악교육 현장에서도 이러한 반주법이 잘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ive piano works in which the accompaniment was created based on the constituent notes of the traditional scale among the designated works of the Sejong Music Competition and to present an easy piano accompaniment method that can revive the atmosphere of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nd folk song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five piano works, it was found that the composers avoided stacking 3rd intervals used in the traditional harmony system and used 4th and 5th intervals to create tone colors distinct from Western music. In addition, it was observed that the unique feeling of the Korean traditional song was well preserved by using simple rhythms, dynamics, articulations, and descriptive terms that can showca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hythm (Jang-dan).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researcher suggests six types of piano accompaniments that can be used for left-hand accompaniment and two types of piano accompaniments that can be used for both-handed accompaniment with varying levels of difficulty.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principle of the piano accompaniment methods that can revive the Korean atmosphere will be provided, and that such methods will be well us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 현장전문성을 갖춘 교사교육자의 유아음악교육 수업에서 나타난 예비유아교사들의 경험

        방은영(Eunyoung Bang) 한국영유아음악교육학회 2024 영유아음악교육연구 Vol.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s i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lasses taught by teacher educators with field expertise. Thirty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C University in S City and taking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lasse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earch was conducted over a period of 15 weeks, from August 31, 2023, to December 14, 2023. Data for analysis included unstructured interview notes from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ekly expectations reports on learning topics, and reflection reports. During the examination period and after the end of the semester, the researcher's not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several experiences reported by the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Feeling the beauty of music in an easy and fun way’, ‘Escaping from preconceptions about children’s music activities centered on singing’, ‘Feeling anticipation and pride in the possibility of being practitioners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Satisfaction with learning from a teacher educator with field expertise’, ‘Appreciation for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classes in other subjects’, and 'Expecting similar experiences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e necessity of offering music classes based on field application-oriented theory and practice to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during their training.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장전문성을 갖춘 교사교육자의 유아음악교육 수업에서 나타난 예비유아교사들의 경험을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S시 소재 C대학교의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으로 유아음악교육 수업을 수강하는 예비유아교사 30명이다. 연구 기간은 2023년 8월 31일부터 12월 14일까지 총 15주 동안 이루어졌으며 분석을 위한 자료는 비구조화된 예비유아교사 면담노트, 매주 학습주제에 대한 기대보고서, 성찰보고서(2회/중간고사 기간, 종강 후), 연구자 노트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의 경험은 ‘음악의 아름다움을 쉽고도 재미있게 느끼기’. ‘노래 부르기 위주의 유아 음악활동에 대한 선입견으로부터 벗어나기’, ‘유아음악교육 실행자로서의 가능성에 대한 기대와 자부심 느끼기’, ‘현장전문성을 갖춘 교사교육자로부터의 배움에 대한 만족감’, ‘타 교과목 수업에도 동일한 경험을 기대하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 현장전문성을 갖춘 교사교육자로부터 현장적용 중심의 이론과 실제에 바탕을 둔 음악수업이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제공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가 대학에서의 교과목 담당 교수의 배정에서 유아음악교육 수업의 경우, 특히 현장전문성을 갖춘 교사교육자에게 수업을 배정하여 예비유아교사들에게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질 높은 수업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해 본다.

      • 음악 중심 신체활동에서 나타나는 만 5세 유아의 음악개념화 과정 탐색

        김유선(Yu Sun Kim) 한국영유아음악교육학회 2023 영유아음악교육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음악 중심 신체활동에서 나타나는 만 5세 유아의 음악개념화 과정 탐색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 M병설유치원에 재원하는 만 5세 유아6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한 후 4주간 주 1회 각 30분씩 음악 중심 신체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해 음악 중심 신체활동 모습을 녹화한 후에 전사한 자료와 함께 저널, 유아면담, 교육계획안의 내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는 음악 활동을 통해 음악 개념을 탐색 할 기회와 경험을 제공받음으로써 활동이 진행될수록 음악에 대한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적극적이고 상세하게 표현하였다. 또한 음악적 개념에 대해 자각하고 스스로 인식한 느낌과 생각을 신체활동을 통해 표현하는 과정에서 음악적 개념 발달이 더 잘 이루어짐을 확인했다. This study examines the music conceptualization process for five-year-old children in music-centered movement activity. The participants were five-year-old children at the M Kindergarten in Gyeonggi Province. The teacher carried out the music-centered movement activity for 19 five-year-old children in the classroom. The responses of six children were observed and recorded in the class. All the data such as recorded transcripts, teacher’s journals, children’s interviews, and lesson plans were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 that children expressed their feeling and ideas as they experience and get opportunities to explore the music concepts through music activities. Children can develop feelings and thoughts about music concepts through music centered-movement activities.

      • 현장탐방) 한국영유아음악교육학회 현장 탐방 “클래식 공연과 어린이 공연을 다녀온 후”

        김선희 한국영유아음악교육학회 2024 영유아음악교육연구 Vol.2 No.2

        한국영유아음악교육학회의 목표 인 음악의 본질을 체험하고 현장과의 연계 도모를 위해서 “영유아교사의 음악성 함양”을 위한 2번의 클래식 공연과 1번의 어린이 공연에 참여하여, 함께 리허설 및 공연을 감상하고 간담회의 자리도 마련하게 되었다.

      • 유아교사의 음악적 경험, 음악적 자아개념, 음악교육 역할인식이 음악교수내용지식에 미치는 영향

        권은경(Eun-Kyoung Kwon) 한국영유아음악교육학회 2022 영유아음악교육연구 Vol.1 No.1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음악적 경험(교사 이전 음악교육 경험, 양성 과정 수강 여부, 교사 이후 음악 관련 연수 경험, 교사 이후 개인적 음악 경험)과 음악적 자아개념, 음악교육 역할인식이 유아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PCK)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S시, I시, G도 내 유아 교사 36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유아교사의 음악교수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음악적 경험 및 음악적 자아개념, 음악교육 역할 인식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각 변인들을 음악교수내용지식과 하위 요소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단계별 회기모형이 모두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이는 높은 수준의 음악교수 내용지식을 가지고 있는 유아교사는 많은 음악경험과 높은 수준의 음악적 자아개념, 음악교육 역할인식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유아교사의 음악교수 내용지식의 중요성에 대한 새로운 지원 방향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지며, 유아교사의 음악교수 연구에 영향을 미치는 기초 변인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길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v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usical experiences (teachers' music teaching experiences, whether they have taken training courses, teacher post-music-related training experiences, teacher personal post-music experiences), music self-concepts, and role perception (PCK) in music education content on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is purpose, S, I, and G also collected data from 368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stat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correlation between music experience, musical self-concept, and the role perception of music education was shown as predictors of music professor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ing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high knowledge of music education content have more musical experience, higher musical self-concept, and higher awareness of their role in music education. It is thought to help show a new direction that supports the importance of knowledge of music education content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It is therefore expected to be useful in the study of the fundamental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study of music professors in early childhood faculty.

      • 2023년 추계학술 기조강연(기고원고) 심미감과 메타포적 사고의 만남

        김영옥(Young Ok Kim) 한국영유아음악교육학회 2024 영유아음악교육연구 Vol.2 No.2

        심미감이란 무엇인가? 사물의 아름다움을 살펴 찾고 분별하는 느낌과 생각, 능력은 어떻게 확장될 수 있을까? 그러한 확장의 한 대안으로 메타포에 주목하였다. 우리는 삶의 다양한 현상과 장면을 만나면서 의미 확장과 해석을 통하여 메타포(metaphor)적 사고에 다가간다. 메타포적 사고를 통한 지식이나 경험에 대한 의미 해석이나 확장은 심미감, 아름다움을 깊이 들여다보는 지혜와 안목, 위안과 격려, 다양성을 가져다줌으로써 결국 우리 삶을 풍요롭게 한다. 메타포는 나를 지금 여기에서 다른 곳으로 데려가 또 다른 세계를 재구성하여 타인과 만나게 하고 깨어있게 함으로써 탄력성을 갖게 하고 지각, 교감, 몰입하는 힘을 만들어 준다. 상징은 비유나 은유의 씨앗이 되어 내가 가진 지식을 통찰하게 하고 결국 확장된 메시지를 깨닫게 하는 메타포의 길로 이끈다. 메타포적 사고에 접근하는 매개(mediation)나 단서의 역할을 지식, 언어, 표현, 기록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긍정적 해석과 탐구에 대하여 논하였다. What is aesthetic sense? How can the feeling, thoughts, and ability to examine and discern the beauty of an object expand? The paper focused on the metaphor as an alternative to such an expansion. As we meet various phenomena and scenes in life, we approach metaphorical thinking through expansion and interpretation of meaning. Interpretation or expansion of meaning of knowledge or experiences through metaphorical thinking ultimately enriches our lives by providing a sense of aesthetics, wisdom and insight to look deeply into beauty, comfort, encouragement, and diversity. The Metaphor takes me from here and now to another place, reconstructs another world, allows me to meet others, keeps me awake, gives me resilience, and creates the power of perception, sympathy, and immersion. Symbols become the seeds of analogies or metaphors, which allow me to gain insight into my knowledge and ultimately lead me to the path of metaphors that help me realize the expanded message. As a mediation or clue role of metaphorical thinking, the paper examined by dividing it into knowledge, language, expression, and records, and discussed positive interpretation and inquiry.

      • 유아교사의 문화예술교육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심민서(Min-Seo Sim) 한국영유아음악교육학회 2024 영유아음악교육연구 Vol.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문화예술교육 경험이 유아교사의 삶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밝히고 이러한 경험들이 유아교육에 함의하고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유아교사의 문화예술교육 경험의 의미는 어떠한가? 이며, 연구방법으로는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경험을 이해하는 내러티브 방법을 선정하여 세 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5개월 동안 면담으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문화예술교육을 경험한 유아교사는 기존에 이루어지던 전형적인 교사교육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경험속에서 자신의 삶을 이끌었고, 유아교사로서의 주체적인 삶을 살아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실제 유아교육현장에서 문화예술교육 대상이 유아뿐 아니라 교사가 포함되어야 함을 의미하며 기관 내에서 공동체 단위로 이루어지는 문화예술교육 경험이 유아교사의 문화예술로 재생산되어 표상되는 과정 중심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을 시사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cover the significanc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s in culture arts education by exploring their past narratives in order to draw out any implication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research question was as follows: What is the significanc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culture arts education experience? The research employed a narrative inquiry, with three teachers at a child care institute selected as participant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the subject of education, s/he awakened to an altruistic life, fostering a deeper understanding and empathy toward others, as well as self-awareness. At the same time, s/he forged a new identity as an early childhood teacher by integrating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to the learning environment for young children.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participating teachers were leading lives characterized by freedom and creativity, seamlessly navigating between their roles as ordinary people and educators, through their experiences with culture and art. This suggests that cultural arts education should be integrated not only into early childhood curricula for children but also into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in this field. Finally, there is a need to discuss the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process of culture arts education in real early childhood educational settings within segregated community units.

      • 유아교육과 피아노 실기교과 운영사례 및 효과적인 교수전략 방안

        임혜정(Hye Jeong Lim) 한국영유아음악교육학회 2022 영유아음악교육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 양성대학의 예비교사들을 위한 피아노 실기교과 운영사례 및 효과적인 교수전략 방안에 관한 연구로, 본 연구자의 피아노 실기교과 운영사례 및 교수전략을 제시함으로써 유아교육과 피아노 실기관련교과 교수자의 효과적인 교수전략 모색에 기여하고자함이 그 목적이다. 본 연구자의 운영사례에서 나타난 주된 문제 또는 개선의 필요는 교육환경, 개인별 수준 고려, 학생의 특성 고려, 효과적인 연습을 위한 지원이었다. 이를 해결하는 효과적인 전략으로는 학생의 연습을 위한 충분한 환경의 지원, 개인별 수준에 맞는 수준별 지도의 방법 적용, 학생의 능력과 특성을 고려한 개인별 밀착지도, 학생들의 효과적인 연습을 지원하기 위한 지도 영상 제공 등이다. This is a study on the operation of practical piano course and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for pre-servic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course. Its purpose is to contribute to the search for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for practical piano course by presenting cases of operation of practical piano courses and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of the researcher. The main problem as well as the need for improvement in the researcher's case study was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dividual level consideration, student characteristics, and support for students' effective practice. Effective strategies to solve this problem include providing sufficient environment support for students' practice, application of instructional methods for each level based on each student’s level, close individual instruction in consideration of students' abilities and characteristics, and providing instructional videos to support students' effective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