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시청각 자료를 활용한 한국어 듣기 교재 개발방안연구

        김선자 ( Jin-shanzi ) 한국어교육연구소 2018 한국어교육연구 Vol.13 No.2

        본고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의 극대화를 위하여 한국어 듣기 교재가 앞으로 추구해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교재는 교사, 학습자와 함께 교육을 구성하는 3대 요소 중의 하나로 교육 목표, 교육 내용, 교육 방법과 교육 평가 등이 집약된 매체로서 그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지금까지의 한국어 듣기 교재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다른 한국어 교육 분야의 연구 성과에 비해서 그 수가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근래에 한국어 교재 개발이 점점 활성화 되고 듣기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한국어 듣기 교재 개발도 점차 활발해지고 있는 추세지만 대부분 교재는 아직 통제된 상황의 듣기 활동을 다루었고 의사소통에 초점을 맞춘 실제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자의 요구 조사와 실제 수업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학습자들에게 선호도가 높고 학습자들의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하는 영상 매체의 장점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듣기 능력 향상을 돕기 위한 듣기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서론에서는 연구 목적과 필요성을 살펴보고 한국어 교재 개발 경향과 교재 개발 원리를 검토하기 위해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 구체적인 연구 내용과 방법을 기술 할 것이다. 다음으로 듣기 교재에 활용할 시청각 자료의 특성과 시청각 자료의 교육적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 시청각 자료를 활용한 듣기 교재의 구성 원리 및 개발 방향을 제시할 것이며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시청각 자료를 활용한 듣기 교재의 구성 방안과 구체적인 실례를 제시하려고 한다. 끝으로 결론에서는 본 연구를 요약하고 의의와 한계를 밝히며 보다 발전적인 후속 연구를 위한 과제와 제언을 밝히려고 한다. 한국어 학습이 단순히 한국어를 배우는 것에 그치지 않고 실제적인 사용을 목적으로 할 때 시청각 자료를 활용한 한국어듣기 교재는 실제 한국어의 노출이 많이 드러나는 학습 자료이다. 그러므로 학습자들에게 현재를 살아가는 한국어의 실제를 알 수 있게 하며, 또 실생활에서의 상황에 접했을 때 자연스럽고 적절하게 표현하는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꾀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본 연구는 중국내 대학교 한국어 교육의 실제를 바탕으로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적합한 듣기 교재 개발 방향을 제시한 연구로서 앞으로 한국어 듣기 교재의 개발 연구에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면서 한국어 듣기 교재에 대한 연구가 보다 발전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At present, most of the listening materials in Korean courses are audio data. Because the audio data are largely dependent on auditory, and the varieties of audio data are not so abundent, so they can’t stimulate the interest and motivation of learners. And, in many cases, monotonous activities will be quite different from the communication in real life. Make full use of audio-visual listening teaching materials and take communication as center have many advantages, which can make the learners out of dull classroom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 make them feel the Korean learning a more interesting, more daily, and increase the participation of learners. In addition, because the audio-visual materials can give students visual and auditory stimulation at the same time, so it not only can meet the demand of learners who are familiar only with the visual or auditory, but also through the combination of visual and auditory, let the learner remember the content for a long time. In order to take the full advantage of audio-visual material in Korean listening teaching, this paper will discuss the characteristics and the teaching effects of audio-visual materials, th standard of the selection of the audio-visual data, and the composing principle and scheme of the teaching materials concerning audio-visual materials.

      • KCI등재

        연계전공으로서 다문화 한국어교육 전공의 교육과정 개발 연구

        이관규 ( Lee Kwan Kyu ),정지현 ( Jeong Ji Hyeo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4 한국어문교육 Vol.16 No.-

        본고는 사범대학에 다문화 한국어교육 전공 교육과정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 하에서 이 교육과정이 내용과 그 운영 방안에 대해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교육과정 목표 수립을 위하여 사회, 학습자, 교과 요인을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내용 체계를 세 범주로 구분하였다. 1) 다문화적인식·태도의 발달, 2) 한국어 교수의 지식·기능 습득, 3) 다문화 한국어 교수· 학습의 실제의 세 영역 하에 각 교과목 개발을 진행하였다. 개발된 교과목은 다음과 같다. 다문화적 인식·태도 발달 영역: <다문화 사회 이해>, <다문화 학습자 이해>, <다문화 교육의 이해> 한국어 교수의 지식·기능 습득 영역: <제2언어습득론>, <한국어교육개론>, <언어교수이론>, <한국 문화의 이해>, <한국어학의 이해>, <한국어음운론>, <한국어문법론>, <한국어어휘론>, <한국어화용론>, <한국어 문학교육론>, <매체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학습 한국어 교육>, <다문화 한국어 교육과정론>, <다문화 한국어 평가론>, <다문화 한국어 교재론>, <다문화 한국어 말하기·듣기 교육론>, <다문화 한국어 읽기교육론>, <다문화 한국어 쓰기교육론>, <다문화 한국어 발음 교육론>, <다문화 한국어 문법교육론>, <다문화 한국어 어휘교육론> 다문화 한국어 교수·학습의 실제 영역: <다문화 한국어 교수·학습 실제Ⅰ: 현장실습>, <다문화 한국어 교수· 학습 실제Ⅱ: 반성적 고찰> 마지막으로, 교육과정의 운영에 대해서는 연계전공으로 하며 각 강의는 교과목의 성격에 부합하는 각 영역의 전공자들이 담당하는 것으로 논의하였다. 이 교육과정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학교, 다문화 교육 센터와의 연계가 요구된다. This study aimed to seek for what contents will be organized and how that curriculum will be implemented in ``Multicultural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of the college of education. First, society, student and subject as source are analysed for goal setting of this curriculum. Then, content systems are clarified into three categories for selection of education contents. That is 1)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awareness and attitude, 2) Aquisition of knowledge and skill for korean language teaching 3) teaching practice of multicultural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ubjects are developed in the three categories. Finally,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is commenced as interdisciplinary course and each lectures are taught by the majors from each field that matches the character of the subjects. This curriculum requires cooperative schools and multicultural education centers for effective training.

      • 한국 거주 이민자의 한국어 능력 증진을 위한 지방자치단체 역할에 관한 연구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지미영 ( Ji Miyoung ) 한국어교육연구소 2017 한국어교육연구 Vol.12 No.2

        한국 거주 이민자 한국어교육은 중앙부처 중심으로 추진되어 왔다. 그러나 이제는 이들이 실제 생활하는 지역인 지방자치단체를 바탕으로 지역 특성이 반영된 한국어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때 의사소통능력 향상과 더불어 사회구성으로서 살아가는데 필요한 지식을 연마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거주 이민자의 원활한 정착의 필요조건이라 할 수 있는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지원방안을 강구하고자,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거주 이민자에 대한 한국어교육의 실태를 조사·분석한 후, 지방자치단체의 한국어 능력 증진을 위한 역할 정립에 대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외국인 이주민 대상 관련 부서에서 대상자 별로 산발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한국어교육을 통합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주관부서가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한국어교육 운영 여건 개선으로, 한국어교육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주민자치센터 한국어교육 강좌 개설, 외국인 이주민 한국어교육 참여자에게 교재비 정도의 학습비 징구 가드라인 마련, 학습동아리 및 배달강좌를 활용한 지속적인 한국어 교육 지원, 한국어교육 운영기관 및 한국어 학습자 등에 대한 온라인ㆍ오프라인 정보망 구축으로 정보 공유를 위한 정보의 장 마련을 제안하였다. 셋째, 한국어교육 교수-학습요건 개선을 위해서는 지역 특성을 담은 교재 마련, 지역사회 고유의 언어와 문화적 특성을 바탕으로 설계된 문화체험 프로그램의 지속적 운영 지원. 한국교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재교육 기회 제공을 제안했다, 재교육에 대해 거의 모든 한국어 교사들이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으며 한국어 교수법, 관계 법령에 대한 교육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orean education for Immigrants living in Korea has been driven mainly by the central government. But Korean education should be reflecte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local municipalities where they live in. At this time, we must ensure it is possible to polish the knowledge necessary to make a living as a member of society with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s. Therefore, we want to propose a plan for establishing a local government’s role in the promotion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fter examining the situ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immigrants living in Daejeon to get effective support measures for the improvement of Korean Proficiency which is the necessary for smooth settlement of immigrants in Korea First of all, it must be provided with a main department that can be integrated to suppor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is sporadically operated by the subject from the relevant departments of foreign immigrants subject. Second, we proposed the establishment of Korean education course of resident autonomy center for accessibility improvement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vided a guard line of tuition which covers teaching materials costs only, continuing education support for study groups and the construction of online off-line information network for Korean education centers and students for the improvement of Korean education operating environment, Third, we proposed to make educational material that incorpor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continuous support for operation of the cultural experience programs that has been designed a language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community and provide re-education for the competence strengthening of Korean teacher to improve Korean education environment. Almost all Korean teachers are feeling the need for re-education and want to have courses of teaching method and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 교실 운영을 위한 차세대 한국어 교원의 지식 능력과 활용 능력의 모색

        조형일 ( Zo Hyoung Il ) 한국어교육연구소 2015 한국어교육연구 Vol.11 No.2

        이 연구에서는 교실 현장에서 적용 가능하다고 판단 제안된 기존 이론의 논점들이 과연 교실 현장에서 교사가 갖추어야 할 운영 능력의 측면에서 필요한 것인지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한국어 교원이 갖추어야 할 교실 운영 능력을 이해와 수행 능력의 측면으로 한정하여 몇 가지 기준으로 나누어 제시해 보고자 했다. 국어기본법 시행령이 시작된 2005년으로부터 10년이 지난 현시점을 한국어교육의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해야 하는 시기로 규정하고 교사의 능력 제고를 필터로 삼아서 새로운 교사상을 제안하는 동시에 바람직한 한국어 교사, 차세대 한국어 교사에게 필요한 능력을 다음 다섯 가지로 제안해 보았다. 하나. 교사는 무엇보다 의사소통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한국어교육의 수행 방식과 그 내용을 연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둘. 학습자의 다양한 요구를 즉각적으로 분석하고 교실 수업에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셋. 다양한 학습 자료를 운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넷. 면대면 교수학습과 온라인 교수학습의 환경을 구분하여 이들의 특성을 이해하고 교수학습할 수 있는 종합적 교육 능력을 길러야 한다. 다섯. 언어 교사인 동시에 한국어 교육을 이끌어나가는 동료의식을 고취하는 것은 물론 도덕적 책무와 의무감을 이해하고 수행하는 교육자로서의 사명 의식을 고취해야 한다. 이러한 능력하에 교사는 교육내용과 방식에 대한 이해 능력과 이의 수행 능력을 영역별로 갖추어야 한다. 한국어 교사는 알고 있는 지식을 재편하여 수행 가능한 단위로 실현화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On this thesis, I suggested that the existing theories points which are already judged can apply to classroom, are in need of operation abilities of teacher. Endorse this view, I determined at this point of time to groping a new way of Korean education and suggested new aspect of teacher. Simultaneously I strongly proposed that below 5 abilities are needed to next generation of Korean teacher. One. Teacher can closely understand the way and the contents of Korean education contact which is accomplished communication centered. Two. Learner’s diversity needs can be instantly analysed and reflected to classroom. T hree. Teacher is prepared for the using ability with variety learning materials. Four. Teacher is prepared for totally teaching ability to understand and teaching the environment of online education and face to face education. Five. Teacher is inspired a sense of mission and responsibility for correct education.

      • 중국 한국어학과 교육과정 개선 방향과 실천적 대안으로서의 내용 중심 수업 활용 방안 연구

        최정순 ( Choe-jeong Soon ) 한국어교육연구소 2018 한국어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중국 한국어학과의 교육과정 개선의 한 방편으로서 교육방법론적 제안을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중국의 한국어과 전공생들은 중국 현지에서 한국어를 배우기 때문에 한국어에 노출되는 시간과 기회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고, 교육과정 특성상 3, 4학년이 되면 내용학 교과목을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한다. 중국 한국어과의 이러한 특수성에 주목한 본 연구는 내용학 교과목을 한국어 교육으로 포괄할 필요성을 주장하고, 한국어학 전공생들이 한국 관련 전문 배경지식을 쌓으면서 동시에 한국어에 노출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는 방안으로 언어 교수 방법론 중 하나인 ‘내용 중심 수업(CBI, Content-based Instruction)’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내용 중심 수업의 개념과 주요 원리를 살펴보았다. 특정한 과목이나 주제를 중심으로 수업하면서 그 과정에서 목표 언어의 학습을 도모하는 내용 중심 수업 방식은 내용과 언어의 통합 정도에 따라 크게 네 가지 모형으로 분류된다. 몰입 수업 모형, 내용 보호 수업 모형, 언어 부가적 수업 모형, 주제 중심 수업 모형이 그것인데, 3장에서는 이들 모형 각각의 특징과 중국의 한국어과가 처한 상황을 고려하여 내용 중심 수업을 중국 한국어과 교육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학년별, 교과목별로 모색하였다. 1, 2학년 때는 한국어 수업 시간에 주제 중심 모형을 적용하고, 3, 4학년 때는 내용학 수업 시간에 내용 보호 수업 모형과 언어 부가적 수업 모형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내용학 교과목 중 한국 관련 전반적인 배경 지식을 쌓는 과목에는 내용 보호 수업 모형을, 그리고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에 따라 보다 전문적 지식을 가르치는 과목에는 언어 부가적 수업 모형을 도입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고는 내용 중심 수업의 실행을 위한 구체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 한계가 있으나, 그간 한국어 교육에서 관심을 두지 않았던 중국 한국어학과의 내용학 교과목에 초점을 맞추고, 내용 중심 수업이라는 언어 교육의 방법론으로 접근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suggestion regarding teaching methodology as a way of curricular improvement in the department of Korean in China.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in China cannot but have limited time and chances to be exposed to Korean Language because they learn Korean in China and are required to take the subjects of contents when they are juniors and seniors, as needed by the curriculum. Paying attention to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in China, this study aimed to indicate the need to include the subjects of content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uggest Content-Based Instruction (CBI), which is a type of language teaching methodology as a way of providing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with more chances to accumulate background knowledge regarding Korea as well as to be exposed to Korean. To do this, Chapter 2 reviewed the concept and major principles of CBI. The method of CBI to help learn a target language while giving instruction based on a specific subject or topic can largely be presented in four models: Immersion Model, Sheltered Instruction Model, Adjunct Model, and Theme-Based Model. Chapter 3 tried to find out how to apply CBI to the curriculum for each year and subject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in China,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odel and the situation of the department in China. It would be possible to apply the Theme-Based Model during Korean classes for freshmen and sophomores and the Sheltered-Instruction Model and Adjunct Models during contents classes for juniors and seniors. Of the subjects of contents, it would be desirable to introduce the Sheltered-Instruction Model for the subjects to accumulate general background knowledge about Korea and the Adjunct Model for the subjects to get expertise based on students’ interest and concerns. Although this study failed to present a specific way of implementing CBI, it is significant in that the focus has been placed on the subjects of contents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in China, which had not been the foc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n that the approach was made to the methodology of language education: CBI.

      • 중국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활성화 -강소성 지역을 중심으로-

        김선자 ( Jin Shanzii ) 한국어교육연구소 2017 한국어교육연구 Vol.12 No.1

        중국에서의 한국어교육은 1992년 중·한 수교 후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왔다. 중국 동부 연해 지역에 자리 잡고 있는 강소성의 한국어교육은 조금 늦은 2000년 후부터 본격적인 시작과 함께 급속한 성장을 가져오면서 전국적으로 뚜렷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본고는 먼저 중국 강소성의 한국어교육 현황을 중점적으로 분석하고, 다음으로 그 안에서 존재하는 문제점들을 집중 조명하면서 그에 따른 해결 방안을 제시하려고 시도하였다. 이에 맞춤형 교육목표와 교과과정, 현지 실정에 맞는 교재의 개발, 교사 양성과 현직 교사의 재교육 등을 중심으로 논의를 했다. 본 연구가 중국 한국어교육의 현황을 요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고 중국 한국어교육의 연구와 발전에 미세하나마 기여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a has made remarkable progress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in 1992.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Jiangsu province, which is located in the eastern coastal area of China, has started to show a clear national standout since 2000, when it started to grow rapidly with the full-scale start. This paper first focuses on the current stat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Jiangsu and then focuses on the problems that exis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attempts to suggest solutions to those problems, in addition to developing customized educational goals and curriculum, teacher education and retraining of current teachers. I hope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situ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a and contribute to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a.

      • 비원어민 한국어교원의 교수 불안감 연구

        윤지원 ( Yoon Jiwon ),최정순 ( Choe Jeongsoon ) 한국어교육연구소 2015 한국어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국외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비원어민 한국어교원의 한국어 교수 시 갖게 되는 어려움의 원인 중 하나인 불안감에 대한 연구이다. 29개국 131명의 비원어민 한국어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 비원어민 한국어교원의 한국어교수 불안감은 2.62점이었다. 교사의 불안은 교수에 방해가 되는 주요 요소로서 수업에서의 자신감 결여, 그리고 교수 불안감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불안감 해소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문항 분석을 통해 얻은 사실들을 바탕으로 주요 원인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실 수업 상황에서 어휘나 문법 영역에 대해 느끼는 불안은 철저한 사전 수업 준비로 완화시킬 수 있다. 둘째, 비원어민 한국어교원의 꾸준한 자기 개발 노력이다. 셋째, 위의 개인적 노력을 넘어선 한국어교육 전공자 집단이나 세종학당재단이나 국립국어원 등 한국 정부 기관의 지속적이고 효율적인 지원도 병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비원어민 한국어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한국어 교수 불안감을 확인하고, 분석하였으나 그들의 국적, 연령, 성별, 한국어교육 경력 등의 변인에 따른 상관관계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과 설문에 참여한 비원어민 한국어교원의 실제 한국어 숙련도(한국어 능력)을 파악하지 않았다는 한계를 갖는다. 그러나 본 연구는 비원어민 한국어교원의 한국어 교수 불안을 이해하고,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bout the non-na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anxiety which is one of the difficulties they are facing in the class.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survey on 131 non-native Korean teachers from 29 countries, the anxiety of non-native teachers at the Korean class was 2.62 points. It wasn’t a high result, but it still causes the lack of confidence and teaching anxiety at the class. It is needed to put effort to solve the non-native teacher’s anxiety because it is the main factor which hinders teaching in the class. This study suggests the solutions on the main cause of non-native teacher’s anxiety based on the facts through out the analysis of questionaires. Firstly, anxiety at the area of vocabulary or grammar in the class situation can be diminished by thorough preparation. Secondly, non-native Korean teacher’s constant effort for self-development. Thirdly, It is essential to run parallel with the effort of individual and with the effective and consistent support by Korean government such as King Sejong foundation or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or by the group of people who majored Korean Language Education. Even though this study confirmed there is anxiety of non-native teacher by the survey, it has a limit Because it hasn’t discussed on the correlation of the variables such as nationality, age, gender and work experience in teaching Korean and also Korean proficiency of non-native teachers who responded the survey. However, it significance not only it understands the non-native Korean teacher’s anxiety but also it can be used as a basic resource for finding the solution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non-native Korean teachers in Korean class.

      • KCI등재후보

        몽골의 통·번역 전공 한국어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몽골국립과학기술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엥크체첵 ( Enkhtsetseg Tumurbaatar ),김영란 ( Kim Youngra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7 한국어문교육 Vol.23 No.-

        최근 몽골에서의 한국어교육 목적은 학습자의 요구에 따라 일반적 의사소통이 아닌 통·번역 능력 향상으로 고도화되었다. 이에 따라 몽골국립과학기술대학교는 교육 목표와 교육과정을 개정한바, 과학·기술 분야에서 통·번역이 가능한 인재 양성을 지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의 과정에서 교육 목표에 따른 교육과정 및 그에 따른 교재 선정 측면에서 여러 보완해야 할 문제를 안고 있다. 이에 우리는 현재 몽골과기대의 한국어 교육과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주어진 여건 내에게 보완할 수 있는 지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우선 몽골과기대의 한국어 교육과정은 문법과 구어 교육에 상당히 치중하고 있는바, 학습자가 과학·기술적 문식능력을 향상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향후 과학·기술 분야를 다루는 언어 능력과 문어 능력을 신장하는 교육과 정으로 보완하기 위해 새로운 교과목 설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일부 위계성이 결여된 교과목의 개설 시기를 수정할 것을 제언하였고, 한국어 구어와 문어, 과학·기술 분야의 특화된 언어 능력을 고루 신장할 수 있도록 수업 시수 조정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최근 몽골 학습자용 교과서가 개발된바, 현재 활용되고 있는 일부 교재 변경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Mongolia, reflecting its learners’ needs, now focuses more on expanding learners’ability to interpret and translate in more specialized areas rather than improving their daily-communication ability. Following this new trend, Mongolian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MNUST’ hereinafter) has made changes to its educational goals and curriculum. Therefore the university came to specialize in training students to become interpreters and translators in science and technology. However, in the process of undergoing these changes,the curriculum has not been revised in accordance with the new educational goals. In this paper, we aim to suggest an improved plan for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of MNUST by critically reviewing the current one. Currently,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MNUST heavily focuses on grammar and spoken language. Therefore learners are not able to improve their scientific and technical literacy skills. Based on the results of critical review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following are suggested: First, it is proposed that new subjects be added to improve skills related to written language, and science and technology languages. Second, in addition to including contents of new subjects, we suggest considering the hierarchy among the subjects: we suggest changing the order in which each existing subject is introduced. Third, we propose readjusting the number of hours allotted for each area for the acquisition of Korean language so that specialized language abilities can be improved in a balanced way. Lastly, we suggest some textbooks should be changed, as newly developed textbooks specifically for Mongolian learners have been made available.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 문장부호 교육의 필요성과 교육 방향에 대한 연구 - 외국 문장부호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유상미 ( Yu Sangmi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4 한국어문교육 Vol.46 No.-

        이 연구는 한국어교육에서 문장부호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고, 효율적인 문장부호 교육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장의 구조를 드러내고 글쓴이의 의도를 전달하는 문장부호는 한국어의 문자언어 생활에서 매우 중요함에도 한국어교육에서는 공식적인 교육내용으로 다루지 않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과 외국의 문장부호 규정을 비교 검토하면서 한국어교육에서 왜 문장부호 교육이 필요한지, 한국어교육에서 문장 부호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 연구는 그동안 한국어교육학계에서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던 문장부호 교육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논의를 전개했다는 점에서 나름의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ecessity for teaching punctu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o suggest an efficient direction for teaching punctuation. Punctuation, which reveal the structure of a sentence and convey the writer's intention, are very important in written Korean. However, it is not covered as educational conten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and reviewed the punctuation rules in Korean and other languages and discussed why it is necessary to teach punctu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how it should be taugh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in that it has developed a discussion on teaching punctuation, to which not much attention has been paid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한국어 교육의 질적 개선 방안 고찰 - 교육서비스 품질이 학습전이, 학습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고경복 ( Ko Kyungbok ),김경열 ( Kim Gyeongyeol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2 한국어문교육 Vol.41 No.-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의 질적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어 교육서비스 품질, 학습전이, 학습효능감에 대한 개념 정의와 연구 도구를 마련하고, 통계적 분석을 통해 한국어 교육서비스 품질이 학습자의 학습전이와 학습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첫째, 한국어 교육서비스 품질 요인 중 교사 신뢰도와 교수품질이 학습자들의 학습전이를 끌어올리는 요인으로 작용했으며, 이들 중 교수품질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어 교육에서의 교육서비스 품질은 학습자의 학습효능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들 중 교사의 신뢰도가 가장 강한 영향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교육의 질적 개선을 위해서는 다양한 교육 도구를 사용해야 하고, 학습자의 요구에 기반한 도구 선택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어 교사에 대한 지속적인 재교육, 학습자의 문화권에 대한 지속적인 학습을 통해 학습자들에게 교사로서의 신뢰도를 보일 수 있어야 학습자의 학습전이와 학습효능감을 높여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pare a plan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this end, we prepared conceptual definitions and research tools for the quality of Korean education service, learning transfer, and learning efficacy. Furthermore, through a statistical analysis, the study attempted to empirically investigate how the qual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ervice affects learners' learning transfer and learning efficacy and found the followings. First, among the quality factors of Korean education service, the factors that helped raise learners' learning transfer were teacher reliability and teaching quality, and the influence of teaching quality was found to be relatively strong among them. Second, educational service quality in Korean educ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learners' learning efficacy, and among them, teachers’ trust was found to have the strongest influenc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various educational tools should be used, and they should be selected based on learners’ needs. It was The learning transfer and learning efficacy of learners could increase only when teachers can show their trust as a teachers to learners by re-educating themselves and learning about learners' culture continuous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