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어에서의 2인칭 대명사 '자기'의 사용과 문법 교육에서의 적용

        정지현(Ji Hyeon Jeong) 한국어학회 2015 한국어학 Vol.6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educational content for second-personal pronoun ‘jagi’. A second-personal pronoun, ‘jaki’ has not been included in school textbooks as a educational content. But most people know the usage of ‘jagi’ as a second-personal pronoun. For this reason it is not enough to many students. it analyses discourse type that ‘jagi’ was used in spoken language corpus. As a result, three types of discourse type were identified: ‘context1(interactional context-intimate context-collaborative tasks/collaborative ideas): to husband or lover’, ‘context 2(interactional context-professional context-collaborative tasks/collaborative ideas):to co-worker or junior’, ‘context3(transactional context-provision of information): to customer’. In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 directions of organ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First, educational contents about second-personal pronoun ‘jagi’ will be included in curriculum and textbook. Second, the result of analysis of this research can help make educational contents of second-personal pronoun ‘jagi’ based on meaning and function. Thir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uggests organ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about basic meaning and strategic use.

      • KCI등재

        국어 의식과 "국어 인식"의 교육적 개념화를 위한 방향 탐색

        정지현 ( Ji Hyeon Jeong ) 한국문법교육학회 2013 문법 교육 Vol.19 No.-

        The study aims to explore a direction for the educational conceptualization for the ``consciousness of Korean language`` and the ``awareness of Korean language.`` In summarizing the contents of the paper, regarding the issue of the ``consciousness or awareness of Korean language`` and the ``awareness or cognition of Korean language``, the direction of its conceptualization may be established largely as answers to two questions. Is the ``consciousness or awareness of Korean language`` consciousness or awareness? Is the ``awareness or cognition of Korean language`` awareness or cognition? This paper determines that the answer is consciousness to the former question and awareness to the latter question. In order to concretize the concept of consciousness, the paper proposed the establishment of a development stage by classifying the patterns of consciousness; and with a view to concretizing the concept of awareness, the paper set up the ``awareness of Korean language`` to be the awareness activity of Korean language and proposed the composition of that activity.

      • KCI등재

        다문화 리터러시 교육 참여 교사의 무형식학습 경험에 나타난 교수역량

        정지현(Ji-Hyeon Jeong),김영순(Young-Soon Kim),장연연(Yeon-Yeon Jang)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5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3 No.3

        본 연구의 목표는 다문화 리터러시 교육에 참여한 교사들의 무형식학습 실행 경험에 나타난 교수역량의 의미를 분석하고, 다문화 리터러시 교육이 학습자 대상의 교육으로서 뿐만 아니라 교수역량을 함양하는 과정으로서 기능하기 위한 교육적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다문화 리터러시 교육에 참여한 교사들의 교수역량은 이론적 교수역량의 차원에서 ‘학습자와 함께 하는 지식 구성’, 성찰적 교수역량의 차원에서 ‘공동체 선을 지향하는 반성적 태도’, 실천적 교수역량의 차원에서 ‘세계시민을 육성하는 수행적 기능’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교 밖 다문화현장에서 무형식학습을 실행하는 교사들의 교수역량이 지식 구성, 반성적 태도, 수행적 기능을 포괄하는 앎과 성찰과 행함의 프락시스로 밝혀짐에 따라, 기능주의와 신자유주의에 경도되어 있는 형식학습의 틀을 넘어서서 지역사회와 연계된 다문화 리터러시 교육이 교수역량을 함양하는 과정으로서 기능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ignificance of teaching competence observed in the case of informal learning experience of teachers participating in multicultural literacy education. Furthermore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educational direction for the functioning of multicultural literacy education as not only a learner-oriented discipline, but also as a process of developing teaching competence.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In the level of theoretical teaching competency, it is described as ‘constructing knowledge with learners’, In the level of introspective teaching competency, it is ‘reflective attitude to pursue community goodness’, and In the level of practical teaching competency, it is a ‘performative function to cultivate global citizens’. This study showed the process how the teachers would improve the teaching competency.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multicultural literacy education has the relation with local communities beyond the formal learning that is only obsessed with functionalism and neoliberalism.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생산직 이주근로자 고용 한국 회사 내 한국인 근로자의 다문화 감수성에 관한 연구

        정지현 ( Ji Hyeon Jeong ),김영순 ( Young Soon Ki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2 교육문화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한국 회사에서 이주근로자와 가장 가까운 곳에서 함께 일하면서 일상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한국인 근로자의 경험을 통해 다문화 감수성을 알아보고, 다문화 시민의 자질로서의 다문화 감수성 함양을 위한 교육적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지역의 한국회사에 있는 한국인 근로자 6명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여, 이들의 전반적인 경험과 인식에 대한 주관적인 의미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인 근로자의 다문화 감수성을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측면에서 볼 때, 다문화 감수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문화교육이 부재한 한국 회사의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한국인 근로자가 다문화 시민의 자질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이주근로자와 접촉한 기간이 짧은 한국인 근로자에 대해서 다문화 감수성습득을 위한 교육이 시급하고, 이주근로자와 접촉한 기간이 긴 한국인 근로자에 대해서도 다문화 감수성 발달을 도울 수 있는 교육을 통해 이를 더 확장시켜 나가야 한다. 본 연구는 미래 한국사회가 사회적 비용을 줄이고 다문화사회의 성공적인 안착에 기여할 것이다. 아울러 우리 사회 다수구성원에 대한 다문화교육의 하나로, 한국 회사에 대한 다문화 감수성 교육의 기초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research suggests implications for cultivating multicultural sensitivity as multicultural citizenship for Korean workers working with migrant workers in Korean companies. We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of six Korean workers to analyze their experiences in terms of their relationships with migrant workers. As a result,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the Korean workers appeared to be lacking, when viewed in terms of cognitive, affective, behavioral aspects. It can be seen to reflect reality of the abse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Korean companie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some bases for raising up multicultural sensitivity in Korean companies, which must be conducted as one way of muticultural education towards the majority of the members of the Korean society in order to reduce the social costs of a future Korea and to make it a successful multicultural society.

      • KCI등재

        다중지능이론을 활용한 초등영어 학습 부진아의 초기 읽기 지도 효과 연구

        정지현(Jeong Ji Hyeon),김혜련(Kim Hye Ryun)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2017 초등영어교육 Vol.23 No.2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early English reading programs utilizing multiple intelligence (MI) theory on underachiev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reading proficiency. For this purpose, twelve 5th grade English underachievers were selected and taught basic phonics, sight words, major words and sentences for 13 week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ere composed based on similar strong multiple intelligence tendency and reading abilities, but MI-based activities were given only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ultiple intelligence tenden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underachievement in English was found to be biased to 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interpersonal intelligence, visual/spatial intelligence and musical/ rhythmic intelligence.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outperformed the control group regarding reading abilities. Third, in the affective domains,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s showed increased interest and decreased anxiety in learning English.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provided.

      • KCI등재

        연계전공으로서 다문화 한국어교육 전공의 교육과정 개발 연구

        이관규 ( Lee Kwan Kyu ),정지현 ( Jeong Ji Hyeo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4 한국어문교육 Vol.16 No.-

        본고는 사범대학에 다문화 한국어교육 전공 교육과정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 하에서 이 교육과정이 내용과 그 운영 방안에 대해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교육과정 목표 수립을 위하여 사회, 학습자, 교과 요인을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내용 체계를 세 범주로 구분하였다. 1) 다문화적인식·태도의 발달, 2) 한국어 교수의 지식·기능 습득, 3) 다문화 한국어 교수· 학습의 실제의 세 영역 하에 각 교과목 개발을 진행하였다. 개발된 교과목은 다음과 같다. 다문화적 인식·태도 발달 영역: <다문화 사회 이해>, <다문화 학습자 이해>, <다문화 교육의 이해> 한국어 교수의 지식·기능 습득 영역: <제2언어습득론>, <한국어교육개론>, <언어교수이론>, <한국 문화의 이해>, <한국어학의 이해>, <한국어음운론>, <한국어문법론>, <한국어어휘론>, <한국어화용론>, <한국어 문학교육론>, <매체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학습 한국어 교육>, <다문화 한국어 교육과정론>, <다문화 한국어 평가론>, <다문화 한국어 교재론>, <다문화 한국어 말하기·듣기 교육론>, <다문화 한국어 읽기교육론>, <다문화 한국어 쓰기교육론>, <다문화 한국어 발음 교육론>, <다문화 한국어 문법교육론>, <다문화 한국어 어휘교육론> 다문화 한국어 교수·학습의 실제 영역: <다문화 한국어 교수·학습 실제Ⅰ: 현장실습>, <다문화 한국어 교수· 학습 실제Ⅱ: 반성적 고찰> 마지막으로, 교육과정의 운영에 대해서는 연계전공으로 하며 각 강의는 교과목의 성격에 부합하는 각 영역의 전공자들이 담당하는 것으로 논의하였다. 이 교육과정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학교, 다문화 교육 센터와의 연계가 요구된다. This study aimed to seek for what contents will be organized and how that curriculum will be implemented in ``Multicultural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of the college of education. First, society, student and subject as source are analysed for goal setting of this curriculum. Then, content systems are clarified into three categories for selection of education contents. That is 1)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awareness and attitude, 2) Aquisition of knowledge and skill for korean language teaching 3) teaching practice of multicultural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ubjects are developed in the three categories. Finally,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is commenced as interdisciplinary course and each lectures are taught by the majors from each field that matches the character of the subjects. This curriculum requires cooperative schools and multicultural education centers for effective training.

      • KCI등재

        가법모형과 Double Penalty Approach를 이용한 가뭄지수 예측

        차상훈(Cha Sang Hun),정지현(Jeong Ji hyeon),이경은(Lee Kyung Eun),임윤진(Lim Yoon Jin),김광섭(Kim Gwang seob) 한국방재학회 2017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7 No.6

        가뭄의 심도와 빈도가 강해지는 상황에서 가뭄예측을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가뭄현상의 시간적 변동 특성이 비선형 형태로 가지고 있어 가뭄예측개선을 위한 다양한 방법의 적용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선의 여지가 많은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상가뭄지수인 표준강수지수 SPI와 세계기후지수와 같은 다양한 설명변수들 사이의 비선형 관계를 보다 잘 설명하는 평활스플라인(Smoothing Spline) 함수와 가법모형(Additive Model)을 적용하여 가뭄예측모형을 구성하였다. 과대적합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변수선택법인 Double Penalty Approach(DPA)를 이용하여 가뭄 지수 예측을 개선하였으며 장기 강우자료가 가용한 서울, 인천, 대구, 추풍령, 제주, 목포, 강릉 총 7개 지점에 적용하여 모형 적합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모든 지점에 대하여 DPA 이용하여 변수선택 후 가법모형을 적용한 경우가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다. In a situation of the severity and frequency of drought events getting stronger, researches related drought forecast were conduced to improve the forecast accuracy. However nonlinear characteristics of temporal behavior of drought events leave us a large room to improve the drought forecast. For better modeling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meteorological drought index SPI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and other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world climate indices, we build a more flexible additive model using a smoothing spline function. Also, in order to get more accurate drought prediction, we applied a variable selection method, especially Double Penalty Approach (DPA) for resolving the over fitting problem caused by the additive model application. Applicability of the model was analyzed by appling the model for several sites, Seoul, Incheon, Daegu, Chupungrung, Jaeju, Mokpo, and Gangrung, which have long term rainfall data.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additive model with DPA generated better forecasts than other approaches at all sites.

      • KCI등재

        중학생의 과학 상상글쓰기 활동을 통한 상상물 제시 특성

        김영실(Kim Young sil),정지현(Jeong Ji hyeon),허송이(Heo Song yi),이지선(Lee Ji sun),김성원(Kim Sung 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7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2학년 학생 14명을 연구 대상자로 하여 과학 상상글쓰기 활동을 수행하였다. 학생들은 ‘반대로 상상하기’, ‘확대축소 상상하기’, ‘법칙 바꿔 상상하기’, ‘있고 없게 상상하기’의 네 가지의 상상글쓰기 활동을 통해 과학적 상상 력을 발현하도록 하였다. 이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다양하게 상상하여 여러 사물이 나 현상을 제시하였는데 몇 가지 특성들을 보여주고 있다. 학생들은 상상 글쓰기 활 동 수행 중 여러 상상물을 제시하면서, 의미 없는 순서로 상상을 나열하거나(단순 나열), 의미 있는 순서로 확장시키기도 하고(의미 확장), 상상을 제시한 순서가 비약 적이거나 직관적인 형태로 제시하기도 하는(직관적 상상) 세 가지의 특성을 보여주 었다. 먼저 ‘단순 나열형’은 상상물을 제시한 순서가 의미가 없으며 보통 과학적 개 념의 특징과 역할을 상기한 후 각각의 역할이나 특성을 조금씩 변화시키며 상상하 였으며, 키워드로 나열하거나 번호를 매겨 적는 등 특징을 보였다. ‘의미 확장형’은 단순히 상상물을 나열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각각의 상상물을 제시하는 순서가 의 미가 있다. 마지막으로 ‘직관적 상상형’은 흐름과 순서에 상관없이 비약적이거나 직 관적으로 상상하여 상상물을 제시한다. This study has a purpose to analyze scientific imagination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their writing skills. Scientific imagination means the ability to create new troubleshooting solution, which is un-experienced situation or phenomenon through their logical basis of scientific knowledge and experiences. In order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in writing imaginative matters or phenomena, 14 members of 8th grade students are selected as subjects of the study, and activity models are developed to analyze for those activities. There are four types of activities; Imagine something conversely, imagine enlargement and reduction, imagine changed law, and imagine of with or without. Results of the study are analyzed for both each student and each activity. Only ten students are selected to observe whether their scientific imaginations are expressed or not. There are three types of imagining in science context writing: Simple listing, Meaning expanding, and Intuitive imagining. ‘Simple listing’ type of the students tends to present their imaginations in random orders, and they usually imagine scientific characteristics and role with gradual change after observing original scientific roles and characteristics. Moreover, they tend to list by keywords or numbers. It is one of the required conditions to list an amount of imagination for superb imagination. ‘Meaning expanding’ type of the students tends to not only list their imagination but also list that in order. It means that students imagine something in a variety of enlarged range and they could expand scope from self-centered. ‘Intuitive imagining’ type of the students tends to imagine intuitively and rapidly in any or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