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셉테드학회 연구 경향의 실증적 분석 : 최근 10년간 한국 셉테드학회지를 중심으로

        박재풍(Jae-Poong Park),박주혁(Ju-Hyeok Park),손원진(Won-Jin Son) 한국셉테드학회 2020 한국셉테드학회지 Vol.11 No.3

        한국셉테드학회는 2010년 창립한 이후 지난 10년 간 도시 및 건축 환경의 개선을 통해서 효과적으로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 활동을 진행했다. 그 결과 학회에서는 116편의 논문을 발간했고, 한국셉테드의 학문적 발전에 이바지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셉테드학회가 10년이 되는 시점에서 본 학회의 116편의 논문을 분석하여, 향후 학회가 지향해야 할 방향에 대해서 탐색적으로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116편의 논문을 주제어(제목 및 주제어), 연구자의 특성(성별, 전공, 소속기관, 신분, 단독 및 공동연구), 논문 인용 지수, 연구방법론으로 유형화하고, 그 특징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주제어는 ‘범죄’ 및 ‘범죄예방을 위한 공간’, ‘상황’, ‘특성’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연관어가 형성되어 있다. 즉, 본 학회가 나아갈 연구주제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연구자의 특성에서는 남성 연구자, 공동연구, 교수나 대학원생, 경찰학/범죄학, 건축/설계/디자인, 도시공학 등으로 특성이 나타났다. 창간 이후 발간된 논문 인용 지수는 평균 1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연구방법론에서는 2017년 이후 질적연구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이런 분석 결과를 근거로 하여, 향후 한국 셉테드학회와 학회지 발전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제언을 논의할 수 있다. 우선, 연구주제는 포괄적으로 본 학회가 지향하는 방향으로 제시되고 있으나, 이와 관련한 연관주제의 다양성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연구자의 특성에서 나타났듯이, 여성 연구자의 참여방안이다. 또한 한국 셉테드학회는 다학제적이고 융합적인 연구성격을 반영하였기 때문에 다양한 기관과 여러 전공자 등 참여하는 홍보방안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인용 지수를 증대시키는 방안이 요구된다. The KOREA CPTED ASSOCIATION has conducted various research activities to effectively prevent crime through improvement of urban and architectural environment over the past decade. As a result, The KOREA CPTED ASSOCIATION published 116 journal of the Korea CPTED and contributed to the academic development of the Korean CPTED.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116 journal published at The KOREA CPTED ASSOCIATION and discussed the future direction The KOREA CPTED ASSOCIATION. This study categorized 116 papers into subject words (title and subject words), characteristics of researchers (gender, major, affiliated institutions, status, single and joint research), citation index of papers, and research methodology, and analyzed thei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main words are formed mainly on the study of crime , space for crime prevention , situation , and characteristics . In other words, the research theme of The KOREA CPTED ASSOCIATION is stabl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er were male researchers, joint research, professors and graduate students, police studies/criminology, architecture/design, and urban engineering. The citation index of the journal published since its index has remained above average of 1, the rate of qualitative research has been increasing since 2017.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discuss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 CPTED ASSOCIATION and the journal in the future. First, the research theme is presented in a comprehensive direction for The KOREA CPTED ASSOCIATION, bu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diversity of related topics. Next, as shown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er, it is a plan for participation of female researchers. In addition, since The KOREA CPTED ASSOCIATION reflects the multidisciplinary and convergent research personality, it is necessary to promote various institutions and various majors. Finally, it is required to increase the quotation index.

      • KCI등재후보

        공동주택의 CPTED적용에 대한 관계자 인식분석 연구

        김종대(Jong-Dai KIM) 한국셉테드학회 2017 한국셉테드학회지 Vol.8 No.1

        매슬로(A. H. Maslow)가 주장한 인간의 욕구 발전의 5단계 중 생리적 욕구와 함께 하위욕구에 속했던 “안전욕구”가 최근 그 중요성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거주자의 범죄불안감은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 건축분야에서 범죄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효과적인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가 필요한 이유이 다. 전국적으로 셉테드 관련 지방자치단체 조례와 지침이 마련되고 또 시행되고 있다. 한국셉테드학회도 건설사의 아파트단지에 대하여 셉테드 인증을 실시해 오고 있다. 그러나 셉테드 기준이 저마다 다를 뿐만 아니라 셉테드인증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주자를 중심으로 범죄예방만족도, 범죄 불안감 등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향후 셉테드 발전을 위한 바람직한 인증기준을 정립하고 고품질의 아파트를 건설해 나가기 위해서는 거주자뿐만 아니라 건설사, 관계공무원, 학계 및 실무계 전문가의 상호인식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이를 통해 효율적인 자원배분과 공급자와 수요자간 기대를 충족시키고 나아가 관련 분야의 연구 활성화와 정책수립으로 이어진다면 안전하고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해 가는데 일조할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또한 부동산 시장에서 셉테드가 새로운 부가가치로 부각되고 있는 시기에 셉테드의 경제적 기대와 가치를 실증적으로 확인해 보는 것도 의미있다고 하겠다. 또한 전통적인 범죄예방환경설계 방식에서 벗어나 주민의 참여와 교류를 중시하는 2세대 셉테드로의 패러다임 전환에도 노력을 기울이는 시사점을 줄 것으로 생각한다. 그동안 셉테드 관계 주체간 상호인식비교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동 연구가 관련 분야에 대한 관심을 갖게 하고 국내 셉테드의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Safety’ has become a hot topic in Korea society these days. Residents’ fear of crime damage the quality of life. An effective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PTED) is necessary to prevent crimes in advance. Starting from Bucheon-si, 2005, local governments set up an ordinance and guidelines regarding CPTED. Korea CPTED Association has been carrying out CPTED certification for apartment complex built by construction company. However, there are several types of CPTED standards and most of studies on CPTED certified apartment complex focus on the relation between a resident-centered satisfaction level of crime prevention and fear of crime. Therefore, to establish a desirable qualification standard for the development of CPTED in the future, it is important to apprehend the perception of residents in CPTED-APT, construction company, public officials, academia and experienced specialists and residents in NON CPTED-APT. Through this, it can be expected to increase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supplier and provider and establishing policies and conducting researches, it will help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o be safe and pleasant. Also, since CPTED has been perceived as a new added value with the theme of security in the real estate market, this research aimed to identify economic values and expectations. In addition, it would become a reference to the shift of paradigm from the traditional CPTED methods to the second generation CPTED that emphasizes residents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s. Given a long-standing gap in comparative research on the perception among administrators involved in the CPTED,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both drawing the public s attention to relevant fields and to its further development in domestic setting.

      • KCI등재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한국셉테드학회지 연구동향 분석

        김도우(Do-Woo Kim),정성원(Sung-Won Jung) 한국셉테드학회 2018 한국셉테드학회지 Vol.9 No.2

        본 연구는 언어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활용하여 한국셉테드학회지 연구동향을 살피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0년 창간호부터 2017년까지 게재된 77편의 논문에서 416개의 핵심어를 수집하였다. 11가지 기준을 통해 핵심어들을 코딩하고, 이를 네트워크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연결중심성이 상위에 있는 주제어들은‘CPTED 도시재생’, 셉테드(CPTED) 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연결중심성이 상대적으로 하위권에 속하는 주제어들은‘범죄’,‘범죄예방’,‘범죄두려움’ 등과 같이 셉테드를 통하여 궁극적으로 실현하고자 하는 현실적인 목적이 주제어로 제시되었다. 하지만 핵심주제어 간의 관계를 분석한 네트워크 분석에 서는 「한국셉테드학회지」에 게재된 연구들은 각각 독립된 형태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특정 연구분야에서 하위분야로의 확산 등은 미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ends of the ‘Journal of Community Safety and Security by Environmental Design’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For this purpose, 416 keywords were collected from 77 papers published from the first issue of 2010 to 2017. Key words were coded through 11 criteria and used for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keywords with higher connection centrality are CPTED Urban Regeneration and CPTED, and the subjects with relatively low connection centrality are Crime , Crime Prevention And fear of crime , etc., were presented as main words. However, in the network analysis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the core subject words, the researches published in the Korean Society of the Plasma show a tendency to be studied independently, and the spread of sub-fields in specific research fields is insufficient.

      • KCI등재후보

        건축법상 조경기준과 CPTED 조례의 충돌

        김종환(Jong Hwan Kim),박미랑(MiRang Park) 한국셉테드학회 2017 한국셉테드학회지 Vol.8 No.1

        본 연구에서는 셉테드 관련 건축 조례와 충돌하는 조경기준을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내용들을 검토해본다. 셉테드 관련 단일법은 존재하지 않는 다. 하지만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국토기본법”, “건축법” 에서 안전과 관련한 내용들을 찾아볼 수 있다. 도시계획 수립지침의 경우, “도시⋅군 기본계획 수립지침”, “도시⋅주거환경 정비계획 수립지침”에서 안전 및 셉테드의 내용을 찾을 수 있다. 그 밖에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조례를 제정하여 셉테드 관련 내용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셉테드 관련법들은 관련 법령이 파편화된 모습으로 다른 법규범과 충돌하는 모습을 띠기도 한다. 건축법상 쓰레기 보관공간의 조경기준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고시된 조경기준은 차폐 식재를 권장하고 있으나 셉테드 조례는 자연감시가 가능한 개방형 공간을 권고하고 있다. 규범이 충돌하는 경우 두 가지 기준이 보호하는 법익을 비교하여 우월한 법익을 우선시해야할 것이다. 이에 따르면 셉테드 기준이 단순 건축법상 조경기준보다는 우위에 있다고 보인다. 이러한 셉테드와 조경문제 뿐만 아니라 직⋅간접적으로 안전과 연관된 법규범을 재정비하여 규범 충돌의 문제를 해결해야할 것이다. This study discusses conflicts between landscape standards and building ordinances regarding CPTED and reviews possible solutions. While there is no single act on CPTED, provisions on safety can be found in the Act on the Planning and Utilization of the National Land, the Framework Act on the National Land and the Building Act. As to the guidelines for urban planning, provisions regarding safety and CPTED are stipulated in the Guideline for the General Plan for the City⋅County and the Guideline for the General Plan for Urban⋅Housing Environment. Other local governments enacted ordinances stipulating the CPTEDrelated provisions. However, such CPTED-related laws are in the form of fragmented ordinances, often conflicting with other laws and regulations. A prime example is the landscape standards for garbage storage space under the Building Act. While the notified landscape standards recommend screen planting, the CPTED ordinances recommend an open space that allows natural surveillance. When conflicts among laws, rules, and/or regulations are found,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values pursued by each law, rule, and/or regulation and determine which value should prevail. In our view, the CPTED standards should prevail over the landscape standards under the Building Act. It is necessary to solve the conflicts of the rules and regulations by realigning those on CPTED and the landscape issues as well as those directly or indirectly linked to safety.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셉테드 학술논문 연구동향 고찰

        안은희 한국셉테드학회 2022 한국셉테드학회지 Vol.13 No.3

        본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하여 셉테드 학술논문의 연구동향을 살피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학술지인용정보를 통해 ‘CPTED’ 를 주제어 또는 초록에 등록한 논문을 검색한 결과 718편의 논문이 검색되었으며, 718편의 논문에서 분석가능한 1559개의 키워드가 수집되었다. 수집된 키워드는 텍스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F-IDF, 네트워크 분석 및 토픽모델링 분석이 수행되었다. 분석결과, 첫째 연결중심성이 상위에 있는 키워드들은‘CPTED’, ‘범죄예방’, ‘범죄두려움’, ‘범죄’, ‘CCTV’, ‘범죄불안감’으로 셉테드 도입으로 범죄, 범죄두려움 및 범죄불안감을 감소시켜 범죄를 예방하고자 하는 셉테드의 목적에 부합하는 연구들이 주로 연구되고 있는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토픽모델링 결과 여성안전 CPTED, 공동주택단지CPTED, 도시재생 CPTED, 시설별 CPTED, CPTED 디자인 가이드라인 등 5 개 토픽이 추출되었으며, 각 토픽을 이어주는 키워드는 CPTED, 범죄예방, 범죄두려움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2010년 (사)한국셉테드학회의 출범과 2014년셉테드의 법제화 이후 연구주제가 다양화되고 양적으로 성장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셉테드 연구동향 분석과 방향 제시는 셉테드연구의 지속적인 발전에 유용한 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

      • 한국형 셉테드 개발을 위한 정책과제

        박경래(Kyung Rae Park) 한국셉테드학회 2010 한국셉테드학회지 Vol.1 No.1

        본 연구는 행정학 및 범죄학적 시각에서 우리나라 셉테드 정책집행의 실태와 셉테드 기법에 대한 범죄자의 행태를 분석하여 향후 한국형 셉테드 개발을 위한 정책적 과제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셉테드 담당 경찰관 및 서울시내 구청공무원에 대한 설문 및 면접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절ㆍ강도 재소자에 대한 설문 및 면접조사 또한 진행하였다. 조사결과 우리 나름의 셉테드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담당 공무원의 셉테드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더욱 확대될 필요성이 있으며, 유관기관간 협력강화, 콘트롤 타워의 정립, 서비스의 형평성 제고를 위한 주민참여기제의 개발 등의 정책과제가 관리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국과 다른 범죄 및 사회환경하에서 우리 나름의 맥락을 가진 기초 및 실증연구가 꾸준히 진행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Criminology,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policy alternatives to develop the Korean Style CPTED by examining the realities of CPTED policy implementation and the criminals’ behavior to the CPTED strategy. Survey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three groups; police officers in nationwide, municipal officers in Seoul and larceny and burglary criminals in prison. Survey results imply that the policy alternatives below are employed and solved - strengthening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 of CPTED among officers, constructing the CPTED governance, building the control tower of CPTED, making the mechanism of citizen participation, and developing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CPTED research corresponding the Korean context.

      • 학교 범죄예방을 위한 CPTED 요소 적용 우선순위 분석

        박성철(Sung Chul Park),조동현(Dong Hyun Cho),김진욱(Jin Wook Kim) 한국셉테드학회 2010 한국셉테드학회지 Vol.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ioritize the CPTED(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elements in terms of school facilities. The Survey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availability of CPTED for schools. 870 students were asked to response to the perception level of both fear of crime and expected effect in order to present the relative weights of the CPTED major elements.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government can make a effect decision on school crime prevention. 최근 학교 관련 범죄 사례들이 급증하고 있다. 기존 학교 폭력과 같은 학생들 간 범죄 유형의 증가뿐만 아니라 외부인의 무단 침입으로 인한 학생들의 피해가 늘어나고 있다. 정부 및 지자체는 심각해지는 학교관련 범죄 대책으로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고 일부 효과를 보고 있지만 CCTV, 학교지킴이 등 범죄 사후 대응력 측면에 치우쳐있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학생관련 범죄를 근본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방안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유럽 등 선진국에서 사회범죄에 대응하기 위하여 1900년대 후반부터 적용하고 있는 범죄예방환경설계(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이하 CPTED)를 학교시설에 도입하고자 하였다. CPTED는 학교시설을 포함한 도시계획시설을 설계함에 있어 사회범죄를 예방 또는 감소시키기 위하여 국제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범죄예방 설계기법이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국내 학교시설에 적용 가능한 CPTED 요소별 기대효과를 도출하여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범죄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정책 방안 수립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문헌분석을 통해 해외의 학교시설에 적용된 CPTED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학교시설과 관련된 주요 CPTED 요소기술을 도출하였다. 문헌분석에서 조사된 학교시설 주요 CPTED 요소를 기반으로 설문 조사지를 작성하였으며, 학생 870명을 대상으로 학교 내 공간별 위험도 인식도와 CPTED요소의 기대효과 분석을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생들은 학교 내 공간 중 후미진 공간을 가장 두려워하고 있으며, 학교폭력이 가장 많이 목격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5점 리커드 척도로 각 CPTED 요소의 기대효과를 도출한 결과 가장 높은 기대효과를 보인 것은 최종적으로 CCTV설치, 충분한 조명시설 설치, 후미진 곳 정비 등으로 조사되었다.

      • 일본의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 사례연구

        김걸(Kirl Kim),김병선(Byeong Sun Kim) 한국셉테드학회 2011 한국셉테드학회지 Vol.2 No.1

        범죄가 발생하는 특정시간과 장소를 고려하여 감시활동을 강화하거나 범죄공간을 환경적으로 개선함으로써 범죄발생률을 낮추려는 시도가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 프로그램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의 개념과 전략을 살펴보고 현지답사를 통해 실제 CPTED가 일본의 도시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고찰한다. 다음으로 일본 과학경찰연구소에서 진행해온 GIS를 이용한 CPTED 효과분석 방법인 가중이전계수와 CPTED 적용지역의 탐색에 유용한 일상활동 분석방법을 고찰한다. 마지막으로 일본의 CPTED 정책이 한국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한다.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CPTED) refers to a program that tries to decrease the criminal incident rates by eliminating the crime places environmentally and enhancing the monitoring activities in consideration of specific crime space and time. This research begins with a brief review of the concepts and strategies of CPTED and investigates the practical application case for CPTED in Japan through the field survey. It then illustrates the Weighted Displaced Quotient and Routine Activity Analysis methods using GIS that have been performed by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Police Science in Japan. It elicits how the CPTED policy in Japan can be applied for Korea.

      • KCI등재

        위기관리 기반의 초중고등학교 CPTED 평가시스템에 대한 기초연구

        정상필(Sang Phil Jung),김진욱(Jin Wook Kim) 한국셉테드학회 2018 한국셉테드학회지 Vol.9 No.1

        우리나라에서 학교에서 상주하고 있는 인구의 수는 유치원, 초중고등학교와 대학을 통틀어 약 1천만 명에 달한다. 이는 전 인구의 20%에 달하는 비율로 학교의 안전은 국가의 안전과 직결되는 중요한 사항이다. 그러나 전통적으로 안전공간으로 여겨졌던 학교가 각종 범죄에 위협으로 인해 범죄예방환경설계 즉, CPTED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시점이다. 우리나라 학교의 범죄안전환경에 대한 평가는 몇 개의 지표와 디자인 가이드를 중심으로 본격적으로 시행되고 평가된 지는 불과 수년의 역사를 갖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수행되고 있는 초중고등학교의 CPTED 평가도구에 대한 개선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한국과 미국의 평가도구 4개를 선정하여 비교하였다. 비교를 통하여 우리나라와 미국의 평가지표의 특성을 분석하여 평가도구의 활용 목적에서부터 평가지표의 범위까지 차이점을 밝혀내었다. 또한 평가의 결과가 환경개선이나 정책반영에 연결되고 있지 않은 점을 도출하여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ISO 3000 위기관리 개념을 도입하여 위기관리 기반의 CPTED 평가 시스템의 개념과 그 수행절차를 제시하였다. The number of population residing in schools in Korea is about 10 million in kindergartens,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s and universities. It accounts for 20% of the population, and school safety is an important aspect of national security. However, it is the time when crime prevention environment design, that is, the importance of CPTED, is increasing due to threats to various crimes that have traditionally been regarded as safe spaces. It is a fact that the evaluation of the crime safety environment of Korea school has a history of only a few years since it was implemented and evaluated in earnest centering on several indicators and design guid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four CPTED evaluation tool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n order to improve the CPTED evaluation tools in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s in Korea. By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valuation indicator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rough comparison, we have found out the difference from the purpose of the evaluation tool to the scope of the evaluation index.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are not linked to the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 or policy, and the concept of the CPTED evaluation system based on the crisis management was introduced by introducing the ISO 3000 crisis management concept to improve it.

      • 국내ㆍ외 선행연구를 통한 CPTED 범죄예방 효과에 관한 연구

        임동현(Dong Hyun Lim),이유미(You Mi Lee),강부성(Boo Seong Kang) 한국셉테드학회 2010 한국셉테드학회지 Vol.1 No.2

        최근 범죄 발생에 따른 안전한 삶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PTED 및 SBD의 효과성 연구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국내 적용되고 있는 CPTED기법에 대한 효과성을 고찰하였다. CPTED의 적용의 효과는 범죄율 감소, 범죄 두려움감소, 지가상승, 자가보유율 증가, 이웃관계 증진등이 있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의 CPTED기법 적용 의무화 조례 발표는 범죄율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단점으로는 CPTED 기접 적용에 따른 경제적 부담, 공동주택 단지 발생 범죄가 노상범죄, 옥외주차장 범죄 등으로 범죄 발생장소가 다른 공간으로 전이되는 특징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한계로는 국내외 선행연구를 통하여 CPTED 및 SBD의 효과성에 대하여 고찰한 것에 있다. 향후 국내 CPTED에 관한 효과성연구가 범죄 및 범죄 두려움에 대한 실증적인 검증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In this study, through review of previous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PTED & SBD, the effectiveness of CPTED method has been reviewed. The effect of applying CPTED method may be stated crime rate decrease, fear of crime decrease, land price increase, ratio of self possession increase, improving neighborhood relation etc. Also, the announcement of mandatory application of CPTED method by the district government analyzed to be effective in decreasing crime rate. As being a demerit of CPTED method application analyzed to be economic burden, transfer of crime area such as crime in community housing zone transferred to road crime or outside parking lot crime etc.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may be stated that through previous study of domestic or foreign the effectiveness of CPTED & SBD had been reviewed already. It is analyzed to be necessary to execute actual verification to crime or fear to crime regarding effectiveness study of domestic CPTED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