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에 의한 건축외관 디자인의 위상학적 잠재성에 관한 연구

        홍윤기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19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66

        Geometry has been one of the important logical bases for understanding and composing space in human society. As a new methodology of interpreting the space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topology has a solid relationship with evolutionary changes of the science and philosophy in the early 1900s. This advanced vision provides magnificent changes not just in analyzing the space but also in designing the architectural form, especially in building exterior. In the architectural history, the periodical transition of exterior design can be defined by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rationalism and emotionalism in ancient architecture, the functional aesthetics in modern architecture and intercommunication between the stylish building skin and complicated urban space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The continuity of environmental context, flexibility of building skin, and multiplicity in architectural recognition are important elements in the contemporary building exterior which is linked to the new space composition theory of top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understand the actor-network theory as a new conceptual analysis of the topological potential of architectural design and (2) to study the similarities of the exterior design between modern architecture and contemporary architecture. Thru the combined analysis of the three important elements in the contemporary building exterior and also the three topological space types of actor-network theory, the act of work, technical reaction and spacial interpretation of architecture are found as the features of potential similarities between modern architecture and contemporary architecture. As a theoretical background of research for connecting the exterior design of modern architecture and contemporary architecture, it is important in terms of analyzing the elements of architectural design through the concept of sociological space type proposed by actor-network theory. 기하학은 인간이 세상을 이해하고 공간을 구현하는 논리에 큰 영향을 주었다. 20세기 들어와 급격하게 변화된 과학과 철학의 세계관은 공간을 이해하고 구현하는 방식에도 큰 변화를 이끌며 위상기하학이라는 새로운 기준을 탄생시켰는데, 공간을 해석하는 새로운 시각은 공간 조형론적 입장에서 현대건축의 형태구성 특히 외관디자인에 있어서도 과거와 구분되는 변화를 유발하게 되었다. 외관디자인의 건축역사에서, 근대이전까지 기능과 미학 또는 이성과 감성의 이원적 가치가 상호작용을 하며 진화하여 왔다면, 장식을 벗어나 기능적 미학이 강조된 근대건축의 시대를 거쳐 현대건축에서는 소비의 시대가 요구하는 개성적 표피가 도시공간과 상호작용하는 점을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 현대건축에 있어서의 이러한 외관디자인의 변화는 위상기하학의 공간구성에 대한 새로운 이론과 맞물리며 맥락의 연속성, 표피의 유연성, 인식의 다양성이라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건축의 외관디자인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이러한 위상기하학적 특성을 과거와 구분 짓는 공간 조형론의 입장으로만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공간 관계론적 입장에서 과거와 연결되는 잠재적 연관성으로서 새롭게 해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위상학에 대한 연구의 범위를 자연과학의 입장인 공간기하학으로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지리학적 위상학의 범주에 속하는 행위자-네크워크 이론으로 확대하여, 현대건축의 외관디자인에서 발견되는 특징들이 근대건축에도 함께 내재된 위상적 관계가 존재하고 있음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유클리드적 공간론의 범주에 속하는 지역의 위상학을 제외하고 각각 네크워크의 위상학, 유동적 공간성, 화염의 위상학으로 명명된 3가지의 단계별 유형을 대입하여 과거의 건축과 구분되는 현대건축 외관디자인의 특징들이 새로운 공간적 해석을 통한 외연의 확대, 반구축방식의 진보적 변화를 통한유기적 가치 창조 그리고 심지어 건축 생산자의 의도와 건축 소비자가 관계된 인식의 복합적 경험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관되어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이렇듯, 사회과학에 바탕을 둔 행위자-네크워크 이론을 통해 공간 관계론의 입장에서 과거의 유클리드 공간속에 잠재된 비유클리드적 실재성을 드러내는 분석 방식을 적용한다면, 앞으로 서로 다른 시대의 건축이 드러내는 디자인의 유형적 상이성이 아니라 무형적 가치가 내재된 관계적 동질성을 탐구하여 그 비교대상의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간판건축에 관한 연구

        김병주,석강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19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66

        This paper was designed to answer these three questions: First, what is billboard architecture? Second, is billboard architecture found in old downtowns buil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ird, what significance dose billboard architecture have in the history of architecture? Billboard architecture was discovered and named by Fujimori Terunobu, an architectural historian, in 1975. Billboard architecture refers to commercial houses built in a shopping district after the Great Kanto Earthquake in 1923 with a Western-style exterior wall attached onto the facade of Machiya, the traditional wood frame house. Billboard architecture was built in old downtowns around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ts good examples can be found in Buksungro of Daegu and Mokpo. Built by the hands of ordinary people, billboard architecture has the nature as a "Decorated Shed" and "Architecture without Architects" in the 20th century. Today, even the existence of billboard architecture is not known whereas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former Japanese-owned housing architecture in old downtowns. It is time to have contemplation over the investigation,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billboard architecture. 간판건축은 1975년 후지모리 테루노부에 의해 발견되고 명명되었다. 간판건축은 1923년 관동대지진 이후 그 피해를 복구하는 과정에서 도시 주변부 상점가에 세워진 상가주택이다. 전통적 목조건축 마치야의 정면에 서양식 외벽을 붙였다. 간판건축은 1930-40년대 도시 가로경관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간판건축 성립의 배경에는 관동대지진과 함께 1919년 시가지건축물법에 명시된 건축선 제한과 방화벽 규정의 영향이 있었다. 간판건축 정면 외벽에는 방화대책의 일환으로 동판, 모르타르, 타일, 슬레이트 등의 불연재가 사용되었다. 간판건축이라는 용어가 학계에 자리를 뿌리를 내리기까지는 후지모리와 함께, 그의 스승인 무라마츠 테이지로의 노력이 있었다.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간판건축은 한국 구도심에도 세워졌다. 예를 들어, 대구 북성로, 목포 근대역사문화공간 일대에서 간판건축을 발견할 수 있다. 도로선과 처마선, 용마루가 평행을 이루는 평입의 전기 형식이 주로 나타나지만, 박공면으로 진입하는 후기 간판건축 형식도 함께 존재한다. 상업자본에 의한 개발의 압력 속에서 일본 간판건축은 이축, 리노베이션, 도시재생 등을 통해 보존과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간판건축은 그 존재조차 제대로 알려져 있지 않다. 근대건축문화유산으로서 적산가옥(敵産家屋)에 대한 관심은 점점 높아지고 있지만, 간판건축은 소리 없이 사라지고 있다. 민중의 계보를 잇는 “제2차 의양풍 건축”이라고 일컬어지는 간판건축은 “장식된 헛간”으로서 20세기 “건축가 없는 건축”의 속성을 갖는다. 콘 와지로의 고현학에서부터 후지모리의 건축탐정단을 거쳐, 노상관찰학회 활동으로 이어지는 필드워크의 계보는 이러한 저잣거리 B급 건축에 주목했다. 간판건축의 발견은 고현학에 토대를 둔 건축탐정단의 활동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 KCI등재

        스탠리 큐브릭 영화의 미장센적 특이성과 건축 공간과의 비교에 관한 연구

        허이서,장용순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19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66

        The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is developing through exchanges between various fields. Just as many sciences have developed through connection with other sciences, there has also been much development in architectural field through linkage with other sciences. In particular,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arts, sculpture and music in the field of art. However, because the architecture relies heavily on the sense of sight including movement, not the simple sense of perception, it is hard to find any connection with many other sciences. In this respect, the film is easily compared with architecture, because it is an art that includes both time and space and perceives time and space through “movement.” Both film and architecture are expressive arts of space, and they create a psychological effect for audiences and users through space. In addition, the imagery experience is already indispensable for experiencing modern architecture because of physical distance and time constraints. Therefore, we would like to find a new visual approach to the architectural space through the film mise-en-scène, which includes both the elements of dynamic movement and the static formative language. Mise-en-scène can be regarded as one of the most similar film theory to the experience of architectural space because it has an imagery characteristic and continuously shows the spatial sense of the screen in one shot. In addition, the cultural art space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is a space where the culture of the local community and the ideology of the architect are well revealed. Like a film is recognized as one of the artworks, an architectural space built for culture and art looks like a big artwork. Therefore, in this study, we will first conduct the theoretical research on the mise-en-scène, an expression of the space which creates the psychological effect in movies. Next, we will find the peculiarities of the mise-en-scene by analyzing the mise-en-scène directing technique of the Director Stanley Kubrick, who is skilled in the visualization of narrative, and seek for a possibility of new visual approach for those who experience architectural spaces through comparison with culture and art spaces in m architectures. 급변하는 현대 사회는 다양한 분야 간의 교류를 통해 발전하고 있다. 많은 학문들이 타학문과의 연계를 통해 발전하듯이 건축 분야에서도 타학문과의 연계를 통한 많은 연구가 있어왔다. 그 중에서도 예술 분야와 관련하여 미술, 조각, 음악 등의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건축물은 단순한 지각적 측면이 아닌, 움직임이 포함된 시각에 크게 의존한다는 점에서 다수의 앞선 학문들과의 연결 관계를 찾는 것에 한계가 드러났다. 그 중 영화는 시간과 공간을 모두 포함하는 예술이며 ‘움직임’을 통해 시공간을 지각한다는 측면에서 건축과의 비교가 용이하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영화와 건축은 모두 공간의 표현 예술이며 이를 통해 관객과 사용자로 하여금 심리적 효과를 창출한다. 또한 현대의 건축을 경험하는 방식은 물리적 거리와 시간의 제약으로 인해 이미지적인 경험이 필수불가결하다. 이에 동적 움직임의 요소와 정적 조형언어를 모두 포함하는 영화 미장센을 통해 건축 공간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접근 방법에 대해 찾고자 한다. 미장센은 이미지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하나의 숏에서 화면의 공간감을 연속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건축 공간의 경험과 가장 유사한 영화 이론 중 하나로 간주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영화에서 심리적 효과를 창출하는 공간의 표현인 미장센에 대해 이론적 고찰을 진행한다. 다음으로 내러티브의 시각화에 능통한 스탠리 큐브릭(Stanley Kubrick)이라는 감독의 미장센 연출 기법을 분석하여 특이성을 찾고 건축 공간과의 비교를 통해 건축의 공간을 경험 하는 이들에게 새로운 시각적 접근 가능성에 대하여 모색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 KCI등재

        알도 반 아이크의 건축에서 존재론적 공간의 성격에 관한 연구

        정세영,장용순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19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66

        Modern urban people live in a residential area that does not meet the purpose of residence. This is a loss of living space and loss of identity of urban people. Modern residential spaces are functional and economical, but we are forced to live a uniform life in them. However, even in such a change, architecture must exist so that the residents can establish relationships with the city with their identities. This study criticizes the residence problem of modern city based on Heidegger 's idea to examine the meaning of architecture through the reason of human existence. Aldo van Eyck 's architectural philosophy begins with remarks about the existence of human beings in architecture. Based on Heidegger's thinking, I linked the architectural concept of van Eyck. He formed an existential space and allowed modern people to live in the city. I analyze through examples how the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his existence is represented by spati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the relation of space is formed through the relation between man and place, human being and others. The living space should have the identity of the resident and suggest a way to solve the modern residence problem. It is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 of van Eyck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space, and to create an existential space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 and architecture. This attempts to consider the purpose of living space through ontological thinking about architecture. 현대 도시에서 주택은 과잉 공급되고 있지만, 정작 도시인들은 개인의 정체성을 가진 거주공간을 찾지 못하고 있다‘ 현대의 거대도시가 정착하지 못한 유목민의 장소라고 할지라도 현대인들은 거주공간을 통해 존재를 확인한다 현대 사회가 복잡한 특성을 가지고 빠른 속도를 내며 번화하고 있다 . 하지만 이런 불안정한 삶 속에서도 각자가 관계를 맺으며 살아감으로써 존재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거주의 목적을 가지는 것은 변함이 없다 . 본 연구는 인간의 존재에 대한 사유를 통해 건축의 의미를 고찰하고자 했던 하이데거의 사상을 바탕으로 한다- 그의 거주 칠학이 건축과 어떤 상관성이 있는지 분석하고 건축적 공간에서는 어떻게 존재론적 관계가 형성되는지 알아보았다‘ 인간과 장소(대지), 인간과 타자와의 관계를 통해 공간의 관계성을 어떻게 형성되는지 분석의 틀로 삼아, 건축가 알도 반 아이크가 거주에 대한 사유를 어떻게 재해석하여 건축공간에 표현하 였는지 사례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가 실현했던 공간의 관계형성으로 거주의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을지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사람들이 살아가는 거주의 공간에서 대지와 주변 환경과의 장소성을 찾고, 공간과 공간간의 관계에 대해 이해하면서, 대지와 건축의 관계 안에서 거주하는 존재의 자아를 구축하고자 합을 알도 반 아이크의 건축을 통해 발견할 수 있다. 거주는 곧 건축이고, 인간이 거주 하는 목적 그 자체로서 인간의 존재는 정체성을 가지고 거주해야 한다. 이 논문은 건축에 대한 하이데거의 절학적 사유로 거주공간에 대한 목적에 더욱 근본적으로 접근 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 KCI등재

        코로나 19 감염병 방어공간의 공간구성과 상관관계 연구 - 미셸 푸코의 질병의 공간화 개념을 이용한 건축도시공간 특성 분석 -

        정태종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21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74

        This study is about the analysis of the spatial configuration and relationship according to Michell Foucault’s spatialization of COVID-19 disease and provision the information of pandemic barrier space in urban and architectural planning.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ed. First of all, Michell Foucault had classified primary(classification of disease), secondary(treatment of patient), and tertiary(pandemic control in society) spatialization of disease. The second one is that tertiary spatialization of disease related with contagious disease which acute developed and spread with strong impact in a short period in urban scale. Spatial configuration of tertiary spatialization of COVID-19 disease consists with temporary screening clinic, isolation facilities such as private housing with self quarantine and residential treatment center with mild or negative symptom patients, negative pressure isolation room(NPIR) in infectious disease hospital for the medical treatment, and disease control center(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KDCPA). The third one is that all of COVID-19 spaces are connected with each other in the primary, secondary, tertiary spatialization of disease. Screening clinic where patient under investigation(PUI) goes to is the critical space in pandemic barrier spaces. Residential treatment center and preventive medicine are medical facility but roles are different with classification of Michell Foucault’s spatialization. Based on the result of research, spatial configuration related with pandemic disease is closely organized from personal private space to local community, and it has to be expanded to the abroad.

      • KCI등재

        공간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역사문화자원 활용 방안 연구

        이경숙,권기창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19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6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utilization plans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 st. Taesa using spatial story telling. The plac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possessed only by st. Taesa appear to be the value of modern and contemporary, and the result of it, symbolic space is preserved, so we could confirmed that the development of new contents have infinite possibilities. Accordingly, tourists were given the title of "Inverted Walking Time Travel," which can cause fun, touching, and curiosity.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period, the story was excavated through the space of symbolism and humanities value, cultural heritage and story, and space storytelling was reproduced with value preservation and potential, and detailed programs were presented with festivals, exhibitions, experiences, education and events. This will help establish Andong's identity and enhance its brand value with historical and cultural tourism. 본 연구의 목적은 태사로를 중심으로 공간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역사문화자원 활용 방안 연구이다. 태사로만이 지닌 역사문화자원의 장소적 특성이 고려, 조선, 일제강점기 근현대의 가치로 나타나며, 그에 따른 상징공간이 보존되어 있어 새로운 콘텐츠 개발에 무한한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관광객에게 재미와 감동, 궁금증을 유발할 수 있는 거꾸로 걷는 시간 여행이라는 명칭을 부여하였다. 시대 분류에 따라 상징의 공간과, 인문학적 가치, 문화유산, 이야기 등으로 스토리를 발굴, 가치성 보존성, 잠재성으로 공간스토리텔링하여 콘텐츠를 재생산하고 축제, 전시, 체험, 교육, 이벤트 등으로 세부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주거지 분포의 변화에 따른 생활권 청소년수련시설의 입지 적정성에 관한 연구

        박경서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19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66

        생활권 청소년수련시설은 청소년들의 거주지 부근에 위치하여 방과후나 여가 시간에 손쉽게 방문하고 각종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 청소년수련시설이 절대적으로 부족하였던 시기부터 각 지방의 지자체들은 적절한 위치에 공간을 확보 하고자 노력해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도시에서 청소년수련시설 공간 확보 보다 주거지역 변화의 속도가 더 빠르게 진행되었다. 도시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을 위주로 외곽지역으로 확산되어 갔고, 동시에 그곳에 거주하는 청소년층의 인구수는 늘어났으며 구도심의 인구는 감소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재정상황이 좋지 않은 지방의 중소도시들은 이전된 공공시설을 이용하거나 체육관, 문화센터와 통합하여 청소년수련활동공간을 확보하는 사례도 조사 되었다. 비슷한 인구의 도시들을 선별하여 청소년수련시설분포와 청소년층의 주거지를 조사한 결과 주거지확산에 따른 두공간의 분리를 알 수 있었다. 최근 청소년들의 놀권리 등을 존중하며 공공기관과 청소년들의 주도로 소규모 놀이 공간이 생기고 있으나 법적으로 청소년수련시설 밖에 있다. 청소년수련시설의 선호 프로그램과 놀이 공간을 비교하였다. 결론으로 생활권청소년수련시설의 경우, 보다 소규모, 다수의 공간으로 분리하여 청소년들의 생활권 가까이 위치하여야 함을 제안하였다. A local youth training center, as its name implies, should be located in a place where any teenager can easily visit the center and join in various programs after school or at their convenience. Each local government has been trying to build a youth training center at proper location since when there were few youth training centers. However, the development of residential areas have been so accelerated that the governments could not secure the space for the center. Cities have been expanded to the suburbs with mainly apartment houses. The juvenile population have increased in the area and decreased in the old cities. In these situations, there were some cases whe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utilize empty public facilities or secure a space in the public gyms or cultural centers to secure a space for youth training due to lack of funds. The distance between the youth training centers and residential areas in the cities with similar population was examined and it turned out the accessibility to the centers was not good. Small play spaces are being created by the public institutions or the youth as youth right to play has been recently respected, but they all are legally out of youth training center. After conducting the research on recently favored programs and space for play in the center, I suggest that more local youth training centers should be located in or near the residential areas in smaller size.

      • KCI등재

        박물관 전시공간구조와 관람객 움직임의 다양성

        박무호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19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66

        박물관의 공간구조는 적절한 양의 관람을 가능하게 하고 일정한 만족감을 제공해야한다. 이러한 공간구조의 평가는 특히 전시공간의 경우 관람객의 움직임과 직결된다고 할 수 있다. 즉 박물관의 공간구조에 대응하는 관람객의 움직임을 파악하는 것은 건축계획적인 측면에서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지금까지 진행된 선행연구들을 통해 전시공간의 위상학적 특성과 관람객의 움직임과 상관성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박물관 전시공간구조와 관람객 경험의 상관성의 측면에서 전시공간의 구조적 형태에 따라 발생하는 관람객 움직임의 다양성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관람객 움직임은 전시공간구조를 형성하는 건축공간의 구성적 특성에 따라 다양성이 유발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관람객의 다양한 움직임은 전시공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쉬운 환경 내에서 경로선택이 다양할 때, 다양한 움직임의 패턴이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전시공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쉬운 전시환경은 관람패턴의 다양성을 유발시킬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박물관의 중심공간(Major Space)의 구성과 동선분배는 다양한 관람객 움직임을 형성하는 전시공간구조를 형성함에 있어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박물관의 중심공간은 관람객의 전반적인 움직임에 있어 중요한 축(hub)의 역할을 하며 시지각적인 공간탐색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중심공간의 구성은 선택적인 관람동선체계를 구축하여 관람객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관람패턴을 다양하게 유발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박물관의 유형별로 충분한 사례를 대상으로 연구되지 않은 한계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따라 관람경험의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면밀히 파악하기 위해 박물관의 규모적 차이, 관람객의 개별적인 목적, 성향 등에 대해 추가적인 후속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museum should provide a reasonable amount of viewing and a certain satisfaction. This evaluation of the spatial structure can be said to be immediately related to the movement of visitors in the exhibition space. In other words, understanding the movement of visitors in response to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museum means that it can provide important clues to suggest specific alternatives in terms of architectural planning. Various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top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ion space and the correl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visitors through the preceding studies conducted so f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diversity of visitors' movement according to the structural form of exhibition space in terms of the correlation between museum exhibition space structure and visitor experience.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method was divided into the analysis of the exhibition space structure and the visitor survey, and the correlation was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ion space, Space Syntax analysis method was used. The above analysi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movement of visitors suggests that diversity can be induc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chitectural space that forms the structure of exhibition space. The various movements of the visitors mean that various patterns of movement can occur when the route selection is varied within an easy-to-understand environment of the exhibition space. In other words, the exhibition environment that is easy to understand overall exhibition space can induce diversity of viewing patterns. Second, the composition and circulation distribution of the Major Space of the museum confirmed that it played a crucial role in forming the structure of the exhibition space to form various visitor movements. The Major Space of the museum serves as an important hub for the overall movement of the viewer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visual perception. Also, it can be seen that the composition of the Major Space is constructed to create a selective viewing system, which induces a variety of viewing patterns according to the viewer 's choice.

      • KCI등재

        도시문화공간으로서 채플힐공공도서관의 헤테로토피아적 특성분석

        정낙현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20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69

        Heterotopia is a representational space of non-mainstream. Therefore, it is not a recognized space, but a space created by the experience of citizens. This study presupposes that Chapel Hill public library has heterotopia characteristics. And the positional meaning was utilized for spatial analysis of heterotopia. First, we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of Heterotopia of urban cultural space through literature. Second, we searched at the definition of positional meaning. And we looked at the three semantic reactions of the positional meaning. This is a visual relationship, an approach relationship, and a belonging relationship. Third, we investigated the general overview of Chapel Hill Public Library and its program and space composition. Fourth, the positional meaning of Chapel Hill Public Library was analyzed in six scenes. Through this, we looked at the Heterotopia characteristics of Chapel Hill Public Library. As a result, Heterotopia characteristics were found in six scenes of Chapel Hill Public Library. Heterotopia characteristics were oriented toward overcoming homogenization in the mainstream space, Nonhierarchy efforts against hierarchicaliz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totality of fragmented individuals.

      • KCI등재

        RCR Architects 건축의 공간구성에서 나타나는 위상학적 유형과 건축적 특성 분석

        정태종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21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75

        To provide the basic architectural design information with characteristics of spatial configuration in RCR Architects’ architectural works, this research analyzed RCR Architects’ 24 projects according to the spatial configuration with its relationship and the characteristics of diverse architectural design tendencies, and categorized them by topological typ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ed. First of all, there are the established concepts of RCR Architects’ architectural design such as placeness, regionalism, communication with nature, symbiosis, and harmony & equilibrium based on architectural phenomenology. The second one is that topological design types in RCR Architects’ architectural works can be classified with spatial, programmatic, and visual penetrations, indoor and outdoor voids, landscape architecture, and folding with architectural elements. Lastly, the main tendency of RCR Architects’ design is phenomenological atmosphere through natural elements, but they attempt to combine with complexity architecture and diverse topological design methods. RCR Architects’ design can be comprehended as the multidisciplinary combination with architectural phenomenology, complexity architecture, and architectural topology and it can be a cutting edge tendency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