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교회 내 목회상담 현장에서 나타나는 경계문제와 접근 방안에 관한 연구

        이순기 ( Soonki Lee ) 한국목회상담학회 2016 목회와 상담 Vol.26 No.-

        한국교회 내에 위치한 상담소에서 교회의 교인이면서 내담자인 사람이 상담을 받았는데 비밀보장과 경계문제 때문에 교회를 떠나는 일이 발생했다. 다른 사람은 교회의 상담전담 목사이면서 부목사로 교구도 맡고 있는 사람에게 상담을 받았는데 교회에서 마주칠 때마다 만나기를 꺼려하여 계속해서 피해 다녔다고 한다. 이러한 경향은 한국교회 내 목회상담의 현장에서 심심치 않게 발견된다. 그 이유 중의 하나는 한국의 목회상담자들이 목회상담의 형식과 방법을 한국으로 도입할 초창기에 그 이면에 숨겨져 있었던 문화적인 의미와 역사적인 배경을 철저히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서양을 대변하는 미국과 한국의 서로 다른 두 문화를 비교함으로써 한국의 교회 내 목회상담 현장에서 왜 이러한 경계문제가 발생하는지 그리고 이것은 어떻게 다루어져야 하는지 살펴보았다. 권수영의 “관계적 경계”와 임마누엘 라띠의 “상호문화적 접근”을 비판적으로 사용하여 한국교회 내 목회상담의 현장에서 발생하는 경계문제에 접근해 보았고, 이를 통해 한국교회 내 상담소에서 경계문제가 발생했다고 해서 단순히 교회와 분리된 목회상담을 수행하는 것이 다가 아님을 살펴 보았다. 교회와의 포괄적 동반자관계가 목회상담의 정체성을 잃지 않는 비결이 되며 또 하나님과 교회 공동체를 떠나서는 목회상담을 정의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한국교회 내에서 목회상담을 창의적으로 유지하는 방법을 직접적으로 찾아 보고자 했고 또 목회상담 윤리교육을 강화함으로써 경계문제에 간접적으로 접근하는 방법도 간구해 보았다. In the case of pastoral counseling taken in the counseling center within the Korean church, a client (who is a church member) left the church due to confidentiality and boundary issues. After counseling sessions, in another case, he or she tended to avoid the pastoral counselor (who is a pastor of the church). These particular patterns have been reported in the field of pastoral counseling within the Korean church. One possible reason is that pastoral counseling’s form and method have been imported without properly defining their cultural meanings and historical background, which are hidden. At the same time, Korean pastoral counselors should have investigated their own cultural and historical background. Thus, the examination seeks to determine why boundary issues are occurring in the counseling center within the Korean church and how this should be handled after comparing the two different cultures. Specific boundary issues in the context of Korean pastoral counseling are dealt with critically using Soo Young Kwon’s “relational boundary” and Immanuel Lartey’s “intercultural approach.” Even if a counseling center within a church creates boundary issues specifically, going outside the church might not be the answer. A comprehensive partnership with the church is a key to not losing the identity of pastoral counseling and, in fact, pastoral counseling is not defined without God and the church community. This thought is based on how Korean pastoral counseling has been settled in the Korean context historicall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any counseling center within the church must be maintained creatively and counseling ethics must be emphasized to approach the boundary issues indirectly.

      • KCI등재

        한국목회상담의 변화와 역량 강화를 위한 제언

        여한구 한국목회상담학회 2023 목회와 상담 Vol.41 No.-

        본 연구는 한국의 변화하는 상담 환경에서 목회상담의 변화에 관한 적응 및 역량 강화를 위한 제언이다. 상담의 공적 역할에 대한 요구가 커지면서 상담사의 국가자격 추진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이에 변화하는 상담 환경을 이해하고 한국 상담의 발전에 핵심 역할을 해온 목회상담의 위상과 가치, 그리고 미래를 위한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목회상담에서 중추적 역할을 해 온 한국목회상담협회 40년을 돌아보면서 목회상담의 변화를 살펴본다. 또한 현재 한국 교회와 목회상담의 변화에 따른 당면 과제에 대응하고 본질과 가치를 탐색하여 변화에 적응하고 변화된 환경에서 역량 강화를 위한 제언이다. 연구는 목회상담의 변화와 목회상담 역량 강화를 위한 조직 변화, 그리고 당면 과제인 국가 자격 추진에 따른 목회상담의 전문성 변화를 중심으로 제언한다. 이에 한국 목회상담을 이해하고 미래에 대한 전망과 과제를 논의하기 위해 변화에 대응하는 구조적이고 기술적인 접근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변화 역량을 위한 목회상담의 변화 필요성을 목회상담의 용어 개념, 상담사의 자격, 그리고 변화 과제로 제시한다. 목회상담 역량 강화를 위한 조직 변화로 법인 설립, 목회상담과 조직역량 강화, 그리고 관련 조직의 역량과 전문성 강화를 중심으로 변화와 미래의 가치를 탐색한다. 본 연구의 결과 목회상담의 변화와 역량 강화를 위해 개방적 정체성을 정립할 것을 제안하며, 공적 역할을 할 수 있는 법인을 구성하여 구조적 역량을 강화하는 방안과 국가자격 추진 논의로 촉발된 상담 환경의 변화에 대한 목회상담의 전문성 강화에 대한 방안을 제안한다. 본 연구를 통해 여러 형태로 세분된 목회상담의 세부 영역을 통합하여 급변하는 상담 환경의 변화에서 목회상담의 가치를 세우고 미래를 전망하고 발전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proposes ways for pastoral counseling in Korea to adapt to the changes and enhance its capacity. To this end, this study looks back at the 40-year history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astoral Counseling and examines the changes in its identity. Further, this study suggests addressing challenges caused by changes in current Korean churches and pastoral counseling, adapting to change by exploring the essence and value and strengthening the capability of pastoral counseling in the changed environment. The suggestions are focused on the changes in the identity of pastoral counseling, organizational changes to strengthen capability, and changes in professionalism in accordance with national qualifications. A structural and technical approach to understanding Korean pastoral counseling is advised to respond to change and discuss its future outlook and challen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encourage the establishment of an open-minded identity and a legal entity for public roles to strengthen both the capability and structural capability of pastoral counseling. Furthermore, the results propose strengthening pastoral counseling professionalism to respond to the changes in the counseling environment triggered by the debate on national qualifications. With an approach that views the subdivided areas of pastoral counseling as a “whole,” the study sets up the value of pastoral counseling in a rapidly changing counseling environment, looks to the future, and looks forward to active and diverse discussions about further improvement.

      • KCI등재

        한국 문화에 관한 목회상담의 국내 연구동향 분석

        KIM SOO YOUNG SUE 한국목회상담학회 2023 목회와 상담 Vol.41 No.-

        이 연구는 2000부터 2022년까지 목회상담 연구물이 게재되는 학술지들을 조사하여 한국 문화의 특성에 관심을 둔 91편의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연구 연도와 분포 유형, 연구 주제, 연구 방법에 관한 동향을 살펴보았다. 2010년을 기점으로 한국 문화를 목회상담과 접목하려는 노력은 확연히 증가하였으며 학술지 「목회와 상담」이 한국 문화와 관련된 연구를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0년부터 2022년까지 한국 문화와 관련한 목회상담의 연구물의 주제의 동향은 집단심리(32.9%)와 관련한 연구물이 가장 전체 많았고, 개인심리(17.6%)와 문화(18.7%), 종교(13.2%), 그리고 기타(17.6%) 연구가 비슷한 비중으로 발표되었다. 연구 주제들은 전체 열아홉 가지 주제에 걸쳐 골고루 분포되어 있음도 확인할 수 있다. 학계에 잘 알려진 한이나 정 외에도 삭임, 흥, 갑질, 반공 히스테리, 여성 조상을 통한 여성 심리, 틈, 이한열, 제주도, 설화, 고전소설, 현대소설, 삼일운동, 세월호 등 사상이나 역사, 인물, 지리, 문학의 범주에 걸쳐 다채로운 주제들이 연구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한국 문화와 관련한 목회상담에서 가장 높은 빈도수를 자치하면서 광범위하게 다루어진 주제로 유교와 그 영향력이 드러났다. 한국 문화와 관련한 목회상담의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보다는 이론을 탐색하는 문헌연구에 치중되어 있으며(90%), 그중 학제간 연구(37%)와 심리상담적 연구(35%)가 대부분이었다. 이 연구는 서구 심리학과 목회상담학에 의존하려는 경향에서 벗어나 한국 문화라는 특수성을 인식하려는 노력이 미세하나마 진전되고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실천적 측면에서 토착화 신학의 재점화 가능성의 그 주체로서 목회상담의 역할을 조명하였다. 특히 현실을 살아가는 기독교인들의 문화적 습관과 태도에서 유교적 가치관의 영향을 주목하고 삶의 습관과 태도에서 기독교를 독특한 삶의 형태로 융합해 내고 있었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이 연구는 목회상담이 한국 문화의 특수성을 밝히는 다양한 주제의 탐색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하며 학제 간 연구방법에 대한 학술적인 토론과 공론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목회상담이 토착화 신학의 실천적 의미와 자리를 규명하는 역할을 위해 경험적인 연구방법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과 함께 삶의 의미를 신학적 성찰로 연결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는 점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91 research papers focused on pastoral counseling in the context of Korean culture,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from 2000 to 2022. It investigated trends in research years, distribution types, topics, and methods. Since 2010, efforts to integrate Korean culture into pastoral counseling have noticeably increased, with the journal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taking a leading role in research related to Korean culture. The predominant research topics in pastoral counseling were group psychology (32.9%), followed by individual psychology (17.6%), culture (18.7%), religion (13.2%), and other topics (17.6%), with a fairly equal distribution across these categories. These research topics spanned a wide range of subjects related to history, individuals, geography, and literature, including Confucianism, rituals, shamanism, oppression, anti-communism hysteria, women’s psychology through female ancestors, Yi Han-yol, Jeju Island, folktales, classical literature, contemporary literature, the March 1st Movement, and the Sewol ferry incident. This research revealed that Confucianism and its influence were the most frequently and extensively studied topics related to the Korean culture in pastoral counseling. The research methods focused predominantly on literature review (90%) for theoretical exploration, with interdisciplinary research (37%)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research (35%) being the most common approaches. This study demonstrated a shift away from a tendency to rely on Western psychology and pastoral counseling in favor of recognizing the specificity of Korean culture. It highlighted the practical aspects of a potential revitalization of indigenous theology, shedding light on the role of pastoral counseling as a key agent in this process. Significantly, it was observed that Confucian values have been incorporated into the cultural habits and attitudes of Christians living in reality, uniquely shaping the Christian life. This study emphasizes the continual effort to explore various topics revealing the uniqueness of Korean culture in pastoral counseling, necessitating scholarly discussions and public discourse on interdisciplinary research methods. Furthermore, it suggests the need for more active utilization of empirical research methods to clarify the practical significance and position of pastoral counseling in indigenous theology, as well as efforts to connect the meaning of life with theological reflection.

      • KCI등재

        목회상담학의 최근 연구동향: 「목회와 상담」게재논문 분석(2001~2016)

        장미혜 ( Jang Mi Hye ),정연득 ( Jeong Youn Deuk ) 한국목회상담학회 2017 목회와 상담 Vol.28 No.-

        본 연구의 목적은 목회상담학의 최근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앞으로 나아갈 연구방향을 제언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목회상담학의 잠재적인 연구영역을 발견하여 앞으로의 목회상담 연구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한국교회와 한국사회를 위한 목회상담학 연구를 촉진시키는데 공헌하고자 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한국목회상담학회가 발행하는「목회와 상담」에 2001년부터 2016년까지 게재된 연구논문 250편을 분석하였다. 연구자는 연구대상으로 수집된 각 논문내용을 제목, 초록, 키워드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접근방법으로 분류하였다. 그동안 「목회와 상담」의 게재논문에서 다루어진 연구주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연구자들은 250편의 논문을 17개의 하위범주로 분류했다.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연구주제는“목회상담”과“정신역동”이었다. 두 주제는 전체 논문에서 42.8%를 차지하였다. 연구대상에서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항목은“목회상담”,“ 신앙공동체”,“ 신앙자원”이었고, 전체논문에서48.0%를차지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목회상담연구에 사용된 연구접근방법을 분석하였는데,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접근 방법은 전체 논문의 40%를 차지한 심리학적 접근방법이었다. 그 다음 순위가 17.2%를 차지한 성서·신학적 접근방법이었다. 특별히 성서·신학적 접근방법에서는 여성주의 목회상담이론이 강세를 보이고 있었다. 이는「목회와 상담」에 여성 목회상담학자들의 참여율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와 상관있는 결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본 연구는 그동안 「목회와 상담」의 게재논문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진 학자들의 이름을 조사하고, 심리학, 신학 및 철학, 목회상담 및 종교심리학의 세 분야로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국 목회상담 연구의 발전방향을 논의하였다. 목회상담의 패러다임의 확대는 목회상담에서 다루어지는 연구주제에도 확장을 요청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앞으로의 목회상담 연구가 문화적 다양성을 추구하며, 지역교회와의 소통을 위해 보다 적극적 관심을 가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목회상담연구는 삶의 정황에서 출발하는 연구로서, 구체적 사례를 일반화 해 나가는 방향성을 지양하고 국소적으로 작은 것이 가진 의미를 발견하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목회상담의 연구대상은 보다 세분화되고 구체적일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목회상담의 연구접근 방법이 이론 연구 외에 다양한 연구방법론의 시도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the current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and examines potential research areas as well as neglected areas in the field. Therefore, we expect that it will facilitate further discussions of the study and practice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The trends were identified by an intensive review of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KJPCC) from 2001 to 2016. Overall, 250 research articles were identified and classified into three content categories: research topics, research objectives, and research approaches, which were derived from the previous studies. In terms of research topics, the 250 identified articles were coded into 17 categories. The most popular topics were “Pastoral Counseling” and “Psychodynamics.” These two topics accounted for 42.8% of the articles published in KJPCC. The study also found that “Pastoral Counseling,” “Faith Community,” and “Spiritual Resources” were the frequently preferred research objectives. These three objectives accounted for 48.0% of the articles published. Moreover, this study collected a list of scholars` names cited in the published articles and categorized them into three areas that include Psychology, Theology & Philosophy, and Pastoral Counseling & Religious Psychology. I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recommend a paradigm shift in Korean Pastoral Theology and identify a potential future research direction for KJPCC. This study outlined that the study and practice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must consider pursuing cultural diversity, communicating with local congregations, and focusing more on unique outcomes discovered from specific cases that includes the reality of life rather than general cases. For that, this study suggests that framework broader range of research methodologies and theoretical frameworks be used in the research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 KCI등재

        목회상담, 그 개혁의 목소리: Bonnie Miller-McLemore의“살아있는 인간망”으로 성찰한 한국목회상담의 역할

        정푸름 ( Chung Pooreum ) 한국목회상담학회 2018 목회와 상담 Vol.31 No.-

        이 논문은 지금 이 시대에 목회상담을 한다는 것은 무엇일까를 고민하는 논문이다. 한국목회상담협회와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가 공동주최한 2017년도 학술대회에서 기조 강연 강사로 나선 바니 밀러-맥니모어(Bonnie J. Miller-McLemore)는“살아있는 인간망”으로 한국목회상담의 역할을 성찰하며,“ 살아있는 인간망”이라는 목회신학패러다임을 적용하고 한국교회와 사회를 조망하여 이에 목회상담은 어떤 목소리로 응답할 것인지를 연구 발표하였다. 밀러-맥니모어의“살아있는 인간망”이 우리 목회상담과 목회상담이 뿌리내리고 있는 교회와 사회에 던지는 메시지는 무엇인지, 어떤 관점을 제공하는지 고찰해봐야 한다. 한국의 목회상담은 매우 개인 중심적으로 펼쳐지고 있다. 밀러-맥니모어는 개인 중심의 상담에서 벗어나 개인이 처한 상황에 대한 관심으로서의 목회상담을 이야기하는데, 현재 한국적 목회상담은 아직도 매우 개인 중심적이다. 목회상담은 공동체 중심의 움직임이라고 여겨지기보다는 개인의 감정정화와 인식의 전환, 그리고 행동 변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더 큰 사회와 교회의 조직 안에서 개인이 받을 수밖에 없는 영향에 대해서는 충분히 다뤄지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또한 종교개혁의 전통 아래 있는 교회와 그 신학에 기반을 둔 목회상담은 항상 개혁적인 목소리를 담당해왔다. 밀러-맥니모어가 “부적절한 신학”이라고 칭하는 의미는, 교회와 신학이 충분히 삶의 현상들을 설명해내지 못했다는 것이라며 주장하기를 그 신학의 빈자리를 채우며 전통과 기존의 견고한 제도에 도전하고 개혁의 목소리를 내온 것이 바로 목회상담이라는 것이다. 목회상담이 지금 이 시대에도 그 역할을 이어갈 것을 이 논문은 주장하고 있다. 이를 위해, 밀러-맥니모어의“살아있는 인간망”의 개념과 의미를 이해하고, 목회상담의 개혁성을 논의하며, 목회상담의 개혁적 목소리 중심에는 목회상담이 갖는 인간이해가 있었음을 주장한다. 목회상담이 개혁의 목소리를 낸다는 것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제시한다. 먼저, 개인심리적인 차원과 사회구조적인 차원을 통합적으로 탐색해야 한다. 개인적인 측면이 우리의 정신적인 건강에 지대한 역할을 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지금까지의 목회상담이 정신역동과 개인중심적인 인간 이해에 집중했기에 구조적인 차원의 문제를 올바르게 이해하지 못하는 실수를 범했다. 다음으로, 권력관계에서 소수에 목소리에 귀 기울여야 한다. 구조 안에서 희생되는 약자에 대해, 그들이 내지 못하는 목소리를 알아차리고 대변할 수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인간과 공동체에 대한 신뢰와 희망이다. 목회상담에서의 개혁적 요소는 항상 그 중심에 인간에 대한 신뢰와 그들이 속한 공동체가 존재했다. 목회상담은 이러한 개혁적 전통을 이어갈 수 있어야 한다. This article deals with doing the performance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in the present context. Through In her keynote speech at the annual conference of the Korean Pastoral Counseling Association in 2017, Bonnie Miller-McLemore presented her concept of the a living human web, reflecting the role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in the context of Korean churches and the society, and on how Korean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will should respond. It needs to be thought through as ofWe need to think through what Miller-McLemore is inviting us to consider. Korean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is mainly focused mainly on individuals. Rather than having communal focus,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is focused on an individual’s emotive, cognitive change, as well as behavioral change. It does not sufficiently emphasize enough the social systems and the church, along with the voices that exists. Pastoral theology has developed under the reformation theology; thus, it contains and shares the reformative perspective.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overall has given voices to those who struggled with their personal and social experiences without a language to use in traditional church and theology to provide.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has been the act of reformation against the traditional church and theology. Therefore, this article argues that this reformative act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be carried on and further developed thorough keeping a balanced search between internal psychology as well asand social systems, listening to the voices of the powerless, and having consistent personal and communal trust.

      • KCI등재

        평신도를 위한 한국적 목회돌봄 연구: 자기 내어줌과 안아주기

        KIM SOO YOUNG SUE 한국목회상담학회 2024 목회와 상담 Vol.42 No.-

        이 연구는 한국적 목회돌봄의 특성에 대한 탐구이다. 북미에서는 목회돌봄의 의미와 역할이 공동ㄹ체적 상황적 패러다임으로 진행되었고, 이러한 변화를 제시한 존 패튼의 책이 한국에 소개된지 20년이 지났다. 그러나 한국 교회의 목회돌봄은 여전히 고전적 패러다임의 특성이 강하며, 임상 목회적 패러다임이 활발히 진행되는 가운데 평신도 목회돌봄사역자의 역할은 조명 받지 못하고 있다. 그리스도인의 신앙공동체가 세상을 향해 목회돌봄을 수행한다는 패튼의 공동체적 상황적 패러다임은 한국적 상황에서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가?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이 연구는 공동체적 상황적 패러다임을 이루는 평신도의 목회돌봄 형태가 한국 상황에서는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신학적 성찰을 진행했다. 이를 위해 필자는 평신도가 주축이 된 목회돌봄 신학의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한국 문화에서 평신도가 주체가 되어 목회돌봄을 수행한 세 사례로 개신교 형성 초기의 서서평 선교사, 1980년대의 원종수 권사, 그리고 2020년대의 한 평신도의 사례를 탐구하였다. 사례를 분석하기 위해 미로슬라브 볼프의 포옹의 신학, 기독교 영성의 환대 개념, 그리고 도널드 위니컷의 안아주기 개념과 대화를 시도하였다. 이 연구는 평신도가 주체가 되어 수행되어 온 한국적 목회 돌봄의 특성을 희생이나 헌신의 개념이 아닌 자기 내어줌과 안아주기의 신학적 개념과 연관하여 제시하였다. 세 명의 사례는 타자를 위해 내면의 중심을 내어주고 기꺼이 시간과 물질과 육체를 소진하면서 겸손히 환대하여 연결된 삶을 이루는 평신도 목회돌봄의 실제를 조명하였다. 자기 내어줌과 안아주기의 실천은 급변하는 한국의 근현대 역사에서 정치적 폭압, 굶주림, 소외와 외로움으로 고통 받는 사회를 향한 공동체적 상황적 목회돌봄의 한국적 특성이다. 이 연구는 평신도를 목회돌봄의 주체로 세우기 위한 실천의 여정에 이정표이자 평신도 돌봄 교육을 위한 자료로서 역할 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research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pastoral care in a Korean context. In North America, the meaning and role of pastoral care have evolved into a communal-contextual paradigm, and it has been 20 years since John Patton's book, which proposed these changes, was introduced to Korea. However, pastoral care in Korean churches still predominantly exhibits characteristics of the classical paradigm; the clinical paradigm actively progresses, while the role of lay pastoral caregivers remains obscure. How does Patton's communal-contextual paradigm, which suggests that Christian communities perform pastoral care worldwide, unfold in the Korean context?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study examines how the forms of pastoral care led by laypersons are practiced in Korea and offers theological reflections. To achieve this, the author suggests the necessity of pastoral theology centered around laypersons and investigates three cases of pastoral care led by laypersons in Korean culture: Elisabeth Johanna Shepping, a missionary during the formation of Korean Protestantism; Won Jongsu in the 1980s; and a layperson from the 2020s. To analyze these cases, the study attempts a dialogue between Miroslav Volf's theology of embrace, the concept of Christian hospitality, and Donald Winnicott's notion of holding. The research highlights two characteristics of Korean pastoral care led by laypersons: self-giving and holding. The three cases illustrate lay pastoral care that selflessly extends inner resources, time, material, and physical efforts in humble hospitality, fostering connected lives. The practice of self-giving and holding embodies the communal-contextual aspect in modern Korean history of pastoral care towards a society undergoing rapid changes and experiencing political oppression, hunger, alienation, and loneliness.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 milestone in the journey toward raising up laypersons as the primary agents of pastoral care.

      • KCI등재

        한국여성의 수치심에 대한 목회상담학적 연구: 심리학적·신학적 고찰 및 목회적 돌봄의 전략을 중심으로

        임정아 한국목회상담학회 2019 목회와 상담 Vol.32 No.-

        This paper is a study of Korean women's shame from the perspective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It investigates the psychological and theological aspects of Korean women's shame. Its study probes for strategies for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in the Korean context. From this study, shame that is more directly linked with human self-respect than any other emotions is argued to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sociocultural factors as well as personal ones. Therefore, for the healing of Korean women's shame, personal and structural approaches are needed. Traditionally, Korean society and culture have forced women to accept shame through the religious and family system. Women have lived to deny their own femininity and to think of their body as impure. For the healing of Korean women's shame through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I propose that each local church should be a kind of alternative family system for Korean women who have suffered within the patriarchal family system. As a result, five strategies are suggested for pastoral care in the Korean context pastoral care through empathy and mirroring, pastoral care through deconstructive listening to the story and reinterpretation it, pastoral care through the local community, pastoral care through religious experiences, and finally, pastoral care through designing a change to church structure. 본 논문은 한국여성의 수치심에 대한 목회상담학적 연구로서, 한국여성의 수치심에 대하여 심리학적, 신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하고, 고찰의 결과를 한국의 목회상담 및 목회적 돌봄에 구체적으로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 모색해보기 위한 것이다. 필자는 본 연구를 통해, 다른 어떤 감정들보다도 인간의 자기존중과 가장 직접적으로 맞닿아있는 수치심이 단순히 개인적인 차원의 감정이 아닌 사회문화적 요인과 밀접하게 연관되어있는 감정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한국여성의 수치심을 치유하기 위해서는, 개인적 차원의 접근방법과 함께 개인에게 수치심을 조장하는 한국의 사회문화에 대한 구조적 차원의 접근방법이 수반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한국의 전통적인 사회문화는 종교 및 가족체계를 통해 여성들에게 수치심을 조장하고 강요함으로써, 여성들로 하여금 자신의 여성성을 부인하고 자신의 몸을 폄하하면서 살아가도록 한 측면이 있다. 그러므로 한국여성의 수치심을 치유하기 위하여, 필자는 각 지역교회들이 그동안 가부장적 가족체계 속에서 고통당해온 한국여성들을 위한 일종의 대안적 가족체계가 되어주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한국여성의 수치심 치유를 위한 목회적 돌봄의 전략으로서, 공감에 기초한 목회적 돌봄의 제공, 죄책감의 신학에서 수치심의 신학으로의 신학적 전환, 교회 자체가 또 하나의 대안적 가족공동체로서의 기능을 제공, 영성을 통한 수치심의 치유, 교회의 구조적 변화를 도모하는 목회적 돌봄의 제공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위드 코로나 시대 새 목회적 돌봄 모델로서 ‘텃밭정원’ 생태요법 연구

        정다은 한국목회상담학회 2023 목회와 상담 Vol.40 No.-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pose ‘Edible Garden (Teot-Bhat-Jeong -Won)’ Ecotherapy as a new pastoral care model in the era of ‘Living with COVID-19’, a time when social depression is said to be on the rise due to the unexpected continuation of the economic recession and the gap between people in their daily lives. Given this background, the study organizes the pastoral theological direction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at COVID-19 was caused by the destruction of an ecosystem, which is attributed to anthropocentrism. A new pastoral care model attempts to recover the original Christian ecological view, in which the ecosystem and human beings are closely inter-independent on each other. To this end, the researcher proposes Ecotherapy, which was first suggested in the 1990s by a prominent pastoral counselor, Howard Clinebell, as a suitable theory for the new pastoral care model in the era of ‘Living with COVID-19’. Ecotherapy leads to self-care through the experience with nature, to the care of the soul in contact with the spirit of God that is the source of life energy in nature, and to the care of the earth. Ecotherapy understands the cause of COVID-19 in the ecological context. It views the ecosystem as an object of care because the health of the ecosystem is the well-being of human beings. Lastly, this study presents the practice of ‘Edible Garden (Teot-Bhat- Jeong-Won)’ Ecotherapy, which involves a Korean ecological spirituality based on Pungsu ideology and the eco-friendly farming culture of Korea. The edible garden can help individuals practice self-care through gardening activities. It recalls the metaphorical language of the Bible related to gardening and discovers natural objects as a new metaphor for God, who nurtures and creates every life. Also, ‘Edible Garden (Teot-Bhat-Jeong-Won)’ contributes to the recovery of the urban ecosystem and can be used as an eco-educational resource for various environmental and justice issues such as the food carbon footprint, soil pollution, and most conventional agriculture problems. As a specific example of ‘Edible Garden’ Ecotherapy, the study proposes a group program for Christians called “Care for life in the era of ‘Living with COVID-19’, healing mind and nature in the edible garden”. 본 논문은 2019년 발발하여 인류 문명과 한국 사회에 갑작스러운 변화를 초래했던 코로나19 시기의 한국 목회상담 연구들을 돌아보며, 위드 코로나 시대 새 목회적 돌봄 모델로서 ‘텃밭정원’생태요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지금은 코로나19가 일상적인 것이 되었으나, 코로나19 발발 직후부터 상당 기간 갑작스러운 질병의 위협과 사회적 거리 두기 등으로 사회 전반에 걸쳐 우울감(“팬데믹 블루(pandemic blue)”)이 상당하였다. 이러한 여파는 위드 코로나 시대로 진입한 현재에도 여전히 사람들의 심리에 영향을 주며 목회적 돌봄을 요청하고 있는 바이다. 이에 연구자는 바니 밀러-맥르모어(Bonnie Miller-McLemore)의 ‘살아있는 인간관계망’ 관점에서 코로나19 사태 원인을 인간중심주의와 생태계 파괴에서 찾는 목회 신학적 성찰을 바탕으로, 기독교 본연의 생태적 창조론 회복을 비전으로 삼는 새 목회상담 모델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목회 신학적 방향성에 부합한 심리치료 이론으로 연구자가 주목한 것은 미국 현대목회상담 운동의 중흥기적 인물인 하워드 클라인벨(Howard Clinebell)이 1990년대 발표한 생태요법이다. 그의 생태요법은 자연과의 경험에서 치유되는 자기 돌봄이, 자연 속 생명 에너지의 근원이 되시는 하나님의 영과 접촉하는 영혼 돌봄으로 이어지며, 자연을 보호하고 회복하려는 동기를 주며 지구 돌봄으로 나아간다는 순환적 원리에 기반하고 있다. 또 생태요법은 인간 고통 원인을 생태적 맥락에서 이해하고, 인간과 생태계의 상호의존적 관계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지구 돌봄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기독교의 생태적 창조론의 세계 이해와 청지기적 사명 이해에도 부합하였다. 따라서, 연구자는 본 이론을 중심으로 위드 코로나 시대의 새 목회적 돌봄 모델을 구성하려 하였다. 생태요법을 한국 정황에 맞게 재구성하기 위해, 연구자는 한국의 생태 친화적 농경문화와 한국적 생태 영성을 내포한 ‘텃밭정원’을 치유자원으로 삼고 ‘텃밭정원’ 생태요법을 위드 코로나 시대의 새 목회적 돌봄 모델로 재구성하였다. ‘텃밭정원’ 생태요법은 텃밭 활동과 정원 치유를 통해 인간 내면을 치유하며, 작물을 키우는 ‘빛, 땅, 물’로 은유화되는 생명의 근원 되신 하나님을 계시하며 인간 영혼을 돌본다. 또한, ‘텃밭정원’은 도시 생태계 회복에 이바지하고 농업과 관련된 여러 환경 문제를 교육하는데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어 지구 돌봄도 실현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기독교인을 대상으로 한 ‘텃밭정원’ 생태요법 프로그램을 구체적으로 구성해보고 본 프로그램의 목회상담적 함의를 고찰하였다.

      • KCI등재

        목회상담에서의 상관관계적 방법에 대한 비판적 재고: 칼 바르트(Karl Barth) 신학의 관점에서

        이재현 ( Jae Hyun Lee ) 한국목회상담학회 2016 목회와 상담 Vol.26 No.-

        본 연구는 목회상담에 있어 임상경험과 신학의 대화를 도모하는 목회신학방법에 대한 논의이다. 최근 한국의 여러 목회상담학자들이 돈 브라우닝의 실천신학방법에 기초하여 임상목회신학의 방법론을 제시했다. 연구자는 그러나 브라우닝의 실천신학방법이 한국의 상황과 다른 미국의 현실 상황을 반영하는 신학방법으로 한국목회상담자들의 고민과 지향성을 담아내기에 부적합한 면이 있다고 생각한다. 브라우닝은 기독교신앙의 경계에 서서 기독교신앙과 세속적 대답 사이의 합리적 합의점을 찾는 데 주력하고 있는 반면 한국의 목회상담학자들은 여전히 기독교신앙 안에서 내담자의 삶 속에 현존하신 하나님을 발견하고 그의 실천에 동참하는 데 관심을 갖고 있다. 이런 견지에서 연구자는 칼 바르트의 신학이 오히려 그처럼 내담자와의 관계 속에서 하나님을 발견하고 그 하나님을 따르는 실천을 위해 더 적합한 안내도를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바르트 신학에 의거하여 우리는 내담자의 관계 속에서 공감적으로 만나게 되는 하나님을 하나님의 또 다른 자기계시방법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그와 같은 공감적 하나님 이해를 성경적 하나님 이해와 연결시키는 실천신학방법을 개발할 수 있다. 연구자는 또한 바르트의 신학적 관점이 도날드 캡스와 이상억이 제안한 미학적 목회상담의 관점 역시 포괄하는 시야를 제공한다고 믿는다. 미학적 목회상담의 관점이란 임상경험과 신학의 대화를 상호비판으로 보기보다는 심미적 종합으로 보는 관점으로 이것은 공감적 하나님 이해와 성경적 하나님 이해를 상호연결시키므로 내담자의 삶 속에 함께 하고 계신 하나님을 식별하고 그 하나님의 실천에 동참하는 새로운 상관관계적 방법과 일맥상통한다. 연구자가 본 연구를 통해 제안하는 실천신학의 방법은 상관관계적 방법을 바르트신학의 관점에 따라 재구성한 새로운 의미의 상관관계적 방법이다. This article offers a discussion of the pastoral theological method through which to guide dialogues between theology and clinical experiences, particularly in the practice of pastoral counseling. Recently, several Korean pastoral theologians have proposed clinical pastoral methods based on Don Browning’s revised correlational approach. My argument is, however, that Browning’s approach is not appropriate to contain Korean pastoral counselors’ inquiries and pursuits because it reflects the present situation and needs of American society. Browning’s correlational approach seeks to find a reasonable consent between Christian faith and secular answers, while Korean pastoral counselors are more concerned with discerning and following the God present and at work in clients’ lives. I have argued in this article that Karl Barth’s theology provides a better guide for discerning and following God in our pastoral practice because it enables us to identify the God experienced in our pastoral relationship as God’s analogical self-revelation. I have also argued that Barth`s theological perspective corresponds to Donald Capps’ aesthetical model of pastoral theology that understands dialogue between theology and clinical experience as aesthetic synthesis rather than mutual criticism. Finally, I have suggested, on the basis of Barth’s theology, a renewed correlational approach to pastoral theology in which we correlate our empathic/intersubjective discernment of God with biblical/ hermeneutical discernment of God to discern and follow the God present and at work in the client`s life.

      • KCI등재

        한국인의 종교심리와 목회상담-유교와 목회상담 -유교문화권에서 성장한 여성 목회상담자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유옥 한국목회상담학회 2007 목회와 상담 Vol.9 No.-

        전통적인 유교문화권에서 성장한 여성목회자가 상담자 역할을 병행하는 경우 사회의 이류(二流)시민으로 살아온 자만이 가질 수 있는 경험을 하게 된다. 이러한 경험을 통하여 여성 목회자로서의 상담자는 남성과는 질적으로 다르게 여성만이 지닐 수 있는 고유한 본성인 섬세함을 발견하게 되고, 그 섬세한 내적 경험의 소중함은 큰 자산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에 기독교가 전해진지 120여년이 흘렀지만 한국인의 신앙관 밑바탕에는 무속적인 신앙과 유교적인 문화가 흐르고 있음은 부정할 수 없는 현상이다. 특히 여성들은 남존여비의 엄격한 유교 전통에 억눌려 비참하리만큼 차별대우를 받았고 기독교의 복음이 전해진 이후에도 순종을 강조하는 목사님들의 설교에서조차 여성들은 어쩔 수 없는 가부장적 유교 윤리의 희생자 일수 밖에 없었다. 특히 한국의 전통적인 유교문화권에서의 가정이나 교육, 직장, 교회에 까지 만연해 있는 제도화된 성차별주의가 여성에게 있어서 문제의 주원인이 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인류 평등주의적 상담관계에서 내담자와 상담자가 비위계적이며 협동적이 되어 상담목표도 함께 설정하고, 상담과정과 기법에 대한 정보도 내담자에게 제공하며, 내담자에게 많은 질문을 할 수 있도록 권장함으로써 내담자가 치유적 변화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유교중심의 가부장적인 사회에서 무지와 가난으로 억압당하던 여성들에게 기독교 복음이 전해짐으로써 자주적인 한 인간으로 설 수 있도록 한 것은 참으로 놀라운 변화라 아니할 수 없다. 그러나 아직도 우리의 주변에는 유교적 풍토에 젖어서 여성 목회가 별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시대에 하나님께서는 여성목회자를 세우셨고 목회상담을 하도록 허락하셨다. 그런데 과연 여성목회상담자들은 자신들의 정체성에 대한 확신을 가지고 있는 것일까?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유교문화권에서 성장한 여성목회상담자들이 가지고 있는 정체성에 관해 살펴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