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른 주거공간의 공간경험디자인 체계에 관한 연구

        천하봉(Ha Bong Chun)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3 한국디자인리서치 Vol.8 No.1

        최근 라이프스타일의 다양화, 공유경제의 활성화에 따른 사회적 트렌드의 변화는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주거공간의 본질적 기능과 영역에 다양한 변화를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변화를 가져온 주거의 형태와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요인들을 분석하여 주거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생활공간을 정의하고, 통합된 생활공간에서 운영되는 콘텐츠 서비스를 통한 주거경험의 특성과 운영체계, 그리고 공간을 기반으로한 생활 플랫폼에서 경험디자인의 특성과 구현 체계를 유형화 하였다. 본 연구의 범위와 방법은 생활공간에서 경험디자인의 특성과 구현 체계에 대한 유형화를 위하여 첫째, 주거 형태와 라이프스타일 변화의 특성을 문헌조사와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하여 변화된 생활공간을 정의하고 둘째, 공간별로 분석된 공간경험디자인의 특성 요인을 바탕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 방향성을 구체화하였다. 셋째, 체계화된 공간경험디자인의 특성을 바탕으로 생활 플랫폼으로써의 구조 개념과 경험디자인의 구현 체계를 유형화하였다. 본 연구는 주거 공간에서 통합된 경험 구현을 위한 생활공간의 정의와 구현 체계에 관한 연구로 플랫폼으로써 공동 주택의 변화에 대한 방향성과 체계를 구체화하기 위한 접근이며, 연구 결과로 도출된 생활공간에서의 경험디자인 구현 체계를 기반으로 이론화될 수 있는 기본적인 틀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Recent social trends - the diversification of lifestyles, and revitalization of the sharing economy - has led to significant changes in the fundamental functions and residences, particularly in apartmen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fine an optimized residential space by analyzing housing forms and lifestyle change factors. The study further categorizes the characteristics and operation system in an integrated living space including the integrated experience design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 system for service content development and operation. The study scope and methods to classify the characteristics and systems of integrated experience design in integrated housing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housing forms and lifestyles were defined through literature and previous research. Seco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the study direction was established using the analyzed factors of space experience design. Third, the structure concept of living platforms and the systems for implementing experience design were classified using the actualized space experience design characteristics. This study focuses on the basic concepts and systems for implementing integrated experiences in residences. Subsequently, it approaches the direction and systems for changes in housing as a unified platform. This study provides a framework that can be theorized using the experience design system for living spaces derived from its results.

      • KCI등재

        실내디자인 분야의 실감형 콘텐츠(AR/VR/MR) 비교분석 및 활용방안

        이재명(Jae-Myung Lee),이용기(Yong-Ki Lee)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3 한국디자인리서치 Vol.8 No.2

        본 연구에서는 실내디자인 분야에서 고객과 발생되는 커뮤니케이션의 문제점과 기존 디자인 수정과정 및 피드백에서의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방식을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고 대두된다. 이에 본 연구는 실감형 콘텐츠의 기술과 동향, 콘텐츠를 활용한 국내/외 사례들을 살펴보고 실내디자인 과정에서의 콘텐츠의 필요성과 활용방안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분석결과 첫째, 가상의 디자인 솔루션으로 실시간 피드백과 더 나은 의사소통으로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디자인의 상세한 계획과 세부 사양 등을 통해 리소스(Resource)를 최소화하고 설계변경에 수반되는 부담과 비용, 시간을 완화 시켜준다. 셋째, 실감형 콘텐츠의 확장성을 위해 콘텐츠 관리 시스템(CMS)과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방식, 사스(SaaS) 기반의 퍼블리싱 에디터를 제공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공간 정보 보안법 규제를 완화하고 국가공간정보 기본법을 개정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실감형 콘텐츠 활용이 실내디자인 분야뿐만 아니라 건설 분야와 도시설계, 재난/재해, 교육 등 다양한 분야로의 기술확장에 질을 높이기 위한 연구개발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problems of communication with customers in the field of interior design and the method that takes a lot of time in the existing design modification process and feedback.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the technology and trend of realistic content, domestic and foreign cases using content, and presents the need for and utilization of content in the interior design proces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problems can be minimized through real-time feedback and better communication with virtual design solutions. Second, it minimizes resources through detailed planning and specifications of the design and alleviates the burden, cost, and time accompanying design changes. Third, a content management system(CMS), drag & drop method, and Software as a Service(SaaS) publishing editor should be provided for the scalability of realistic content. Lastly, there is a need to ease the regulations of the Spatial Information Security Act and to revise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This study presents the possibility of R&D to improve the quality of practical content utilization in various fields such as architecture, urban design, disaster, education, as well as interior design.

      • KCI등재

        서울시 환경위생차량 이미지개선을 위한 디자인프로세스 연구

        김학민(Kim, Hak Min)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0 한국디자인리서치 Vol.5 No.4

        본 논문은 2008년 수행된 서울시의 환경위생차량 디자인의 노후화를 개선하고 새로운 이미지를 제공하여 시민의 일상적 환경의 질과 환경미화원의 작업 안전성을 높임으로써 보다 새로운 문화가치를 가진 서울의 도시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의 과정에서 다양한 사례연구를 통해 세계 주요 국가와 도시들은 공공디자인의 영역을 통해 도시의 아이덴티티를 어떻게 만들고 있는지를 살펴보았으며, 서울시의 고유색을 바탕으로 한 컬러시스템의 적용과 차량의 오염도와 관리성을 반영한 새로운 디자인 프로세스의 개발은 도시정체성을 유지하면서도 환경위생차량의 이미지와 관리에 적합한 디자인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처럼 대상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목적에 부합하면서도 심미성을 갖춘 디자인의 결과물을 도출하는데 매우 중요한 프로세스라고 할 수 있다. 서울시는 새로운 환경위생차량의 디자인개발을 통해 국제적 위상을 갖춘 공공디자인의 도시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on the design process for improving the image of environmental sanitation vehicles in Seoul aims to improve the aging of the city s environmental hygiene vehicle design conducted in 2008 and provide a new image to help establish the city s urban identity with a new cultural value by enhancing the quality of citizens everyday environment and working safety of street cleaners. Through various case studies, major countries and cities around the world looked at how they were making urban identity through the areas of public design, and the development of new design processes that reflected the application of color systems based on Seoul s unique color and the pollution and manageability of vehicles was able to produce design results suitable for the image and management of environmental sanitation vehicles while maintaining urban identity. This systematic study of objects is a very important process for deriving the results of a purpose-built yet aesthetic desig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will be able to be reborn as a public design city with international status through the design development of new environmental sanitation vehicles.

      • KCI등재

        중국 시각디자인학과 명칭 변화에 따른 교육과정 연구

        이병주(Lee, Byoung Ju)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0 한국디자인리서치 Vol.5 No.4

        중국의 시각디자인 교육은 시대적으로 “도안(图案)”에서 “상업미술(商业美术)”으로, 또한 “장식미술(装潢美术)”에서 “평면디자인(平面设计)“, 그리고 오늘날의 ”시각전달디자인(视觉传达设计)“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학명’의 변경은 중국의 역사적 배경과 서구문화 사이의 문화적 충돌에서 비롯된 가치관의 변화를 반영한다. 중국 서적장정 전통의 색채가 강한 ‘장황미술(装潢美术)’을 의미가 같은 ‘ 장식미술’ 대신에 사용한 것은 그 단적인 예이다. 또한 오늘날 디자인교육의 특징인 디자인과 예술의 확실한 경계에 반해 ‘예술디자인’이라는 범주에서 평면디자인이나 시각전달디자인을 포함시키는 것도 중국만의 독특한 현상이다. 이러한 명칭을 보다 체계적으로 살펴본다면 교육의 이념과 방법, 교육 형태, 즉 수업의 내용 및 형식의 변화 발전 과정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관점에 시각디자인 교육의 명칭변화를 단초로 중국 시각디자인 교육의 패러다임 전환과 그것이 갖는 의미를 규정해봄과 동시에 향후 국내 시각디자인교육과 비교연구의 기초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China s visual communication design education has changed its name due to changes in the conditions of art education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social culture. Historically its primitive design has been made into commercial art, again from decorative art to graphic design, today s visual communication design. The change of academic name reflects the change in values resulting from the cultural conflict between China s historical background and Western culture. This is the case of Jianghuang art, which has a strong nuance of Chinese book binding tradition, instead of decorative art, which has the same meaning. It is also a unique phenomenon in China to include graphic design or visual transfer design in the category of art & design . The closer look at these names will reveal the ideas and methods of education, the form of education, the content of classes and the process of developing changes in forms. In this view, this paper aims to be the basic data of future domestic visual design education and comparative research while defining the paradigm shift of visual design education in China.

      • KCI등재

        데이터 기반 UX 디자인 교육을 위한 사례기반학습(CBL)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김서연(Seo Yeon Kim),이지현(Ji Hyun Lee)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3 한국디자인리서치 Vol.8 No.1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활용하는 것에 익숙해짐에 따라 디자인 산업 분야에서도 디자인 과정에서 데이터를 디자인 컨셉 창작의 재료로 활용하려는 시도가 많아지고 있다. 데이터는 보다 객관적인 인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디자이너는 데이터를 통해 올바른 방식으로 제품을 디자인할 수 있다. 최근 데이터 기반 디자인에 관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데이터 기반 디자인의 분류라고 할 수 있는 Data Driven, Informed, Aware 디자인의 개별적인 개념을 중심으로 진행된 연구들이 있으나 데이터 기반 디자인을 실무에서 활용하는 방식으로 분류하여 진행한 국내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데이터 기반 디자인 경험이 부족한 초심자의 경우 데이터 기반 디자인 방법을 구분하여 활용하는 것이 쉽지 않다. 본 연구는 데이터를 활용한 디자인이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가 데이터를 활용하여 의사결정하는 방법에 대한 마인드셋을 갖추고 정량 데이터와 의사결정 간의 관계성을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사례 기반 학습을 활용하여 초심자의 이해를 돕는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초심자도 쉽게 참여할 수 있는 사례지와 기준을 활용하여 데이터 기반 디자인의 프로세스와 유형을 학습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은 데이터 기반 디자인 초심자를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하고, 전문가 평가를 거쳐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은 초심자가 데이터 기반 디자인이 어떤 방식으로 시행되는지 이해하고 알아보는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s people get used to using various types of data, more and more attempts are being made to use data as a material for creating design concepts in the design process. Because data can provide more objective insights, designers can design products in the right way through data. Recently,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data-based design. There are studies focused on the individual concepts of Data Driven, Informed, and Aware design, which can be said to be a classification of data-based design, but domestic studies conducted by classifying data-based design in practice are insufficient. Therefore, it is not easy for beginners who lack data-based design experience to use data-based design methods separately. This study aimed to learn the relationship between quantitative data and decision-making by having a mind set on how users who are not familiar with the design using data make decisions using data. Case-based learning was used to design educational programs that help beginners understand, and case papers and criteria that beginners can easily participate in to help them learn the processes and types of data-based design. The educational program conducted education for beginners in data-based design, and verified its usefulness through expert evaluation. The educational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way for beginners to understand and find out how data-based design is implemented.

      • KCI등재

        시대별 음반시장에 따른 음반 패키지 디자인 변화 분석 : K-POP 음반 패키지 디자인과 MD구성품 중심으로

        김동배(Kim, Dong Bae),김민정(Kim, Min Jung)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0 한국디자인리서치 Vol.5 No.4

        본 연구는 음반 패키지 디자인의 변화 과정을 이해하고, 현재 출시되고 음반 패키지 디자인들을 통해 간략하게 굿디자인과 연관시켜 분석하여 소비자, 시제품, 문화, 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게 되는지 연구한다. 이에 대해 최근에 출시되 다양한 음반 패키지의 사례를 통해 주요 특징과 형태와 크기, MD구성품을 통한 패키지 디자인과 디자인적 마케팅 전략을 통해 굿디자인 요소로 해석하여 본 연구를 진행한다. 과거 음반 패키지 디자인은 단순히 내부 음반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됐다면 2000년대 이후 시각적인 상품성과 상징성을 나타내기 위해 기존과 다른 목적과 의미로 바뀌게 된다. 특히 2000년대 후반부터 아이돌 산업이 활성화되고 시각적인 콘셉트 및 디자인적인 요소들이 다양해지면서 외적으로 다양한 크기와 형태, 재질들을 통해 콘셉트 이미지에 따라 음반 패키지 디자인은 현재까지 새로운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현대에는 다양한 디자인적 기법을 통한 MD구성품을 접목함으로써 소장 가치성은 과거에 비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현대 음반 패키지 디자인은 굿디자인 측면에서의 강조 요소도 서로 상이하다. 특히 심미성과 독창성은 현재까지 공통적인 특징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기능성과 합목적성은 콘셉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This study understands the process of change in record package design, analyzes it in connection with good design through record package designs that are currently released, and studies how it affects consumers, prototypes, culture, and society. This study is conducted by analyzing the examples of recently released various record packages as good design elements through package design and design marketing strategies through major features, shapes and sizes, and MD components. If the past record package design was made for the purpose of simply protecting the inner record, after the 2000s, it changed to a different purpose and meaning to represent visual merchandise and symbolism. Especially since the late 2000s, as the idol industry has been activated and visual concepts and design elements have diversified, album package designs have emerged in a new form according to the concept image through externally various sizes, shapes, and materials. By incorporating MD components through techniques, the value of possession is increasing compared to the past. Therefore, the elements of emphasis in terms of good design are different from the modern album package design. In particular, aesthetics and originality appear to be common features so far, and functionality and purposefulness appear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oncept.

      • KCI등재

        인공지능 기반의 창의융합 디자인교육 프로그램 개발

        김지영(Kim, Ji Young)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1 한국디자인리서치 Vol.6 No.1

        4차 산업혁명 시대는 초연결, 초융합, 초지능의 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최근 인공지능은 다양한 분야와 함께 융합교육교과로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의 인공지능 기반의 창의융합 디자인교육 프로그램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창의융합 인재양성을 목표한다. 미래지향적 인재교육의 실천과 새로운 사회에 대비하는 새로운 학습방법을 개발하고 실생활에 확산할 수 있는 내용으로 인공지능 기반의 창의융합 디자인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인공지능 기반의 창의융합 디자인교육 프로그램은 중학생용, 고등학생용 각각 3차시씩 개발되었으며 핵심주제로는 데이터과학과 알고리즘을 중요 키워드로 다루고 최신 기술 분야와 예술을 다양한 방법으로 융합하여 흥미를 유도하는 STEAM 교육의 준거틀을 적용하였다. “구글 이미지검색은 어떻게 할까?”, “유투브가 인도하는 신기한 알고리즘 세계로 떠나자”의 “Hi-Ai STEAM”을 개발하여 학교 밖 STEAM에 적용하였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창의융합 인재양성을 목표로 한 인공지능 기반의 창의융합 디자인교육 프로그램 “Hi-Ai STEAM” 은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미래시대의 창의융합 인재교육의 실천과 새로운 사회를 대비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디자인 프로그램을 개발했다는 것과 둘째, 인공지능 기반의 디자인교육 프로그램 Hi-Ai STEAM 프로그램을 제시하여 빅데이터와 알고리즘과 같은 과학 기술의 이해를 디자인과 융합하여 쉽고 재미있게 교육이 이루어졌다는 것이며 셋째, 교육환경이 교실에서 이루어졌던 대면수업에서 비대면으로 전화되는 시점에 학생과 온라인 수업의 경험은 앞으로 온라인 수업의 활성화를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과학과 기술의 융합교육은 질적으로 수준 있는 프로그램과 콘텐츠의 개발, 개인 맞춤형 온라인 시스템을 구축해야 함을 제시할 수 있다.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a background of ultra-connected, ultra-converged, and ultra-intelligenc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has recently been developed as a convergence education curriculum along with various fields. The AI-based creative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program aims to foster creative convergence talent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developed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reative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program to develop new learning methods to prepare for future-oriented human resources education and to spread them in real life.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reative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programs were developed for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STEAM education was applied to attract interest by combining data science and algorithms with important keywords. We developed Hi-Ai STEAM for How to Google Image Search? and Let s Go to the Wonderful World of Algorithms guided by YouTube and applied it to STEAM outside of school. Hi-Ai STEAM,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reative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program aimed at fostering creative convergence talent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produc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we developed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design program to prepare for the future of creative talent education and a new society. Second, we presented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design education program Hi-Ai STEAM program. Convergence educ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an suggest the development of qualitatively high-quality programs and contents, and the establishment of personalized online systems.

      • KCI등재

        대학 캠퍼스 네거티브 공간디자인 특성이 학생들의 스트레스 회복에 미치는 영향

        류련(Lian Liu),강재철(Jae Cheol Kang)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3 한국디자인리서치 Vol.8 No.2

        본문에서 연구한 캠퍼스 네거티브 공간(負空間)은 심리적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학생들이 혼자 있거나 자살하거나 범죄를 저지르는 등 소극적인 행위를 하는 가장 선호하은 공간 장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간 디자인학, 경관 디자인학, 환경 심리학, 스트레스 해소이론 등 여러 학과를 바탕으로 캠퍼스 네거티브 공간 디자인 특성이 학생들의 심리적 스트레스 회복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대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대표적인 중국 베이징 임업대학(BJFU)을 조사 장소로 선정하고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조사는 두개 부분으로 구분되며 제1차 설문조사에서는 네거티브 공간의 중요한 디자인 특징 요소를 추출하여 연구변수로 삼아 다음 조사의 기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제2차 설문조사에서는 캠퍼스 네거티브 공간디자인 특성이 학생들의 심리적 스트레스 회복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대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SPSS 21.0과 AMOS 24.0 통계도구를 활용하여 회귀분석한 결과 캠퍼스 네거티브 공간의 자연성, 심미성, 안전성, 문화성, 공간성이 차례로 모두 스트레스 회복에 통계학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캠퍼스 네거티브 공간에 대하여 디자인 제안을 하고 도표로 정리했다. 본 연구는 대학 캠퍼스 공간 디자인의 발전을 추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스트레스 회복에 이론적 참고를 마련할 수 있어서 중요한 연구 의의를 지닌다. The campus negative space studied in this article is the preferred space for students with high psychological pressure to engage in negative behaviors such as solitude, suicide, or crime. Therefore, this study is based on multiple disciplines such as spatial design, landscape design, environmental psychology, and stress reduction theory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impact of negative campus spatial design characteristics on students. Objective: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act of psychological stress recovery. A representative Beijing Forestry University (BJFU) in China was selected as the survey venue to conduct a questionnaire survey on students. The questionnaire survey is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questionnaire survey aims to extract important design feature elements of negative space as research variables, providing a foundation for the next survey. The second questionnaire surve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campus negative space on students' psychological stress recovery.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21.0 and AMOS24.0 statistical tools on the collected data show that the naturalness, aesthetics, safety, culture, and spatiality of campus negative space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stress recovery in sequence.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esign suggestions for the negative space on campus were proposed and compiled into charts. This study not only promotes the development of campus space design in universities, but also provides theoretical reference for the recovery of student stress, which has important research significance.

      • KCI등재

        지속가능한 디자인에 기초한 골판지 가구의 설계 및 전략 연구

        이준진(Jun chen Li),강재철(Jae Cheol Kang)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2 한국디자인리서치 Vol.7 No.4

        골판지는 종이 소재의 일종으로 가볍고 가공성이 좋으며 재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가공 시 인쇄기술을 사용하기 용이하며 비교적 환경에 무해하다. 이러한 특징으로 골판지 가구의 시장보급은 상당한 실현 가능성이 있다. 본 논문은 골판지 가구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골판지 가구의 지속 가능한 디자인 설계 전략을 제시한다. 골판지 가구의 디자인 설계 과정을 ‘설계 단계-사용 단계-사용 후 단계’로 나누고, 디자인 설계 단계의 감량화 제어와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 방안을 이야기한다. 예를 들어 디자인 설계 단계에서 컴퓨터로 골판지 가구 모델에 대한 역학분석을 실시하면, 가구구조의역학적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동시에 가구 제작에 있어 불필요한 재료의 사용과 폐기물 발생을 줄여 지속가능한 디자인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사용 단계에서의 재활용 유도 및 사용 후 단계의 재활용 가능한 기술 지원에 이르기까지 각 단계의 구체적인 요소들의 실시책을 제시한다. 골판지 가구의 지속 가능한 디자인 전략에 대한 연구를 통해 시장, 자원, 환경 등에 긍정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해당 업계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 골판지 가구의 디자인 및 생산에 대한 귀중한 참고자료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As a kind of paper material, corrugated paper has light weight, good mechanical properties, can be recycled, has good printability, and is not harmful to the environment. Therefore, it is feasible to promote corrugated cardboard furniture. Through the analysis of corrugated paper furniture cases, this thesis proposes sustainable design strategies for cardboard furniture and divides the design process of paper furniture into design stage - use stage - post-use stage, proposes reduction control in the design stage, and provides specific implementation plans, such as in the design stage, using a computer to conduct a corrugated paper furniture model For example, in the design stage, finite element analysis is performed on the corrugated furniture model by computer, which enables a more reasonable structural design that meets the mechanical requirements of the furniture structure while maximizing material savings. In the processing stage, a cutting machine with automatic laser positioning is introduced to accommodate the processing of corrugated paper shaped structures and achieve sustainable design from the perspective of waste reduction. Reuse guidance in the use phase and recyclable technology support in the post-use phase are also proposed, as well as implementation strategies for specific elements of each link.It is hoped that this will bring positive implications for the market, resources, and the environment, and will provide certain valuable references and insights for industry players in the design and production of corrugated furniture.

      • KCI등재

        중국 문구 브랜드의 효율적인 패키지디자인 강화에 관한 연구

        장옥곤(Yu Kun Zhang),신인식(In Sik Shin)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3 한국디자인리서치 Vol.8 No.2

        중국 미술 문구 소비가 이미 제품 소비에서 브랜드 소비로 전환되었지만 중국 수채화 물감 브랜드 기업의 홍보가 취약하여 브랜드와 소비자 간의 효과적인 소통을 위해 패키지디자인을 개발하고 디자인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효율적인 패키지디자인을 통해 수채화 물감의 중국 브랜드를 강화하고 고급 소비자 시장에서 중국 브랜드 수채화 물감의 핵심 경쟁력을 높이는 데에 있다. 본 연구는 문헌 연구와 실증연구를 통해 중국과 해외 브랜드 간 패키지 디자인의 시각 요소를 비교 분석하고 효과적인 참고자료를 제시한다. 첫째, 중국 수채화 물감 업체들은 간결하고 명확한 글자 로고를 최대한 활용하여 국제적인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어야 한다. 그리고 화려하고 안정적인 색상 이미지로 브랜드를 강조하여 패키지디자인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제품을 선택할 때 소비자의 불안감을 줄이기 위해 제품 이미지를 일러스트레이션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다. 셋째, 텍스트 정보가 더 많고 가독성이 강해 소비자가 가장 짧은 시간에 마음에 드는 제품을 선택할 가능성을 높이는 미드레인지 레이아웃 포맷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수채화 물감 패키지디자인의 시각 요소에 대한 연구의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 해외 고급 수채화 물감 패키지디자인의 특성을 살려 중국 수채화 물감 기업의 브랜드 가치 제고를 도모한 것은 큰 의미가 있다. The consumption of Chinese art stationery is shifting from product consumption to brand consumption. However, the brand publicity of Chinese watercolor paints is weak, so it is necessary to effectively communicate between brands and consumers through the development and design of packaging design.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strengthen the Chinese brand of watercolor paints through efficient packaging design, and improve the core competitiveness of Chinese brand watercolor paints in the premium consumer market.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visual elements of packaging design in Chinese and international brand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empirical analysis, and provides effective recommendations. First of all, Chinese watercolor paint enterprises should utilize concise and clear letter logos to enhance the international visibility of the brand, while employing vibrant and dignified color schemes to capture consumer attention and emphasize the brand,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packaging design. Second, it is recommended to use product images as illustrations, which reduces consumers' choice anxiety when purchasing goods. Third, adopting a mid-range layout format with ample text information and strong readability can increase the likelihood of consumers quickly selecting their preferred produc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researching visual elements in watercolor paint packaging design targeting Chinese consumers.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o promote the brand value of Chinese watercolor paints by drawing inspiration from the characteristics of overseas high-end watercolor paint packaging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