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리학의 자성과 도시지리학의 나아갈 길

        남영우 한국도시지리학회 2017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0 No.3

        We are in the midst of a rapidly changing international situation in the 21st century. At this time, we are ready to prepare for the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of the 2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Urban Geography Society and firmly establish the identity and position of geography as a field of study. It seems to have reached the point of time when it is done. Therefore, it is meaningful to see the geographical knowledge actively used in all fields of humanity and nature at the 20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society, but it has problems in the whole geography. Urban geography tends to focus on identifying urban structures and urban system. Of course, urban geography includes urbanization, urban system theory, global city theory, urban economy theory, urban ecology, urban landscape theory, etc.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urban geography is a field that can be directly linked to civilization, since it is the city that created human civilization. 우리는 21세기 급변하는 국제정세 속에서 지리학이 많은 도전 앞에 시련을 견디고 있는 시점에 20주년을맞이한 한국도시지리학회가 중심이 되어 통일을 준비하고 학문분야로서 지리학의 정체성과 위상을 확고하게 다져할 시점에 이른 것 같다. 그러므로 본 학회 창립 20주년에 즈음하여 지리학적 지식이 인문, 자연 모든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용되는 모습을 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지만 지리학 전반에 걸쳐 문제점을 안고 있다. 도시지리학은 도시구조를 규명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다. 물론 도시지리학은 도시구조론 이외에도 도시화 및 도시체계론을 비롯한 도시입지론, 세계도시론, 도시경제론, 도시생태론, 도시경관론 등의 각론을 포함하고 있지만, 무엇보다도시구조론과 도시체계론이 중요하다. 가장 중요한 과제는 인류의 문명을 창출한 곳이 도시이므로, 도시지리학은문명론과 직결될 수 있는 분야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도시지리학회지 게재 논문으로 본 도시지리 연구의 주제와 과제: 1998~2016년

        최재헌 ( Jae Heon Choi ),김숙진 ( Sook-jin Kim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7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0 No.1

        본 논문에서는 한국도시지리학회지 창간 20년을 맞이하여 1998년~2016년 동안 게재된 461편의 학술 논문을 도시지리학의 하위 연구 분야별로 분류하여 연구주제에 대한 경향과 향후 과제에 대한 논의를 시도하였다. 지난 20년 동안 전통적인 연구 분야였던 도시체계와 도시구조 연구보다 도시응용 분야에서의 연구가 확대되고 도시 문화와 도시사회 분야의 논문 게재 수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를 보인다. 즉, 이론보다는 쟁점과 문제해결 지향적으로 연구 관심도가 변화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도시지리학의 연구주제별로 핵심 연구자 집단이 일정 수준에서 확인되고 있다. 향후 도시지리학의 과제는 학술 연구의 양적 질적 확대와 연구 성과의 대중화, 심화연구와 연구범위 확대를 통한 한국적 도시지리 담론의 형성, 다양한 연구방법의 도입, 지속적이고 반복적 연구를 통한 종합적 도시지리 이론 마련, 사회적 현안 관련 연구 주제의 선도화, 이슈와 문제해결 지향적 연구와 순수학문 지향적 연구의 조화 등으로 제시할 수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research themes and issues of Korean urban geography by analyzing 461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ety during 1998~2016. It attempts to discuss current research trends and future tasks. The result reveals the increasing number of papers in applied urban geography focusing upon urban cultural social themes and urban policies rather than traditional urban geographical themes such as urban system and urban structure, which also implies the shift of academic interests into issues and problem oriented urban geography from the pure-academic oriented one. The future tasks for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ety may include expansion of research both in volumes and quality to enhance public awareness, formation of Korean urban geographical discourse, vigorous search for various new research methodologies, establishment of urban theories to explain Korean urban phenomena, exploration of new research issues relevant to Korean society, and making a balance between academic interests and social practice for problem solving.

      • KCI등재

        UN HABITAT III의 새로운 도시의제(New Urban Agenda)가 한국 도시지리학 연구에 주는 시사점

        최재헌 한국도시지리학회 2017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0 No.3

        본 논문은 해비타트 III 회의에서 도출한 새로운 도시의제가 도시지리학 연구에 주는 시사점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1976년부터 3차례 개최된 해비타트 회의는 도시연구와 정책수립에 세계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핵심주제도 해비타트 I의 적정 주거와 기초 서비스 제공 등으로 부터, 1996년 해비타트 II에서는 지속가능한 인간정주와 주거권으로 확대되었고, 2016년 해비타트 III에는 모두를 위한 도시라는 포괄적인 주제를 다루면서 다양한 이해당사자가 참여하여 ‘새로운 도시의제’라는 가시적인 성과가 있었다. 새로운 도시의제에서는 도시화를 성장의 동력으로 인식하고 도시계획과 설계를 통한 도시문제 해결, 인간중심과 인권중심의 사고로의 전환을 강조하면서 향후 20년 동안의 도시연구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글로벌 보편성에 관심을 두면서도 장소와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하고 지속가능한 도시발전과 포용성, 회복력, 안정성을 갖춘 살기 좋은 도시를 위한 도시지리학 연구가 필수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This paper considers research agenda for urban geographic studies concerning major contents of ‘New Urban Agenda’ from UN HABITAT III, which made impacts on urban studies and urban policy-making on the global scale. The subjects have been extended from adequate housing and provision of basic needs for HABITAT I, to sustainable human settlement and housing right for HABITAT II, and finally to ‘right to the city for all’ for HABITAT III with full participation of various stakeholder, producing ‘New Urban Agenda’ as a result. New Urban Agenda may influence the various academic fields of urban studies for the next two decades, emphasizing urbanization as a engine of the growth, urban planning and management as a tool for urban problem-solving, and human right approach to urban issues. In the process to reach the final agreement for HABITAT III, the outcome of issue papers and policy unit for six different urban areas gave strong implication to the future research agenda of urban geography. It is essential to carry out urban geographic studies for the inclusive, safe, resilient livable city and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in consideration of both universal features and regional-place uniqueness of urban places at the multiple layers.

      • KCI등재

        한국 도시재생 연구의 지리적 고찰 및 제언

        전경숙 한국도시지리학회 2017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0 No.3

        In the globalized world, urban regeneration is attracting attention for the urban growth as a solution on the strengthening of the global competitiveness. Urban regeneration has emerged as a major issue in Korea, as many nations’s urban regeneration projects have been implan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trend of urban regeneration research from a geographical point of view and to gain insight into the future directions of urban regeneration research for sustainable growth of cities in Korea. Many disciplines have been approaching on the study of urban regeneration. In the field of urban geography, integrated approach and basic researches are carried out, which is differentiated from other areas of study. Urban regeneration is not only focused on the declining area but also focused on the integrated view of the whole city. It is expected that the academic and practical contributions will be greater, when the strength of geographical approach is also considered in social fields and other areas of study. 세계화로 대변되는 오늘날, 도시재생은 도시 성장을 위한 글로벌 경쟁력 강화의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국가적 차원의 도시재생 사업이 본격화 되면서 도시재생이 주요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리학계에서 도시재생 분야에 어느 정도의 관심과 전문성을 가지고 연구해 왔는지 주요 흐름을 지리적관점에서 이해하고, 한국 도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도시재생의 향방에 관한 통찰력을 얻고자 한다. 도시재생은 다양한 학문에서 접근을 시도하고 있는데, 도시지리학 분야에서는 통합적, 기반 연구 중심으로 진행되어 타기관의 연구와는 차별화 된다. 도시재생은 쇠퇴지역 활성화만이 아니라, 도시 전체의 성장이라는 통합적 관점에서의 접근이 요구되므로, 지리학의 강점을 활용한 연구가 사회 현장, 타 분야와의 연계라는 개방적 관점에서 진행된다면 학문적, 현실적 기여가 보다 클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논문 : 한국 대도시의 인구이동 특성: 지리적, 사회적 측면에서의 고찰

        권상철 ( Sang Cheol Kwon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0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3 No.3

        최근 들어 인구이동은 도시간 이동이 주류를 이루며 대도시는 주요 유입지와 유출지로 나타난다. 본 논문은 인구이동은 지리적 이동이며 선별적 인구의 사회적 이동임을 고려해 대도시 유입과 유출인구의 이동 방향과 영역 그리고 이들의 사회경제적 속성 비교를 통해 인구이동에서 나타나는 대도시의 역할을 검토하였다. 지리적 측면에서 광범위한 지역에서 인구를 유입하여 한정된 인근 또는 수도권으로 인구를 유출하는 유형, 유입과 유출지역이 유사한 유형, 그리고 인근 지역으로부터 인구를 유입하여 서울을 위시한 수도권으로 인구를 유출하는 유형이 구분된다. 이러한 지리적 이동을 사회적 이동으로 보면 서울은 유출인구에서, 다른 대도시들은 유입인구에서 높은 자가주택 점유율을 보여 주거기능의 역할 차이를 보이며, 취업기능면에서는 서울, 부산, 대구는 고학력, 전문인력이 생산자서비스업에 유입인구가 다수 종사하는 반면 인천, 광주, 대전, 울산은 고등학교 학력의 제조업, 기능·기술직을 다수 유입하여 대도시간 대조적 양상을 보인다. 이는 지리적 인구이동이 선별적 인구집단의 사회적 이동을 반영하는 것으로, 대도시는 취업과 주거 기회를 선별적 유입·유출인구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주자들은 대도시를 자신들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사회적 상승의 기회로 고려하여 지리적 이동을 추구한 것으로 인구이동을 고려해 볼 수 있다. Recently, migration has occurred more in urban-to-urban in which large cities have been important as origin and destination of the these migrants. This paper explores the migration flows to and from large cities by examining the spatial pattern of geographic movement and comparing the in- and out-migrant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The spatial pattern of migration is disclosed in three types: receiving migrants from diverse areas and sending them to a few nearby and the capital area, receiving and sending migrants to and from similar areas, and receiving migrants from nearby areas and sending them to Seoul and other capital areas. To these migrants, Seoul shows lower ratio whereas all other large cities show higher ratios in owner-occupied housing. Seoul, Busan, Daegu receive highly educated professional producer service workers while send out high school educated skilled workers in manufacturing sector. Other large cities such as Inchon, Gwangju, Ulsan are in contrary to them, receiving high school educated skilled workers in manufacturing sector while sending highly educated professional workers in producer service sector. These findings provide an understanding the role of large cities in migration with respect to the population redistribution in geographic flow which are associated with social mobility.

      • KCI등재

        한·일 중학교 사회과 지리 영역의 도시 내용 비교 분석

        장양이 ( Yang-yi Chang ) 한국도시지리학회 2021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4 No.2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중학교 사회과 지리 영역의 도시 내용에 대하여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바탕으로 비교 분석한 것이다. 교육과정상의 편성, 도시 관련 내용의 등장 빈도, 교과서 서술 내용의 세 가지 측면에서 비교하였다. 우리나라의 지리 영역은 주제 중심이며 일본은 지역 중심으로 되어 있어 편성 방식이 다르다. 이에 따라 우리 나라는 도시를 직접적으로 다루는 별도의 단원이 존재하며, 일본은 지역별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도시의 등장 빈도는 도시 관련 문장과 도시명의 등장 빈도로 파악하였다. 도시 관련 문장의 경우 우리나라는 도시 단원, 일본은 간토 지방 단원에 집중되어 있지만, 우리나라의 내용 집중도가 압도적으로 높다. 도시명의 등장 빈도는 두 나라 모두 대륙별로 유럽과 아시아의 도시가 높은 편이었지만, 일본 교과서의 도시명이 더욱 다양하게 나타났다. 서술 내용에서 우리나라는 핵심적인 내용이 효율적으로 정리되어 있지만, 일본은 지역별로 비슷한 현상에 관한 서술이 중복되는 경향이 있었다. 반면, 일본의 경우 교과서 문장 서술에 여러 사례 도시가 포함되고, 관련 자료도 비교적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었다. This study compares the contents of urban geography in the middle school Geography section of Social Studies between Korea and Japan. The comparison is divided into three aspects: composition of the curriculum, frequency of the appearance of urban-related contents, and descriptions in the textbook. Korea has adopted a subject-oriented curriculum, whereas Japan is more region-oriented in its approach. Moreover, Korea has a separate chapter that deals directly with urban geography, while Japan included these pieces of information in the regional explanations. The frequency of urban-related content is determined by the iterations of urban-related sentences and city names. Although the frequency of urban-related sentences is concentrated in the urban chapter in Korea and in the Kanto chapter in Japan, the concentration of the content in Korea is overwhelmingly high. Notably, the appearance of European and Asian city names is high in both countries; however, there are more diverse city names in Japan. Finally, for the descriptions, Korea is efficiently organized in this aspect, having included key contents. By contrast, Japan’s descriptions tended to overlap when similar phenomena existed in different regions. In Japan, various case cities are included in the textbook descriptions, and the related data presented are relatively diverse.

      • KCI등재

        베트남 호치민으로 진출한 한국기업의 입지 특성 및 유형화

        손승호 한국도시지리학회 2020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3 No.2

        This research analysed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Korean companies in Ho Chi Minh City(HCMC), which has the largest number of Korean companies in Vietnam. Korean companies started to make inroads in 1987 when the Doi Moi policy was implemented. The advance of Korean companies is going through a process of initial, stagnant, expansion and decline. In the beginning, many companies entered the CBD and its environs, and in the period of stagnation, companies made inroads into newly developed areas and non-urban areas. During the expansion period, companies actively entered CBD and areas where many foreigners reside. The location of Korean companies was initially expanded from urban center to non-urban areas. Recently, companies are clustering on urban center. Manufacturing is spreading from non-urban area to the whole city, while wholesale and retail are mainly located in city center. According to the attributes of Korean companies, HCMC is divided into service industry concentrated region, employment-generating industry centered region, manufacturing industry centered region, and a region where Korean companies are rare. In sum, the entry type, entry timing, type of business, and the locality of HCMC’s urban space are the main factors that differentiate Korean companies’ locations. 본 연구는 베트남에서 한국기업이 가장 많이 진출한 도시 호치민을 대상으로 한국기업의 입지적 특성을고찰했다. 한국기업은 베트남에서 도이머이 정책이 실시된 1987년부터 진출했으며, 진출 추이는 초창기, 정체기, 확장기, 침체기의 과정을 거치고 있다. 초창기에는 CBD와 그 주변에서 입지가 활발했으며, 정체기에는 신개발지역과도시외곽의 비도시지역에서 입지가 두드러졌다. 확장기에는 외국인 밀집지역과 CBD를 중심으로 기업입지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한국기업의 입지는 초기에 도시중심부에서 비도시지역으로 확대되었다가 다시 도시중심부로집중하는 경향으로 보인다. 제조업의 입지는 비도시지역에서 도시 전역으로 확산하고 있으며, 도매 및 소매업은 중심시가지에 주로 입지해 있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제조업 중심에서 서비스업 중심의 진출로 변화하면서, 도시내기업 입지에도 변화가 생겼다. 한국기업의 입지 속성을 토대로, 호치민은 서비스업 집중 진출지, 고용창출형 산업진출지, 제조업 집중 진출지, 한국기업 진출 미약지 등으로 지역구분이 가능하다. 한국기업의 진출 형태, 진출 시기, 업종 및 호치민의 도시공간이 지니는 장소성이 입지 차별화의 주요한 요소이다.

      • KCI등재

        한국 축소도시의 지역적 특성과 도시정책의 방향

        최재헌,박판기 한국도시지리학회 2020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3 No.2

        This paper attempted to reveal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shrinking cities and to clarify their typologies in Korea, as well as to present future directions for urban policies, defining shrinking cities as those that experienced continuous population decline with deteriorating infrastructure and poor fiscal conditions for 229 city and districts nationwide during 2005-2015. As Korea’s shrinking cities commonly show high aging rates and low fertility rate, factor analysis showed three key factors that can be described as ‘aging and shrinking factors’, ‘new growth factors’, and ‘childbirth factors’.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s shrinking cities share common features such as high aging levels, continued population decline, alienation from growth engines, and low birth rate. The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identified three main clusters nationwide so called ‘collapsed type’, ‘stagnant type’, and ‘growth type’. The collapsed type contains mostly rural areas far away from the large metropolitan areas adjacent to inland or coastal areas, with a small population, a very low natural growth rate, and a low birth rate, a high percentage of the elderly and a high age index, and the high ratio of single-family houses, empty houses, and old buildings compared with other cluster types. Accordingly, In the future, Korea’s urban policy should be established on the premise of population reduction and urban shrinkage, away from growth-oriented policies, a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it in the direction of stabilizing place-oriented, urban regeneration-oriented, regional community-centered, and demand-oriented settlements structure. 본 논문에서는 2005년과 2015년 기간 동안 전국 229개의 시군구를 대상으로 지속적인 인구감소, 기반시설 노후와 재정 여건 악화 등을 경험한 도시를 축소도시로 파악하고, 이들의 축소도시로서의 특성을 밝히고 유형화를 시도하였으며,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도시정책 수립에서 고려할 사항을 제시하였다. 한국 축소도시는 높은 고령화율과 낮은 출산력을 보이며 인자분석 결과 ‘고령화와 축소인자’, ‘신성장인자’, ‘출산인자’로 설명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한국의 축소도시의 특징으로는 높은 고령화 수준과 지속적인 인구감소, 성장 동력에서의 소외, 저출산 문제 등을 들 수 있다. 군집분석의 결과 전국적으로 ‘축소형’, ‘정체형’, ‘성장형’을 확인하였다. 축소형은 대체로 내륙이나 해안 등 대도시권에서 멀리 떨어진 농촌지역으로서 인구수가 적고 자연증가율과 출생자수가 현저히 낮고, 고령인구비율과 고령지수가 높으며 단독주택 비율, 빈집 비율, 노후건축물 비율이 다른 군집에 비해 매우 높다. 향후 한국의도시정책은 성장 위주의 인식에서 벗어나 인구감소와 도시축소화를 전제로 수립되어야 하며, 장소 중심, 도시재생중심, 지역공동체 중심, 주요자 맞춤형 정주 안정화를 꾀하는 방향에서 수립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