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그레마스 기호사각형에서의 한국춤 사유구조 읽기

        김지원 ( Ji-won Kim ) 한국기호학회 2016 기호학연구 Vol.46 No.-

        춤사위의 연속된 동작은 동작소(動作素, kineme)1)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소가 춤예술이라는 생명적 기호를 생성한다. 춤이 예술이자 의미를 생산하는 기호라는 전제하에 한국춤 예술에 드러난 독창적인 미적현상을 기호학적 방법으로 분석해 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특히 그레마스 기호사각형은 구조주의 의미론을 펼치는데 유용한 방법론으로, 한국춤 동작과 호흡구조의 2항적 대립과 모순 속에 심층적인 의미를 찾아가는 분석법은 또 다른 한국춤의 독창적인 사유구조를 읽는데 도움이 된다. 우선 한국춤의 독창적 사유구조인 3원론적 인식의 구조, 즉 정중동(靜中動)과 정한론(情恨論), 삼재(三才)사상 등 핵심적인 미적현상을 결과론적으로 예측하면서도, 표층과 심층의 구조론적 의미의 분석은 예술기호로서 한국춤의 사유구조를 읽기에 그레마스 기호학은 유용하다. 즉 한국춤의 호흡과 동작을 이어나가는 2항 구조로서 의미소는 언어학적 분절과 같이 의미의 대립과 모순으로 지속적인 흐름을 이어나가면서 예술기호로서 의미작용 해석의 범위를 확대해 나간다. 여기에 또 다른 의미생산을 위한 의미의 공간을 지속적으로 놓아두고 있는데, 이는 한국춤의 3원구조가 차이와 구분이 없는 아우름을 지향하는 독창적인 사유구조에서 비롯됨을 의미의 분절과 구조적인 논의로 밝힐 수 있다. 따라서 한국춤에서는 천지인(天地人)의 조화와 일심(一心)의 미학, 물아일체(物我一體)의 경계를 허물며 윤회적 삶을 실천하고 권고하는 한국문화예술의 특수성이 자리한다. Continuous movements in dances create life signs called artistic dances by an episememe that gives a meaning to a kineme. It would be meaningful to perform semiotic analysis of unique aesthetic features in Korean dance assuming that dances are artistic signs that create meanings. In particular, the semiotic square by Greimas is a useful methodology to develop structuralism based semantics and the analysis to find out in-depth meanings of contradiction and conflict between two elements of movements and constituents in Korean dance was useful as an alternative in interpreting unique thinking structure of Korean dance. First, the Greimas semiotics was useful in understanding the thinking structure of Korean dance by resultative prediction of essential aesthetic activities by the perceptional structure of 3 principles which is a unique thinking structure of Korean dance that covers rest in motion, resentment and three-function theories while analyzing structural meanings of surface and deep layers. It means that the episememe in Korean dance as a two-element structure in which constituents and movements continue has continued its stream of contradiction and conflict of meanings just like linguistic constituents while extending the scope of interpretation in signification as artistic signals. In addition to this, there was a space to create another meaning on a continued basis and it allowed me to reveal that the 3-element structure in Korean dance was derived from its unique thinking structure that aims at harmony without differences and divisions among elements by means of discussions on meaningful constituents and structures. Thus, Korean dance has a special characteristic of Korean culture and art that practices and recommends the life of an eternal cycle which breaks down the boundary among theocosmoanthric harmony, one mind aesthetics and union of self and things.

      • KCI등재

        한국춤의 공간 기호적 해석 연구

        김지원 ( Ji Won Kim ) 한국기호학회 2015 기호학연구 Vol.42 No.-

        춤사위의 연속된 동작은 몸이 공간이자 공간은 또 하나의 몸이 되면서 동작소(動作素, kineme)에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소가 춤예술이라는 생명적 기호를 생성한다. 무대라는 공간에서 시간과 공간에 흐르는 예술의 현상학적 차원은, 춤이 기호라는 명백한전제하에서 한국춤만의 독창적인 공간을 해석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유용하였다. 즉 이 문제는 춤과 동작이 생성하는 공간 기호가 의미생산을 해 나아가는 과정에서 어떻게 의미를 전달하는가라는 상징적인 기호에 주목할 필요가 있었다. 한편 시공간에서 춤동작이라는 역동적인 흐름이 어떻게 공간학적으로 인지되며, 공간의 배치에서 어떻게 또 하나의 예술적 공간을 형성하는지에 대해 바르뜨의 ``외연``과 ``함의``의 신화적 속성은 유용한 방법론이 되었다. 한국춤은 외적 공간상에서 의도된 형식의 차이를 두고, 삼태극(三太極)의 공간, 오행(五行)의 공간, 좌(左)지향의 공간, 원형(圓形)의 공간, 여백(餘白)의 공간이라는 문화적 특수성을 드러낸다. 이는 한국춤의 동작소 하나하나의 차이가 의미소와 같은 언어학적 분절과 같이 자의적인 약호로 작용되며, 공간기호로서 의미작용의 해석의 범위를 확대해 나아가는 의미생산의 연속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논의는 카오스의 세계를 이해하기 위한 범주의 구분 또는 차이를 통한 기호학적 재단처럼, 춤 동작소의 시공간적 연속된 기호는 의도된 형태에서 의도되지 않는 수많은 공간기호로써 공간학적 해석이 가능하다. 따라서 한국춤에서는 주로 어떠한 선을 공간에 그리는가, 공간에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행하는 주된 동작군은 무엇인가? 공간을 분할하는데 중점을 두는 요소는 무엇인가? 하는 의미전달적 기호작용이라기 보다는, 예술적 공간에서 해석되어지는 탈코드화(de-codification)의 공간기호론적 해석에서 한국춤만의 이미지를 생성한다는 점이다. 이는 한국춤이 공간상에 드러내는 신화적 속성이자 문화적 특수성임을 알 수 있다. Differences in the movements of the dancing exist depending on the culture. On the explicit premise that the dance is the symbol, the analysis of the spaces was done in that the dancing has an artistic significance in the Phenomenological dimension of the combination of the space of stage and flow of time. In other words, focus needs to be on the symbolic codes that conveys the meaning on the assumption that the dancing is the semiology. Therefore, as the result of reviewing the dancing movements expressed on the exterior spaces, the application of meaning analysis expands and systemized according to Sam Taeguk, the five-element theory, left-oriented, circular and blank spaces. The discussion has become the focuses on the steps of the de-codification in that the psychological codes of the korean dance does the aesthetic interpretation. There is meaning that after the stage, all boundaries are collapsed like the semiology through the comparison and classification for analysing the world of chaos. Therefore, Korean dancing is worthy of notice in that there is only the image of Korean dance in terms of the space interpretation of de-codification interpreted in the artistic space, rather than semiotic process of the meaning conveyance like “what lines are drawn in certain spaces?”, “what is the main group of the movements in spaces?” and “what elements are focused on the space division?”

      • KCI등재

        레비나스 `얼굴 윤리학`의 퍼스 기호학적 이해

        박연규 ( Park Yeoungyu ) 한국기호학회 2017 기호학연구 Vol.50 No.-

        이 글은 레비나스의 “얼굴을 보면 윤리가 발생한다”라는 주장에 대한 국내 연구자들의 논의를 퍼스 기호학적 관점에서 살펴보면서 문제의 해결 가능성을 모색해본 것이다. 레비나스의 윤리학을 성립하게 하는 `얼굴`이 말 그대로의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타자의 얼굴인가, 아니면 그의 형이상학에 기반하여 요청된 당위로서의 얼굴인가하는 문제는 레비나스의 얼굴을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하다. 즉 그의 얼굴은 신의 얼굴인가, 아니면 사람의 얼굴인가 하는 데 따라 그의 윤리학이 진정한 의미에서의 윤리학으로 전개될 수 있는가 아닌가의 갈림길로 들어서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레비나스의 얼굴에 대해 퍼스 기호학의 삼분법적 해석학을 적용하여 이러한 논쟁이 어디에서 발생되고 어떻게 해결될 수 있는가를 보고자 한다. 퍼스 기호학으로 얼굴을 풀게 되면 우리가 실제로 만나는 타인의 얼굴에서 얼굴의 윤리학을 다양한 층위에서 발견할 수 있다. 레비나스가 사용하는 얼굴 개념이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얼굴에서 시작하지만 동시에 신의 현현의 의미도 지니고 있다는 점에 유의하면서, 논자는 그의 얼굴 논의를 아이콘, 인덱스, 그리고 상징으로 나누어 분석하고자 한다. 레비나스의 얼굴은 강력한 인덱스적 기호로 작동하지만 동시에 아이콘적이기도 하고 상징적인 의미도 동시에 담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기호체계의 연동 과정을 보여줌으로써 얼굴 윤리학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를 가져올 것이라고 생각한다. 부수적으로 레비나스의 얼굴 윤리학을 기호해석학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과정에서 기호학의 본래 임무인 해석학적 의의를 재확인하는 기회도 되리라 본다. In this article, browsing the thesis, “Ethics occurs, when looking the face” I study the thesis using the way of Peircean semiotics and want to disclose the feature of the problematic argument of the face ethics.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Levinas` face whether it is an individual or particular face, or not whether it is only a duty based on the ontological metaphysics. That is, the question of that his `face` is God`s face or not makes us to consider what the genuine general ethics is. Using the way of the triadic interpretation of Peirce`s semiotics, icon, index, and symbol, I want to show where the intertwined argument comes from and how the argument can be solved. When we approach to the nature of face with Peirce`s semiotics, we can find the significance of `his face ethics` and meet the process of looking face in the different horizon. Considering that Levinas` `face` also has the meaning of transcendence in the practically everyday meaning of it, I try to explain the face by iconic, indexical, and symbolic faces. While Levinas` face primarily functions as an indexical sign, it also does iconically and symbolically. So I find the possibility of solving the problems of the argument through thinking the relation of different signs. In conclusion, showing the example of the semiotic approach to the face, I am sure that semiotics always would be valid to properly treat the old way of doing philosophy, namely, the ontological metaphysics.

      • KCI등재

        기호 언어와 증상의 문자

        김석 ( Seok Kim ) 한국기호학회 2014 기호학연구 Vol.39 No.-

        언어는 이중적 속성을 갖는다. 하나는 기호적 속성으로 의미화에 기초하고 있으며, 다른 하나는 언어작용에서 기인하는 주이상스다. 이것은 언어가 본질적으로 말하는 주체가 자신의 존재에 대해 가지는 관계로서 증상의 표현이기 때문이다. 언어의 본성을 기호로 보는 관점은 소쉬르 기호론이 전형이다. 소쉬르는 기호들이 맺는 변별적 관계가 의미화를 가능하게 만든다는 것을 강조한다. 하지만 라캉은 기표와 기의의 사이에 의미화에 저항하는 가로선을 도입하면서 의미가 상상적이고 우연적이라고 비판한다. 라캉은 기호론을 문자의 과학으로 대체하는데 문자는 상징계에 저항하는 실재계에 속한다. 기호가 의미의 논리를 대변한다면 문자는 텍스트 너머, 즉 존재의 중핵을 드러낸다. 문자는 반복을 되풀이 하면서 기표에 의해 상실된 존재를 드러내는 데 이것이 증상이다. 주체는 이 증상에 동일시하면서 새로운 주체화를 실현할 수 있는데 조이스의 글쓰기가 전형적 예다. 조이스는 글쓰기를 통해 증상을 표현하고 새로운 주체성모델을 창조하는데 이것은 존재를 향유하는 생톰이다. 조이스의 사례에서 보듯 정신분석의 최종 목표는 증상의 제거가 아니라 잃어버린 존재의 회복이다. 이것은 주체의 궁핍을 거치면서 증상과 동일시하는 것을 통해 가능하다. Langage a l`aspect double. L`un est l`attribut de singe, qui se fonde sur une signification. L`autre est la jouisance qui est causee par une verbalisation. Cela se produit pour autant que le langage est essentiellement une manifestation du symptome, parce que ce langage est le rapport que le sujet parlant maintient par rapport a son propre etre. La theorie du signe saussurienne est une perspective par excellence qui concoit la nature du langage comme singe. Saussure met l`accent sur le fait que le rapport differentiel entre les signes permet enfin une signification. Mais Lacan critique que le sens est imaginaire et accidentel, en introduisant la barre entre le signifiant et le signifie, qui resistera a la signfication. Lacan substitue la science de la lettre a la theorie du signe parce que elle releve de l`ordre du reel qui fait face a l`ordre symbolique. Si le signe represente la logique du sens, la lettre revele l`au-dela du text, c`est-a-dire le noyau de l`etre. La lettre met a jour, en faisant la repetition, l`etre qui est perdu par le signifiant. Elle est justement le symptome. Le sujet peut realiser une nouvelle subjectivation en s`identifiant a ce symptome. L`ecriture de Joyce en est un excellent exemple. Il manifeste son symptome par l`ecriture et cree un noveau modele de la subjcetivation. Cela est typiquement le sinthome qui jouit de l`etre. L`objectif final de la psychanalyse n`est donc pas la suppression de la symptome, mais un retablissement de l`etre perdu, comme on le voit dans le cas de Joyce. Cela est possible par l`identification a son symptome a travers la destitution subjective.

      • KCI등재

        항진적 표현과 은유적 표현의 서술어 기제에 관한 기호학적 접근 - ‘지각적 판단’과 ‘논리적 해석체’를 중심으로

        홍승혜 한국기호학회 2022 기호학연구 Vol.7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discussion of the representational characteristics of propositional signs to the cognitive dimension by explaining the predicate mechanism of tautological and metaphorical expressions through Peirce’s concepts of semiotics. Above all, it is worth discussing the distinct sign mechanism of tautological expressions in that ‘A is A’ has become a commonly used sentence type in everyday life. I focus on that the predicate ‘noun+yida(=is)’ describes the property or state of the subject, like a verb or adjective, rather than categorizing the subject or placing the two concepts in an equivalence relation. I suppose that the idea that ‘noun+yida(=is)’ represents presupposes the speaker’s conceptualization of the object that the noun refers to. The conceptualization is based on ‘perceptual judgment’, the process of abstracting qualities from the object and interpreting them, and ‘logical interpretant’, which takes the form of propositional signs. This explains how the same expression can represent different predicate-ideas depending on the speaker and context. On the other hand, I point out that tautological expressions are distinguished from metaphorical expressions in terms of formality in that the two relata are the same.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propositional signs is closely related to the motive for the interpreter to refer to the conceptualized idea and the representational effect of the signs. Meta-understanding of the predicate mechanism of two propositional signs is expected to support expanded research on language communication, including machine translation and reasoning skill train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본 연구는 항진적 표현과 은유적 표현의 서술어 기제를 퍼스의 기호학 개념을 통해설명함으로써 명제 기호의 재현적 특성을 인지적 차원으로 확장하여 논의하는 것을목적으로 한다. 특히 ‘A는 A이다’와 같은 동격 항진적 표현은 하나의 문형으로서 일상적으로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다는 측면에서 고유한 기호적 특성에 관한 논의가 요구된다. 더불어 ‘명사+이다’ 형태를 띠는 두 명제 기호의 서술어는 주어를 범주화하거나두 개념을 등치 관계에 놓는 것이 아니라, 동사나 형용사와 같이 대상의 속성이나 상태를 설명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에 본 연구는 ‘명사+이다’의 서술성은 명사가 지시하는 대상과 관련하여 화자가 특정 관념을 개념화하고 있음을 전제하며, 이는대상으로부터 특정한 자질(quality)을 분해하여 해석하는 과정인 ‘지각적 판단(perceptual judgment)’ 및 명제 기호의 형식을 띠는 ‘논리적 해석체(logical interpretant)’ 에 기반함을 논의한다. 두 개념은 같은 표현이 화자와 맥락에 따라 대상에 관한 다른서술 관념을 재현할 수 있는 원리를 설명해준다. 한편 본 연구는 항진적 표현의 경우명제 기호를 이루는 두 관계항이 같다는 점에서 은유와 형식적 측면에서 구분됨을 지적하고, 두 명제 기호의 차이는 해석자가 특정 관념을 참조하는 동기와 그로부터 비롯된 기호의 재현적 효과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제시한다. 두 명제 기호의 서술어기제에 대한 메타적 이해는 일상적인 의사소통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기계 번역 및 인공지능의 추론 능력 훈련 등 언어기호를 매개로 하는 소통에 관한 연구들에도 도움을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 KCI등재

        로크 기호학의 재발견 - 고대 신탁에서 진단 의학까지

        박홍준 한국기호학회 2024 기호학연구 Vol.76 No.-

        소쉬르와 퍼스를 중심으로 한 현대 기호학 연구 흐름에서 존 로크는 “기호학 (semeiotike)”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학자로만 인식되고 있으며, 본류에 속하지 않 는다. 17세기에 활동했던 로크에게 영향을 준 고대 그리스의 징후학과 5세기 아우구스 티누스로부터 시작된 기호학사도 한정적이다. 이 논문은 로크의 기호학을 정확히 이 해하기 위해 중세 논리와 후기 르네상스 시대의 영향을 고려해야 함을 제시하며, 고대 신탁에서 비롯된 기호 해석의 흐름이 어떤 과정을 거쳐 현대 신경과학, 진단 의학, 그 리고 글로벌 팬데믹 시대 이후 미국 정치 등 다양한 주제로 발전해 왔는지를 분석한다. 역사-철학적 접근을 취하여 로크와 관련된 주요 문헌을 거시적으로 분석하며, 기호학, 논리학, 그리고 사상 분야에서의 기존 학술 연구 성과도 활용한다. 분석 결과, 현대 과 학과 철학적 추론의 교차로에 있는 인류는 사실을 발견하고 기록하는 데 그치지 않고, 미지의 세계에서 제시되는 기호에 대한 깊은 이해와 해석을 추구하며, 이 과정에서 ‘추론’ 개념은 언어를 넘어 다양한 비언어적 영역에서도 일어난다는 결론을 도출한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현대 기호학의 토대를 이루는 초학제적 접근 방식 중 하나인 로크의 기호학을 재발견하기 위해 해당 지식이 세계 지성사에 미친 영향을 입체적으 로 조명한다. While John Locke is often credited with coining the term semeiotike, his contributions to semiotics are typically marginalized in contemporary scholarship. This trend stems from a limited understanding of the intellectual forerunners of Locke’s semiotic thought, which often overlooks ancient Greek semiotics and the Augustinian tradition. This paper argues that a more holistic understanding of Locke’s semiotics necessitates an exploration of medieval logic and late Renaissance thought. By tracing the trajectory of sign interpretation from ancient oracles to modern neuroscience, diagnostic medicine, and American politics, this paper encapsulates the broader implication of Locke’s semiotic insights. The paper employs a historical-philosophical approach, analyzing primary texts from Locke and other relevant figures. It also draws on secondary scholarship in semiotics, logic, and the history of ideas. The paper demonstrates how Locke’s semiotics, as outlined in his 1689 publication An Essa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provides a multifaceted perspective on sign interpretation, incorporating pre-modern intellectual traditions. This view provides pragmatic tools for criss-crossing modern science and philosophical reasoning,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inference” beyond the realm of language. By re-evaluating Locke’s semiotics within their broader intellectual context, this paper contributes to a more macroscopic appreciation of the history of semiotics and its impact on the sciences.

      • KCI등재

        서사 기호학 기반의 스키마 이론 고찰 -SNG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이혜지 ( Seung Kuk Baik ),백승국 ( Hae Ji Lee ) 한국기호학회 2014 기호학연구 Vol.40 No.-

        이 논문의 목적은 SNG 스토리텔링에 대한 서사 기호학적 접근을 통한 스키마이론의 학제적 고찰을 시도하는 것이다. 서사 기호학적 개념과 방법론을 중심으로 SNG 유저에게 작동하고 있는 내러티브 스키마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접근하고자 한다. 텍스트 담론에 대한 주체의 인지적 체험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을 넘어, 이미지 중심의 SNG 유저에 내재된 스키마에 대한 서사 기호학적 접근이다. 구체적으로 서사 기호학을 중심으로 유저에게 내재된 스키마와 SNG 스토리텔링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여, 다양한 연령층의 유저가 SNG에 몰입하는 요소가 무엇인지 접근하는 것이다. 최근 출시되어 애플 앱 스토어에서 무료 앱 다운로드 인기차트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애니팡2>를 사례로 서사 기호학 기반의 스키마 이론을 접근하였다. SNS(Social Network Service)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형태의 사회적 인맥 기반 게임인 SNG <애니팡2>를 예시로 서사 기호학과 스키마 이론의 합의점을 도출하여 인지 이론의 학제적 접근을 확장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ry finding middle ground between Narrative semiotics and Schema theory with the examples of SNG(Social Network Game) based on SNS(Social Network Service) platform. SNG that UI(user interface) and easy control so men and women of all ages can use easily is also able to analyze in the level of narrative. Because every game is made by subject-object, every case has certain experience of event. In the game, ‘act’ that user control his character is the core of storytelling. ‘Act’ depend on user`s own ability that makes different event or situation which is already existed, and it generate one event. When users play game, story flows differently with lots of variable, skill, goal, selection, condition and so on. In that, game is recreated by user`s action. In other word, game storytelling has nonlinear structure. SNG Multi narrative structure in user`s game playing on narrative program designed in SNG can be explained with Bremond` Elementary sequence. Bremond sets ‘goal-directed story structure’ that main actor act to achieve specific purpose with the logic of Narrative possibilities. And this is possible to apply to SNG storytelling that change the story structure by user`s act.

      • KCI등재

        비주얼 컬처를 위한 기호학 방법론 고찰 : 포스트모던 예술과 시각기호학

        심지영 한국기호학회 2015 기호학연구 Vol.45 No.-

        This paper examines, on the question of whether semiotics is appropriate as a method of analysing still images of contemporary culture, the limits and the possibility of visual semiotics. We firstly looked into the logocentrism of Barthesian thinking about the image (for example, the text on the advertising Panzani) and iconology of Panofsky. The tradition of mimetic representation based on the metaphysics of presence, which is found in the theories of Barthes and Panofsky, was criticized by the thought of the screen, a concept proposed by Christin, as did Derrida during the controversy over Gogh's painting. In the confrontation between iconicity and plasticity, it was always the former who won even in the analysis of Floch from Greimasian school on non-figurative painting of Kandinsky. This more or less deficient visual semiotics was complemented by the attempt of the Group μ that seeks to develop rhetoric of image, with more elaborate theory of a plastic point of view. Despite the diverse semiotic proposals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images, we have met the challenge of adapting semiotics to the examples of postmodern art: the insufficiency of this methodology comes from the lack of the study on the process of creation (sender side) or on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reception (receiver side). In other words, the elements outside of traditional semiotics such as the 'poïétique' and social semiotics proposed by Gottdiener might be more crucial for reading postmodern images. 본 연구는 현대 비주얼 컬처의 고정 이미지를 분석함에 있어서 기호학이 적절한 방법론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해 질문을 던지며, ‘시각기호학’이라고 불리는 여러 분석 이론들의 한계와 가능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시각기호학에 대한 대표적인 텍스트라 할 수 있는 롤랑 바르트의 광고 이미지 분석방법론과 미술사적 분석에서 가장 대표적인 에르빈 파노프스키의 도상해석학에서 논의를 시작하였는데, 이 두 방법에서는 공통적으로 이미지에 비해 언어에 우위를 두는 로고스중심주의적 관점을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모방적인 재현이 이미지의 본질이라 생각하는 이와 같은 전통에 대해, 안느-마리 크리스탱은 이미지가 무엇을 재현하는지(형태)를 먼저 보기보다는 이미지가 어디에 표현되었는지(바탕)를 먼저 보는 ‘면’에 대한 사고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는데 이는 고흐의 구두 그림에 대해 하이데거와 샤피로가 벌인 논쟁에서 데리다가 취한 입장과 궤를 같이한다. 이렇듯, 대부분의 전통적인 이미지에 대한 담론들은 도상성과 조형성의 대결 구도에서 늘 도상성에 우위를 두었는데, 이는 그레마스 학파의 장-마리 플로슈가 칸딘스키의 비구상적 회화를 분석함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였다. 이와 같은 시각기호학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했던 것이 그룹 뮤(Group μ)의 시도였으며, 이미지의 수사학을 정립하기 위해 조형성에 더 많은 비중을 두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는 데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미지의 의미를 기호학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여러 시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살펴본 오늘날의 포스트모던 이미지들의 경우, 여전히 기호학은 분석의 방법론으로서 충분한 해답을 제시하지는 못하였다. 두 가지 사례에서 살펴보았듯이, 기존의 방법론들이 적극적으로 포괄하지 못하는 영역은 전통적인 기호학의 개념에서 메시지의 발신자와 관련이 있는 ‘포이에틱’(작품의 창작 원리에 대한 연구)의 영역과 수신자와 관련이 있는 수용자의 사회 문화적 조건이 바로 그것이다. 특히 포스트모던 기호학의 수용자와 관련한 부분에서는 마크 같디너의 사회학적 기호학의 관점을 바탕으로 하였는데, 포스트모던 이미지에 대한 분석이 단순히 텍스트의 내적인 분석이나 재현 형태에 대한 분석으로 끝나서는 안 되며, 의미는 시니피앙의 자유로운 놀이에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기호와 기호 사용자간의 관계에서 만들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C. S. Peirce의 세노피타고리언 범주 체계의 응용과 확장

        이두원 ( Du Won Lee ) 한국기호학회 2014 기호학연구 Vol.41 No.-

        이 연구는 21세기 “기호의 범람” 시대에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휴먼 커뮤니케이션의 난제를 퍼스의 세노피타고리언 범주 체계를 통하여 진단해보고, 이 범주의 확장과 응용적 시각에서 그 난제에 대한 테제의 방향성을 모색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기호로 지각하고 인식하며, 기호로 기억하고, 생각하며, 기호로 표현하고, 소통하는 인간은 숙명적으로 “기호의 굴레” 속에서 일상의 삶을 영위한다. 21세기 정보화 시대를 맞이하여 우리는 인류역사에서 그 어느 때보다도 더 확장된 기호계를 갖고 있는 반면 개인의 일상은 기호의 과부화에 시달리고, 대인관계와 사회적 차원의 “불통의 고통” 문제는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 논의에서는 범기호학적 우주관과 인간관을 갖고 있던 퍼스가 자신의 실용주의 철학에서 목표로 삼았던 근본적인 질문 ?즉, 어떻게 인간이 자신의 감각기관들로부터 입력되는 자극들에 기초한 다면적 경험들에 대해 의미를 창출하고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가 -으로 회귀하여 “기호의 범람 시대”에 인간이 직면하고 있는 “불통”이란 “역설적 상황”을 해석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세노피타고리언 범주를 구성하는 세 가지 경계(境界)에 대한 재해석을 통하여 휴먼 커뮤니케이션의 난제를 접근할 수 있는 실용주의적 가능성을 발견하는데 논의의 초점을 두었다. 기호계의 소통 문제는 자아의 출현과 그에 의한 “매개”와 “재현,” 그리고 그 매개의 습관과 법칙, 더 나가 그 습관과 법칙에 대한 집착에 근원을 두고 있음을 퍼스의 범주에서 확인해보고, 불통에 대한 솔루션의 지향성은 기호계(3차성)의 확장을 통한 “비방”이나 “치료”가 아닌 전(前) 자아적(1차성) “힐링”이어야 하고, 기호계를 확장하는 시각(Outbound)과 1차성(현상계)으로 응축하는 시각(Inbound) 사이의 균형과 조화라는 실용적 탐색을 제안하고 있다. Peirce introduced the cenopythagorean categories in his paper entitled "On a New List of Categories" at the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in 1867. The categories are composed of Firstness, Secondness, and Thirdness. Since his introduction of the categories, the triadic analysis and synthesis had continued to appear in Peirce`s philosophy as a method to assist in his epistemological exploration of in humans "life world" (using Heideggers term). Peirce claimed that three categories were sufficient amounts to an assertion that all manifolds of meaning can be unified in just three steps. The following semiotic and communicological inquiry was one of the main problems Charles Peirce who founded Pragmatism aimed to explain in his philosophy: How do humans manage to get something meaningful and useful, therefore pragmatic, out of the manifold experiences originating in the stimulation irritation of their five sensory organs? With his cenopythagorean categories Peirce attempted to explain how human experiences come from the potentialities in Firstness, to the immediate empirical relational experiences of Secondness to interpret triadic regularities or habits in Thirdness. This paper attempts to specify Peirce`s concepts of the cenopythagorean categories to the spectrum and layer model of human perception (Figure 1, 2, & Table 2). Futhermore, this discussion tried to apply the categories to explicate the problematic of human communication in 21st century in the time of signs. As a construction of the pragmatic theme for the problematic, this discussion suggests "inbound contraction" toward Firstness instead of "outbound expansion" toward Thirdness (Figure 4) in taking "the point of view" on human perception, meaning, and communication.

      • KCI등재

        신입사원의 문화인지 발달에 관한 문화기호학적 연구 -드라마 <미생>의 서사를 중심으로

        이병준 ( Byung Jun Yi ),이경아 ( Kyeong A Lee ) 한국기호학회 2015 기호학연구 Vol.43 No.-

        기호학적 관점에서 본다면 조직도 문화가치들의 특정교환을 성취하기 위해서 기호들이 사용되는 복잡한 커뮤니케이션 체계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조직 역시 의미를 생성하는 하나의 발화체로서 파악할 수 있다는 논리에 기인한다. 지금까지의 문화기호학의 관심은 주로 문학, 광고, 영화 등에 등장하는 행위와 대화의 텍스트에 집중하는 경향성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를 벗어나 최근에 중요한 기호적 존재로 부각되고 있는 공간과 신체성, 물질성, 의례적 상호작용 등을 중심으로 이것이 우리의 일상에 재현하고 있는 문화적 기호들의 담론과 서사가 지니는 의미를 분석 하고자 한다. 이를위해 일상생활 속에서 개인의 문화적 인지를 이끄는 문화기호학적 요소를 선정하고,문화기호학적 분석을 위한 이론적 도구를 제시한 다음, 신입사원의 문화인지 변화에 대한 문화기호학적 해석을 시도하는 흐름을 따르고자 한다. 분석의 대상은 2014년 방영된 드라마 <미생>이다. <미생>은 기업 조직의 모습을 현실적으로 묘사하여 높은 공감과 평가를 받은 바 있는 작품이다. 분석을 위해 Greimas의 의미작용모델, Reicoure의 미메시스적 관점, 반 게넵(Van Gennep) 의 통과의례적 접근을 활용한다. 분석을 통해 신입사원들이 조직이라는 새로운 공간에서 “문화” 기호들을 어떻게 학습하고 해석하며, 어떠한 “문화인지적”인 발달 과정을 거치는가에 대해 해석한다. 뿐만 아니라 공간과 신체성, 공동체 의례의 형성에 기반하여 각기 다른 문화기호적 학습의 전이과정과 의미작용이 “조직”이라는 곳에서의 문화를 어떻게 역동적으로 유지시키고 변화시키는지도 파악한다. 이는 조직이 가지는 일상의 작은 리듬까지 밝혀내어 학습과 조직의 문화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이데올로기와 담론에 관한 다양한 기호와 이미지 등의 현전을 정밀히 분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입사원의 문화인지 변화가 조직의 문화 변화에 미칠 영향의 도출까지 확장,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From a semiotic angle, an organization can be the complex communication system signs are used for specific exchanges of cultural values. It comes from the logic that an organization can be also grasped as an utterance which creates meanings. Interests in cultural semiotics mainly have tended to concentrate on behaviors of culture, advertisement, film, etc. and texts of conversation. Therefore,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get out of it, focus on space, physical property, materiality, ritual interaction, etc. which are recently focused as important semiotic existences and analyze meanings of discourses and narratives of cultural sings which are reappeared in our daily life. For the purposes, this research intends to select cultural-semiotic factors leading cultural cognition of individuals in daily life, suggest theoretical tools for cultural-semiotic analysis and then, follow the stream to try cultural-semiotic analysis on changes of new employees`` cultural cognition. The object of the analysis is a drama, <Misaeng> broadcasted in 2014. <Misaeng> received high sympathy and evaluation through the actual description of business organization. For the analysis, signification model of Greimas, mimesis angle of Reicoure and passage rite``s approach of Van Gennep are utilized. Through the analysis, it interprets how new employees are learning and interpreting "cultural" signs in new space of organization and which developmental process of "cultural cognition" is passed. In addition, it grasps how transition process and signification of different cultural-semiotic learning maintain and change the culture of "organization" dynamically based on the formation of space, physical property and community rites. It should be helpful to examine even daily trifling rhythm of the organization and analyze presence of various sings, images, etc. about ideologies and discourses which make an effect on learning and forma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accurately and changes of new employees`` cultural cognition should be able to draw the effects on cultural changes of the organ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