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화합(和合)미학관을 적용한 중국 기초 조형과정 개선방안 연구

        장시림,왕이팡,맹형재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3

        The forming foundation course is a key part of the professional education system of art design, since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students’ artistic appreciation and creative thinking. Unfortunately, China’s forming foundation curriculum lacks the education of cultural literacy and creativity of the oriental and localized aesthetic system. And from the perspective of today’s cultural competition, the existing education model is not helpful for cultivating creative talen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make China’s forming foundation curriculum more cultural and creative by applying traditional Chinese Harmonious Aesthetics.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firs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 educational objectives, methods, contents, and training programs of forming foundation curriculum in China are clarified, and the concept of Harmonious Aesthetics and its forming elements are clarified. Second, in order to clarify the problems of forming foundation curriculum in China, the representative universities in China and ROK were selected for comparative case analysis. Third, to solve the problem of forming foundation courses, the study extracts the forming elements in Harmonious Aesthetics and constructs a framework for improving the educational curriculum. Fourth, through such framework, the study proposes the improvement plan of the forming foundation curriculum from the aspects of educational objectives, methods, contents, and training programs.First of all, further emphasize the ways of aesthetic expression in educational objectives, and establish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truly expressing students' thoughts. Apply the concept of “phases and continuity” in educational methods. While considering the continuity of the educational process, pay attention to the correlation between different forming trainings. In terms of educational contents, improve the integrity and pluralism of educational contents by fulfilling the requirements of “aesthetic relation”, “integrity” and “pluralism” of Harmonious Aesthetics. In setting training programs, avoid unitary and stereotyped training, and pay attention to the diversity and difference of training content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play a guiding role in promoting the reform of the forming foundation process. 기초 조형과정은 예술 디자인 전공의 교육체계에서 중요한 부분으로써 학생들의 예술 감상과 창의적사고를 함양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그러나 현재 중국 기초 조형과정에 있어 동양의 미적 체계에서 비롯된 문화적 소양교육과 창의적 교육관 형성되지 않았으며, 오늘날 문화 경쟁의 관점에서 바라볼 때창의적인 인재 양성에 부합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 기초 조형과정을 개선하기 위해 동양적 화합(和合)미학관을 적용하여 현재 교육과정에 문화성과 창의성을 부족한 문제를 해결하는것이다. 연구방법은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중국 기초 조형과정의 교육목표, 교육방법, 교육내용, 훈련프로그램의 내용과 화합미학관의 개념 및 조형 요소를 도출하였다. 둘째, 현재 중국 기초 조형과정의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중국과 한국의 대표사례를 선정하여 비교분석을 진행하였다. 셋째, 기초 조형과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화합미학관에 내포된 조형 요소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개선의 틀을 구성하였다. 넷째, 도출한 틀을 통해 교육목표, 교육방법, 교육내용, 훈련 프로그램 네 가지 방향에서 기초 조형과정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교육목표에서 미적 감각의 표현방법을 더욱 강조하여 학생의 생각을 진솔하게 표현하는 교육목표를 세우다, 교육방법에서 ‘단계성과 연속성’의 개념을 적용하여, 교육과정의 연속성을 고려하면서 다른 조형 연습 간의 연관성을 주목해야 한다, 교육내용에서 화합 미학관의 ‘미의 관계성’, ‘전체성’, ‘다원성’의 요구와 결합하여 교육내용의 전체성과 다원성을 중시해야한다, 훈련 프로그램에서는 단일성과 패턴화된 훈련을 피하고, 훈련 내용의 다양성과 차별성을 중시해학생들이 연습에서 새로운 형식, 새로운 영감을 발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는 기초 조형과정의 개혁을 추진하는 데 일정한 지도적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한국전통문화의 조형요소와 미의식에 대한 감성적 인식

        문금희 한국기초조형학회 2004 기초조형학연구 Vol.5 No.2

        The 21century by the Information and Globalization comes to a cultural uniformity and capital dependency. In spite of the material richness, mental poverty caused by separation emotion from custom native to Korean. So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is cognized to an alternative proposal. For establishment of the Korean cultural identity, it must be first cognized that the aesthetic attributes of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aesthetic consciousness included in each parts would be grasped as a view of sensitivity. By the study aesthetic attributes of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sufficient database would be gathered. The method of the study is 1) through the basic research the aesthetic attributes of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is abstracted 2) for the grasp of the aesthetic attributes by the study of the literature the sensible cognition structure model is presented 3) from the practical and experimental study by making a question aesthetic sensible database is established. 21세기는 정보화, 세계화로 인해 문화의 획일화와 자본의 종속이라는 결과를 가져왔다. 물질적 풍요에도 불구하고 한국인 고유의 정서와 관습과의 괴리에서 오는 정신적 빈곤은 한국전통 문화를 그 대안으로 재인식하게 하였다. 범세계적으로 한국의 문화적 정체성을 획득하기 위해서 한국전통 문화의 특질을 구성하는 조형요소와 미의식에 대한 인식이 우선 되어야만 한다. 인식을 위해 전반적인 사물들에서 지속되고 변화하여온 조형요소들이 내포하고 있는 미의식을 감성적 측면에서 파악하고자 한다. 한국전통문화의 조형요소들이 갖고 있는 미의식을 감성적 인식 구조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해 충분한 데이터베이스를 마련하므로 전통조형의 현대적 계승 발전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첫째, 한국전통문화의 조형요소를 기초적인 자료수집을 통해 추출하고 둘째, 각각의 조형요소들의 미의식 파악을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감성적 인식구조 모델을 제시한 후 셋째, 설문조사에 의한 실제적 실험연구를 통해 한국전통문화의 조형요소와 미의식의 감성적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자 한다.

      • KCI등재

        디자인 기초조형의 실제적 연구 : 지재조형실험을 중심으로 Based on Form Experiment by Paper

        이길순 한국기초조형학회 2003 기초조형학연구 Vol.4 No.1

        탁월하게 표현된 디자인은 대중들이 경탄하고 마음을 자제하지 못한다. 이것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조형문제가 있음을 간과하기 어렵다. 대부분 실제 디자인업무는 조형을 통하여 수행한다. 이러한 점에서 디자인의 가치는 효과적인 조형구성이 중요한 평가기준이며 이것은 디자인문제의 영원한 과제이다. 디자인의 발전을 위해서 조형연구가 다각도로 활발하게 이뤄져야 한다. 특히 응용조형의 원천으로서 기초조형의 원리이해와 방법론, 조형실험과 새로운 조형발견 등은 디자인 발전에 중요한 도움이 될 것이다. 광의의 디자인은 다양한 협의의 다양한 협의의 여러 장르의 디자인을 형성한다. 각 장르별 디자인의 표현된 형태와 구조를 분석하면 평면, 입체와 공간, 시간과 공간성을 동반한 4차원 그 외에도 다양한 차원으로 발전하며 형성된 디자인으로 존재한다. 그리고 각 분야는 공통적으로 독특한 조형의 가치를 요구하고 있다. 각 차원에 따라 달라지는 조형의 형상과 구조의 배열 배치문제 그리고 각 차원의 실제에 적용을 위한 기초요소이며 조형활동의 기반으로서 기초조형의 원리연구가 절실하다. 오늘날 복잡한 사회문제로 등장한 디자인을 간결하게 풀어낼 묘수는 없으나 기초조형의 연구는 이 문제를 풀어나가는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design shown is an excellent representation which makes people estimable and lose control of their mind. It is impossible to pass over the point of form in deciding this. Most design work is accomplished through form. In this case, the organization of effective form in concerning worth of the design is an important evaluation basis, and it will remain the problem of design forever. A study of form to develop design should be achieved from different angles. Especially, the principal and methodology of basic form which can be the source of practical form, form experiment and the discovery of form will help a lot for the development of the design. Design of the broad sense makes the various sorts of designs in a narrow sense. There are 2D and 3D space, 4D with space-time from the analysis of design form and structure in each genre. In addition, some can exist as design develops and forms from several kinds of view, and each area requires the value of special form which are in common. The Arrangement of form and structure to be different from each dimension is a basic factor for applying it into each view. Therefore, a study for an analysis of the basic form as a circumstance of the form activity is necessary. Nowadays, it is not easy to solve problems and the designs come from complicated issues occurring in our society. This study of basic form would be a beginning to solve these problems.

      • KCI등재

        한국 전통 석조 조형물의 해학성에 관한 연구 -조형성을 중심으로-

        박경윤 ( Kyung Yoon Park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1

        한국 전통 예술의 다양한 분야에 대한 연구는 오랜 기간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나 석조 조형물에 대한 조형적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이는 미적 기준을 어디에 두어야 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우선되어야 할 논제이기 때문이다. 한국 전통 석조 조형물의 미적 해석은 해학성을 그 기준으로 할 때 조형적인 의미 해석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해학성을 기조로 하여 석조 조형물의 조형적 의미를 분석 하였다. 한국의 미와 해학성에 대한 논의를 근거로 하여 한국 전통 석조 조형물에 대한 형태적 의미와 표현적 의미, 그리고 정신적 의미 등 세 가지 개념을 추출하여 해학성에 대한 조형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론은 한국의 전통 석조 조형물에 나타나는 해학성이 우리 민족의 틀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정신과 원칙으로부터의 무관심으로 일관되는 무기교, 또한 표현의 소박함에서 오는 정감어린 자연미와 관조성이 해학성을 형성시키는 조형적 요소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비움과 여백의 미학, 직관적 진리의 추구, 탈기교의 정신으로 일관되는 우리의 예술 정신에서 기인되는 것으로 우리 민족예술의 독특한 문화의 원형적 요소로서 그 지속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국의 해학성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석조 조형물의 해학성을 조형적으로 해석해 봄으로써 우리의 전통 해학에 대한 재조명과 타민족과 미학적 척도와 기준이 다른 우리민족 만의 특별한 미학적 의미를 찾아내어 조형물 안에 내재된 한국의 해학성에 대한 높은 수준의 미학적 가치를 이끌어내어 시사함에 본 연구의 의미를 부여하겠다. The study on the stone sculptures is not carried out while the various fields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s are carried out actively for continuous period. This is the topics to be discussed that priority of the discussion on aesthetics standard. For the analysis of beauty on the traditional Korean stone sculptures, analysis of formative meaning shall be based on the humor. In this study¸ the formative meaning of stone sculptures based on the Korean humor. Based on the discussion of beauty and humor, the three meanings on traditional Korean stone sculptures are derived from as follows: 1) Formative meaning 2) expressive meaning and 3) spiritual meaning.In this conclusion, the humor appears in the traditional Korean stone sculptures can be understood to be the formative essence. In this regard, un-technical simplicity out of free spirits and indifference out of Korean`s traditional freedom from bondage and emotional natural beauty as well as observation is known to be the basis of formative essence. Our original unique cultures maintains its continuous value on the basis of our cultural spirits that is consistent with beauty of emptiness and space, pursuit of direct truth and the spirit of non-technicality. By formatively analyzing the humor of stone sculptures which shows most significantly the humor of Korean culture, reanalysis on the traditional Korean humor and the unique meaning of beauty that has different scale and standard of the beauty of other cultures, we can derive high standard value of beauty to express. This study has the meaning as described above.

      • KCI등재

        디지털 제작 과정을 활용한 기초 조형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운송기기디자인의 스피드 폼 중심으로-

        서혁준 ( Seo Hyuk Jo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운송기기디자인의 주요한 교육 프로그램인 스피드 폼을 제작하는 새로운 방식을 제안하는 것에 있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운송기기디자인이 타 산업디자인의 분야들과 비교되는 조형적 특성을 기술하고 이것이 기초조형 원리들과 어떤 연관성을 가지는지 사례를 들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비례, 반복, 연속, 점이, 전이가 운송기기디자인의 주요한 조형 원리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기초 조형의 원리들을 입문 과정 학생들에게 전달하기 위한 스피드 폼 제작 방식들을 살펴보았다. 기존 방식이 가진 높은 표현의 자유도는 학생들이 어려움을 느끼게 하는 주요 원인이었다. 한편, 3D모델링과 3D프린팅 같은 디지털 교육 환경이 급속히 보급되고 있음에도 저 학년 학생들은 쉽게 컴퓨터 기술을 습득하기는 어려워 적극적으로 이용하기 힘들다는 사실을 설문조사를 통해 확인 하였다. 이를 통해 좀 더 난이도가 낮고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앞의 내용을 바탕으로 한 디지털 스피드 폼 제작을 위한 3가지 조건은 다음과 같다. 1)통제된 조건 하에서 조형 작업이 진행 되어야 한다. 2)기초 조형 원리의 변화를 즉각적으로 경험하고 피드백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 3)기존 스피드 폼 제작 방식의 중요성을 인식한다. 이 조건을 바탕으로 몇몇 가지의 명령어만 사용하는 3D 소프트웨어로 두 가지의 교육 프로그램을 학생 작품을 예시로 제안하였다. 첫 번째는 직선과 평면으로만 구성하는 자유 스피드 폼 제작이었다. 학생들은 기계적, 기능적 하드 포인트와 같은 제약 없이 역동적인 비례와 이미지를 가지는 조형을 만들 수 있었다. 이것이 숙달된 후에는 RC카의 외관을 분리해내고 새롭게 만들도록 하였는데, 3D스캐너와 3D프린터를 이용하여 즉각적으로 조형원리들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3D 스캔 데이터는 디자인 조건의 제약을 주어 조형적 문제해결 능력을 키우는 것에 도움을 줄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디지털 교육 프로그램은 향후 다양한 디자인 분야의 기초 조형 교육의 중요 요소를 가르치는 데에 피교육자의 진입 장벽을 낮추어 효율성을 높이는 것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new way of speed form making programme for transportation design education. The research method first describe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ransportation design compared to the department of other industrial design and analyzed correlation between these characteristics and principles of design modeling. As a result, proportion, iteration, continuation, gradation and transfer were identified as the principal formative principle used in the design of transportation design. We checked various ways of producing speed form to transfer basic molding principles to lower grade students. High freedom of expression was main cause. On the other hand, the survey found that although digital educational environments such as 3D modeling and 3D printing are rapidly spreading, there are difficulties in that lower grades acquire the computer skills. It means that we need to develop more effective education programme. Based on the preceding content, 3 conditions are as follows. 1)Form molding has to proceed under the controlled condition. 2)Students should be able to immediately experience changes in basic formative principles. 3)Recognize the importance of traditional methods. By these conditions, two speed form education programme with 3D software using only a few command have been proposed by examples of student’s design case. The first stage was free speed form configurations using only straight lines and flat planes. The next stage was that disassemble exterior skin parts of RC car toy and redesign it. Student can experience formative design principles via using 3D scanners and 3D printers. Digital education programs purposed from this study are believed to contribute to efficiency enhancing effect of wide formative design education area by reducing entry barriers of educatee.

      • KCI등재

        미생물 형상을 활용한 기초디자인 콘셉트조형 실험에 관한 연구 -산업디자인전공 수업을 중심으로-

        이길순 ( Lee Kil So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디자인에서 콘셉트 가치의 중요성에 따라 감성적 매력의 선호요소인 디자인조형의 개발능력과 디자인 창의능력을 함양하기 위함이다. 산업디자인의 선호가치 개발을 위한 디자인조형요소로서 미생물 형상을 활용한 기초디자인 콘셉트조형 실험으로 조형가치 유효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범위는 미생물 형상의 독특성, 신비감 등의 특징요소가 디자인조형의 다양한 가치가 될 수 있다는 가설을 전제로 미생물 관련이론 및 형상을 고찰하고 미생물 형상 콘셉트를 활용한 실제적 제품디자인과 공간디자인 프로젝트 사례를 조사, 분석하였다. 대학 산업디자인학과 `기초디자인`수업 참여 학생을 대상으로 조형감각과 직관능력 함양을 위한 콘셉트조형실험, 설문조사 및 분석으로 미생물 형상의 디자인조형 소재가치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과정까지 연구범위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미생물 형상 조사는 주로 인터넷사이트를 활용하고 이론탐구는 선행연구논문과 문헌을 중심으로 하였다. 본 논문의 독창성 검증은 선행연구논문실태를 조사, 대조 하였다. 사례연구는 작품 및 제품사례를 인터넷사이트에서 검색 활용하였고 기초디자인 콘셉트조형실험은 `기초디자인`수업 수강학생들의 콘셉트 부여 조형실험에서 5개 표본추출과 17개 조형실험 자료를 제시하였다. 조형실험 후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전체 응답자의 81%가 육안인지가 불가능한 미생물 형상의 조형적 활용에 흥미를 느꼈다는 반응을 보였다. 결론은 본 미생물형상을 활용한 콘셉트 조형실험은 미생물 형상이 디자인조형의 소재로서 생소함, 색다름, 흥미요소, 사고의 전환, 형상적 다양성 등 다양한 측면에서 유용한 대상으로서 가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orporate skills to develop design form as well as design creativity based on emotional preferences in industrial design concepts. To develop such skills, micro-organism based design form fundamentals were used to develop a viable design form. The scope of this study was uniqueness, mysticism as a prerequisite for further investigation and study into the forms of these organisms and how they function from a design perspective as they are applied to an industrial design or even space design context within actualised projects. Fundamental design class industrial design majors were given the task of experimenting with concept and form, with a survey of the validity of micro-organisms as a subject for learning the basics in design. Methodology was visual research through the internet with theory from theses and papers related to the subject. The validity of this paper was researched from other prior papers as well as other publications. Examples were found from the internet with class work from 5 samples with a total of 17 samplings of the fundamental design class students. Based on this survey, 81% of students agreed that the form of an organism unseen by the naked eye was exceptionally intriguing and worthy of further study. In conclusion, it has been established that fundamental design concepts based on micro-organisms can provide a unique, compelling, new thinking, diversity of form-making for design form classes is beneficial.

      • KCI등재

        그래스호퍼 알고리즘을 이용한 기초 입체조형 교육 설계

        이재호 ( Lee Jae Ho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3

        특정한 형태의 구성 단위(Unit)가 일정하게 반복적으로 구현되고 구성 단위들 간의 유기적인 변화를 통해 특정한 규칙성을 보여주는 자기 생성적 디자인(Generative Design)의 특징이 반영된 입체조형작업에 대한 수요와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성격의 조형작업을 학습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 과정들이 운영되고 있지만, 주어진 일정한 사례를 재현하며 디지털 프로그램 툴의 기능과 역할을 학습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한계가 있다. 이 연구는 3차원 모델링의 그래픽 알고리즘 편집기인 그래스호퍼(Grasshopper)의 매개 변수(Parametric)에 기반 한 ‘컴퓨터 프로세싱 알고리즘(Processing Algorithm) 제작과정’과 조형언어에 기반 한 ‘기초 입체조형 과정‘을 접목한 주당 4시간씩 총 15주 과정의 수업을 설계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한 과정과 결과를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방법과 진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1)수학적 알고리즘을 구축하기 위한 구성요소들(Component)의 기본적인 성격과 조형언어들의 관계를 밝히고 2)기초 입체조형 교육의 과정이 추구하는 목표와 과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3)15주간의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했다. 4)이 프로그램을 수업에 적용하여 작업 대상의 선정과 기본 단위가 되는 형태의 추출, 조형요소의 발견과 컨셉의 설정, 알고리즘의 구축, 초안의 수정과 응용, 최종결과물 제작까지 일련의 과정이 수행되도록 했다. 과정별로 작업내용을 정리하고 그 효과를 기술하였으며, 디지털 알고리즘 구축과정에 대한 학습과 기초 입체 조형 학습과정의 접목을 시도한 이 작업을 통해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이 3차원 모델링 프로그램의 학습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보다 생산적이며 새로운 조형작업에 대한 가능성을 경험할 수 있게 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re is a growing demand and interest in stereomorphic work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a self-generated design(Gernerative Design), in which certain types of compositional units are implemented consistently and repeatedly and show specific regularity through organic changes among compositional units. This paper aims to design a total of 15 weeks of classes, 4 hours per week, incorporating parameters into computer processing algorithmic tasks and basic stereomorphic tasks based on formative languages, using Grasshopper, a graphical algorithm editor for three-dimensional modeling. The methods and process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Identify the basic nature of the components to build mathematical algorithm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ative languages. 3)A 15-week education program is designed based on 2)an understanding of the goals and processes pursued by the basic three-dimensional education process. 4)The program was applied to the class to select work objects and extract basic units, to discover and set concepts for formative elements, to build algorithms, to modify and apply drafts, to produce final results. It is meaningful that students from various majors will be able to reduce the burden of learning three-dimensional modeling programs and experience the possibility of more productive and new formations through learning digital algorithms and applying basic stereoscopic learning processes.

      • KCI등재후보

        애니메이션을 위한 기초조형교육의 특성화에 관한 연구

        김효용 한국기초조형학회 2003 기초조형학연구 Vol.4 No.1

        애니메이션은 영화와 마찬가지로 여러 예술분야가 접목되어져 만들어진 종합예술이다. 하지만 애니메이션 이야말로 인간이 추구하는 예술의 가장 최고점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이유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는 영화와는 달리 표현에 한계나 제약이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예술의 거의 모든 분야를 이용하여 인간의 상상을 시각적인 형체로 만든 후 움직임을 준 것이 애니메이션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애니메이션에도 조형(造形)의 개념은 핵심적으로 등장한다. 조형은 '형을 만드는 행위' 이고 그 행위 자체가 예술이며 애니메이션은 이와 같은 예술의 집합체와 같기 때문이다. 이것은 여러 예술분야를 잘 조합해서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좋은 애니메이션을 만들기 위해서는 애니메이션의 본질을 이해해야 하며 여러 예술분야를 애니메이션에 접목시켜 하나의 또 다른 예술작품으로 탄생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예술분야의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여 애니메이션에 적합한 조형성을 찾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이에 따른 특성화된 기초조형교육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이것은 애니메이션이라는 독립적인 매체가 갖는 독특한 예술성의 모태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Animation is, like film, a composite art developed by the integration of various dimensions of arts. Unlike film, which has the limitation of time and space in its expression, animation does not have any limitation in representing the things in the world. Given this, it may fairly be said that animation is at the top of the artistic endeavor made by human beings. At the simplest level, it can be said that animation is transforming a mans imagination into visual forms and then making the visual forms active with the help of all kinds of arts. Here comes the notion of the formative quality as a crucial element of animation. Formative arts are making forms, and the very performance of making forms, itself, is arts, and animation is a composite of these kinds of arts. This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animation is simply made by a combination of various fields of arts. It means that in order to make a good product of animation, one must understand the essential qualities of animation and try to create an independent genre of art animation by fully taking advantage of diverse fields of arts. That is, the attempt is very crucial to analyze the fundamental formative qualities in various fields of arts and to seek for the formative quality that is unique to animation on the basis of that analysis. In this regard, the basic formative arts education specialized for animation is urgently needed. This attempt will nurture the uniqu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animation, another unique medium of arts.

      • KCI등재

        조형(造形)개념 수용의 역사 : 조형에서 디자인까지

        박지나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1

        This study is the History of Acceptance of the word, ‘Johyung(조형)’ in modern Korea. The research attempts to borrow the constellation method that finds new meanings by connecting and reconstructing terms translated into historical and national contexts in the litera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acceptance process of ‘Johyung’ and expand its meaning. The content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concepts of ‘Johyung’ and examine the usage of ‘Johyung’ used in Korea before the modern period. In addition, the history of acceptance of the concept of ‘Johyung’ is examined by tracing the usage of terms surrounding ‘Misul’ coined in the Meiji period. As a result, ‘Johyung’ comes from ‘Bildende Künste’, a concept formed in Germany in the 19th century. However, after Bauhaus was introduced to Japan, its meaning was changed into ‘Gestaltung’. The term ‘Johyung’ cannot be properly translated. This is because Korean modernity is a ‘triple-translated modernity’ in the West, China, and Japan.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clearly only with translation. Rather, reading it as a cultural translation that pays attention to ‘difference’ between cultures would be appropriate to understand ‘Johyung’ today. Even if cultural translation already includes the impossibility of translation, the consideration of the establishment of modern languages through the acceptance of conceptual words becomes the history of modernity itself. Hence, it is required to understand social, cultural and historical contexts of each era as a humanities. All the processes of this reasoning could provide a clue for solving the problems surrounding the term ‘Johyung’ today. 본 연구는 조형(造形)용어를 근대기 한국에서 개념어 수용의 역사라는 관점에서 고찰하는 것으로 ‘조형’의 수용과정을 재검토하고 의미를 확장시키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방법은 문헌들에서 시대적 상황 또는 국가적 맥락으로 번역된 용어들을 언표로 연결하고 재구성해서, 새로운 의미를 찾아내는 성좌적 글쓰기 방법을 차용하였다. 연구내용은 먼저 ‘조형’의 개념과 어원과 문화별로 달라지는 어휘들을 찾아보고, 근대기 이전 한국에서 쓰인 ‘조형(造形)’의 초기 용례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조형’ 개념 수용의 역사를 19세기 개항기의 일본에서 서구문화를 수용하면서 나타난 메이지기 신조어 ‘미술’ 을 둘러싼 용어들의 용례들을 추적하며 그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메이지기(1868-1912) 일본을 경유해 한국으로 수용된 ‘조형(bildende Künste)’은 19세기에 독일에서 형성된 개념으로 형상으로제작하는 것을 넘어 구성하고 이야기를 담는 과정과 활동, 인간문화에서 구체적인 예술작품의 결과물까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회화, 조각, 건축, 공예, 디자인을 아우름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다이쇼기(1912-1926) 바우하우스가 일본에 소개된 이후 ‘조형’의 의미가 ‘gestaltung’으로 변화하게 된다. 이처럼 근대기의 용어들이 혼용되거나 명확한 의미에 닿지 않고 미끄러지는 이유는 한국의 근대가 서구, 중국, 일본 간의 상호작용으로 형성된 ‘삼중 번역된 근대(triple-translated modernity)’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언어 간의 ‘등가성’에 맞춘 번역으로는 명확한 의미파악이 어렵고, 오히려 문화 간의 차이에 주목하는 ‘문화번역’으로 읽어내는 것이 오늘날 ‘조형’을 파악하는 방법일 것이다. 물론 문화번역이‘번역불가능성’을 포함하고 있음을 감안하더라도 개념어 수용에서 나타난 근대어 성립에 대한 과정을고찰하는 것은 곧 근대 자체의 역사 연구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근대번역어들의 수용사 연구가 필요하며, 나아가 각 시대마다의 사회, 문화, 역사적 맥락을 이해하는 인문학적 연구방법이 요청된다. 이와같은 추론과정은 오늘날 ‘조형’ 용어를 둘러싼 문제들을 풀어가기 위한 단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