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구환경 과학교육을 위한 컴퓨터통신 소프트웨어의 개발 및 현장적용 연구

        허운나,김종량,김동식,김용식 컴퓨터교육연구소 한양대학교 1993 교수공학연구 Vol.3 No.1

        1. 제목 지구환경 과학교육을 위한 컴퓨터통신 소프트웨어의 개발 및 현장적용 연구 2. 연구의 목적 첫째, 중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지구환경 과학교육을 위한 컴퓨터통신 소프트웨어를 개발한다. 둘째, 개발된 컴퓨터통신 소프트웨어의 교육적 효과를 학교에서의 현장적용 연구를 통하여 검증하며, 나아가 앞으로 진행될 과학교육용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개발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세째, 학교 컴퓨터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제반 여건을 조성한다. 3. 연구의 기대효과 -학교교육의 질적 개선: 수업효과 증진, 암기가 아닌 참여로써의 과학교육 -교육의 장 확대: 기존 교실수업의 시, 공간적 영역확대와 교육환경에 대한 의식 변화 -학교 환경교육의 효율성 고취 -21세기 교육환경에 대한 비젼 제시 -새로운 기술(Computer-Telecommunication 네트워크)활용 교육방법론 제시 -고도 정보화사회에 대처하는 새로운 교육환경 준비 -Computer-Telecommunication 네트워크를 통한 학생들의 정보교환 모형제시 국가 교육 행정 측면에서는 아래와 같은 효과가 예상된다. -컴퓨터교육용 소프트웨어 개발분야의 첨단기술 축적 -새로운 교육방식으로서의 Telecommunication 및 Computer의 교육적 활용방식에 대한 기술 축적 및 이해 증진 -국제 사회의 일원으로서 국제 환경/과학교육 발전에 능동적인 참여 4. 연구의 내용 첫째, 지구환경 과학교육을 위한 컴퓨터통신 소프트웨어의 개발 -중등학생을 대상으로 국제 환경과학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컴퓨터통신 소프트웨어 2단원(각 12차시분) 개발 둘째, 소프트웨어 활용을 위한 각종 사용안내서의 개발 -각 단원별로 교사지침서 및 학습안내서를 개발 -소프트웨어 사용안내서 개발 셋째, 개발된 코스웨어에 대한 시범학교에서의 현장적용효과 검증연구 및 결과보고서 작성 5. 연구 개발의 기본 방향 ① 조사: 본 소프트웨어(하나의 교육과정이다)는 학생들이 과학자의 입장에서 문제를 탐구하도록 한다. 이제까지의 과학교육은 이미 알려져있는 결과를 얻기 위해 학생들이 실험단계들을 따라 하도록 되어있다. 학생들은 본 소프트웨어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자기의 힘으로 해답을 발견하고 과학적인 연구방법을 배우면서, 과학적인 법칙을 탐구하는 방법을 알게 된다. ② 협조: 본 소프트웨어는 컴퓨터와 통신시스템을 통하여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학교들을 서로 연결한다. 학생들은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으면서도 네트워크를 통해 과학적인 이슈를 서로 협력해서 그 문제를 같이 탐구하게 된다. ③ 지리: 학생들은 본 소프트웨어를 통해 다른 학생들과 함께 연구하면서, 환경이 문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또 문화가 환경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하여 알게될 것이다. ④ 컴퓨터 기술: 본 소프트웨어는 학생들에게 새로운 기술인 컴퓨터에 대하여 가르친다. 학생들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정보를 기록하고, 편지를 쓰고, 그래프를 작성하고 지도를 제시하며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⑤ 간학문적인 접근: 본 소프트웨어의 학습활동은 과학, 지리, 사회, 언어, 수학 등을 포함한다. ⑥ 협력학습: 대부분의 단원이 집단이나 조직내에서 함께 연구하는 데 필요한 인간관계를 개발하도록 구성하려 한다. 따라서, 현재 학교현장에 보급되는 컴퓨터 대수(1개교에 약 30대)로는 1명의 학생이 1대의 컴퓨터로 학습할 수 없는 상황이므로 여러명의 학생이 한 대의 컴퓨터로 학습할 수 있도록 협력학습을 고취시킬 것이다. ⑦ 비판적 사고: 본 소프트웨어는 학생들이 정답을 외우기 보다는 스스로 사고하도록 한다. 이러한 창조적인 분위기 속에서 교사는 학생들의 집단을 조직해주거나 절차를 정해준 후, 학생들이 탐색하는 과정을 살펴보고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6. 이론적 배경 1) 컴퓨터와 교육 학습용 소프트웨어 구성의 기본 원리 -하이퍼텍스트에 의한 학습자료의 구성 -컴퓨터의 도구적(Tool)기능의 학습 -컴퓨터 통신을 통한 미래 정보화 사회에의 준비 2) 환경 교육 환경 교육 측면의 방향성 -인지적(Cognitive), 감성적(Affective), 심체적(Psychomotor)영역을 포함한다. -범교과적 지식과 방법을 활용하도록 환경교육이 통합되어야 한다. -모든 연령 집단을 교육대상으로 하여야 한다. -가치와 태도의 함양을 주목표로 하여 학생들이 직접 느끼고 행동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지역적인 차이를 반영한다. 3) 과학 교육 과학 교육 측면의 방향성 -과학개념의 학습 -탐구학습에 의한 과학교육의 가능성 7. 코스웨어의 설계 1) 중등학교 교과 분석 교과 목표 분석 -환경 문제에 관심을 갖게 한다. -환경 문제의 해결을 위한 지식을 갖게 한다.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능을 몸에 익힌다. -환경의 보호와 개선에 적극적으로 참가하는 태도를 갖게 한다. 교과 내용 분석 -중학교 환경 교육의 내용은 크게 자연 환경, 인공 환경, 인구, 산업화와 도시화, 자원, 환경 오염, 환경 보전, 환경 정화, 환경의 질 향상 등으로 나누어져 있다. 교수학습활동 분석 -직접 경험을 중시하는 교수학습 -영상 매체를 이용한 교수학습 -주변 환경을 소재로 한 교수학습 -변화하는 환경에 초점을 둔 교수학습 -학생 모두가 참가하는 환경 교육 -생활을 통한 환경교육 2) 코스웨어의 교수학습 전략 본 코스웨어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학생들의 환경에 대한 의식 고취 -통신으로 데이타를 비교함으로써 지역적 특성을 파악 -환경의 분야에 있어서 컴퓨터가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의 검증 환경교육과 관련한 본 코스웨어의 학습목표는 아래와 같다. -환경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지식의 습득 -환경문제의 심각성에 대한 이해 -환경문제를 해결(축소)할 수 있는 방안을 실천할 수 있다 과학적 사고 영역과 관련한 본 코스웨어의 학습목표는 아래와 같다. -데이타의 개념과 중요성 -과학적 탐구의 과정 -데이타 해석 방법 -표집에 의한 모집단의 추측 -체제와 요소의 상호작용 컴퓨터 및 통신 영역과 관련한 본 코스웨어의 학습목표는 아래와 같다. -컴퓨터의 활용방안에 대한 기본적 마인드 형성 -컴퓨터 통신의 이점을 이해 -컴퓨터 통신을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활용 할 수 있다. 수업의도를 전달하는 경로와 방식은 아래와 같다. -학습목표라는 명시적인 방법을 통하여 수업의도를 전달한다. -수업 전개과정에서 과학적 탐구와 컴퓨터 및 통신의 전체적인 구조를 파악하도록 유도한다. -단위 수업의 학습내용에서 구체적으로 파악 대상학습자의 수준은 중간 수준의 학습자이며 데이타를 서로 교환하게 되는 집단은 가급적 다른 특성을 보일 수 있는 지역으로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코스웨어 운영상 데이타를 공유해야하므로 반드시 수업 일정이 지켜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3) 코스웨어의 학습목표 -일반영역 환경의식의 고취 컴퓨터를 어떤 방식으로 탐구에 도움을 주는 이해한다. -환경관련영역 수질오염 및 쓰레기 문제가 야기하는 문제를 이해한다. 수질오염 및 쓰레기 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수질오염 및 쓰레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실천할 수 있다. -과학적 사고관련영역 과학적 탐구의 과정을 알고 실천할 수 있다. 데이타의 개념을 이해한다. 데이타의 해석 방법을 이해한다. 표집에 의한 모집단의 추측 체제와 요소의 상호작용을 이해한다. -컴퓨터 및 통신영역 컴퓨터를 활용한 탐구의 개념을 이해한다. 통신을 통하여 지리적 공간적 차이를 극복할 수 있음을 이해한다. 4) 단원별 학습목표 다음은 수질오염 및 합성세제 단원의 학습목표이다. 수중 생태계를 이해하고 수질오염의 영향을 이해한다. 합성세제의 원리와 합성세제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한다. 합성세제를 줄이거나, 사용하지 않을 수 있는 대안을 수행할 수 있다. 과학적 탐구와 데이타의 비교 분석을 할 수 있다. 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간의 비교를 하고, 이러한 기능의 이점을 이해한다. 다음은 쓰레기 문제 단원의 학습목표이다. 쓰레기 문제가 가지는 의미를 이해한다. -사회적, 환경적 문제, 자원 낭비의 문제 쓰레기의 배출현황과 효과적이 절감 방법을 이해하고 실천한다. 지역의 쓰레기 처리 방식을 이해하고 문제를 파악, 개선책을 탐구한다. 과학적 탐구와 데이타의 비교 분석을 할 수 있다. 통신을 이용하여 지역간의 비교를 하고, 이러한 기능의 이점을 이해한다. 5) 교수학습활동 수질오염 문제 단원의 수업 흐름은 아래와 같다. <표 Ⅲ-1> 수질오염 단원의 차시별 수업주제 ------------------------------------------------------------------------ 차시 차시별 수업내용 ------------------------------------------------------------------------ 제1차시 수업 개관 수질오염의 개요 ------------------------------------------------------------------------ 제2차시 합성세제의 개요 합성세제의 사용량 분석 합성세제의 제품특성 분석 ------------------------------------------------------------------------ 제3차시 타지역의 합성세제 사용량 분석 합성세제의 대안 탐색 ------------------------------------------------------------------------ 제4차시 타지역의 합성세제 대안 평가 합성세제에 대한 생활 지침 수립 정수 실험 ------------------------------------------------------------------------ 폐기물 문제 단원의 수업 흐름은 <표 Ⅲ-4>와 같다. <표 Ⅲ-4> 폐기물 단원의 차시별 수업주제 ------------------------------------------------------------------------ 차시 차시별 수업내용 ------------------------------------------------------------------------ 제1차시 수업개관 쓰레기의 개요와 문제점 ------------------------------------------------------------------------ 제2차시 가정과 학교의 쓰레기 발생량 분석 쓰레기 문제에 대한 해결책 모색 ------------------------------------------------------------------------ 제3차시 지역과 학교의 쓰레기 처리방식 분석 쓰레기 각각의 특성 분석 ------------------------------------------------------------------------ 제4차시 쓰레기에 대한 대처 방안 결정 무공해 비누 제작 ------------------------------------------------------------------------ 6) 학습용 소프트웨어 아래는 학습용 소프트웨어의 구성도이다. ------------- 주 메 뉴 ------------- --------------- ------------- --------------- --------------- 학습자료 영역 도움말 영역 통신기능 영역 문서편집 영역 --------------- ------------- --------------- --------------- --------------- ------------- 수질오염 편 쓰레기 편 --------------- ------------- 8.코스웨어의 개발 개발 결과물 -학습용 소프트웨어 -코스웨어 사용안내서 -소프트웨어 사용안내서 -교사지침서: 내가 쓰는 합성세제 -교사지침서: 쓰레기와 분리수거 -학습안내서: 내가 쓰는 합성세제 -학습안내서: 쓰레기와 분리수거 9. 현장적용 연구 1) 수업내용 측면 -컴퓨터를 통해 제시되는 학습자료가 기존 학교 교육과정에 준하는 수준과 내용을 갖고 만들어져야 한다. -기존 학교 교육과정에 환경 및 과학교육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실제의 수업에 앞서 사전 지식을 습득할 기회가 있어야 한다. -통일된 학습방법과, 각종 자료가 준비 되어야 한다. 2) 수업방법 측면 -소집단 토론 형식으로 수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방식에 익숙하도록 사전 준비가 필요하다. -학습자들이 내용을 보다 상세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수업방법과 컴퓨터등 학습도구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는 기회를 마련해야 한다. -좀 더 폭넓은 의견을 교환하기 위해 참여학교의 수를 늘려야 한다. 3) 컴퓨터 통신 측면 -참여학교와 호스트 기관과의 통신시간을 확대해야 한다. -교사가 컴퓨터에 능숙해지는 훈련이 필요하다. -통신내용을 보다 다각화 해야 한다. -학습자 각자가 학습에 컴퓨터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4) 기타 -보다 향상된 시설이나 설비가 필요하다. -학교의 행정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학교 현장에서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교사의 업무 분담, 혹은 전담교사가 필요하다. -참여기관외에 학부형이나 지역 단체의 도움이 필요하다. 10. 결론 및 제언 -환경 교육 측면 -과학 교육 측면 -컴퓨터 교육 측면 -컴퓨터 통신 측면

      • Review of the Literature Technology Use in Education : 교육공학(매체)의 활용에 관한 문헌고찰

        Kim,Chul-joo 컴퓨터교육연구소 한양대학교 1992 교수공학연구 Vol.2 No.1

        정보시대의 도래는 technology의 사용을 통하여 교육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단과 방법을 제공하였다. 수업의 능률과 효과를 향상시키고 교사, 학생간의 좀더 효율적인 의사전달을 위한 다양한 technology의 활용과 효율성에 관한 연구가 기계문명의 대중화 이후 끊임없이 이어져 왔고, 또한 현재에도 그러한 연구는 계속이어지고 있다. Technology를 활용한 교육의 수많은 잇점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communication technology를 이용한 교육적 매체들이 우리의 교육현장에서 활발히, 두드러지게 유용되는 그러한 흔적들을 찾아 보기에는 매우 미흡하다. 교육매체, 통신매체들의 사회 이곳, 저곳에서의 서로다른 목적을 위한 사용은 많이 있지만, 우리의 교육에 있어서 커다란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그러한 교육매체, 통신매체를 통한 교육의 혁명은 일어나지 않고 있다. 이 문헌연구의 첫째부분은 technology를 교육에 도입함으로서 얻어질 수 있는 이점과 그 다양한 효과에 관한 문헌연구를 시도해 보았고, 이에 대한 소제목으로: 1) 다양한 교육매체의 사용에 관한 연구, 2) 컴퓨터를 교육에 도입 사용한 것에 대한 연구, 둘째부분으로는 어떠한 요인들이 technology를 실제 수업에 적용할 수 있게끔 영향을 미치는가? 이에 대한 소제목으로: 1) 교사교육과 교사들의 교육공학에 대한 인식과 태도, 2) 교육자료의 유효성, 3) technology를 적용시키고자 할 때 생길 수 있는 문제점 등을 다루어 보았다. 많은 선행 연구들이 technology를 활용한 교수 수업방법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면에서 상당히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했지만 실제의 결과면에서는 그렇지 않았던 경우도 상당히 많이 있었다. 그런 경우 연에 있어서 중요한 변인이 제대로 콘트롤 되지 못했거나, 또는 시험으로서 쉽게 평가될 수 있는 그러한 결과만을 교육의 효과로서 측정했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 휘이드백이 지속적 동기와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CAI와 인쇄자료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재현,허운나 컴퓨터교육연구소 한양대학교 1991 교수공학연구 Vol.1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edback on continu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by comparing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CAI) with Printed Material (PM). The findings from several studies indicate that the feedback has influenced positively on continu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vement. Especially, feedback connected with CAI would more effective. From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the following 4 hypothesis have emerged. Hypothesis Ⅰ: The feed back group would show higher level of continuing motivation than the non-feedback group. Hypothesis Ⅱ: The feed back group would show higher academic achievement than the non-feedback group. Hypothesis Ⅲ: The CAI group would show higher level of continuing motivation than the PM group. Hypothesis Ⅳ: The CAI group would show higher academic achievement than the PM group. In order to examine the above hypothesis, 101 6th grade 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Then they were randomly assigned four different experimental group (CAI-feedback, CAI-non-feedback, PM-feedback, PM-non-feedback). Subjects, who were assigned one of four treatment groups, studied the given learning materials through two times, and then they were measured continu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by completed the six-item questionaire and ten-item test. The result of measurements were analyzed from 2(CAI, PM)×2(feedback, non-feedback)×2(timing of measurements) 3 way ANOVA. The findings through analyzing could be summerized follows: 1st, regardless of types of media, feedback group showed maintaining the higher level of continuing motivation than non-feedback group. 2nd, the feedback group showed higher academic achievement than the non-feedback group. 3rd, comparing CAI group and PM group, the level of continuing motivation of PM group tend to decrease. On the contrary, CAI group tended to continue the level of continuing motivation. In spite of the novelty effect of microcomputer, it proved that the use of microcomputer might be a strong factor in promoting continuing motivation. 4th, CAI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between pre-and post academic achievement scores. As learning is the continuing process, providing feedback would contribute to maintain the continuing motivation and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Paticularly feedback invold-in CAI can be expected to promote effectiveness of learning in educational settings.

      • "문장맥락학습이 영어 단어의 회상 및 재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희경,허운나 컴퓨터교육연구소 한양대학교 1991 교수공학연구 Vol.1 No.1

        Th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is to test the effects of the presentation of sentential context on the recall and recognition of English words in computer-assisted English word learning. A Precedent findings of researches show that in the event of printing studies through sentential contexts raise the results of the test higher than non-contextualized studies (Howes & Osgood,1954), and that the test of words-recall is easier than that of wordsrecognition by reason of the former affording more the memory in dex route than the latter (Anderson, 1980). Thus, the four following hypotheses are established based on the preceding researches. Hypothesis 1: In the event of computer-assisted English words learning, the group of sentential contexts will result in higher marks in recall test than those of non-contextualized situation. Hypothesis 2: In the event of computer-assisted English words learning, the group of sentential contexts will result in higher marks in recognition test than those of non-contextualized situation. Hypothesis 3: In the event of computer-assisted words learning, the lower-level learners of sentential context group will achieve higher marks of recall test as well than those of non-contextualized group. Hypothesis 4: In the event of computer-assisted words learning, the lower-level learners of sentential context group will achieve higher marks of recognition test as well than those of non-contextualized group. In order to test the above-mentioned hypothesis, the subjects of the computer-class of S middle school are divided into sentential context group and non-contextalized group. The sentential context group learned the words in sentences and the non-contextualized group learned the words on individual words-only situation. The span of learning time were at the disposal of the learners on account of its unimportancein terms of the purpose of the experiment. The results of recall test and recognition test were analyzed by means of variables analysisi. The findings of analyzed experimen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st, In case of recall test results,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 shows a high a statistic tendency, but ther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results of recognition test. In light of levels of learners the results of recall test and recognition test of the lower level learners being statistically processed, the sentential context group attained higher marks than non-contextualized group in recall test, but not in recognition test. This is thought to support the hypothesis 1 and to reject the hypothesis 2. 2nd, In view of the levels of learners, the higher level learners presents no difference between the sentential context group and non-contextulized group in recall test and recognition test alike. But the lower level learners issue in the difference only in recall test, which backs up the hypothesis 3 and rejects the hypothesis 4. The above mentioned findings of the researches make an allusion to the following problems. In case of computer-assisted English words learning, sentential context learning surely helps get higher marks of recall test than non-contextualized learning. The recall test, which measures the ability if reviving what have been learned as they are is more difficult than the recognition test, which does the ability of discern the contents of learning, and consequent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ntential context group and non-contextualized group in recall test is greater than in recognition test, which meaning is that sentential contexts significantly contribute to memorizing English words. From the experimental stand point of view, the recalling ability is more important in learning foreign language and putting it to practional use. Therefore in making computer-assisted English words learning programs, these must center around helping the recall ability rather than recognition ability. The solution of this problem is sentential contexts. We can also apprehend that sentential contexts learning helps the lower level learners more than the higher level ones. We have co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sentences with the networks of contexts which have high lexical sematic density, help raise the effect of learning. We desire that successive researches should follow concept, and that the findings of those researches should be applied to making English word learning program.

      • CAI프로그램에서 학습자의 統制所在와 프로그램의 學習統制權 類型

        이용학,허운나 컴퓨터교육연구소 한양대학교 1991 교수공학연구 Vol.1 No.1

        Learning control has been a major research topic in CAI as well as in traditional teaching and learning. With regard to determining learning control in CAI,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learning tasks and learner's individual differences. In this regard,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CAI program in relation to the learner's locus of control and to test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locus of control and types of learning control.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s above, the following hypotheses are set up on the basis of review of literature and research. Hypothesis 1: When both internals externals learn through CAI program, the academic achievement of internals will be higher than that of externals. 1-1: The recall scores of internals will be higher than that of externals. 1-2: The retention scores of internals will be higher than that of externals. Hypothesis 2: The academic achievement of program-control group will be higher than that of learner-control group. 2-1: The recall scores of program-control group will be higher than that of learner-control group. 2-2: The retention scores of program-control group will be higher than that of learner-control group. Hypothesis 3: There will be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locus of control and types of learning control of CAI program. 3-1: Interanals will show high recall and retention scores in learner control conditions, while externals will show high recall and retention scores in program control conditions. In order to test these hypotheses above, locus of control test was administered to 225 subjects, 9 classes 6th grade of G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On the basis of the test results, the subjects who belonged to the extreme of both pole were divided into the internal and external group. Both internals and externals were randomly assigned to program control and learner control program, After class, recall test was administered to these students. Retention test was followed one week after the recall test, and ANOVA was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learning through CAI, the recall scores of internals were shown higher than that of the external group. And also, the retention scores of internals showed higher tendency in the retention scores than that of external group, but the difference is not so significant statistically. Therefore, it can be interpreted that hypothesis 1 was partially accepted. Second, program-control group showed higher academic achievement than learner-control group, and thus hypothesis 2 was rejected. Third, there was not found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locus of control and types of learning control of CAI program, and thus hypothesis 3 was rejected. It is recommendable to continue to do research on the effects of learner's difference variables such as locus of control in determining the types of learning control in CAI program. And this study will be expected to lay a foundation for subsequent research on this top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