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만델슈탐의 유대 테마 연구: 존재의 근원에 대한 탐색

        박선영 충북대학교 러시아 • 알타이지역 연구소 2015 러시아학 Vol.- No.1

        본고는 만델슈탐의 존재론적 인식의 근원이었던 유대 테마에 대한 시인의 태도와 의식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어린 시절부터 집안을 가득 채운 사향내과 가죽 냄새를 통해 자신이 유대인이자 잡계급 출신이라는 점을 실체적으로 인지했던 만델슈탐은 평생 동안 전 창작을 통해 자신의 존재 근원에 대한 탐색을 이어나갔다. 1장 <‘카오스’로서의 유대>에서는 유년 및 청년시절 만델슈탐의 유대이즘 인식에 내재되어 있었던 부정적인 관점에 대해 살펴본다. 1910년에 창작되어 시집 『돌』의 1916년 판본에 실린 ‘쌍둥이 시’ 「사악하고 질척거리는 연못에서...」와 「거대한 연못 속은 투명하고도 어둑하다...」에서 시인은 ‘사악하고 질척’거릴 뿐 아니라 ‘사랑스럽’기도 한 자신의 존재의 근원 공간인 ‘연못’에 대해 숙고한다. 게다가 자전 산문 『시간의 소음』(1925)의 여러 장을 통해 만델슈탐 스스로 거침없이 ‘카오스’로 규정했던 ‘유대’에 대한 심각한 고민과 거부감이 결국 시인의 유년의 기억들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임을 알 수 있게 된다. 2장 <‘황색 태양’으로서의 유대: 유대의 죽음과 부활>에서는 「빵에는 독이 들어있고, 공기는 다 마셔버렸다」(1913), 「이 밤은 돌이킬 수 없다」(1916), 「사제들 가운데 젊은 보좌로서...」(1917)와 같이 유대의 이미지와 모티프들로 포화되어 있는 시 작품들의 분석을 통해 만델슈탐이 러시아 혁명으로 인한 종말론적인 기운에 기대어 유대의 파멸과 부활에 대해 쓰고 있음을 살펴본다. 이어지는 3장 <‘영예로운 칭호’로서의 유대>에서는 혁명 이후 ‘내부망명자’를 자처함으로써 러시아 문단에서 고립될 수밖에 없었던 만델슈탐이 유대에 대해 어떤 시각의 변화를 보였는지를 추적한다. 시인은 「제4산문」에서 유대를 ‘카오스’로 바라보던 초기의 부정적 시각에서 벗어나 ‘영예로운 칭호’로 인지하며 유대에 대해 호의적인 입장을 취하게 된다. 하지만 시인이 주장한 유대의 ‘영예로운 칭호’는 「제4산문」에서 고른펠트를 지지하는 소비에트 러시아의 주류 공식 문학 종사자들과 자신을 의식적으로 갈라놓기 위한 방책이었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게 되고, 결국 만델슈탐이 ‘유대’를 인종 및 종교의 차원에서 접근한 것이 아니었음을 알 수 있게 한다. 유대인이자 잡계급 출신이었던 만델슈탐은 태생상 이방인이자 주변인으로 살아갈 수밖에 없는 러시아에서 다름 아닌 ‘러시아 시인’이 되고자 갈망하였고 바로 그 이유로 인해 자신의 존재 근원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이 과정에서 시인은 종교 및 인종의 문제를 문화의 차원으로 확장하여 살펴봄으로써 자신의 유대 태생을 극복하고자 하였는데, ‘세계 문화에 대한 향수’라는 시인의 주요 시학적 모토는 유대계 러시아 시인 만델슈탐이 자신의 태생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어 큰 역할을 하였다

      • KCI등재후보

        러시아 문학어사에서 19세기 중반 - 20세기 초 서평 문체의 형성과 의의

        김용화 충북대학교 러시아 • 알타이지역 연구소 2015 러시아학 Vol.- No.1

        러시아 문학어사에서 19세기 중반 - 20세기 초는 언어변화 관점에서, 특히 형태적, 통사적 측면에서 큰 변화가 없었던 ‘안정된 시기’로 규정된다. 그러나 본고는 언어는 동적인 물체이고, 특히 문학어와 문학어 규범은 사회문화적 조건과 맞물려 끊임없이 변화한다는 입장이다. 본고의 연구대상인 시평문체가 형성된 시기도 바로 이 시기에 해당한다. 시평문체가 다른 시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안정된 19세기 중반 - 20세기 초 에 형성된 배경과 러시아 문학어사에서 그것의 의의를 고찰하는 것이 본고의 목표이다. 시평의 고유한 문체는 당시 사회문화적 이슈에 대하여 작가가 자신의 관점과 이념을 가능한 한 더 많은 독자에게 더 효율적으로 어필하기 위한 텍스트를 구성하면서 형성된 것이다. 시평 작가는 독자와의 직접적 소통, 짙은 호소력, 넓은 독자층과 대중성을 확보하기 위해 식자층의 문어적 구어, 민중들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일반 구어, 그리고 속어와 은어까지도 문어적 어휘와 자유롭게 혼합시켰고, 또한 다른 문체들과의 상호 영향을 통해 문체상 중립 지역을 확장시키며 문학어의 다기능성도 향상시켰다. 시평문체는 문학어 텍스트 산출자와 문학어 텍스트의 대상자가 분리되어 있다. 전자는 지식인 계층과 문학 (특히, 사실주의) 작가이고, 후자는 산출자 자신은 제외된 지식인 계층과 일부 일반 민중인데, 여기에서 주목할 점은 대상자가 산출자의 언어적 특성을 규정한다는 것이다. 텍스트 산출자는 자신이 글을 쓰는 목적과 그 글을 읽을 독자를 염두에 두고 어휘와 어결합, 그리고 통사적 구조 등을 선택한다. 18세기 말 – 19세기 초반 로마노소프, 카람진, 그리보예도바, 푸쉬킨의 등 문학어적 활동 역시 시평과 마찬가지로 산출자와 대상자가 분리되어 있었다. 그런데 이들의 텍스트는 문학어에 대한 산출자 개인의 문학어에 대한 관점이나 시도가 반영되었을 뿐, 대상자가 직접 텍스트의 언어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못했다는 것이 시평과 다른 점이다. 본고의 연구 결과와 관련하여 한 가지 더 생각해보고 싶은 점은 다음과 같다. 19세기 중반 – 20세기 초 러시아 문학어의 변화에 견인차 역할을 한 것은 시평 문체이고, 그 변화는 문어와 구어의 자연스러운 접촉과 융합이라는 점, 그리고 20세기 후반 – 21세기 초 대중 매체어의 영향으로 일상적 구어체가 문학어로 대거 유입된 것이 현대러시아 문학어 변화의 특징이라는 점은 литературный язык-публицистика-разговорная речь의 상관적 구도가 문학어 변화의 중요한 축으로, 앞으로 러시아 문학어 변화에 적용되는 일반적 법칙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 KCI등재

        러시아 표준어의 형성과 발전 과정에서 표준어의 주도적 주체와 표준어의 사회적 기반의 상관성 (II): 20세기 말 ― 21세기 초 사회정치적 영역의 차용어를 중심으로

        김용화 충북대학교 러시아 • 알타이지역 연구소 2019 러시아학 Vol.- No.18

        This paper, which focuses on the mutual influences of the leading personalities and the social base of literary language in the process of borrowing a sociopolitical lexicon for the late-20th century ― early 21st century, is a subsequent research paper studying sociopolitical loanwords in the journalistic style of mid-19th century Russia. The key conclusion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① the “среднелитературный тип речевой культуры” is the social base of modern literary language, and most modern Russians refer to this. ② The leading personalities of literary language differ greatly by loanword type. ③ The influence of the leading personalities of literary language on the social base of literary language is insignificant. Previously, which social class and what kind of ideology-oriented people formed the social base of literary language, and which one of them leads the development of the literary language and presents the direction, were key issues in grasping the characteristics of Russian literary language. However, this has lost significance in modern literary language. Now, the focus of research should shift to what language the social base is oriented toward. At present, mass media language is located in the center of language life, covering the whole of the Russian language. It is enough that the formula “mass media language = Russian” is established. Therefore, the study of modern Russian literary language should start with mass media language. Now is the time to reflect on the typification or stylistic subdivision of mass media language.

      • Русские личные имена в системе вежливости на ты и на Вы

        Н.Ч. Хан 충북대학교 러시아 • 알타이지역 연구소 2014 러시아학 Vol.- No.10

        러시아어에는 한국어와 같은 경어법은 아니지만 높임말과 낮춤말 같은 2개의존경 체계가 존재한다. 2인칭 대명사에 의존하는 높임말은 Обращение на Вы라칭하며, 낮춤말은 Обращение на ты라고 일컬어진다. 이 두 존경 체계는 각각호칭과 이름으로 표현된다. 러시아 한 사람의 이름이 상황에 따라 20여 가지의다양한 이름으로 표현되며, 이 모두가 각각 화자의 청자에 대한 존경, 사회적 관계 및 정서를 표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높임말과 낮춤말을 표현하는 이름 종류를 살펴보고 있다. 4종류의 높임말 표현과 낮춤말에 사용하는 세 개의 단축 종류를 포함한 다섯 종류를살펴보고 있다. 러시아어에는 단축으로 표현되는 이름 종류가 약 150여 개까지존재할 수 있으며, 이 모두가 앞서 말한 바와 같은 화자의 청자에 대한 존경, 사회적 관계 및 정서, 느낌, 기분 등을 담고 있다. 따라서 러시아어 호칭과 이름을분석하는 작업은 외국인들이 러시아 문화연구를 함에 있어 큰 의미가 있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알타이 설화에 나타난 어휘의 상징성

        이경희 충북대학교 러시아 • 알타이지역 연구소 2023 러시아학 Vol.- No.2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Altai tales and the symbolic meanings of words in Altai tales. Altai refers to the Altai Republic in the Russian Federation, located in South Siberia. Altaians - the common name of a kind of historically formed union of six autochthonous Turkic-speaking ethnic groups. Altai folklore is the traditional beliefs, customs, and stories of a community, passed through the generations by word of mouth Altai people. Altai folk tales are life stories that reflect the traditions, belief systems, religions, and cosmic views of the peoples who have lived around the Altai Mountains since ancient times. Altai folk tales have similar themes or modified contents found in other regions and peoples, but reflect the uniqueness of the Altai peoples and culture. In Altai folktale texts, color words that symbolically express the main character and surrounding objects, as well as names of people and numbers using color words, are found. These vocabularies are linearly combined with other vocabularies and function as text components unique to narrative texts.

      • KCI등재

        이행의 관점에서 바라본 시공간 진화체로서 17세기 러시아

        최정현(Choi, Junghyun) 충북대학교 러시아 알타이지역 연구소 2018 러시아학 Vol.- No.17

        It can be said that the reason the 17th century was made possible was the rule of Ivan IV. It was when most powerful absolute monarchy became the starting point that detonated its own antithesis – the period of transition. Though it remained an unstable political regime with weak rulers, but Ivan IV was able to gradually build an 16-th century European absolute empire while facing collective resistance of the nobility towards him, and through covering up, conciliating with and suppressing rebelling peasants. This for m of imperial policy in the making, though it paradoxically produced perpetual reactio and as such was plagued with resistance from the below to the rule of the stabilizing upper classes, can be seen as the biggest side of in the history of Russian 17th century. The name “the century of revolts” (Бунташный век) was made for a reason. The important thing is the idea that the Russia society was slowly progressing through this forest of radical conflicts and struggle. In fact, conflicts and hostility is a rare element in societies that lack progress. Of course, these movements and that time, look as Janian movements, or, as someone ruled out, it is like “rushing forward while facing backward”. However, we can retroactively say that such movement itself, in the end, took form of the westernization reforms launched by Peter the Great. These reforms, let alone the argument against their axiological features as well as their positive/negative influence, truly became an obvious turning point for the Russia society. However, it is believed not to be a Copernican Revolution, as it is usually seen. It was not that a caprice of one absolute monarch created a city on a desolate coast of the Baltic sea the swamps of the Gulf of Finland and this city became the capital of the empire that would decide the fate of the Russian society. It was a tentative result first brought by the dialectical synthesis in the course of the historical consistency. In other words, it was one of the ways to enter the outside world. The 17th century is neither an appendix of the dying middle – ages nor the cumber some dawning of the bright modernity. It truly was a chapter in struggle of theses, the turning point and driving force that brought in the western is a nation and modernization by Peter the Great after the 18th century.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from the middle ages (Древняя Русь) to the modernity (Новое время), the “17th century Russia” did not make a sudden teleport from one separate side to the other, it rather experienced an interpolation of the movement from the middle ages t modern times. When understanding Russia of the 17th century as a combination of two axes of time and space and as a type of evolutium, the transition from the middle ages to modernity, as a process inside a process, did not separate Russian history in two pieces with 1703 as the watershed. The author believes that it should be perceived though the trajectory of a truly coordinated development based on historical dialectics.

      • KCI등재
      • KCI등재

        러시아어 담화직시

        정정원(Chung, Jung Won) 충북대학교 러시아 알타이지역 연구소 2016 러시아학 Vol.- No.13

        This paper investigates Russian pronouns of discourse deixis and their deictic aspects. Russian discourse deixis is expressed by means of the demonstrative pronouns eto ‘this’, to ‘that’ and the personal pronoun ono ‘it (neutral gender, singular number and third person)’. The proximal demonstrative pronoun eto ‘this’ is unmarked way to render discourse deixis and it reveals the given event’s perceptual, temporal, psychological proximity to the narrator-speaker, the high level of involvement of the subject in the given event and new or foreground information. The distant demonstrative pronoun to ‘that’ and the personal pronoun ono ‘it’, as a marked peripheral expression of discourse deixis, are not used as actively, widely and frequently as the proximal demonstrative pronoun eto ‘this’. The demonstrative pronoun to ‘that’ overtly expresses a perceptual, temporal and psychological distance from the narrator-speaker, the low level of involvement of the subject in the given event, and old or background information which are derived inter alia from the pronoun’s deictic meaning while the personal pronoun ono ‘it’ that is not supposed to demonstrate the overt distance merely implies a covert distance from the narrator-speaker. In any cases Russian pronouns of discourse deixis reveal the deictic information, just as the exophoric deictic pronouns, whereas generally the deictic information is neutralized in discourse deixis in other languages. This peculiarity of Russian pronouns of discourse deixis must come from at least two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Russian discourse deixis. Firstly, the proximal demonstrative pronoun eto ‘this’ is unmarked in Russian discourse deixis. The proximal demonstrative refers to what is close while the distant demonstrative refers to what is not close, i.e., not only what is distant but also what is neither distant nor close, which makes the distant demonstrative can be used distance-neutrally in many languages. Namely, the Russian proximal demonstrative eto ‘this’ by nature cannot be neutral in the distance, while the distant demonstrative, such as English distant demonstrative that can. Consequently the other peripheral Russian pronouns of discourse deixis to that and ono it also cannot but reveal the lack of the proximity in overt and cover ways. Secondly, there are other means than the unmarked proximal demonstrative pronoun eto ‘this’ to express discourse deixis in Russian.Although the unmarked proximal demonstrative pronoun to ‘this’ is used also in Polish discourse deixis, the Polish distant demonstrative pronouns and personal pronouns are not employed in discourse deixis, and the proximal deictic meaning of to ‘this’, as the only means to express deictic discourse, is annulated. Meanwhile the existence of discourse deictic Russian to ‘that’ and ono ‘it’ makes the deictic contrast more vivid in Russian discourse deixis.

      • KCI등재

        내적 타자의 다면성: 최신 러시아 영화에 나타난 북극 토착민의 시각화

        라승도 충북대학교 러시아 • 알타이지역 연구소 2022 러시아학 Vol.- No.24

        현대 러시아 영화에서 북극 토착민의 시각적 재현이 극영화와 다큐멘터리 영화를 가리지 않고 뚜렷한 흐름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2014년에는 러시아 ‘북극 영화’ 네 편이 한꺼번에 출시됐다. 이 중에서 A. 즈뱌긴체프의 「리바이어던」과 N. 메샤니노바의 「‘희망’ 공장」, A. 멜니크의 「영토」는 러시아 안팎에서 다양한 주제에 걸쳐 분석적 조명과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러시아 북극권의 대표적인 소수 토착민인 야말 지역 네네츠인에 관한 이야기를 극영화 최초로 묘사한 V. 투마예프의 「하얀 이끼」에 관해서는 현재까지 어떤 비평적 접근도 이뤄지지 않았다. 이런 배경에서 본 연구는 「하얀 이끼」를 중심으로 러시아 ‘북극 영화’에서 북극 지역 소수 토착민의 삶에 관한 시각화 작업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뤄졌고 이 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중요한 ‘내적 타자’로서 북극 토착민의 당면 현실과 문제가 무엇인지 본격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 KCI등재

        Grammatica Russica(1696)의 형태론: Грамматıки Славєнскиѧ правилноє Сѵнтаґма(1619)와 비교의 관점에서

        한지형 충북대학교 러시아 • 알타이지역 연구소 2022 러시아학 Vol.- No.24

        본 논문은 스모트리츠키(M. Smotrytsky)의 교회슬라브어 문법서 Грамматıки Славєнскиѧ правилноє Сѵнтаґма와의 비교의 관점에서 루돌프(H. W. Ludolf)의 러시아어 문법서 Grammatica Russica에 반영된 러시아어 문법의 체계의 양상을 명사, 대명사, 부사, 전치사, 접속사에 대한 형태론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살펴볼 수 있었던 첫 번째는, 루돌프 자신이 직접 그리스어・라틴어의 전통에 입각한 러시아어 문법 체계를 정립하기보다, 이에 대한 교회슬라브어적 변용을 보여준 스모트리츠키 문법서를 매개로 Grammatica Russica를 집필하였다는 점이다. 두 번째, 스모트리츠키의 문법서와 비교해볼 때, Grammatica Russica의 내용과 구성 전반에서 발견할 수 있는 문법 체계의 간소화는 당시 루돌프가 직접 겪고 관찰한 러시아어에 대한 귀납적 정보를 반영한 결과일 뿐만 아니라, 러시아어 학습을 희망하는 유럽인들에게 적합한 실용 러시아어를 제공하기 위한 최적화된 체계로도 평가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러시아어 학습의 어려움을 야기하는 러시아어 문법에 대해 유럽어와의 관계 속에서 그 보편성과 특수성을 인식하고, 이를 대조언어학적으로 설명하는 Grammatica Russica의 문법 기술법은 오늘날의 외국어 교수법과도 궤를 함께하는 부분이다. 또한 스모트리츠키의 문법서와 달리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명사 지소형과 그 사용 범례를 소개하는 부분은 당시 러시아인의 언어문화를 엿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Grammatica Russica에 반영된 러시아어 문법의 체계와 그 정립 양상은 외국어로서의 러시아어 교육사의 관점에서 조명해볼 수 있는 의미를 지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