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50~1960년대 일본의 ‘식민지배 미화론’ 주장과 한국 역사학계의 동향

        이계형(Lee, Kye-hyung)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21 중앙사론 Vol.- No.54

        해방 후 한국의 일본 ‘식민지 미화론’에 대응은 1953년 10월 제3차 한일회담 당시 일본 측 수석대표인 구보타의 “36년간의 일본의 한국 강제 점령은 한국민에 유익하였다”라는 발언이 나온 이후부터라고 본다. 구보타의발언은 1980년대 불거진 ‘식민지근대화론’과 맥을 같이 한다. 이는 한일회담 당시 한일 양국의 재산 청구권 문제로 불거졌지만, 일본의 한국 식민 지배에 대한 인식이기도 하다. 하지만 한국의 역사학계는 해방 직후부터일제의 식민정책에 주목하지 않았다. 당시 한국 역사학자들은 한국 현대 사를 역사로 인정하지 않는 분위기였다. 더욱이 당시 사료가 수집, 정리되지 않았으며, 이를 전문으로 연구할 연구자가 거의 없었다. 1950년대 중반부터 한국 역사학계의 학자들 가운데 일제의 ‘시혜론’을 비판하기 위한 ‘수탈론’이 주장하기 시작하였다. 그 뒤 1965년 한일수교를 전후로 일제의 식민지배 연구는 식민사학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특히 ‘정체성론’에 대한 비판적인글들이 나오기 시작했다. ‘정체성론’이란 한국사회의 내재적 발전을 부정 하는 논리로, 한국은 근대사회로 이행하는데 필수적인 봉건사회가 형성하지 못하여 사회·경제적으로 낙후된 상태를 벗어나지 못했다는 논리이다. 따라서 일본은 합법적으로 조선을 ‘병합’했으며, 일본의 통치로 한국은 비로소 근대화와 산업화를 이룩할 수 있었다고 주장한다. 즉, 일본의 식민지 지배가 조선의 자생적인 근대화 과정을 짓밟은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근대 화를 앞당기고 알차게 만들었다고 하는 ‘식민지 근대화론’으로 이어지지만, 이는 1980년대에 들어서 한국 역사학계로부터 거센 비판을 받고 있다. After the liberation, the logic of the Japanese emperor s colonial rule was that at the time of the third Korea-Japan meeting in October 1953, Kubota(久保田), the chief representative of the Japanese side, said, 36 years of Japan s forced occupation of Korea was beneficial to the Korean people. Look researched since the remarks came out. Kubota s delusions are in line with the theory of Colonial Modernity that emerged in the 1980s. This surfaced at the time of the Korea-Japan talks due to the issue of property claims between Korea and Japan, but there is also recognition of Japan s colonial rule in Korea. However, the Korean history academia was not immediately researched on Japanese colonial policy. Existing historians did not recognize modern history as history, but the historical materials of that time were not collected and organized, and few researchers specialized in studying this. Historians studies of Japanese colonial rule since the mid-1950s have led to the emergence of a deprivation theory to criticize the so-called grace theory. It clarified the substance of the land survey project promoted in the 1910s, and concluded that it was ultimately for Japan to seize. Then, before and after the normaliz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Japan and Korea in 1965, research on Japanese colonial rule proceede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colonial history. In particular, critical texts on Stagflation theory began to appear. The Stagflation theory is a logic that denies the intrinsic development of Korean society, and it is the logic that Korea has not escaped from a socially and economically backward state because a feudal society, which is essential for transitioning to a modern society, did not form. Therefore, Japan legally annexes Korea, claiming that Korea was the first to achieve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under Japanese rule. In other words, it leads to the theory of Colonial beautification theory that Japan s colonial rule did not trample the process of Korea s self-sustaining modernization, but rather advanced and enriched it. Since the mid-1960s to refute the theory of identity, Korean historians have proposed the theory of implicit development, and to prove this, research papers such as the theory of elements of capitalism and the Korean historical periodization have been poured out. This also served as an opportunity to overcome another issue of colonial history, the theory of Heteronomy. This is also because it is the logic that Korea has made positive efforts for modernization since the late of Chosun Dinasty. As a result, the Korean historical system gradually overcame the Japanese Colonial beautification theory theory.

      • KCI등재

        조선후기 향촌사회사 연구 성과와 과제 : 중앙대학교 역사학과의 연구성과를 중심으로

        박경하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21 중앙사론 Vol.- No.53

        이 연구는 1978년 이래 중앙대학교 역사학과에서의 조선후기 향촌사회사 연구 성과를 검토하고,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향약의 성격을 향규, 동계, 주현향약, 촌계로 분류하고, 이에 대한 연구들을 진행하여 왔다. 1983년 향약연구회에서 향촌사회사연구회로, 그리고 최근 향촌사회사 연구소로까지를 리뷰했다. 향후 연구과제로 지역 사례 연구를 진행하되 타 지역과의 비교, 중앙의 향촌 통치, 사족의 향촌 지배 등의 연구가 조선시대 사회의 성격을 규명하는 담론과 연결되어어야 할 것을 제시하였다. 지금까지의 연구 관점은 주로 향규와 동계를 통한 사족의 향촌지배, 주현향약을 통해 중앙의 향촌통치에 대한 관심과 연구였다면, 이제는 주민자치의 촌계연구를 중심을 두고, 조선 후기 기층민의 생활사를 복원 재조명해야 할 것임을 강조했다. 우인 김용덕 교수의 40여 년 전의 바람과 전망대로, 현 사회에서는 주민 이 중심이 되는 지방자치, 주민자치의 요구가 활발하고, 전국의 지자체에는 완전한 형태는 아니지만 주민자치위원회가 설치되어 주민의 의사가 일 정부분 반영되고 있다. 전통시대 촌계에서의 협동 상호부조하는 공동체 정신과 생활양식이 현대의 주민자치에 정신적 가치로 계승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역사가 과거에만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현대에 계승 적용할 수 있는 사례라는 점에서 중앙대 역사학과에서의 향촌사회사연구는, 향약·촌계연구는 역사적 의미뿐만 아니라 그 현대적 가치가 크다고 할 것이다.

      • KCI등재

        호서대동법 실시 전후 진상의 운영과 변화

        전상욱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11 중앙사론 Vol.0 No.34

        In this paper, as conducted by daedongbeop(大同法), Operations and changes of Jinsang(進上) Explained. Through this,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from Gongnapje(貢納制) to Daedongbeop(大同法), To evaluate the process of Jinsang(進上) maintenance. After conducting Hoseo daedongbeop, Specialties were purchased in Seoul. In Chapter 2, Examined the cause of this way was adopted. For this reason Commercial development of 16 to 17 century noted In previous studies However, this article noted the regional peculiarities of Hoseo regional specialties. And How to Buy in Seoul Justification was secured. This approach has not been violated in justification of Jinsang(進上). Since the selected How to Buy in Seoul Explained. This approach resulted in the problem. First Goingin(貢人) were paying for the bad quality stuff. And financial resources have been wasted. Because of this, How to Buy in Seoul Were discussed. The way the Goingin(貢人) paid was maintained. So This approach was reflected in 『Hoseo Daedongsamok』(湖西大同事目). But In this way, the problem was ongoing. Eventually, This approach was changed in 1658. Eventually, Groceries were purchased from the crown. And medicine, paid in Chungcheong.

      • KCI등재
      • KCI등재

        갑오개혁기 훈련대 연구

        이선오,장규식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23 중앙사론 Vol.- No.58

        훈련대는 1894년 7월부터 진행된 군제 개혁의 결과물로 갑오개혁기 신식 군제에 입각한 조선의 유일한 군사 조직이었다. 중앙 2개 대대, 지방 2개 대대로 편성된 훈련대의 주도권 확보는 사실상 조선의 무력 장악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때문에 훈련대는 개혁의 주도권을 쥐고자 했던 세력들 간의 갈등에 끊임없이 휘말렸다. 박영효와 조희연의 대립, 박영효와 고종의 대립이 그 대표적인 경우였다. 훈련대는 을미사변에 가담한 뒤 여론의 뭇매를 맞고 해산 수속을 밟았다. 훈련대가 을미사변에 가담한 동기와 관련해서는 보통 근왕파와 친일 개화파 세력의 갈등을 든다. 그러나 박영효의 축출 이후 훈련대 장교들 대다수는 정치적 중립을 표방하였다. 문제는 훈련대 해산 소문이 불러온 파장이었는데, 이를 통해 자신들의 군부 내 기득권 유지에 위협을 느낀 장병들이 이해관계 때문에 일본의 왕비 시해 계획에 협조한 것이 그들의 을미사변 가담 동기였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중국정부의 일대일로 정책 추진과신화교·화인사회

        이정희(Yi, Jung-hee)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21 중앙사론 Vol.- No.54

        본고는 중국정부가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일대일로 정책과 화교 · 화인 간의 관계를 중국 개혁개방 이후 해외로 이주한 신화교 · 화인 및 그사회를 중심으로 논의했다. 검토한 결과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신이민’의 급증으로 인해 화교 · 화인사회가 기존의 노화교 · 화인사회 중심에서 신화교 · 화인사회 중심의 사회로 이동하고 있다는 점을 분석했다. ‘중국신이민’의 급증은 동남아를 제외한 지역에서 신화교 · 화인 인구가 노화교 · 화인의 인구를 훨씬 능가하는 현상을 초래했다. 일본의 신화교 · 화인의 사회단체 사례 분석을 통해, 그들이 조직한 사회단체는 1990년대 들어 조직되기 시작했으며, 상회, 동향회, 학술과학단체, 동창회, 이들 단체를 종합한 연합단체가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둘째, 신화교·화인의 사회단 체는 거주국 주재 중국대사관 및 영사관, 중국의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활동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을 찾아볼 수 있었 다. 일본의 신화교 · 화인의 사회단체 가운데 단체의 규정에 명확히 그러한연관관계를 밝히고 있는 단체가 많았으며, 중국정부의 정책을 지지하거나동조하는 활동도 펼치고 있었다. 이러한 성격은 싱가포르의 신화교 · 화인의 사회단체에서도 확인되었다. 셋째, 중국정부는 경제적인 측면에서 일대일로와 화교 · 화인을 연계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2015년 세계화교화인공상대회를 조직하고, ‘일대일로화상조직협력플랫폼’을 개설해 구체적으로 추진하고 있었다. 이 플랫폼의 회원은 신화교 · 화인이 조직한 사회단체가 중심이며, 유럽과 아프리카 지역의 사회단체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하지만, 실제로 일대일로의 대형 사업에 참가하는 것은 노화교 ‧화인 출신의 화상이었다. 넷째, 중국정부는 공공외교에서 한발 더 나아가 교무공공외 교를 추진하면서 화교 · 화인을 거주국과 중국 간 ‘민심상통’ 외교의 교량으로 활용하려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그 대상에 자국민인 화교뿐 아니라 거주국의 국적을 취득한 화인도 포함되어 있어 거주국의 토착민의 배척사건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This paper is to review relationship between China’s One Belt One Road initiative and Chinese Overseas Society, mainly focusing on Chinese new migrants after Chinese government adopted reform and open door policy. The results of these review are as follows. Firstly, Chinese Overseas Society has changed from Chinese oldcomer s society to newcomer s society with the rapid increase of Chinese new migrants. The rapid increase of Chinese new migrants has caused the population of Chinese newcomer s society to outnumber Chinese oldcomer’s population except for Southeast Asia region in the worl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ase studies of the Chinese newcomer s society in Japan, it was revealed that their social organizations began to be organized in the 1990s, and there were such as chamber of commerce, Tongxianghui (同鄕會), academic and scientific professional groups, alumni groups. Secondly, Chinese newcomer s organizations tend to operate with maintaining close relations with Chinese government. Thirdly, the Chinese government organized World Overseas Chinese Entrepreneurs Conference in 2015 in order to promote China’s One Belt One Road initiative. The OCEC established the ‘Cooperation Platform for Overseas Chinese Entrepreneur’s Organizations’. Members of the platform were mainly consisted of Chinese newcomer s organizations. Fourthly, Chinese government was driving the Diaspora Affairs Public Diplomacy to use Chinese overseas as a intermediator between China and resident country. But, his projects could lead to ethnic conflict in multi-ethnic countries.

      • KCI등재

        만주 지역의 자연환경과 교통로

        여호규(Yeo, HoKyu)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22 중앙사론 Vol.- No.55

        만주 지역의 지형은 중앙부의 松遼大平原(동북대평원)과 그 외곽의 산지-구릉지대로 나뉜다. 주민집단의 분포양상은 지형이 아니라 기후에 따라 달라졌다. 만주 중남부는 온난하고 강수량이 풍부하여 예맥계의 농경민이 거주했다. 만주 서북부는 강수량이 적어 건조한데, 동호계의 유목민이 거주했다. 만주 동북부는 추운 기후 지역으로 읍루계의 수렵민이 거주했다. 만주 중앙부의 동북대평원은 광활한 대평원이지만, 농경민과 유목민의 접경지대이어서 정치적 중심지를 이루지 못하였다. 만주 지역의 주요 교통로는 松遼大平原을 경계로 그 동남쪽의 長白山脈 지구 및 서북쪽의 大興安嶺山脈 東麓 구간으로 나뉘어 발달했다. 長白山 脈 지구의 교통로는 산맥 사이의 하천 연안로를 연결하는 형태로 발달했고, 大興安嶺山脈 東麓 구간의 교통로는 초원과 사막 지대를 관통하는 양상을 띠었다. 발해안 연안의 요서지역과 요동평원 일대에도 일찍부터 교통로가 발달했는데, 戰國 燕 이래 중원왕조가 진출하여 동방지역을 지배하기 위한 통로로 활용했다. 10세기까지 만주 지역의 교통로는 송료대평원 동남쪽, 송료대평원 서북방, 발해만 연안의 요서-요동지역 등 지역별로 발달하는 양상을 띠었다. 고구려와 발해는 송료대평원 동남쪽의 장백산맥-지맥 구간을 중심으로교통로를 정비하고, 송료대평원 일대를 중원왕조나 유목민의 방어하기 위한 국경지대로 삼았다. 중원왕조도 발해만을 연안의 요서-요동지역에 교통로를 구축했지만, 만주 서남부 지역에 편중되었다. 만주 전역을 긴밀하게 연계한 교통망이 구축되지 않은 것이다. 遼·金이 흥기한 다음 점차 만주 전역을 연계한 교통망이 구축되기 시작했다. 遼와 金이 송료대평원 일대를 영역화함으로써 송료대평원을 종단하거나 횡단하는 여러 교통로가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시작했다. 이를 통해만주 전역을 연결하는 교통망이 구축되기 시작했다. 만주 전역을 연계한교통망은 元, 明, 淸을 거치며 더욱 조밀하게 정비되었다. 그리하여 청대에는 만주 전역을 연결하는 주요 교통망이 구축되고, 松花江이나 嫩江 유역에서 北京에 이르는 간선 교통망이 여러 개 개설되었다. The topography of the Manchuria area is divided into the Northeast Plains(The Plains of the Songhwa River and the Liaohe River Basin) in the central part and the mountainous-hilly area outside. The distribution pattern of resident groups varies depending on the climate, not the topography. The central and southern part of Manchuria was warm and rich in precipitation, so farmers of the Yemaek co㎜unity lived there. The northwestern part of Manchuria was dry due to low precipitation, and nomads from the Dongho co㎜unity lived there. The northeastern part of Manchuria was a cold climate area, where hunter-gatherers from the Eupru co㎜unity lived. The Northeast Plains in the central part of Manchuria is a vast plain, but it has not formed a political center because it is a border area between farmers and nomads. The main traffic routes in the Manchuria area were divided into the Changbai Mountain Range district in the southeast and the eastern foot of the Daxinganling Mountain Range in the northwest, bordering on the Northeast Plains. The traffic routes in the Changbai Mountain Range district developed in the form of connecting the river coastal routes between the mountain ranges. In contrast, the traffic routes at the eastern foot of the Daxinganling Mountain Range penetrated the grasslands and desert areas. Traffic routes in the Liaoxi area and Liaodong Plain area along the coast of Bohai Bay developed early on, and the Chinese Dynasties advanced here and used it as a passageway to dominate the East area. Until the 10th century, traffic routes in the Manchuria area developed by region, including the southeast of the Northeast Plains, the northwest of the Northeast Plains, and the Liaoxi-Liaodong area along the coast of Bolhai Bay. Goguryeo and Balhae reorganized traffic routes around the Changbai Mountain Range in the southeast of the Northeast Plains, and made the area of the Northeast Plains a border area to defend the Chinese dynasty and nomads. Chinese Dynasties also established traffic routes in the Liaoxi-Liaodong area along the coast of Bolhai Bay, but it was concentrated in the southwestern part of Manchuria. Until the 10th century, a traffic route network closely linked throughout Manchuria was not established. After the founding of the Khitan or Jin Dynasty, the traffic route network linking all of Manchuria began to be gradually established. Kitan and Jin Dynasty incorporated the area of the Northeast Plains into territory, and built various traffic routes that cross or pass through the Northeast Plains. The traffic route network linking all of Manchuria was more densely maintained throughout the Yuan, Ming, and Qing Dynasties. Thus, during the Qing Dynasty, major traffic route networks were established connecting the entire Manchuria area, and several arterial traffic routes were opened from the Songhwa River basin or the Nun River basin to Beijing.

      • KCI등재

        16세기~17세기 초 영남지역 서원 원규의 구조와 변화

        이경동(Lee, Kyung-dong)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22 중앙사론 Vol.- No.55

        본 연구는 조선시대 서원의 건립 초기인 16세기부터 17세기 초반까지 영남 지역 서원의 운영 규정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변화를 통해 시대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543년 백운동서원이 건립되고 주세붕에 의해 원규가 제정되었다. 백운동서원 원규는 12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대체로 수령이나 원임을 중심으로 한 관리형 성격을 가지고 있다. 백운동서원의 원규는 1559년 제정된 영봉서원의 학규록이나 1562년에 제정된 임고서원 범규 등에 영향을 끼쳤다. 해당 서원들은 백운동서원의 원규를 활용하면서 지역적 특성에 따라 일부 조항을 수정하거나 첨입하는 형태를 통해 자체적인 원규를 완성하였다. 1559년 이황은 이산서원 원규를 제정하면서 주세붕이 제정한 백운동서원 원규와는 다른 양상을 보여준다. 이산서원 원규도 백운동서원 원규와 동일하게 12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었지만, 원생의 강학활동이나 생활규범에 집중되어 있으며 수령을 포함한 관권의 개입을 최소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이황이 지향하는 도학 중심의 서원관이 반영된 것으로서 관학에서 사학으로 변화되어가는 서원 운영의 경향을 보여준다. 이산서원 원규는 이황과 그의 문인들이 건립을 주도한 서원뿐만 아니라, 16세기 중‧후반 건립되었던 서원에 도입되었다. 이들은 이산서원 원규를 기반으로 백운동서원 원규의 사례에서와 같이 일부 조항을 수정하거나 첨입하면서 독자적인 원규를 구축하였다. 16세기 중반 이후 영남지역 전체에 걸쳐 서원이 활발하게 건립되기 시작하면서 운영의 기준이 되었던 원규들도 다양하게 제정되었다. 그 결과점차적으로 서원 원규들이 상세화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1588년 유운룡이제정한 오산서원 학규와 이를 수용한 임고서원 범규는 60여개가 넘는 조항을 제정하였으며, 각 항목을 범주화하여 규정의 성격을 명확히 하였다. 정구는 천곡서원과 도동서원의 원규를 제정하였는데, 두 원규 사이에는공통점과 함께 차이점이 확인된다. 정구는 지역적‧ 시대적 특성에 따라 자신이 제정한 원규라 하더라도 각 조항 사이의 차이점을 두면서 두 서원의원규를 제정하였다. 이상과 같이, 16세기부터 17세기 초반까지 제정되었던 영남지역 서원원규는 상호 관련성 속에서 전개되어 갔으며, 이를 통해 조선 사회에서 전개되었던 서원 운영의 다채로운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perational regulations of Seowon in the Gyeongsang-do region from the 16th century to the early 17th century, and to analyze the times through changes thereof. In 1543, Baekwoondong-seowon was established, and its operating regulation was established by Ju-Sebung. This academy regulation consisted of 12 items, most of them related to management centered on local government officials and operators. Since then, the academy regulation of Baekwoondong-sewon influenced the operational regulations of Yeongbong-seowon established in 1559 and Yimgo-seowon established in 1562. These Seowons established operating regulations by revising or adding some provisions to the academy regulation of Baekwoonong-seowon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In 1559, Yi-Hwang established the operating regulation of Isan- seowon, which showed the difference from the regulation established by Ju Se-bung. The operating regulation of Isan-seowon focused on students learning activities and living norms, and tended to minimize the intervention of public authority, including local government officials. The regulation of Isan-seowon was distributed not only to Seowons whose foundation was led by Yi-Hwang and his disciples, but also to Seowon which were built in the mid and late 16th century. They established their own operating regulations by revising or adding some provisions to the regulation of Isan-seowon. As Seowon began to be actively built throughout the Gyeongsang-do region after the mid-16th century, various academy regulations were also established as the guideline for operation. The regulation of Osan-seowon established by Ryu Woon-Ryoung in 1588 and the revised regulation of Yimgo-seowon that accepted the Osan-seowon’s regulation consisted of more than 60 provisions, showing a more detailed trend than before. Jeong-Gu established the operating regulations of both Cheongok-seowon and Dodong-seowon, which were found to have differences along with commonalities. As described above, Seowon’s operation regulations established in Gyeongsang-do from the 16th to the early 17th century developed i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each Seowon, and this shows various characteristics of Seowon’s operation in Joseon society.

      • KCI등재

        소비에트 건설기의 고려인 수난과 강제이주

        윤병석(Yun, Pyong-Suk)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05 중앙사론 Vol.21 No.-

        Since 1863, Kareiskian society in Siberia Primorye has improved its phase until 1930, and has given the great mean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abroad emigration of Han Nation. Kareiskian society was occupied very important position of Korean independent movement. But even though Kareiskian society in Siberia Primorye had such meaning it came to be isolated from Han Nation s history in 1937. This was because Old Soviet Union has started its new pioneer as Kareiskian has lived in the far east primorye region was immigrated to the waste land, Uzbekistan, and the middle Asia, Kazakhstan. There was no way of livelihood. After that, Kareiskaian history in Soviet was covered with the secret, and got away Han Nation s history. But over 1990, an open-door policy made Soviet collapse and dismantle. In result Soviet came to be divided into Independent State Union like Russia. Finally, Kareiskaian circumstances began to open the public and Kareiskaian credit restoration was achieved by law from the government of Russia. After that, they returned to Primorye where they had to leave by force. This kind of facts must be an assignment to examine any meaning in relation to Korean modern history.

      • KCI등재

        南宋時代 六部架閣庫制의 運用과 그 性格

        이근명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15 중앙사론 Vol.0 No.41

        . 在南宋時代以中央記錄管理機構設立有六部架閣庫。 六部架閣庫地處天水院橋。 有意思的是六部與三省和樞密院等一起位於偏重都城南部的皇宮和寧門附近了。 與此相反, 六部架閣庫就坐落於離六部很遠的都城北部一角了。 六部架閣庫不位置於六部官衙內部, 而設立於都城北邊小溪之間的原因是爲了保持檔案的保安。 南宋六部架閣庫設立在於高宗紹興三年(1133)。 當時在都城臨安不斷地發生過大大小小的火災。 因此, 當新設部署官衙的選擇地點時, 以防備火災作爲首要考慮因素。 尤其因爲六部架閣庫是保管六部檔案和文籍的部署, 所以防備火災更加重要。 六部架閣庫坐落於都城內幽深的邊防而且兩條小溪之間, 就是反映這種情況的結果了。 擔當爲北宋時機中央記錄管理機構的金耀門文書庫, 也位於城外金耀門鄰近幽靜的地方了。 六部架閣庫的選地, 對於文籍和檔案管理方面也很有利。 在南宋時代, 爲了檔案的管理擬定了頗爲周密的規定。在每個部門被做出來的文書, 規定爲每兩年一次評價之後, 該撕毀的文件得到上級的批准而撕毀 必要長留的文件移交給中央的檔案庫。 移交的文件在原來的列表上, 用紅色文字來表示了移交日期。 後來, 如果有使用要求時候, 派遣官員而對其使用過程進行監測, 出借時規定了期間, 而且對機密文件除了相關人員以外拒絕了一般官員的閱覽, 此外, 還有許多有關保安的規定了。 這些都是爲了防止檔案的滅失、僞造和變造以及負責人違反規定的措施。 機密檔案向金國泄漏的事例發生之後, 這些保安規定進一步加強了。 南宋六部架閣庫在南渡以後高宗紹興三年, 采納都官員外郞蘇良治的建議而復置了。 但是, 從北宋時期在六部各機構裏設置庫房的方式, 在於離六部很遠的都城北部一角, 設立了叫作六部架閣庫的單一機構。 這是架閣庫制度上發生了重大變化的。 因爲六部架閣庫保管朝廷的重要文件 所以嚴格地制定了對其管理規定。 宋廷在紹興十五年(1145)命令了增設架閣庫設施和規複主管架閣官制以及對六部架閣庫檔案嚴密的管理等。 備置叫作都籍的總目錄也從此開始的。 六部架閣庫的官員叫爲主管架閣官。 在六部裏, 首次部署架閣官是徽宗崇寧元年(1102)的事。 到那時候把中央機構的案籍保管在胥吏私家情況非常頻繁了。 因此一批胥吏以此爲基礎, 用盡各種手段搗鬼弄假而收取了賄賂。 在南宋初期設置六部架閣庫時也恢復了架閣官制。 依據『建炎以來繫年要錄』的記錄, 在紹興十五年, 設立六部架閣庫制的同時, 任命了吏部架閣官一人、戶部架閣官一人、禮部和兵部架閣官一人以及刑部和工部架閣官一人。 以後, 這些架閣官定員再說四個架閣官來擔當架閣庫管理的機構構成維持到南宋末期了。 六部每部不任用一人而構成歸總四人編制的原因, 可能是緊密相關了業務量和檔案的多少。 宋人普遍認識爲六部架閣庫乃至架閣官的工作環境非常幽閑的。 甚而至於對於六部架閣庫的驚慌也有稱作爲‘寂寞之濱’的記錄。 但是架閣官的業務幷不是無所事事地處理的。 如果工作疏忽的情況下, 檔案由於風雨或者鼠雀, 被破壞的擔心非常濃, 而且, 也給擔當文書行政的實務的胥吏, 提供一些搗鬼弄假的餘地。 從而, 針對架閣官爲了要求精密的工作的行, 具備了多方面的規定。 進而, 對於擔當那些任務, 立案了判別是否適當的人才的程序。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