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화기 한일 양국어 학습서의 특징 연구 : 문법 관련 기술 양상을 중심으로

        윤영민(Yun, Young-min) 고려대학교 일본학연구센터 2015 일본연구 Vol.23 No.-

        본 연구는 일본인 및 한국인 일본인 공저에 의해 저술된 한일 양국어 학습서를 대상으로 그 편제와 구성 및 내용의 분석을 통해 당시 한국어와 일본어의 문법과 그 체계가 어떠한 양상으로 기술되어 있는지 살펴본 것이다. 19세기 말 갑오개혁을 전후한 개화기 이전과 이후부터 20세기 초 전기(前記) 현대 한국어로 진입하는 시기까지의 한국어 문법 체계와 당시 일본어 문법의 경향을 함께 살펴보는 동시에 일본어 문법의 영향이 한국어에 어떻게 반영, 투영되었는지 알아봄으로써 근현대 한일어의 교섭과 접촉의 일면을 밝히는데 일조하고자 한다. 이번 연구를 통해 알게 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寶迫繁勝는 「韓語入門」과 「日韓善隣通話」를 통해 한국어 학습에 있어서 문법을 강조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경향은 인구어의 문법체계와 일본어 문법 용어의 병용(竝用)을 통해 한국어 문법을 체계화하려는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다. 둘째, 「日韓善隣通話」는 전통적인 한글 자모 체계와 맞지 않으며, 일본어의 ‘50音圖’식으로 한국어 발음을 나타내려는 의도가 보인다. 이와 함께 방언과 경어에 대한 소개와 나름의 체계화도 보이고 있다. 셋째, 「單語連語日話朝雋」은 한국인 대상 일본어 학습서로서 문법적인 관점에서의 기술은 많지 않지만, 일본어 언어 체계에 대한 깊은 이해를 통해 적절하게 한국어에 적용하고 구현하였다. 「捷解新語」와 유사한 형식적 잉여성과 띄어쓰기, 적절한 번역과 쉬운 표현의 사용도 주목할 만하다. 넷째, 「實用韓語學」은 현대 한일 양국어 문법의 초기 확립기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양상을 관찰할 수 있으며 1880년 최초의 한국어 학습서와 비교하여 20여년 사이에 일본어 안에서의 문법 및 문체 변화에 나타난 과도기적 성향이 적지 않게 반영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based on Korean and Japanese study books for the Japanese language (includes co-authors of the Korean and Japanese). By studying the organization, composition, and content of said materials, the aim is to examine the aspects in which the grammar and systems of the Korean and Japanese languages took influences from each other at the time. By researching materials from the Korean Enlightenment, which took place from before until after the late-19th-century Gabo Reform, to the early 20th century and all the way up to the formation of modern Korean, the study focuses on the Korean grammar system and the aspects of Japanese grammar of the time and tries to decipher how the influence of Japanese grammar is reflected in the Korean language. By doing so, the study attempts to shed light on how the connection and contact between modern-age Korean and Japanese work toda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through 「韓語入門」 and 「日韓善隣通話」, seems to have a tendency to emphasize grammar in Korean learning. This kind of tendency seems to have been brought about because of efforts to systemize Korean grammar through a combination of the Indo-European grammar system and Japanese grammar terminology. Secondly, 「日韓善隣通話」 does not correctly present the traditional Hangul alphabet system but instead presents Korean pronunciation using the Japanese ‘50音?’ method. In addition to this, the text has its own way of systemizing dialects and honorifics when introducing them in the text. Thirdly, as a study material of Japanese for Koreans, 「單語連語日話朝雋」 does not offer much from a grammatical aspect, but instead through the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the Japanese language system it helps the reader to apply and realize the language through Korean. Similarities with the formality redundancy and spacing as well as use of appropriate translations and easy-to-understand expressions as in 「捷解新語」 are also worthy of note. Fourthly, 「實用韓語學」 can provide us with observations of different aspects from the early period of the establishment of modern Japanese and Korean grammar. It compares the first Korean study materials from 1880, and one can get the idea, however slight, that the transitional inclination that is reflected in the changes in Japanese grammar and writing style in 20 years was significant.

      • KCI등재

        일반논문 : "전후"와 폭력-한국전쟁, 기지, 원자력-

        서동주 ( Dong Ju Seo ) 고려대학교 일본학연구센터 2015 일본연구 Vol.24 No.-

        이 글은 냉전의 시간을 ‘전후’라는 감각으로 산다는 것이 어떻게 가능했는지를 냉전의 폭력을 둘러싼 담론의 분석을 통해 살펴본 것이다. 이 문제를 제기한 이유는 이런 감각이 유지되는 동안에도 ‘전후’ 일본은 냉전과 ‘연루’되어 있었다는 사실에 있었다. 이것을 생각할 때 <일본국헌법>의 존재가 중요하다. 무력에 의한 분쟁해결을 ‘영구히’ 포기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기에 줄곧 ‘평화헌법’이라 불린 <일본국헌법>은 냉전이라는 적대성의 세 계로부터 일본을 ‘분리’시키는 논리적이고 때로는 정서적인 근거였기 때문이다. <일본국 헌법>이 존재하는 ‘전후’의 일본은 ‘평화’의 장소이며 전쟁과 같은 ‘폭력’과 무관하지 않으면 안 된다. 여기서 ‘전후’라는 공간이 ‘외부=전쟁/내부=평화’와 같은 폭력을 둘러싼 지정학적 상상력을 동반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한국전쟁’, ‘기지’, 그리고 ‘핵=원자력’은 ‘헌법=전후’에 대한 중대한 위협이 아닐 수 없다. 이런 것들은 부단히 일본과 냉전의 ‘연루’를 상기시키며, 따라서 ‘전후’가 설정하는 상상적 경계의 ‘교란’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현실에서 일본은 결코 냉전의 외부에 있지 않았다. ‘전후’와 ‘냉전’의 경계는 ‘이데올로기(허위의식)’에 가까운 것이었다. 그러나 일본인들에게 냉전의 시간은 자신들의 시간과 무관하게 인식되었고, 따라서 ‘전후’ 관념의 이데올로기적 성격도 거의 의식되지 않았다. 그렇다면 ‘전후’의 담론 안에서 침범하는 냉전의 폭력은 어떻게 처리되었던 것일까? ‘전후’의 이데올로기적 성격은 어떤 의미작용을 통해 ‘은폐’되었던 것일까? 분석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한국전쟁이라는 폭력과 재일조선인의 폭력은 외부화=타자화의 방식으로 ‘전후’와 분절되고 있었다. 한편 일본 내부에 존재하는 냉전적 폭력을 상징했던 미군의 폭력은 1950년대 ‘가해자의 폭력’으로 표상되었지만, 기지의 편재성이 사라진 1960년 이후 일본의 안보와 관련된 ‘수호자의 폭력’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밟았다. 그 결과 1950년대의 맥락 안에서 재일조선인과 미군기지는 냉전의 폭력을 ‘전후’의 공간으로 유입하는 침입자의 표상을 부여받았다는 점에서 동렬에 위치했다. 핵이라는 또 하나의냉전적 폭력이 ‘평화이용’이라는 담론과 결부되어 ‘전후’일본에 수용되는 과정을 살펴보면서, ‘피폭의 기억’이 핵에너지의 도입을 거부하는 논리가 아니라 일본인이야말로 핵의 평화적 이용을 실현할 수 있는 ‘유일한 주체’라는 담론을 지탱하는 근거가 되고 있음도 확인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how how it was possible for the Japanese people post-war to live under their new peace constitution in the time of the Cold War through an analysis of the discourse surrounding the violence of the Cold War. This is a problem in the sense that post-war Japan is not often thought of as a major factor in the Cold War. When considering this issu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Constitution of Japan because it, the peace constitution, resolves that Japan permanently refrain from conflict settlement by force. The Constitution thus separated Japan from the world of the Cold War on logical and sometimes emotional grounds. Such a Japan is a place of peace independent of violence, such as war. Thus the Constitution was accompanied by a geopolitical imagination which envisioned the external as war and the internal as peace. In that sense, the Korean War, US military bases and nuclear power were regarded as serious threats to how post-war Japan viewed itself. Such events were constant reminders that Japan was involved with the Cold War, disturbing the imaginary boundaries set by the constitution. This article deals with the following issue: How can the reality of post-war Japan be reinterpreted and converged in the imaginary post-war? To this end, this article has reviewed representations of Cold War violence by targeting the discourse of the peace movement, fiction, pop culture, and news articles. The Korean War and Korean-Japanese conflicts were regarded as external party violence and, in that way, kept separate from post-war Japan. Meanwhile, the U.S. military bases in Japan, throughout the 1950s, were represented as perpetrators of violence. However, since the number of bases plunged in 1960, American violence was converted in Japan to mean guardian of violence. In the context of at least 1950, Korean, Japanese and U.S. military bases were considered to be outside intruders capable of implicating Japan in the Cold War. Finally, nuclear energy is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discourse of peace, I looked at the process of the acceptance of nuclear power in Japan. Here, it was confirmed that Japanese memories of atomic warfare did not stand in the way of the introduction of nuclear energy. This gave rise to the idea that only Japan could achieve the peaceful use of nuclear power.

      • KCI등재후보

        중국 정당 정책연구소 중앙당교(中央党校)에 대한 평가 - 상해 사회과학연구원 싱크탱크 연구센터 개발 지표를 활용한 분석-

        최영란 ( Cui Ying Lan )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21 次世代 人文社會硏究 Vol.17 No.-

        중국의 정당 정책연구소인 중국공산당 중앙당교(국가행정학원)는 전 세계에 있는 정당 싱크탱크와 훈련 연수기관 가운데 시스템이나 규모가 가장 큰 곳으로, 다른 나라의 정당 정책연구소와 우호, 친선관계를 맺고 있고, 고급 간부를 길러 내는 싱크탱크이자 교육 연수 기관이기도 하다. 본 논문은 상해사회과학원 싱크탱크 연구 센터에서 개발한 싱크탱크 평가 지표인 결정 영향력, 학술 영향력, 사회영향력, 국제 영향력, 싱크탱크 성장 능력 5개 요소로 중앙당교(국가 행정학원)을 평가하고, 중앙당교의 운영실태를 살펴보고 중국 정당 정책연구소의 바람직한 개선 방안에 대해 모색하였다. 특히, 서방국가의 정당 정책연구소에 대한 연구는 많지만, 한국과 가장 가까운 중국공산당 정당 정책연구소인 중앙당교(국가 행정학원)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기에 본 연구 결과는 권위주의 국가의 정당 정책연구소의 지평을 확대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e Central Party School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National Institute of Administrative Affairs), a political party policy research institute in China, is the largest party think tank or training institute in the world, and has friendly and friendly relations with political party policy research institutes in other countries, and is also a think tank and educational training institution that raises high-level officials. This paper evaluated the Central Party Bridge (National Academy of Administrative Sciences) with five factors, which are the evaluation indexes of the think tank developed by the Shanghai Institute of Social Sciences' think tank research center, and the international influence, and the think tank's growth capability, and examined the operation status of the Central Party School and explored the desirable improvement plan of the China Party Policy Research Institute. In particular, there are many studies of the Party Policy Institute in Western countries, but few studies of the Central Party School (the National Institute of Administrative Affairs), the closest Chinese Communist Party's Party Policy Institute to Korea, so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expand the horizon of the Party Policy Institute in authoritarian countries.

      • KCI등재

        일본과 일계인의 관계에 대한 통시적 고찰 -해외 일계인 대회를 중심으로-

        최민경 ( Min Kyung Choi ) 고려대학교 일본학연구센터 2014 일본연구 Vol.22 No.-

        본 논문에서는 해외 일계인 대회의 전개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전후, 모국 일본과 디아스포라 일계인의 관계 변화를 검증한다· 해외 일계인 대회는 디아스포라 네트워크의 하나이다· 디아스포라 네트워크는 최근 새로운 연구 분야로 주목받고 있으며 양적으로 크게 성장했으나 많은 연구가 "모국 중심의 활용론적 접근"을 한다는 한계를 지닌다· 이러한 한계는 관련 연구의 발전을 위해서 극복해야 하는 특징이며, 이는 모국의 사회 변동과 디아스포라 커뮤니티의 변화를 염두에 둔 통시적 분석, 그리고 모국이 아닌 디아스포라의 입장에서의 분석을 통해 가능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였을 때, 반세기 이상의 역사를 가지며, 일계인이 주체적으로 대회 선언 채택에 관여하는 해외 일계인 대회는 유의미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해외 일계인 대회는 1957년 제1회 대회가 개최된 이후, 일본과 디아스포라 커뮤니티 사이의 국제적인 인구 이동의 변화에 따라 그 내용이 변해왔다· 대회 선언을 분석해 보면, ``디아스포라 확대기``에는 디아스포라 네트워크 구축과 일본으로부터의 지속적인 이민 송출이, ``디아스포라 정착기``에는 모국과의 전통적인 유대 강화와 일계인의 지위 확립이, ``디아스포라 재이동기``에는 재외 선거, 이중 국적, 그리고 정주 외국인으로서의 재일 일계인 문제가 주요 관심 대상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은 전후 일계인이 항상 모국과 디아스포라 커뮤니티를 둘러싼 사회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해외 일계인 대회라는 디아스포라 네트워크를 통해 일본과의 관계를 규정하고 다양한 영역에 걸쳐 문제 제기와 제언을 해 왔음을 말해준다· 그리고 이러한 본 논문의 분석 작업은 앞으로 디아스포라 네트워크 연구가 보다 총체적으로 발전해 가는 데 있어서 분석 대상과 방법 상 시사적일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homeland Japan and diaspora Nikkeijin has changed during postwar times by analyzing the diaspora network, Convention of Nikkei and Japanese Abroad (CNJA)· Recently, diaspora network studies have gained attention as a new research field and made quantitative growth· However, most still take "a homeland-centered utilization approach" and this characteristic should be overcome for further development·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earlier studies, it is necessary to undertake a diachronic analysis that pays attention to social changes of homeland and diaspora communities and a diaspora-centered analysis, not a homeland- centered one· From this point of view, the CNJA is a meaningful case, because it has a half-century history and Nikkeijin actively participates in adopting convention declarations· The CNJA has focused on various other issues as phases of population movements between homeland and diaspora communities have changed· During ``the period of diaspora expansions,`` building a diaspora network itself and continuing emigration from Japan were critical issues· Issues of strengthening traditional ties between Japan and Nikkeijin and establishing the diaspora``s status in the homeland were actively discussed during ``the period of diaspora settlement·`` Finally, since ``the period of diaspora removement,`` an overseas voting system, dual nationalities, and Nikkeijin as residents in Japan have appeared as new issues· This analysis shows that during postwar times, Nikkeijin have constantly reacted sensitively to social changes of homeland and diaspora communities and defined the relationship with Japan raising related questions and suggestions· Ultimately, the findings in this paper will help diaspora network studies develop more comprehensible methodology and cases·

      • KCI등재

        근대이후의 일한어휘 교류

        이한섭 고려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04 일본연구 Vol.3 No.-

        본고는 근대 이후 한국어와 일본어의 교류를 다룬 것이다. 지금까지 19세기말 한국어와 일본어의 교류를 논할 때에는 한국인에 의한 일본어의 도입문제가 주로 연구되었는데 본고에서는 일본인이 한국에 와서 직접 일본어 어휘를 전달한 예를 다루었다. 본고에서는 漢城旬報의 발행에 관여한 이노우에 가쿠고로(井上角五郞)의 예를 들어 당시 한국에 초빙된 일본인 顧問이 일본어를 한국어에 어떻게 도입하였는가를 고찰하였다. 고찰 결과 이노우에는 漢城旬報의 기자로 참여하여 기사를 작성함에 있어서 신문 기사 속에 일본어를 도입한 것이 적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漢城旬報의 기사는 국내기사와 국외 기사로 나눌 수 있는데 이노우에가 기사 작성에 관여한 부분은 국외기사이고 그 중에서도 특히 일본신문 기사를 취재원으로 삼은 기사 속에 일본어 도입이 많았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漢城旬報에는 계몽성 기사가 적지 않은데, 이 부분의 기사 작성에도 일본어 도입이 많아 이노우에가 관여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일본 교과서 검정시기 『고등소학독본』의 동아시아관 -역사 서술을 중심으로-

        권희주 ( Hee Ju Kwon ) 고려대학교 일본학연구센터 2014 일본연구 Vol.22 No.-

        본고는 근대 일본의 교과서 검정시기 『고등소학독본(高等小學讀本)』(1888-1889)에 나타난 동아시아관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888년에 간행된 『고등소학독본』은 문부성(文部省)에서 검정제도를 시행한 뒤 야심차게 편찬한 독본용 교재로 검정시기 편집방침을 연구하는데 대단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한국 최초의 국어교과서로 평가받는 『국민소학독본』의 저본이 되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할 수 있다·『고등소학독본』의 편집 방침은 크게 두 가지 특징이 있다· 첫째, 편집책임자인 이사와 슈지(伊澤修二)의 교육 철학대로 단계별 학습에 주안을 둔 것을 알 수 있다· 역사 항목은 개론에서 시기별로, 지리 항목은 국내 도시에서 유럽으로, 테마에 따라 순차적인 학습을 권장하고 있다· 두 번째로는 ``국가주의``적 교육방침이다· 『고등소학독본』에는 역사 항목이 권별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특히 일본사는 인물을 중심으로 천황가의 이야기를 서술해 황실중심의 국가관을 충분히 반영하였다· 본고에서 중점을 두고 살펴본 역사서술의 경우는 1886년 ``소학교학과 및 그 정도(小學校ノ學科及其程度)``에서 명기한 ``외국과의 교류, 무역 및 세태 문물`` 내용에 상당한 주안점을 두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이전의 문부성 지침에 추가된 항목으로, 동아시아 3국의 관계를 문물 교류에 초점을 맞춰 서술하는 점이 주목할 만 하다· 특히 중화중심의 세계관을 해체하기 위해 중국에게 존중받는 일본의 모습을 부각하였으며 문물의 전달자인 조선의 역할을 축소하거나 삭제하여 일본을 아시아의 중심에 위치 지우려는 의도를 드러낸다· 7권의 마지막 과에서 서술하고 있는 바와 같이 ``인간의 행복과 편리``는 문명과 직결되고 세계에서 인정받는 문명을 만들어가는 일본의 저력을 드러내려는 집필의도로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considers the perspective of East Asia in High-Elementary Reading Book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textbook authorization (1888-1889)· High-Elementary Reading Book was published in 1888· It was compiled ambitiously as a reading textbook by the Japanese Board of Education after enforcement of the authorization system· This book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editorial policy of the authorization period· Also, it became the manuscript for Elementary Reading Textbook, which is thought to be Korea`s first Korean Textbook· For these reasons, the book is worthy of study· There are two characteristics in the editorial policy of High-Elementary Reading Book· To begin with, it focused on phased learning, which was an educational philosophy of the book`s editor, Izawa Syuji`s· In historical items, the book was composed from introduction to periodic items, and in geography from domestic cities to Europe· It encouraged phased learning according to theme· Secondly, it established nationalistic educational policy· In High-Elementary Reading Book, historical items were the most crucial part· In particular, Japanese history represented a nationalistic view that focused on the Imperial family· From among these,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historical description of foreign exchange, trade, culture & products, and social conditions specified in Elementary subjects and its items in 1886· This description was added to the previous policy of the Board of Education· It is worth noting that it describes the relation among three nations of East Asia, while focusing on exchanging culture and goods· In particular, it deconstructed the China-oriented view of the world, minimized the role of Chosun, and located Japan in the center of Asia·

      • KCI등재

        朝鮮(1897-1910)における?土宗の動向

        諸点淑 고려대학교 일본학연구센터 2010 일본연구 Vol.14 No.-

        본 연구는 한일합방 이전의 죠도슈(?土宗)의 동향을 고찰하는 것이다. 포교 개시 시점인 1897년부터 한일합방 이전까지를 연구범위로 설정하여 그 시기 조선 포교활동과 교육활동을 시야에 두어 검토한다. 주지한 바와 같이, 당시 일본불교의 동향은 신슈오다니파(?宗大谷派)한 종파에 주목하여 일본 불교의 조선 침략주의적 성격에 중점을 두었다. 이러한 선행 연구의 성과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한일 합방 이전의 일본 죠도슈의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당시 일본 불교의 동선을 ‘근대’, ‘교육사업’이라는 새로운 관점으로 재 고찰 하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대응규칙(對應規則)을 통한 일본한자음(日本漢字音) 지도법(指導法) ㅁ·ㅂ·ㅍ 계열을 중심으로-

        하소정 ( Ha So-jung ),이경철 ( Lee Kyong-chul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구 고려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18 일본연구 Vol.30 No.-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常用漢字(2010)에서 音讀을 가진 漢字만을 추출하여 [常用漢字 字音 分析表]를 작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韓國漢字音의 子音 [ㅁ · ㅂ · ㅍ]에 대응하는 한자 332字를 추출한 후, 韓國漢字音과 日本漢字音의 대응관계 및 한자의 中古音 聲母와 한자음의 系統에 따른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韓國漢字音의 子音 [ㅁ]은 マ行(55.64%) · バ行(42.74%)과 가장 많이 대응하고 있었다. 이 때 子音 [ㅁ]에 대응하는 マ行은 대부분 吳音이었으며, バ行은 모두 漢音이었다. 그리고 韓國漢字音의 子音 [ㅂ]은 ハ行(74.73%) · バ行(25.26%)과 대부분 대응하고 있었으며, 韓國漢字音의 子音 [ㅍ]은 ハ行(85.5%) · バ行(14.49%)과 대응하고 있었다. 이 때 韓國漢字音의 子音 [ㅂ · ㅍ]에 대응하는 バ行은 대부분 吳音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韓國漢字音의 子音 [ㅁ · ㅂ · ㅍ]과 日本漢字音 사이의 이러한 규칙적인 대응양상을 [대응규칙]으로 제시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대응규칙]을 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1. 흥미유발], [2. 대응목록 제시], [3. 대응규칙 제시], [4. 연습문제], [5. 다음 대응규칙 제시]라는 5단계의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we extracted only Chinese characters with a On’yomi in the Joyokanji Table(2010) and used them as research data. Then, after extracting 332 Chinese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m/(ㅁ) · /p/(ㅂ) · /ph/(ㅍ) consonants of Sino-Korean, we analyzed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Sino-Korean and Sino-Japanese. And also analysis of Chinese character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system of Chinese characters and the Ancient Chinese. As a result, the /m/ consonant of Sino-Korean are mostly corresponded to Ma-gyo/m/(55.64%) and Ba-gyo/b/(42.74%) in Sino-Japanes. In this case, except for nine to ten Chinese characters, Ma-gyo/m/(55.64%%) was almost Go’on and Ba-gyo/b/(42.74%%) was all Kan’on. And the /p/(ㅂ) consonant of Sino-Korean are mostly corresponded to Ha-gyo/h/(74.73%) and Ba-gyo/b/(25.26%) in Sino-Japanes, and the /ph/(ㅍ) consonant of Sino-Korean are corresponded to Ha-gyo/h/(85.5%) and Ba-gyo/b/(14.49%) in Sino-Japanes. In this case, the Ba-gyo/b/ corresponding to the /p/(ㅂ) and /ph/(ㅍ) consonants of Sino-Korean were mostly Go’on. Therefore, we suggested ‘correspondence rules’ on the basis of these regular correspondence relationships between /m/(ㅁ) · /p/(ㅂ) · /ph/(ㅍ) consonants of Sino-Korean and Sino-Japanese. In addition, we proposed 5 steps of teaching- learning method in order to utilize these rules in Japanese language education. Step 1 is ‘Provoke interest’. Step 2 is ‘Presentation of the Chinese language list in which the correspondence rule exists’. Step 3 is ‘Presentation of correspondence rule’. Step 4 is ‘Practice correspondence rules through words’. Step 5 is ‘Presentation of next correspondence rules and guide on rules’.

      • KCI등재

        일반논문 : 제국 일본의 식민지 도시 건설과 전통 사회의 변화 - 유곽형성과 군산지역 유곽문화의 정착 -

        이정욱 ( Jung Wook Lee ) 고려대학교 일본학연구센터 2015 일본연구 Vol.24 No.-

        본고는 조선의 개항 초기부터 유곽이 대중화되는 1930년 전후를 기점으로 조선의 유곽을 보편성은 물론, 지방 도시 군산이라는 지역적 특수성과 함께 유곽 문화의 정착과정을 살펴보았다. 1900년대 초반 ``블루오션``이었던 유곽산업은 화류계 여성들을 기반으로 막대한 경제적인 이익을 창출했다. 일본에 의해 조선 전역에 형성된 유곽은 기예를 중시했던 조선의 기생제도의 변질을 가져왔으며 화류계 여성들의 경제적인 이익을 달성하기 위한 최적의 장소였으며 매춘의 번창으로 이어졌다. 또한 조선에 체재한 일본인들에게 유곽은 경제적인 풍요를 의미하던 지역이었으며 지방 도시인 군산의 신흥동 일본인 거류지와 유곽지역의 조성은 조선인들의 삶의 터전을 빼앗았다. 또한 신흥동 일본인 거주 지역과 개복동 조선인 거주 지역으로 분리시킨 지리적 차별은 유곽을 통해서도 유흥문화의 차별을 도모했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신흥동 유곽의 상황을 사진자료 등을 통해 군산의 화류계가 대도시에 버금갈 정도의 유흥문화를 이루었음을 살펴보았으며 유곽 문화가 한일 양국의 문화가 융합된 공간으로 거듭나고 있음을 밝혔다. 유곽 문화는 제국 일본이 식민지 조선의 전통문화를 강제적으로 말살하며 일본화를 시도했던 다른 분야와는 상이함을 엿볼 수 있었다. 이는 문화적인 이유보다는 경제적인 이유를 우선시했던 유곽문화의 특징에서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일제강점기 일본인에 의해 이식된 유곽 문화는 1945년 해방과 함께 단절된 것이 아니며 이후 미군 기지를 중심으로 형성된 집창촌으로 이어졌으며 일부는 현재까지도 ``아픈 역사``를 대변하고 있다. 제국 일본의 식민지 도시 건설에서 유곽이 차지하는 의미와 함께, 지역 전통사회에 끼친 영향을 밝히고자 한 본고는 100여년의 근대 한일관계사에서 지역적인 특수성을 새롭게 조명함으로써 향후 한일 양국의 문화를 이해하는 밑거름이 되었으면 한다. This material covers from the opening of a port during the Joseon dynasty to around the 1930s, at which time licensed red-light districts were becoming popular. I will examine how red-light district culture took root, particularly in Gun-san. At the beginning of 1900s, red-right district industries were booming, feeding off the economic benefits created by prostitution. The red-light districts widely spread across Joseon by Japan had a great impact on Joseon`s gisaeng system. Furthermore, such districts meant economic abundance for the areas settled by Japanese. One local city, Shinheung-dong in Gun-san, benefited financially by building a Japanese settlement and red-light district. One aspect of this was the geographic discrimination between Shinheung-dong, the Japanese settlement and Gaebok-dong, where native Koreans resided, and the creation of red-light districts in each area catering to either Japanese settlers or Korean locals. From the research material, including photographs, it was found that the sex industry in Gun-san was as quite big as in larger cities, Similar to what Imperial Japan did to other fields of industry and activity in Joseon, the Japanese settlers worked to obliterate the traditional culture and replace it, in this case, with Japan``s version of red-light culture. Such a change placed financial motives over cultural imperatives. This transplanted red-light culture did not wither and die when Korea was liberated in 1945. It continues today as a system of brothels, including those which were established near American military bases. In looking at how red-light districts figured into Japanese colonization plans and goals, I would like to show how local communities in Joseon were affected and traditional customs changed by cultural hegemon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