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반논문 : 지역 연계 인문학아카데미 개발 사례 연구 - 서울 종로, 성북, 도봉 지역 문화유산을 중심으로

        김명석 ( Myung Seok Kim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4 도시인문학연구 Vol.6 No.2

        이 연구는 지역 연계 평생교육 프로그램 사례 분석으로서, 연구자가 개발을 주도한 성신여자대학교 평생교육원의 성북, 종 로, 도봉구청과의 관학 연계 사업의 인문학아카데미 프로그램에 대한 일종의 자체분석 보고서이다. 4년간의 인문학아카데미 운 영과정에서 지역자치단체와 주민들의 다양한 욕구를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변형시켰다. 첫째, 지역문화유산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을 핵심 내용으로 삼는 “살아있는 인문학 박물관”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문화유 산이란 물질적 자원뿐만 아니라 인적자원으로 이해될 때 현재 성을 갖기에 지역 문화예술인들을 섭외하고, 지역문화유산 답사 프로그램을 실시했다. 둘째, 주민들의 대중적 관심과 흥미, 지적 욕구를 수용하여 영화나 미술을 비롯한 문화예술 제 분야와의 융합교육 프로그 램을 모색하였다. “이야기로 배우는 인문학” 프로그램은 토크쇼 형식의 이야기로 진행하는 강의 및 현장 학습을 글쓰기와 연계 화한 내면화 교육을 도입하였다. 이 과정에서 인문학적 성찰과 문화예술교육의 융합, 강사와 청중이 이야기로 소통하는 강의실, 지역 사회와 역사 속에서의 ‘나’의 발견을 추구하는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인문학아카 데미의 지향점으로 삼았다. 또한 지역문화유산을 활용한 현장 교육 모형으로서 종로구의 ‘소설가 구보 따라 종로 걷기’와 도 봉구의 ‘김수영 문학관과 도봉 역사문화길 탐방’을 소개하였다. 이와 같은 경험적 사례를 공유함으로써 인문학과 문화예술교 육과의 융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역 사회의 요구에 부응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인문학아카데미의 모델이 되기를 희망한다. 한편 평생교육 프로그램은 주민들의 참여에 의해 완 성된다는 점에서 지역공동체의 동아리 활동과 같은 자발적인 네트워크로의 연결은 도시인문학의 또 하나의 과제가 될 것이 다. 이 연구가 인문학이 시민들에게 다가가는 대중적이고 실용적 인 학문으로 자리 잡는 하나의 시론이 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amalgamation program development in the academy of humanities and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by Linking between Lifelong Education and Locality. This study Submitted a kind of the resulting report about linked business between Sungshin Women’s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center and Jongno-gu Office, Seongbuk-gu Office, Dobong-gu Office. In the four years of operating procedures of the Academy of Humanities the fusion program was developed. The fusion program expanded its curriculum and reflects the desire to Culture and Arts. ChapterⅡanalyzed A living museum of Humanities programs of Seongbuk-gu Office and Jongno-gu Office in terms of linking between lifelong education and local cultural heritage. And analyzed Humanities by storytelling programs of Seongbuk-gu Office and Jongno-gu Office in terms of the fusion program development in the humanities and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Chapter Ⅲ analyzed two on-site teaching model. Those are Walking with Mr. Gubo through Jongno in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 of Jongno-gu Office and Exploring the Kim Sooyoung Museum and Dobong historical and cultural way.

      • KCI등재후보

        특집 : 도시인문학의 등장 - 학문적 담론과 실천

        서우석 ( U Seok Seo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4 도시인문학연구 Vol.6 No.2

        최근 도시와 인문학의 연결이 다양해지면서 도시인문학이 새로운 학문영역으로서 등장하였다. 도시인문학은 엄밀하게 정 의된 분화학문으로서의 인문학이 아니라 다양한 접근이 공존하 는 복합적인 학술적 논의들과 실천 행위로 볼 수 있다. 본 연 구는 도시인문학의 등장 배경을 분석하고 도시인문학의 다양한 구성을 제시함으로써 도시인문학의 다양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 고 도시인문학 발전을 위해 필요한 논의에 기여하고자 한다. 도 시인문학은 정부의 인문학 지원사업을 배경으로 새로운 인문학 의 융합학문으로서 등장하였는데 대학의 제도화된 움직임으로 서 서울시립대의 도시인문학 이외에도 다른 대학에서 진행되고 있는 마을 인문학이나 로컬리티 인문학도 도시인문학의 성격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대학 밖에서의 도시인문학은 도 시 공간의 장소성을 보완하는 내러티브와 역사적 지식을 제공 해 주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오늘날 도시브랜딩과 도시관광이 도시경쟁력의 중요한 자원이 되는 상황에서 도시인문학이 도시 마케팅의 자원 구축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비판 담론으로서의 도시인문학은 도시기업가주의와 토건주의 개발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제공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시인문학은 다양한 실천 프로그램으로서도 기능하는데 이는 인문학의 대중화나 사회적 약자를 위한 프로그램을 포괄할 뿐만 아니라 도시정치의 프로 그램으로서도 활용되고 있으며 수원의 사례에서 보듯이 인문도 시 사업으로 구체화되는 경우도 나타나고 있다. 서 서울시립대의 도시인문학 이외에도 다른 대학에서 진행되고 있는 마을 인문학이나 로컬리티 인문학도 도시인문학의 성격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대학 밖에서의 도시인문학은 도 시 공간의 장소성을 보완하는 내러티브와 역사적 지식을 제공 해 주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오늘날 도시브랜딩과 도시관광이 도시경쟁력의 중요한 자원이 되는 상황에서 도시인문학이 도시 마케팅의 자원 구축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비판 담론으로서의 도시인문학은 도시기업가주의와 토건주의 개발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제공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시인문학은 다양한 실천 프로그램으로서도 기능하는데 이는 인문학의 대중화나 사회적 약자를 위한 프로그램을 포괄할 뿐만 아니라 도시정치의 프로 그램으로서도 활용되고 있으며 수원의 사례에서 보듯이 인문도 시 사업으로 구체화되는 경우도 나타나고 있다. Recently, urban humanities emerged as a new academic field and gained an increasing attention from an academic world as well as from a side of public policy. Observing the current discourses and practices leads to acknowledge that urban humanities can be viewed as a complex array of academic discourses, as sociology is described as a multi-paradigm science. First, urban humanities appeared in the academic world as a new kind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Second, urban humanities provide narratives and historical knowledge for cities so that the placeness of city space could come into being or, if it already existed, be strengthened. Third, urban humanities offers a critical perspective to the urban entrepreneurialism in general and especially a construction-oriented growth coalition in Korea. Fourth, urban humanities function as an underlying logic for diverse action plan programs ranging from a Clemente course to humanistic city planning as the case of Suwon City shows. To conclude, I make some suggestions for further discussions.

      • KCI등재

        人文科學 硏究 및 敎育에 관한 方案 : 大學에서의 政治敎育 問題와 관련하여 A proposal for reexamination

        李仁浩 서울大學校 人文學硏究所 1982 人文論叢 Vol.8 No.-

        Education and research in the humanities have been badly neglected in the universities in Korea in recent decades. The effect is being felt in the wide-spreading mindlessness noticeable both within the university community and in the society as a whole. Political education or ideological education, much talked about these days, is meaningless if not ground in the humanistic tradition. Yet there seems to be little awareness of the vital connection between the two. The humanities were neglected because of the tremendous premium this country has been placing on the need for rapid economic growth. Any field not directly contributing to material production or social organization was bound to be relegated to the background. But the neglect is also attributable to a deplorable lack of understanding concerning the nature of humanistic disciplines and education. As a conclusion, this paper emphasizes the need to reexamine the state of the humanities and general education at the national level, and to put in the necesary resources, both finanical and human. In particular, it urges the need to revise the existing curricula at all levels of education including the university and strengthen the library resources.

      • 글로벌폴리스와 도시인문학의 가능성

        이성백 ( Seong Paik Lee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09 도시인문학연구 Vol.1 No.1

        이 글은 도시에 대한 인문학적 연구가 어떤 문제를 다루며, 어떤 식으로 도시연구에 기여할 수 있는지에 대해 논한다. 이 글은 (1) 우선 앞부분에서 이 물음에 대한 직접적인 대답을 간단히 제시하고, 이어서 (2) 지구화 과정에 대한 역사철학적 분석을 통해 도시인문학적 연구의 사례를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1) 도시연구와 인문학은 전혀 무관한 것이 아니다. 이미 인문학은 도시연구에 다양한 방식으로 개입되어 왔다. 도시인문학의 기본 과제는 선행적인 도시인문학적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도시연구에 필요한 새로운 인문학적 주제들을 개발하여, 도시인문학의 이론적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다. 특히 도시인문학은 현재의 도시연구들의 주제와 논의 방향을 따라가면서 이 논의들에 필요한 인문학적 연구들을 수행하여 현재의 도시연구에 기여해야 한다. 그리고 21세기 도시연구에서 화두가 된 문화, 문화도시에 대한 관심은 오늘날의 도시연구가 사회과학과 인문학을 가로지르는 포괄적인 도시연구로 확대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2) 오늘날 도시연구에서 활발한 쟁점은 지구화 시대에서의 도시의 변화에 대한 연구이다. 그런데 아직까지 지구화 과정에 대한 역사철학적 연구가 별로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채, 지구화의 역사적 위상이 탈산업주의와 탈현대주의에 대한 혼란 속에서 제대로 파악되지 못하고 있다. 탈현대주의가 탈산업주의와 혼동됨으로써, 현대의 도구적 합리성의 한계를 비판하고, 다시금 인간적 삶의 논리를 모색하려던 탈현대주의의 인식론적 가치가 지구화 시대 도시연구에서 충분히 파악되지 못하였고, 이로 인해 지구화 시대에 도시 속에서 초래되고 있는 여러 문제점들을 비판하는 대안적인 이론적 논의가 혼란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 This article deals with what the humanistic research on the city deals with and how it may contribute to urban studies. After a direct answer to these questions is briefly proposed in the beginning, a histo-philosophical analysis of the globalization process is introduced as a specific example of the humanistic research on the city. (1) Humanities have not been separated from urban studies at all, but have intervened in them in a variety of ways. Urban humanities at this stage may well aim to estimate preceding research in a systemic way and to create new humanistic frameworks needed for urban studies, establishing theoretical foundations for them. Urban humanities should catch up with what is discussed in urban studies and, based upon this, fill up with what is missing in them. In particular, the concept of culture and culture city, on which urban studies have focused in the 21st century, means that urban studies should encompass not only all disciplines of social sciences but also humanities. (2) Another heated debate in the area of urban studies is about the changing character of the city in the ear of globalization. Because there has been a shortage of profound histo-philosophical study, the historical context of globalization has not been accurately captured. The confusion of post-modernism with post-industrialism has resulted in failing to understand the epistemological strength of post-modernist approach which criticizes instrumental rationality and attempt to explore humane logic of life. As a consequence, alternative theories, as a critique of the urban in the era of globalization, could barely emerge.

      • KCI등재후보

        일 반 논 문 : 서울시 범죄예방디자인 프로젝트의 재현 방식 -염리동 "소금길" 공간심상 분석을 중심으로

        서윤경 ( Yoon Kyoung Seo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5 도시인문학연구 Vol.7 No.2

        서울시 마포구 염리동은 2012년 서울시에서 추진하는 ‘범죄예방디자인 프로젝트’의 첫 사업지로 선정되었다. 이 사업은 기존 주택지역의 물리적 환경에 셉테드 원리를 적용한 지역공동체 중심 안전마을 조성을 취지로 계획되었고, 염리동 ‘소금길’은 그 결과물이다. 소금길이 조성된 2012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다수 지방자치단체와 주민자치위원회는 이곳을 모범사례로 삼아 안전한 도시 환경 조성을 위한 도시디자인안을 기획하고 있다. 서울시는 각종 언론매체를 통해 염리동 소금길 조성사업을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서울시 디자인’의 첫 번째 사업으로 부각시킨다. 언론매체는 소금길 조성을 통한 염리동의 변화에 주목하고 이곳을 ‘마을공동체’를 통한 안전한 ‘지역명소’로서 재현한다. 아마추어 사진가들은 ‘최근 뜨는 출사지’로서 소금길을 ‘따뜻하게’ 바라보고, 그들의 주관적 시선은 블로그 속 사진을 통해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다. 이렇듯 지방정부, 언론매체, 블로그 등을 통해 재현된 ‘산책하고 싶은 소금길’의 모습은 “떠날 사람은 떠나고, 남을 사람은 남을 어차피 사라져 버릴 동네”라고 말하는 염리동 주민의 시선과 대조적이다. 사실상, 염리동은 사회구조의 변화에 따른 물리적, 사회적 변화를 경험하면서 소금장수들이 사이좋게 모여 살던 ‘소금마을’에서 재개발의 논리 속에 논쟁이 끊이지 않는 ‘염리동 재개발지역’으로, 그리고 안전해서 걷고 싶고 사진에 담고 싶은 ‘소금길’의 모습으로 각각 다르게 심상화되고 있다. ‘소금길’이 형성된 염리동 일대에 대한 매체의 재현방식과 이를 통해 형성된 도시 이미지에 주목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한다. 첫째 언론매체에 보도된 염리동 관련 기사의 내용을 유형화함으로써 염리동이라는 공간을 대상으로 형성된 사회적 담론과 공간심상의 변화 과정을 보여준다. 둘째 개인 블로그 속 소금길 사진을 유형화함으로써 소금길 이미지를 구성하는 지배적 시선을 분석한다. 셋째 소금길에 거주하는 염리동 주민들과의 인터뷰를 분석함 으로써 언론매체와 블로그가 드러내는 소금길의 모습과 염리동 주민이 이곳을 바라보는 시각을 비교한다. 재개발의 논리 아래 갈등과 소송으로 얼룩졌던 ‘염리 제3,4구역’은 ‘소금길’ 조성 후 이웃과 손님이 함께 하는 장소라는 공간심상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철거를 앞 둔 염리 재개발지역과 그 안에 위치한 소금길은 재개발로 인한 주거불안과 범죄로 인한 불안을 여전히 품고 있음을 밝힘으로써, 본 논문은 서울시 ‘범죄예방디자인 프로젝트’가 안전한 도시공간의 ‘재현’이 아닌 실체적인 도시공간 ‘형성’을 도모하기를 촉구한다. In 2012 Seoul launched a program titled as Crime Prevention Design Project to prevent crime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The city of Seoul chose Yeomni-dong as the first model site to implement the program, and resulted in the creation of Salt Way. Since then, this CPTED(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involving case of Salt Way has been benchmarked by many local governments and regional police agencies. The city of Seoul describes Salt Way in various mass media as the first urban design project initiated by Seoul to solve social problems. Mass media represent it as a ‘local attraction’ promoted by ‘local community’, with an emphasis on its physical and social changes. Many amateur photographers began to call it as a ‘hot place for photographers’, brought photo tours to it into vogue. Local residents, however, express their frustration of having to leave their community once redevelopment begins. Yeomni-dong, indeed, was designated as a redevelopment district in 2004 and has been through rough times with local crimes and other social problems associated with redevelopment. This study traces the changing urban images of Yeomni-dong Salt Way that have been represented in mass media and blogs. It contains the followings. First, this study analyzes media release on the district of Yeomni-dong, so as to present the changes in social discourse and its resulting local images. Second, it categorizes local images which amateur photographers captured and displayed in their blogs, so as to understand how citizens view and experience Salt Way. Third, it compares local images represented in mass media and blogs with those perceived by local residents.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local image promoted by mass media and blogs may be false. Yeomni-dong has been described as a redevelopment district afflicted with economic plight and crimes. Since the creation of Salt Way, however, it appeared to be reborn as a model case where a small physical change can strengthen social cohesion and fix all social problems in a few months. Housing insecurity and fear of crimes still remain in Yeomni-dong Salt Way, with redevelopment and eviction impending. This study argue that the city of Seoul “implement” Crime Prevention Design Project, not to be distracted by “showing” it.

      • KCI등재

        ‘제국의 그늘’ 한 세기 - 10.29. 이태원 참사의 공간적 기원을 찾아서

        염복규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23 도시인문학연구 Vol.15 No.2

        2022년 10월 29일 이태원에서는 핼러윈을 즐기기 위해 모인 젊은이들 수백명이 죽거나 다치는 참사가 발생했다. 사고의 원인이나 책임자 규명은 현재까지도 진행중이다. 그런데 이런 문제와는 별개로 참사 장소는 전면의 대로가 오래 전에 개통했음에도 불구하고 도로 양측은 좁은 골목길과 불규칙한 필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런 곳에 많은 젊은이가 한꺼번에 모여들었고, 이는 터무니없는 참사로 이어졌다. 이 점에 주목하여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 장소의 역사적 형성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19세기 말부터 서울에 진출한 일본인은 용산에 자리잡았다. 이태원은 밀려난 조선인이 정착한 ‘용산의 외부’가 되었다. 그런데 1920년대 일본인 전원도시의 꿈이 커가며 이태원은 유력한 후보지가 되었다. 그 결과 남산주회도로가 개설되고 연도의 개발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전원도시 개발은 일제 침략전쟁의 와중에 좌절되었다. 8.15 광복, 6.25 전쟁 이후 냉전 체제가 굳어지면서 개발이 좌절된 이태원에는 미군 대상의 유흥가가 형성되었다. 오랫동안 이태원은 ‘한국 속의 미국’이었다. 이런 분위기는 탈냉전과 세계화라는 변화 속에서 전환되었다. 2000년대 들어 이태원은 이국적인 문화를 즐기는 젊음의 공간으로 바뀌었다. 핼러윈을 즐기는 장소가 이태원이 된 것도 여기에서 기인한다.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 장소는 우연히 형성된 것이 아니다. 그 곳이 여러 굴곡을 거쳐 오늘날 핼러윈의 성지가 된 것도 우연이 아니다. 그것은 한 세기에 걸쳐 서울에 드리워진 ‘제국의 그늘’이라고 할 수 있다. On the 29th in October, 2022, hundreds of young men and women during the Halloween festivities held in Itaewon in Seoul were crushed to death or severely injured. An inspection into the specific causes of the crowd crush and possible mismanagement for crowd control is still underway as of September in 2023. The back roads in Itaewon, where stampede incident happened, were too narrow and crooked-limbed to safely hold hundreds of thousands of revellers milling about under influence. The reason why these young people flocked in these narrow alleys on a western holiday can be found by examining its peculiar historic background. When Japanese immigrants settled in Seoul since the late 19th century before the occupation in Yongsan area, uprooted Koreans resided in Itaewon, “the outside of Yongsan”. In the 1920’s, this marginalized neighborhood was included in the garden city project of the Japanese colonist rulers. According to the plan, Namsan circular road was constructed and roads in Itaewon were to be broadened and improved. However the ambitious plan was lost in the midst of the Japanese invasion war effort. Since the Independence of Korea in 1945 and the Korea war, Itaewon was neglected in the city’s development plan and red light district frequented by US military men. For decades, the name of the town were synonymous with “America in Korea” in a rather negative way. All this changed as Seoul became a significantly more global metropolis with the end of Cold War. In the 2000’s, Itaewon transformed itself into a fashionable place where the youth enjoyed exotic cultures from around the world and Halloween festivities in the area had attracted increasingly more people each year. The place where Itaewon Tragedy occurred did not become itself by chance. Halloween, still a foreigners’ holiday for many older Korean people, found a right place for celebration in its back streets not by chance. The sense of place of Itaewon could be called the “shadows of Empires” cast in Seoul for a century.

      • KCI등재

        일반논문 : 21세기 중국 인문학의 생태기 - 2000년 이후 중국 학계에서 진행된 세 가지 논쟁을 중심으로

        김광일 ( Kwang-il Kim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6 도시인문학연구 Vol.8 No.1

        이 글에서는 21세기 들어 중국의 인문학 생태환경의 변화의 과정에서 터져 나온 세 가지 논쟁의 전개과정을 추적하면서 그 문화적 의미를 분석한다. 2000년 “장강『독서』상” 논쟁은 당시 “학술적 성과를 어떤 기준에서 어떻게 평가해야 하는가”를 주로 논의하였지만, 결과적으로 학술의 권위가 더 이상 학술 자체의 힘으로 지탱되지 못 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상징적 사건이기도 했다. 이전 중국의 학술상은 “명예”만을 수여하는 형식이지만, “장강『독서』상”은 “명예”의 자리를 “상금”으로 대체하려는 시도였다. 이제 학술적 성과는 “환금가능성”을 기준으로 평가받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점은 2005년 “학술적 자리 선점” 논쟁이 제기하는 국가적 학술지원사업의 문제에서 더욱 명확하게 드러난다. 국가가 막대한 액수의 연구비를 학계에 투입함에 따라 학술의 가치는 점차 국가에서 배분받은 연구비의 크기에 따라 정해지게 되는데, 거기에 대한 문제제기가 “학술적 자리 선점” 논쟁이었다. 특히 시장에서 수요가 없거나 직접적인 경쟁을 할 수 없는 인문학의 여러 영역들은 국가에서 지정한 연구지원사업에 더욱 의존하게 된다. 21세기 들어 학술에 대한 외부적 힘의 영향력이 점점 확대되고 있다. 인문학계는 이미 의제설정과 결과평가의 주도권을 국가에 넘겨주었고, 그 결과 국가가 정한 기준만을 넘기 위한 의미 없는 연구 결과가 양산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다른 사람들의 성과를 손쉽게 자신의 것을 만드는 것, 바로 표절이다. 2010년 “왕후이 표절 사건”이 불거진것도 사실 『절망에 반항하다』 자체의 문제이라기보다는 표절에 대한 문제의식이 성장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인문학계는 이 문제도 자신의 힘으로 해결하지 못 하고 다시 언론이나 법률 등 사회의 다른 영역의 힘을 빌리고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se the ecosystem of Chinese humanities in the 21th Century by tracing the process of three disputes in Chinese academic circles. “Cheung Kong Dushu Prize” was a just one-off academic award in 2000, but this misfortunate prize brought about a heated and broad dispute over norms of Chinese scholarship, and displayed that Chinese academia turned over the authorities of evaluation to “the Capital”. Now academical products are assessed through the possibility of conversion into cash. This tendency of academia toward “the Capital” is similar to the growing dependency on the supports of government. According to the Chinese government put enormous funds to promote the so-called advanced research, the values of scholarship are arranged by the scale of fund. Especially, the dependency of the humanities on government funds became more serious, for the humanities has small market in capitalized China. The dispute on “the preoccupation of academical domain” is based on such a research environment. In the 21th century, the capital and the government wield strong influence over the academia of humanities. The humanities have turned over its own initiatives of evaluation and agenda-setting to the government and the market. As a result, scholars of humanities have produced a large number of meaningless research in order to catch up with government’s demand, and the plagiarism was just the symbolic representation of the ecosystem. It was the reason why Wang Hui’s plagiarism was pointed out in 2010. But the academia of Chinese humanities still cannot solve its own problems by itself, but depends on the power of journalism or law.

      • KCI등재후보

        일반논문 : 경농경농(京農)연대기: 1918-1937 ―경성공립농업학교의 일면사를 통해 본 서울시립대학교의 역사사회학적 장소성

        박윤석 ( Yoon Seok Park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4 도시인문학연구 Vol.6 No.1

        이 글은 한 시대 속에 자리했던 경성공립농업학교와 그 구성원들이 겪어낸 시간과 공간의 일단을 조명해보고자 쓰인 것이다. 한 시대는 자연의 공간 속에 인공적 자리를 만들어내고, 그 인간의 장소 속에 시기별로 당대인은 개인과 집단의 사업을 영위하는 토대를 마련한다. 이 같은 움직임의 상호작용이 공간의 생활을 만들어내고 또 역사의 공간을 이룬다고 할 때, 경성공립농업학교는 어떤 성격의 시간속에서 어떠한 형태의 공간으로 탄생하여 당대 사회의 구성요소로 기능해갔는지에 관하여 그 일면을 들여다보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그리고 그 관찰의 매개로는 당대의 시간에 당대인과 더불어 존재하고 기능한 신문의 기사를 주로 활용했다. 이렇게 하여 조사 추출된 사례들은 그날의 학교와 그 구성원의 다양한 모습을 드러내 보여준다. 이는 기존 교사(校史)에서는 잘 드러나지 않은 것으로서, 교내생활에서 학생들이 겪는 갈등관계, 즉 학생과 학생간, 학생과 학교운영진 간의 내막을 알게 해준다. 또한 지역사회 속에서 학교의 위상, 특히 지역의 이해관계를 둘러싸고 벌어진주민자치운동의 집결장소로서 학교의 기능도 아울러 보여준다. 그리하여 이 독특한 성격의 학교는 역시 독특하다 할 그 시대와 사회를 조형해나가는 주체들 가운데에 어떤 일익을 담당했으며, 다시그 사회는 이 학교의 정체성의 형성에 어떻게 개입하였는가를 추정하는데 하나의 시사점을 보탤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가 이 글의 취지에 깔려있다. 그렇게, 서울시립대학교의 전신으로서 역사의 시간속에 덮여있는 경성공립농업학교로서만이 아니라 당대의 사회적 생명체로서 이 학교와 그 구성원들이 보여준 역동성을 들추어 봄으로써 그 시대의 한 측면을 역사사회학적으로 관찰하는 계기를 얻어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focuses on the origin of the University of Seoul ― especially in terms of the sense of place. What happened at the site of the old school of the former University of Seoul in the periods of 1918-1937 shows much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ys and students which began to engage in the mordern times of Korea. In this sense, this article describes several landscapes of the campus and students’ life in that times. This study uses the methods of direct interpretation of articles of the newspapers at that times, and this ways may give some tips on the real situation of the campus and the society of that period, and help to reveal some aspects of the ordinary life of the people and students at this place in that era. So this study may be called as a survey on the informal history as to the story of a certain campus which indicates some implications surrounding this special place in twenty years of 1918-1937. In this way, this study pursues to grip some certain aspects of view that make it possibl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al society at that time. To that purpose, this study pursues a method of the historical sociology. For example, this article contains student strike that occurred by the protest to the administrational defects. It also describes the unified demonstration of both Korean and Japanese people to meet the same goal in regional conflict of interests.

      • KCI등재

        특 집 논 문 : 도시의 시대와 그 불만

        브랜던글리슨 ( Brendan Gleeson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5 도시인문학연구 Vol.7 No.2

        바야흐로 도시의 시대이다. 근대화 과정의 핵심에 있던 도시화 계획은 놀라울 정도의 발전을 거두었다. 그러나 이러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도시의 시대에 인류의 미래에는 어두운 그늘이 드리워져 있다. 그 근거는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인가? 환경이 파괴되고 경제가 몰락하는 소리가 도시의 시대 너머로 들리고 있다. 지젝이 말한 ‘묵시록의 기수’가 위험에 처한 근대성에 대해 경고하고 있지만 주의를 기울이는 이들은 많지 않다. 정치 이론가 한나 아렌트는 가장 심각한 위기의 순간에도 갱생을 꿈꿀 수 있는 인간의 능력에 대한 신념을 지니고 있었다. 아렌트는 인간의 ‘탄생성’, 즉 언제나 새로운 발전의 가능성을 열어놓는 죽음과 다시 태어남의 끊임없는 순환에서 희망을 보았다. 아렌트가 맞는다면, 우리는 죽어가는 산업적 근대성이 곧 새로이 태어나야만 할 위급한 시기를 앞에 두고 있다. 기후 변화의 위협 앞에 과학자들은 ‘운명의 시계’를 자정 2분전까지 당겨놓았다. 영국 과학자 제임스 러브록이 예견했던 끔찍한 ‘후세’는 이미 도래해 있다. 아렌트의 탄생성은 정치적 질서 대신 전지구적 자본주의가 지배하고 있는 불모의 질서 안에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신자유주의의 ‘어두운 탄생성’, 긴축 정부와 반과학은 아렌트도 예상하지 못했던 인류의 죽음 충동을 드러내는 듯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조금이라도 낙관주의를 꿈꿀 수 있을까? 오직 파괴의 확실성을 끌어안는 것만이 미래를 받아들이는 유일한 길일 것이다. 그렇다면, 현재의 폐허 뒤에는 무엇이 놓여 있는가? 이는 작금의 힘겨운 변화 과정에서 우리가 무엇을 배울 수 있는지, 그리고 이 배운 바를 인간의 재건을 위해 어떻게 써야 할지에 분명 달려 있다. 필자는 이것이 근대성의 이상과 가능성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새롭게 함을 의미한다고 주장한다. 우리에게 근대적 이상의 중심에 놓여 있는 ‘좋은 도시’가 무엇인지 기술할 수 있는 용기가, 더 중요하게는 상상력이 있는가? 이것은 산업적 근대성이 성취하지 못한 ‘도시의 공기가 우리를 자유롭게 한다’는 오래된 도시의 약속을 재인식하는 일일 것이다. 나는 미래 세계에 도시의 공기가 우리를 자유롭게 할 수 있지만 오직 ‘성장 이후’의 세계에서만 가능함을 주장한다. 현재의 생태학적 (그리고 인간의) 위기에서 배울 수 있는 교훈은 성장 중심의 경제는 자연적 필요와 결코 공존할 수 없다는것이다. 아렌트가 근대성의 근본적인 원리라고 생각했던 의구심의 중요성을 복권시켜야만 한다. 제멋대로의 테크노크라시적(的)인 지식과 권력을 생산한 근대성은 그 이름의 진정한 의미에서의 근대성이 아니었다. 우리가 진정한 근대인이 될 수 있는 기회가 다가오는 세계에 열려 있다. (국문초록 번역: 정희원,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HK교수) An urban age has been declared and celebrated by global institutions and in expert commentary. There is triumph in the air. To be sure, the urbanisation project that has been central to modernisation has reached new level of species’ significance. And yet, despite the enthusiasm of experts, the new urban ascendancy also marks a dangerous unravelling of human prospect. But where is this acknowledged? The testimonies of environmental and economic collapse struggle to be heard above the chorusing of the urban age. ‘The Horsemen of the Apocalypse’(Slavoj zizek) are the unheeded town criers of an endangered modernity. The political theorist Hannah Arendt had faith in the human capacity for renewal,even in the face of the gravest epochal dangers. For her, hope lay in the fact of human ‘natality’, the endless cycle of death and rebirth that always opens new possibilities for flourishing. If this is true, we await the rebirth of a dying industrial modernity with great urgency. Acknowledging the immense unchecked threat of climate change, science has recently reset the ‘Doomsday Clock’, two minutes closer to midnight.1) The awful ‘next world’ foreseen by British scientist James Lovelock is already upon us. Arendt’s natality seems absent in the arid post-political order of global capitalism. The ‘dark natalities’ of neo-liberalism, austerity governance and anti-science suggest a species death wish that even Arendt did not anticipate. What are the grounds for any optimism at all? Perhaps only by embracing the certainty of destruction can a future be entertained. Even so, what lies beyond the ruins of the present? It surely depends upon what we learn from the current terrible transition and how we use this knowledge in quest for human reconstruction. I argue that this means renewing not rejecting the ideals and possibilities of modernity. Do we have the courage and, more importantly, the imagination to describe the ‘good city’ which surely lay at the heart of the modern ideal? This would recognise the old urban promise-stadt luft macht frei (‘city air makes us free’)- that industrial modernity failed to deliver. I argue that city air can make us free again in the next world but only in a ‘post-growth’ world. One lesson to be learned from the present ecological (and human) crisis is that an economy hard wired to growth can never be made compatible with natural necessity. We must also reinstate the importance of doubt, which Arendt recognised as a fundamental postulate of modernity. Modernities which produced unrestrained technocratic knowledge and power were not modernities in the true sense of the name. In the next world we have the chance to be true moder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