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유발행제, 무엇을 담고 어떤 준비를 해야 하나?

        강현숙 교과와교과서학회 2021 교과와교과서연구 Vol.1 No.1

        박창언(2017)과 수행했던 「교과용도서 발행체제 다양화 방안에 관한 연구」를 기초로 자유발행 교과서의 개념을 잡은 후, 자유발행 교과서에 무엇을 담을 것인가를 짚어보고, 자유발행제의 점진적 도입을 위해 어떤 준비를 해야 하는가에 대해 논의를 전개하였다. 자유발행 교과서는 첫쨰, 교육 내용을 소프트화해야 한다. 교육 내용을 소프트화 한다는 것은 학습해야 할 지식 그 자체보다는 지식을 발견하고 규명하는 탐구 활동이 교과서 내용의 중심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자유발행 교과서는 지식의 논리적 체계와 경험의 생동성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좋은 교과서가 되기 위해서는 교과서의 내용이 지식이나 기능뿐만 아니라, 살아 있는 경험과 연계되어야 한다. 자유발행제의 점진적 도입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면, 첫째, 법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교과용도서의 정의를 재개념화해야 한다. 현행 법령에서는 국‧검정이 없는 경우 인정 교과서를 발행하도록 함으로써 마치 국‧검정으로 고시된 교과목은 위상이 높고, 인정으로 고시된 교과목은 위상이 낮은 것으로 은연중에 오해를 불러일으킨다. 셋째, 교과용도서 구분 고시의 예측 가능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넷째, 교과서 제도별 발행체제의 차별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교원의 전문성을 강화해야 한다. 교사의 전문성은 좋은 교과서를 선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량이 된다. 특히, 자유발행제가 도입되면 교사의 집필 역량뿐만 아니라 좋은 교과서를 선정하는 안목도 중요한 역량이 된다. 여섯째, 교과서 컨설팅 지원단을 운영하고, 시도교육청의 모니터링 체제를 정비해야 한다. 일곱째, 교육과정 개발에 출판업자를 참여시키고, 출판사와 시장구조의 여건을 정비해야 한다. 여덟째, 교과서 정보 공유 사이트를 구축하고, 디지털 교과서 활용도를 제고해야 한다. 아홉째, 교과서 질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열째, 시도교육청 단위의 교과서 업무 전담팀을 구성‧운영해야 한다. Based on the "Research on the Diversification of the Textbook Issuing System" conducted with Park Chang-eon (2017), the concept of free-issuing textbooks was established, and discussions were made on what to prepare for the gradual introduction of the free-issuing system. Free-issued textbooks should first soften the educational content. Softening the educational content means that the exploration activity of discovering and identifying knowledge is the center of the textbook content rather than the knowledge itself to be learned. Second, free-issued textbooks must harmonize the logical system of knowledge and the vitality of experience. In order to be a good textbook,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must be linked not only to knowledge or function but also to living experience. First, a legal basis should be established when suggesting a plan for the gradual introduction of the free issuance system. Second, the definition of textbooks should be reconceptualized. Under the current law, accredited textbooks are required to be issued if there is no national or certification, which implicitly leads to misunderstanding as if subjects notified by national or certification have a high status and subjects notified by accreditation have a low status. Third, the predictability of the notification of classification of curriculum books must be secured. Fourth, the issuance system for each textbook system should be differentiated. Fifth,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Teachers' expertise becomes the most important competency in selecting good textbooks. In particular, when the free issuance system is introduced, not only the teacher's writing ability but also the eye for selecting good textbooks becomes an important competency. Sixth, it is necessary to operate a textbook consulting support group and reorganize the monitoring system of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Seventh, publishers should participate in curriculum development, and the conditions of publishers and market structure should be reorganized. Eigh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textbook information sharing site and improve the utilization of digital textbooks. Ninth, textbook quality management should be carried out. Tenth, a team dedicated to textbook work at the level of the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must be formed and operated.

      • 성인문해 중학 과정 수학과 교과서 개발 지침 연구

        이형주,신서영 교과와 교과서학회 2024 교과와교과서연구 Vol.4 No.1

        이 연구는 성인문해 학습자를 위한 중학과정 수학과 교과서 개발 지침에 대한 것이다. 연구를 위해서 관련 법령 및 선행연구 등에 관한 문헌분석, 중학과정 성인문해 학습 이해관계자 및 전문자 협의를 통한 의견분석, 교육과정 내용 체계 변화 분석 및 교과서 단원 구성 및 내용 체계 등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문해 중학과정 수학과 교과서 개발은 헌법 및 교육기본법, 평생교육법 및 동법 시행령, 시행규칙 등 법적 근거가 있다. 둘째, 성인문해 학습자는 교과서가 이해하기 쉬운 내용으로 책의 크기와 글자는 더 크고 두께는 더 얇게, 추가 학습 도구가 개발되기를 바란다. 학습자와 교사 모두 교육 내용의 최신화를 요구하므로 내용 선정 및 조직의 재구조화가 필요하다. 셋째, 교과서 단원의 구성과 전개를 살펴보면 교육과정 내용 체계와 기능이 합쳐져 차시 목표를 이루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할당된 페이지 내에서 진술될 내용 및 활동을 구체화하고 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성인문해 중학과정 수학과 교과서 개발 지침을 다음과 같이 결론지을 수 있다. 첫째, 변화하는 사회에 적절히 대응하는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사는 삶을 지원하는 교과서가 되어야 한다. 둘째, 성인문해 학습자의 생활 연령을 고려하여 교과서의 발행 형식을 유연화해야 한다. 셋째, 교과서의 활동은 교과 성취 목표를 바탕으로 실생활 중심 소재로 집필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비형식 학습을 받아온 학습자를 대상으로 개발하는 성인문해 중학 과정 수학과 교과서 개발 지침을 제안하여 성인문해 교육의 시의성을 반영 하고자 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development guidelines for mathematics textbooks intended for adult literacy learners at the middle school level. The research involved a literature review on relevant laws and previous studies, an analysis of the needs of adult literacy learners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and examinations of changes in the educational content system and the structure and systematics of textbook uni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xtbooks for adult literacy in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is grounded in legal bases such as the Constitution, the Basic Act on Education, the Lifelong Education Act, and its enforcement decrees and regulations. Second, adult literacy learners desire textbooks that are easy to understand, with larger print and smaller book thickness, and hope for the development of additional learning tools. Both learners and teachers demand modernization of the content, necessitating a reorganization of content selection and structure. Third, the composition and progression of textbook units combine the educational content system and functionality to achieve session objectives. This basis determines the number of pages assigned, within which the specified content and activities are detaile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conclusions for the development guidelines of mathematics textbooks for adult literacy at the middle school level are as follows: First, the textbooks should support a life conducive to becoming healthy members of a changing society. Second, considering the age range of adult literacy learners, the format of textbook publication should be flexible. Third, the activities in the textbooks should be written based on real-life oriented materials, grounded in the educational achievement goals. This study proposes 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for adult literacy learners, reflecting the timeliness of adult literacy education and focusing on learners with informal education backgrounds.

      • 좋은 교과서의 조건과교과서 자유발행제 추진 방향 분석

        박창언,강전훈,이윤하 교과와교과서학회 2021 교과와교과서연구 Vol.1 No.1

        이 논문은 좋은 교과서의 조건과 교과서 자유발행제 추진 방향을 분석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제2기 교과서자유발행제 추진위원회를 대상으로 하였고, 시기는 12월 워크숍 자료에 제시된 내용이다. 분석은 좋은 교과서의조건과 특징, 교과서 자유발행제의 현장 안착가능성에 대해 주제별 핵심어의 연결 중심성, 근접 중심성, 매개 중심성을 분석하였다. 논의 결고 좋은 교과서는 교과서 발행체제를 다양화하는 제도적 조건과 교과서 내용 그 차체에 대한 내용적 조건, 그리고 교과서를 만드는 교육과정, 교과서를 활용하는 교사와 학생의 효과적 상호작용이 총체적으로 결합되어 있어야 했다. 그리고 자유발행제 추진에 대해서는 일정한 조건이 전제되면, 현장의 안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또한 제도 시행을 위해서는 인프라 구축이 우선되어야 하는 것으로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This thesis analyzes the conditions of good textbooks and the direction of the free issuance system of textbook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e 2nd Free Textbook Issuance System Promotion Committee, and the timing was presented in the December workshop data. The analysis analyzed the connection centrality, proximity centrality, and mediation centrality of key words by topic on the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good textbooks and the possibility of settling the textbook free issuance system on site. As a result of the discussion, good textbooks should be a combination of institutional conditions for diversifying the textbook issuance system, content conditions for the body of the textbook content, curriculum for making textbooks, and effective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using textbooks. In addition, as for the promotion of the free issuance system, it was thought that the possibility of settling on the site would be high if certain conditions were premised. In addition, opinions are being gathered that infrastructure construction should be prioritized in order to implement the system.

      • 온라인 콘텐츠 활용 교과서로 미래 수업 준비하기

        김진모 교과와교과서학회 2021 교과와교과서연구 Vol.1 No.1

        코로나19로 인한 원격수업 운영 병행에 따라 온라인 기반의 학습에 적합한 현장 중심의 교수학습 모델 개발 필요했다. 양질의 온라인 교육 콘텐츠 개발, 공유로 온라인 기반의 효과적인 미래형 교과서 개발에 대한 요구 증가하였다. 프로젝트 중심의 재구성 교육과정을 지원하는데 효과적인 재구성된 교과서의 필요성 대두하였으며, 교사의 자율성과 학교 현장의 적합성을 효과적으로 반영한 현장 중심의 교과서 체계로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였다. “우리가 교과서에서 언젠가 학교에 오지 않고 공부하는 미래가 올 것이라고 배운 적이 있었습니다. 언젠가는 오겠지 하고 생각은 했지만 매우 막연하게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 미래가 바로 1년 만에 우리에게 찾아왔고, 우리는 너무나 익숙하게 적응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함께 공부하는 방법의 패러다임이 달라졌습니다.” 미래사회에서 다양한 교육 환경, 학생 환경, 공동체에 따라 맞춤형 교육을 제공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온라인 콘텐츠 활용 교과서가 해결책임은 확신한다. In accordance with the parallel operation of remote classes due to COVID-19, it was necessary to develop a field-oriented teaching and learning model suitable for online-based learning. With the development and sharing of high-quality online educational content, the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future textbooks based on online has increased. The need for reconstructed textbooks effective in supporting project-oriented reconstruction curriculum emerged, and it was necessary to shift the perception to a field-oriented textbook system that effectively reflected the autonomy of teachers and the suitability of the school field. "We once learned from textbooks that someday the future of studying without coming to school will come. I thought it would come one day, but I was very vague. But that future has come to us in just a year, and we are adapting so familiarly. The paradigm of how we study together has changed." In the future society, customized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according to various educational environments, student environments, and communities, and for this, I am confident that textbooks using online content are responsible for the solution.

      • 선도학교의 온라인 콘텐츠 활용 교과서사용 사례 연구

        곽상경 교과와교과서학회 2021 교과와교과서연구 Vol.1 No.1

        Covid-19의 확산으로 인해 학교 현장에서는 온라인을 기반으로 한 수업을 준비하고 운영하느라 On-Demic현상을 맞이하였다. 온라인 기반 수업 초기에는 ‘평소의 수업을 온라인상에서 그대로 하면 된다’는 생각으로 컴퓨터 화면을 ‘칠판’으로 잘 활용하는 데 중점을 두었으나 그러한 방법은 학생들의 배움이 일어나기 힘들었으며 각종 연수와 인터넷에 소개된 온라인 수업 방법보다 ‘우리 학교, 우리 학생에게 맞는 수업’이 핵심임을 알게 되었다. 온라인 콘텐츠 활용 교과서는 일반 수업 뿐 아니라 창의적 체험활동, 교사와 학부모 연수에도 활용할 수 있으며 지식 전달, 과제 수행, 평가와 피드백 등 교수학습의 단계 전반에 활용이 가능했다. 하지만 온라인 접속 환경이나 학습기기, 교사의 역량이나 학교의 여건에 따라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온라인 콘텐츠 활용 교과서의 질적・양적 수준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공교육의 서책 교과서가 가지는 의미와 가치를 모두 충족시키기에는 아직 부족한 부분이 있다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school sites faced an online-demic phenomenon to prepare and operate online-based classes. At the beginning of the online-based class, the focus was on using the computer screen as a "blackboard" with the idea that "the usual class can be done online," but it was difficult for students to learn, and I learned that "our school, our students' classes" are more important than the online class methods introduced on the Internet. Textbooks using online content can be used not only for general classes but also for creative hands-on activities, teachers and parents training, and can be used throughout the teaching and learning stages such as knowledge transfer, task performance, evaluation, and feedback. However, depending on the online access environment, learning devices, teachers' competencies, or school conditions, there may be differences in the quality and quantity of online content textbooks provided to students, and there are still insufficient parts to meet all the meaning and value of public education book textbooks. When producing textbooks using online conten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learning, not technology, and on learners (students), not instructors (teachers), and to reorganize the curriculum by reflecting the class situation and student characteristics.

      • 특수교육 교과서의 변천과정 고찰과 발전방안 연구

        신서영(Seoyoung Shin) 교과와 교과서학회 2022 교과와교과서연구 Vol.2 No.2

        이 연구는 교육과정 개정 고시를 2022 앞두고 특수교육 교과서의 발전 과제를 제안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변천을 살펴본 이후, 교과용도서의 변천 과정을 내용적 기준, 외형적 기준, 제도적 기준, 예산적 기준, 질 관리 기준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고찰 결과, 특수교육 교육과정은 장애영역별로 개발되다가 7차 교육과정 시기부터 장애영역이 통합되고 감각장애 및 지체부자유 학생들을 위한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지적장애 및 정서장애 학생들을 위한 기본교육과정으로 나뉘어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교과서가 본격적으로 개발된 것은 2008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 시기부터였으며, 지속적으로 국정발행제를 유지하면서 점차 책수를 늘이고 자료 유형을 다양화하였으며 예산을 증액해왔다. 또 질 관리 체제 면에서 개발단계의 질 관리에 비해 사용단계의 질 관리 참여자가 소수로 제한되어 현장의 사용성 평가 시스템이 취약하다고 볼 수 있었다. 이에 특수교육 교과용도서는 국정단일종으로 개발되는 교육과정 자료로서의 위상이 높은만큼 현장의 요구, 시장의 실태를 반영한 예산 확보로 자료의 질 담보와 자료 유형 및 수준의 다양화를 통해 맞춤형 교육과정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과 교과서의 사용자들이 사용 단계에서 접근하기 쉽고 평가하기 용이한 시스템을 구축하여 현장의 요구가 차기 개발에서 주요하게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적 대안이 필요함을 발전 과제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pose the development task of special education textbooks ahead of the 2022 curriculum revision notice. To this end, after examining the changes in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he process of changing textbooks was divided into content standards, external standards, institutional standards, budget standards, and quality management standards. As a result of the review,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had been developed for each disability area, and the disability area was integrated from the 7th curriculum period. From those time, it began to be developed by dividing it into a basic national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ensory and physical disabilities and a basic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emotional disabilities. Textbooks were developed in earnest from the 2008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t has been continuously published under state-issued system, the number of books has been increased, the data types has been diversified, and the budget has been increased. In addition, in terms of the quality management system, quality management in the use stage was weaker than quality management in the development stage. Special education textbooks are a single national textbook and have a high status as curriculum material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cure a budget that reflects the needs of the field and the actual condition of the market so that customized curriculum can be provided through data quality security and diversification of data types and level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that is easy for users of textbooks to access and evaluate at the stage of use. Such a policy could reflect the needs of the field in the next development.

      • 팬데믹 시대 이후 음악 교과서의 매체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구진우,김사훈 교과와교과서학회 2022 교과와교과서연구 Vol.2 No.1

        Distance classes due to COVID-19 are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new forms of content and the rediscovery of existing technologies. According to the curriculum revised in 2015, at the time of writing the textbook, the current epidemic situation could not be imagined, and the method of using the media presented in the textbook would have been very different from today. It is estimated that the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22 curriculum, which will be revised in the future, need to include content that considers distance education a little more. In this study, the types of media used in music textbook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use of media in music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as playing an alternative role in many fields. Based on this, this study discussed how to use the media and what kind of environment should be prepared after the pandemic is over.s 코로나로 인한 적극적인 원격수업은 새로운 형태의 콘텐츠 개발 및 기존 기술의 재발견으로 이어졌 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집필 당시는 지금과 같은 팬데믹 상황을 상상할 수조차 없었을 것이고, 교과서에 제시된 매체 활용 양태는 지금의 그것과는 많이 달랐을 것이다. 앞으로 개정될 2022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는 조금 더 원격수업을 고려한 내용을 담을 필요가 있을 것이라 추측된다.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 교과서에 활용된 매체의 양태를 분석하였다. 매체 활용은 온 전한 매체 활용과 대체재로서의 매체 활용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 교 과서의 매체 활용은 많은 부분에 있어 대체재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팬 데믹 시대가 끝난 이후에도 매체가 어떻게 활용되어질 수 있는지, 그렇게 되려면 어떤 것들이 필요하 고 어떤 환경이 준비되어야 하는지를 논의하였다.

      • Romey 기법을 활용한 2015 개정 중학교 진로와 직업 교과서 ‘자기이해’단원 분석

        김범준(Beom Joon Kim) 교과와 교과서학회 2024 교과와교과서연구 Vol.4 No.1

        이 연구는 Romey 기법을 활용하여 2015 개정 중학교 진로와 직업 교과서 자기이해 단원의 내용을 분석하기 위해 분량 및 내용 배치, 출판사별 Romey 지수, 성취기준별 Romey 지수를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교과서와 범위는 2015 개정 중학교 진로와 직업 교과서 20종 전체의 자기이해 단원으로 하였다. Romey 기법은 교과서를 분석함에 있어 본문, 그림 및 도표, 활동, 단원의 마무리에 있는 질문을 정량적으로 분석한 후 지수로 나타냄으로써 교과서가 탐구적인지 비탐구적인지를 판단한다. 본문 지수는 교과서 본문을 구성하는 문장의 비율을 통해 탐구적 경향성을 분석하였고, 그림 및 도표 지수는 교과서의 시각 자료들의 비율을 통해 탐구적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활동 지수는 교과서에서 학생이 직접 참여하거나 해결해야 하는 등의 학습 활동의 개수가 차지하는 비율을 통해 탐구적 경향성을 분석하였고, 단원의 마무리에 있는 질문 지수는 단원의 마무리에서 학생에게 하는 질문의 비율을 통해 탐구적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자는 2인의 전문가와 3인 협의를 통해 타당도 및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연구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이해 단원은 평균 20.85쪽으로 나타났고, 전체 페이지 중 자기이해 단원이 차지하는 평균 비율은 11.49%로 나타났다. 자기이해 단원은 2개의 성취기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성취기준에 따른 소단원의 구성은 각 출판사별 집필진에 따라 구성이 서로 상이하였다. 둘째, 자기이해 단원의 전체 본문 문장 수는 평균 42.8로 나타났고, 본문 지수의 평균은 0.47로 나타났다. 자기이해 단원의 전체 그림 및 도표 수는 평균 19.75로 나타났고, 그림 및 도표 지수의 평균은 2.77로 나타났다. 자기이해 단원의 전체 활동 수는 평균 10.55로 나타났고, 활동 지수의 평균은 0.49로 나타났다. 자기이해 단원의 마무리에 있는 전체 질문 수는 평균 8.15로 나타났고, 단원의 마무리에 있는 질문 지수의 평균은 2.48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2015 개정 중학교 진로와 직업 교과서 자기이해 단원의 내용이 전반적으로 탐구적 경향성을 보인다는 점을 시사한다. Using Romey method, this study analyzed the volume and content arrangement, Romey rating of each publishers, and Romey rating by achievement standards to analyze the contents of Self-understanding chapter of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Career & Occupation textbooks. The textbooks and scope of analysis were self-understanding chapter of all 20 types of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Career & Occupation textbooks. In analyzing textbooks, the Romey method judges whether a textbook is exploratory or unexplored by analyzing the text, figures and diagrams, activities, and questions at chapter ends quantitatively. The text rating analyzed the exploratory tendency through the proportion of sentences constituting the textbook text, and the figures and diagrams rating analyzed the exploratory tendency through the proportion of textbook visual materials. The activities rating analyzed the exploratory tendency through the percentage of the number of learning activities which students have to participate or solve directly in the textbook and the rating of question in the end of the chapter analyzed the exploratory tendency through the ratio of questions to students at the end of the chapter. Researcher secured a validity and a reliability through consultation with two experts. Those are the results and conclusions of the research. First, the average of the self-understanding chapter was 20.85 pages, and the average percentage of self-understanding chapter among all pages was 11.49%. The self-understanding chapter is composed of two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composition of the sub-chapters are various according to the authors of each publisher. Second, the total number of text sentences in the self-understanding chapter was averaged at 42.8, and the average of the text rating was 0.47. The average number of figures and diagrams in the self-understanding chapter was 19.75, and the average of figures and diagrams rating was 2.77. The average number of activities of the self-understanding chapter was 10.55, and the average of activities rating was 0.49. The total number of questions at the end of the self-understanding chapter was averaged 8.15, and the average of the question rating at the end of the chapter was 2.48.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contents of the Self-understanding chapter of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Career & Occupation textbooks present an overall exploratory tendency.

      • 자유발행제 교과용도서의 시도교육청 질 관리 체제 개선 방안

        박미정,김은경,강현숙,박은영,박희동,이미경,주진호,감경원,이윤하 교과와교과서학회 2022 교과와교과서연구 Vol.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plans to improve of the quality management system of the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for the issuance and use of high-quality freely publishing system of textbooks for the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s a research method, we analyzed the prior research on the freely publishing system of textbooks by the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conducted a survey of the people in charge of approving textbooks the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analyzed the on-site opinions that in 13 people respond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is proposed to establish a new control tower that oversees quality management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 from development to use of freely publishing system of textbooks, to develop and disseminate quality management manuals by this institution, to strengthen the role of the Joint Management Committee of the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Curriculum Manual, to operate the network for the development of freely publishing system of textbooks and to operate permanent training system, to strengthen the expertise in the examination of freely publishing system of textbooks by the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to operate the information sharing system for freely publishing system of textbooks, and to activate the monitoring and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system of freely publishing system of textbooks.s 이 연구는 시도교육청 단위의 현행 교과용도서 관리 체제에 대한 문헌 분석과 현장 의견 수렴에 기초하여 질 높은 자유발행제 교과용도서의 발행 및 사용을 위한 시도교육청 단위의 교과용도서 질 관리 체제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과용도서 자유발행제와 시도교육청의 교과용도서 관리에 대한 법률 및 문서 자료, 선행 연구를 분석하였고,시도교육청 인정도서 담당자 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명이 응답한 현장 의견을 수렴하여 분석하였다 13.연구 결과 자유 발행제 교과용도서의 개발부터 사용까지의 전 과정에서 질 관리를 총괄하는 컨트럴타워로‘(가칭) 자유발행제 교과용도서 질 관리 센터’를 신설하고,이 기관을 중심으로 자유발행제 교과용도서 질 관리 매뉴얼 개발 및 보급, 시도교육청 교과용도서 공동관리위원회의 역할 강화,자유발행제 교과용 도서 개발 네트워크 운영 및 상설 연수 운영, 시도교육청 자유발행제 교과용도서 심사 전문성 강화, 자유발행제 교과용도서 정보공유시스템 운영, 자유발행제 교과용도서 모니터링 및 수정·보완 시스 템 활성화 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가 시·도교육청 자유발행제 교과용도서의 질 관리 체제 구축 및 개선에 도움이 되어 자유발행제 교과용도서의 질적 제고 및 자율화와 다양화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