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획 1 : 중세 라틴어 문화권과 한자 문화권의 이중 언어와 문화 ; 한국(韓國)의 한문문화(漢文文化)와 한문교육(漢文敎育)

        송병렬 ( Pyung Nyul Song ) 동방한문학회 2007 東方漢文學 Vol.0 No.33

        한국 문화는 두 가지 측면에서 형성되었다. 토착적인 생활 문화와 주변 국가와의 교류적인 문화의 측면이다. 주변국과 교류하면서 형성된 문화 중 가장 영향력이 컸던 것은 동아시아 한문문화이다. 이는 한국의 토착적인 민중 생활 문화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주변의 국가들에게도 문화적인 영향을 끼치기도 하였다. 한문문화는 한국의 문화의 정신적, 물질적인 모든 분야에서 드러나고 있다. 사상사적으로 고려시대의 불교, 이조 사회의 유교 사상(성리학) 등이 그것이다. 유교이념의 내용은 전적으로 ``한문문화``에서 起因했다. 이러한 한국의 한문문화는 주로 언어적인 측면에서 출발하고 있다. 바로 한문으로 기록되어서 나온 것이다. 이러한 한문의 교양과 지식을 지닌 지식인들은 또한 한문으로 이루어진 수많은 기록물을 만들어냈을 뿐만이 아니라, 그 안에 내용을 담아냈다. 이러한 내용은 하나의 분야에만 멈추는 것이 아니라, 사회 문화 전반에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산수 자연 문학에 관련된 문학작품이 미술 작품으로는 산수화나 건축으로는 자연친화적인 한옥 건축 미학으로 연결된다는 것이다. 한문문화는 단지 언어적인 것에 머물러 존재할 수 없는 것이요. 수많은 근대 이전의 사회 문화 속에 적용이 되는 것이며, 오늘날 현재의 우리 삶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오늘날과 같이 물질주의의 공세가 커질수록 오늘날 현대인의 삶 속에는 그에 대항할 만한 사상과 문화로서의 반물질주의적인 문화의 교육이 필요하다. 그러나 한문문화의 전통이 우리의 잠재적인 문화로 존재하는 것으로 현대의 물질주의에 저항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한문문화의 전통이 현대 물질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도록 미래 세대에 대해 교육할 수 있는 장이 있어야 한다. 한문교육은 바로 그런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제7차 교육과정의 한문과 성격에는 "언어생활의 한자어" 교육을 강조하였다. 언어생활 한자어가 한문 문화에 의해서 형성된 국어임에는 틀림이 없으나 한문과 성격의 제1의 것으로 하기에는 아쉬움이 남는다는 것이다. 이에 반해 새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성격은 "한문의 학습을 통하여 다양한 유형의 한문 자료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심미적으로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한 교과"라고 규정하고 있다. 심미적으로 고전 자료를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제시하였다. 7차에 비해 매우 적극적인 태도이다. 그러나 그의 실천은 아직 미정이다. 교육과정으로 선언만 하였을 뿐 실천은 교과 전체의 책임으로 남았다. Korean culture has been created in two aspects, which are native living culture and mutually interactive culture with foreign countries. Chinese writing culture was the most effective one among those interactive cultures. It effected Korean native way of life as well as that of other peripheral countries in East Asia. Chinese writing culture is discovered in every mental and material fields in Korean culture. Buddhism of Goryeo dynasty and Confucianism in Joseon dynasty are the very evidence. Confucianism has its ideological foundation definitely on Chinese writing culture. Chinese writing culture in Korea is born in linguistic side; Korean archives are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Intellectual people had produced substantial documents within which contents were linked organically all over the social culture. For instance, literature on natural landscape was connected to landscape paintings and architectural aesthetics. Chinese writing culture does not nor cannot stand alone in linguistic side, but does affect pre-modern social culture and our daily lives. Especially, as materialism gets more excessive, people need culture education of anti-materialism for ideal and cultural factor in their lives. But tradition of Chinese writing culture cannot resist modern materialism if it stays only in our potential culture. We need to educate our descendants to get over materialism with the tradition of Chinese writing culture. Classical Chinese education plays a critical role in that aspect. 7th curriculum emphasized "Sino-Korean words in daily lives" as a feature of Classical Chinese. Sino-Korean words are indeed Korean word derived from Chinese writing culture, but it occurs to me that it`s not quite adequate for a prime feature on Classical Chinese. On the contrary, the new curriculum states that Classical Chinese is "a subject to achieve critical understanding and aesthetic enjoy of various types of Classical Chinese materials through studying." It suggests that building an aesthetic enjoy has a significant meaning. This is a vigorous gesture. Still, taking it into action is yet uncertain. It is our duty not to leave the curriculum as a vague declaration.

      • KCI등재

        기획1 : 한국한자학(韓國漢字學)의 미학적(美學的) 접근(接近)(1) ; 한문교과(漢文敎科) 산문교육(散文敎育)에 있어서 미학(美學) 원리(原理)의 적용(適用)과 실천(實踐) 방안(方案) 연구(硏究)

        허철 ( Chul Heo ) 동방한문학회 2011 東方漢文學 Vol.0 No.49

        본고는 이 중 ``한문학``, 특히 한문 산문이 가지고 있는 미학적 특질이 한문 교과에서 어떻게 표출되고 있으며 그 내용이 적절하게 구성되고 있는가를 집중적으로 살피면서 향후 한문 교과에서 문학, 특히 한문 산문을 교육 내용으로 선정하고 조직할 때 어떤 계획과 방법론을 제시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하였다. 한문 교과에서 산문 교육이 중요하다는 것에 대해서는 이론의 여지가 없으나, 그것을 어떻게 구조화할 것이고 어떻게 위계화하며 어떻게 반영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아직 그렇게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근본적인 이유로 우리는 현실적인 문제를 거론하지만, 실제 현실적인 문제에 앞서 필자는 한문 교과에서 문학을 어떻게 취급해야 할 것인가라는 기본적인 문제 인식과 그 해결을 위한 방법이 모색되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필자는 한문 교과의 학습목표의 위계적 목표와, 즉, 초기 학습자로부터 고급 학습자까지 조금씩 다른 학습목표를 제시할 것과 교과서의 1차시 1소단원 학습이라는 암묵적 규율에서 벗어나 조금 더 하나의 작품을 올바르게 감상할 수 있도록 다차시 한 작품의 학습을 위한 구조적 변경을 제시하였다. 결국 한문 교과에서 시행하는 한문 산문 교육은 문학적 특수성을 반영한 미학 교육이라는 측면에서 다른 한문 문장들과는 다른 교육적 접근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우리는 한문 교과에서 다루어야 할 교육 내용이 무엇이며, 어떤 내용을 어떤 시기에 선정하고 어떻게 조직화되어야 하는지 보다 치밀한 설계가 필요하다. This paper is about how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especially the feature of aesthetic in Chinese prose presents in a Classical Chinese subject. Also it discusses that when selecting and organizing the contents for educational purpose which plans and theories we are going to present. Although there is no doubt that education of prose is very important in Classical Chinese subject, it is not enough to be discussed on how we should organize, structuralize, reflect the Chinese prose in a lesson. For this issue we usually consider the realistic matter however, prior to the matter, this writer think we should find how we will identify and treat the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subject which is the basic problem and the method to solve the problem. For this I will present the organized goal in Classical Chinese subject which is to set the different lesson goals based on the level from basic to advance. Also, I will provide alterations on structure of lesson plan like a multiple planned lessons for one work to help complete understanding which is not only limited by the old system of a period in one chapter. All in all, regarding the Classical Chinese prose education in Classical Chinese subject reflects the distinct feature, it is needed a different educational approach distinguished from other sentences in Classical Chinese. In this sense, we need the detail processor about when and how the certain contents should be organized and what we should cover in the Classical Chinese subject as well.

      • KCI등재

        기획 1 : 중세 라틴어 문화권과 한자 문화권의 이중 언어와 문화 ; 한문 교육 진흥을 위한 독일의 라틴어와 한문 교육 사례 검토

        유명인 ( Myoung In Yu ) 동방한문학회 2007 東方漢文學 Vol.0 No.33

        중·고등학교 한문 교육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서는 수업 목표를 재고할 필요가 있다. 한문 교육이 전통의 계승과 인성의 계발에 도움이 되기는 하겠으나 이것만으로는 한문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기 힘들다. 문어라는 한문의 특성을 잘 살려 한문 교육에 실용성과 미래지향성을 부여해야만 한다. 한문 교육이 한국어를 비롯한 다른 언어의 독해력 향상과 모국어에 대한 올바른 인식의 확립에 도움이 된다는 점을 강조해야 한다. 유구한 한문 문학의 전통이 한국어 문학의 진흥에 필요한 비옥한 토양이 될 수 있다는 점도 함께 강조해야 한다. 다시 말해, 한문 교육의 목표가 단순히 한문의 습득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한국어의 위상정립에도 있다는 것을 널리 알려야 한다. 이런 방향으로 한문 교육의 기능을 강화하고 한문 교육의 정당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려면 교육 방법도 재고할 필요가 있다. 한문이 단지 전통의 寶庫만이 아니라 언어의 보고라는 점을 강조해야 한다. 전통적인 교육 방식으로는 한계가 있다. 다시 말해, 언어학적 방법으로 체계화된 문법을 중심으로 한 수업 방법과 한문의 제이 외국어화를 적극 고려해야 한다. 문법의 정리를 위해서는 한국과 주변국에서 나온 성과뿐만 아니라 서구 중국학계에서 나온 성과도 함께 참고해야 한다. 특히 후자의 경우가 중요하다. 한문 교육의 미래지향적인 방향 설정을 위해 본고에서는 독일 학교의 라틴어 교육과 독일 대학의 고전 중국어 교육을 사례로 검토했다. For the development and the promotion of the Hanmun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s there is an urgent need to question the purpose of the Hanmun curriculum. Hanmun education, as is widely held, is probably conducive to keeping tradition and developing personality, yet this is not enough to create a broad consensus about the need of learning Hanmun. Its nature as a written language will shed light on the fact that learning Hanmun is not only of practical use but also future-oriented. More emphasis must be put on the possibility that it helps students to improve their reading comprehension in Korean as well as other languages and to have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ir own native language. It must also be emphasized that the long tradition of Hanmun literature can provide a favourable basis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Korean literature. In this regard, it is of particular importance to propagate the idea that the Hanmun education also aims at achieving the establishment of Korean as the literary language. In order to strengthen these functions and reach a consensus of that type, of course, it is also necessary to improve the teaching methods of Hanmun. Besides, the fact that Hanmun is a repository of language (resources) rather than one of the traditions will have to be seriously taken into account. The traditional methods have reached their limit. In this respect, serious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e application of modern linguistic methods based on the grammar of Hanmun. Furthermore, it might be more adequate that students have an option to learn Hanmun as a second foreign language. To this end, the research results from Korea and her neighbours as well as from the field of sinology in Europe and North America should be consulted. The latter, amongst others, is expected to be a good guide to methodological innovation. In view of all this, this paper emphasizes the necessity of changing the course of the Hanmun curriculum and makes suggestions to the effect by giving some examples from the Latin curriculum in secondary schools and the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on the college level in Germany.

      • KCI등재

        투고논문 : 한문과 학교문법서의 서술 방향 모색 -2007 개정교육과정 중고등학교 해설서(한문) 강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성중 ( Sung Joong Kim ),김수경 ( Su Kyung Kim ) 동방한문학회 2012 東方漢文學 Vol.0 No.50

        학교문법은 학문문법이 간결화 과정을 거친 결과라고 한다. 이는 결국 어떠한 내용을 어떻게 기술하느냐에 관련되는 것이다. 구체적인 조작은 대상이 누구냐에 따라 달라진다. 우리가 한문을 익히는 방법은 서양인과 다르고 중국인과도 다르다. 따라서, 한문 독해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 필요한 한문 문법 지식은 우리나라 학생의 상황에 맞게 서술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한문과 학교 문법에 대한 학계의 연구 성과는 2007 개정교육과정(및 해설서)에 모아져 있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 한문교육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해설서를 중심으로 한문 문법을 강의하면서, 학생들이 해설서를 통해 한문 문법을 익히는 과정에서 노정된 여러 문제점을 크게 네 유형으로 나누어 그 해결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첫째, 학생들에게 일반적 문법의식과 한문만의 특수한 문법 인식을 제고해줌으로써 도입단계에서 한문의 문법적 요소를 이해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둘째, 해설서의 부분적인 문법 서술의 모호성과 간략성은 학생들이 해당 문법내용을 이해하는 데 혼란을 야기할 수 있는 까닭에, 문법 서술 표현을 엄밀화함으로써 학생들의 문법 이해 효과를 증대할 필요가 있다. 셋째, 문법 사항을 설명하는 예문이 교재 및 학생의 학습 수준과 유리될 경우 학생들은 문법 설명을 명확히 이해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가능한 한 전형적이고 실용적인 예문을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의 해당 문법 내용에 대한 이해를 극대화시켜야 한다. 넷째, 학생들이 한문 문법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데 필요한 학습 요소들을 보강, 추가할 필요가 있다. 이상에서의 고찰이 향후 학교 문법서 편찬에 참고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We ascertain that the 2007 Revised Curriculum Guide of Korean Classical Chinese has reflected the academic research performance of the school grammar of Korean Classical Chinese so far. Based on the various critical recognition of one college student group majoring in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oward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which had been researched during the lecture in 2011, this essay endeavors to devise alternative proposals for their critical queries. We categorize our suggestions into four parts. First, the students` grammatical recognition could be enhanced by presenting the factors grounded on the general grammar recognition and the distinctive grammatical elements of Korean Classical Chinese, respectively, in the intro. Second, the preciseness of grammatical description could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students` grammatical grasp, because the survey shows that the students express their difficulties of understanding when the grammatical descriptions are ambiguous. Third, the archetypal and obvious example sentences help the students understand grammatical contents more directly. we find that when an example sentence deviates from the school text or the students` academic standards, the students` academic efficiency decreases. Forth, Some grammatical issues could be resolved by additional description of grammatical elements, such as causative use of verbs, solo & multi functional aspects of mood particles, which are not included i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Guide. We hope that our research and suggestions to the students` grammatical recognition could have a certain value for the compilation of a future school grammar text.

      • KCI등재

        한국전쟁(韓國戰爭時) 한문교육(漢文敎育)의 사적(史的) 고찰(考察)-쟁점(爭點) 용어(用語)를 중심(中心)으로-

        이돈석 ( Don Suk Lee ) 동방한문학회 2013 東方漢文學 Vol.0 No.55

        한문교육의 내용과 위상은 시대의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 따라서 이러한 변화를 역사적으로 연구하는 것은 한문교육 자체를 이해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한문교육사 연구에 대한 실증적 자료의 수집과 정리가 미비하였다. 다만 1955년 1차 교육과정이 공포되어 교육과정사와 관련된 문헌이 남아 있었기 때문에 그 근거가 확실하다. 해방이후부터 1차 교육과정이 공포되기 전까지의 한문교육과 관련된 실증적 자료는 부족하다. 이는 그동안 한문교육의 위상과 같은 외재적 요인으로 한문 과목의 필요성과 관련된 연구에 내용이 집중되었고 내재적으로는 연구자들이 한문교육학의 학문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연구에 집중하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그 동안 실증적으로 검토되지 못하였던 戰時 中 한문교육과 관련된 내용을 신문 기사와 각종 자료를 발굴하여 한문교육사와 관련된 내용이나 용어, 발표 시기에 대한 진위 여부를 밝혀 보았다. 그 중 전시 한문 교육과 관련된 용어인 ‘戰時敎育特別措置要綱’과 ‘戰時學習指導要項’, ‘漢字指導要項’, ‘常用漢字’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The contents and phase of the Classical Chinese education varies,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Therefore, the historical study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tself to understand these changes was an essential a sphere. Until now, however, collect and organize the lack of empirical data for the study of the History for Classical Chinese education. However, because it remains the History of curriculum and related literature published the primary curriculum in 1955 that is certainly based. However, it is the fact for the lack of the empirical date related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fter the liberation from the colonial rule and before publishing the primary curriculum. For researchers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have externally focused on the research related to the needs of the Classical Chinese subjects, such as the phase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nd internally on the research to lay the academic foundation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the contents, terminology and the time announced associated with the History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during war, who had not been examined empirically, are found out the truth with discovering the related newspaper articles and the various materials.

      • KCI등재

        한문교과 인지영역 요소의 서술방법과 내용에 대한 고찰 -한자(漢字) 영역을 중심으로

        허철 ( Chul Heo ) 東方漢文學會 2009 東方漢文學 Vol.0 No.40

        본고는 교육의 내용요소를 인지영역적 요소와 정의 영역적 요소로 구분하여, 이를 한문교과에서 어떻게 수용하고 있는가를 중심으로, 현재 나타난 문제점과 대안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교육활동에서 인지영역과 정의영역의 구분은 그 교과의 내용을 체계화하고, 이를 통해 교과가 가지고 있는 특성을 보다 명확하게 구성하고 인지하게 해 준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방법론이다. 또한, 실제 교육활동은 인지영역과 정의영역의 요소들이 결합되어 나타나는 복합적이고 다단적인 활동이기 때문에, 이를 정확히 파악하고 그 교과의 교육적 목표에 맞도록, 그 교과 내용을 피교육자의 심리적, 정신적, 지적 능력의 발전 단계에 맞도록 배치하고 구성하는 것은 교육과정 설계의 처음이자 끝이라고도 할 수 있다. 2007 개정 교육과정은 이전 교육과정들에 비해 이러한 인지와 정의적 영역의 구분을 시도하고 이를 교육과정에 반영하려고 노력하였다는 점에서 매우 특기할 만하다. 그러나, 실제 내용 체계표를 통해 볼 때 아직까지 인지와 정의 영역이 혼재 되어 있거나, 혹은 오해의 소지가 있는 진술이 있다는 점은 앞으로의 연구를 통해 개선시켜 나가야 할 점이다. 이런 맥락에서 본 논문을 통해 필자는 7차 교육과정과 개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서술의 문제점과 그 내용을 살펴 본 후, 그 실제가 드러나고 있는 교과서의 한자영역을 중심으로 인지영역의 요소가 어떻게 서술되어지고 있는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본고를 통해 살펴 보았든 한자의 인지적 요소 서술에서만도 많은 오류가 발견되어지고 있으며, 한자 영역의 인지적 요소 즉 지식요소가 앞으로 더욱 확충되어지고 체계적으로 구성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인지적 요소가 어떻게 구성되고 그 내용과 진술이 어떤가하는 점은 바로 그 교과의 특성을 보여주는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이다. 실제 한자영역을 중점적으로 연구 대상으로 한정하였으나, 필자는 이러한 서술이 단지 한자영역에만 국한되어져 나타나는 문제가 아닐 것이라고 예상한다. 특히, 교과서의 검토를 통해 보여지듯 각 급 교과서에서는 한자나 한자어, 한문 등 기본 어휘에 대한 논술이나 설명이 집필자에 의해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와 내용에 무엇보다도 중요하게 취급되어야 할 주요 개념어에 대한 서술과 내용이 빠져 있다는 점, 교육목표와 필요성에 대한 서술의 부재, 내용 체계표와 그 내용 진술에 인지영역요소와 정의영역요소의 혼재와 더불어 인지영역과 정의영역의 요소를 명확하게 구분하고 구체적이고 세부적으로 제시하지 않았다는 점 등은 이런 문제를 더욱 확대시키고 있다. 현재 드러나고 있는 이런 문제의 해결방법으로 첫째, 교과의 필요성과 목적이 내용 체계와 내용 서술에 포함되어야 하며 둘째, 개별 개념어와 내용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의와 내용을 공동 연구하고 적용할 것 셋째, 현재의 교과서 구성 방식인 주제별 묶음이 아닌 지식체계별 묶음으로 전환할 것 넷째, 한문교과의 소재의 범위를 확대시켜 재고려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주지하듯 한문교과는 다른 교과와는 다른 한문교과 나름의 성격과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성격과 특징은 연구자들의 많은 노력과 시행착오를 통해 교육목표의 설정으로부터 시작하여, 교육내용을 선정하고 체계화, 조직화된 교육과정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교육과정은 교과서라는 교육 매체를 통하여 피교육자들에게 교육이 되며, 이러한 교육을 통해 한문교과가 바라는 교육 목표를 성취할 수 있어야 한다. 한문교과의 입지가 좁아지는 이유 중 하나는 한문교과의 내용적 요소를 어디까지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이고 종합적인 담론이 부족한 것도 한 이유이다. 한문교과는 이제 지금까지의 노력과 역사를 거울삼아, 스스로 제자리를 찾고 그 제자리 속에서 자신의 교과적 특성에 부합하는 역량을 준비해야 한다. 교육의 내용을 선정하고 내용을 체계화, 위계화하기 위해서 한문교과교육관련 연구자들의 공동의 연구와 공감대 형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은 재삼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Education learning in action can divide to Cognitive domain and psychomotor domain. This paper is based on this point, research how apply this two area and how describe in Sino-korean education in Korea. To find their problem and make a some suggestion for reduce problem to reach subject learning aim. Revised Curriculum system in 2007, is applied this two area, Cognitive domain and psychomotor domain, to Sino-korean education. But, through research we can find some problem. 1. some of part in Information system and structure, due to mixed two concept or ambiguous their own area. 2. misunderstanding information and describe about some knowledge item. 3. lack of essential element. Cause of this problem, we can find more problem about describe and information in the textbook. To resolve this problem suggest this four point. 1. add Sino-Korean subject`s needs and objectives into Cognitive domain. 2. have to rebuild essential element and define their meaning what Researchers Joint research will be applied to education work. 3. have to change from topics collection and divide to knowledge collection system in the textbook`s organization and structure. 4. reconsider Sino-Korean education`s identity and expand a subject matter for successful education act. Exactly for develope and normalization Sino-Korean education in Korea, most of all we have to researchers shared their research and consensus what we teach and how can realize Sino-Korean subject`s learning aim.

      • KCI등재

        투고논문 : 한문산문(漢文散文)의 서술방식(敍述方式)과 수사법(修辭法)에 대한 교육적(敎育的) 활용(活用) 연구(硏究)

        송병렬 ( Pyung Nyul Song ) 동방한문학회 2010 東方漢文學 Vol.0 No.45

        漢文散文은 說得을 위해 논리적으로 서술한 글이 많다. 그러한 글들의 敍述方式은 매우 多樣하다. 그 가운데 主客對話法과 寓言引用法은 說得의 敍述方式으로 獨特하다. 主客對話法은 作者를 대신하는 나와 그 相對가 되는 客을 登場시켜서 내가 客의 論理를 깨뜨리는 敍述方式이다. 主客對話는 반드시 客의 主張을 論理的으로 否定하는 方式을 取하여 讀者로 하여금 作者의 主張을 確實하게 알 수 있도록 하는 方式이다. 說理文이나 論辨體 散文에서 主로 使用하는 敍述方式이다. 寓言引用法은 自身의 主張을 提示하기 위해, 說話에서 비롯된 이야기나 創作한 이야기를 揷入하여 狀況을 具體的이고 生動感있게 提示하는 敍述方式이다. 따라서 讀者나 聽者가 作者의 意圖에 感動을 받도록 하는 敍述方式이다. 漢文의 修辭法은 單純한 表現 技法일 뿐만이 아니라, 高度의 藝術的 表現이다. 따라서 作者의 생각을 傳達하는 좋은 手段이다. 誇張法은 但只 實際를 誇張만 하는 것이 아니라, 現場에 없는 讀者나 聽者에게 實感나게 狀況이나 景觀을 傳達하기 위해 使用하는 表現法이다. 重意法은 하나의 말에 두 가지 이상의 뜻을 담아내는 表現法이다. 重意法은 하나의 表現으로 둘 이상의 뜻을 傳達하므로 讀者에게 즐거움을 주기도 하고, 作者의 意圖를 適切히 감출 수 있다. 列擧法은 內容的으로 連結되거나 비슷한 語句를 여러 개 늘어놓는 修辭法이다. 狀況이나 景觀의 多樣한 모습을 列擧함으로써 짧은 文章에 많은 內容을 담을 수 있고, 事物의 多樣한 모습이나 사람의 多樣한 行動과 말을 짧은 文章에 生動感이 넘치게 表現하는 修辭法이다. 이러한 漢文散文의 敍述方式과 修辭法은 漢文散文에만 該當되는 것은 아니다. 오늘날 우리의 글쓰기에도 影響을 주었다. 따라서 漢文科의 授業에서 敎育的 活用이 切實하다. 이를 위해서는 敎師는 먼저 散文의 敍述方式과 修辭法을 精密하게 分析하고 模型化해서 提示하여야 한다. 散文의 敍述方式이 論理的 說得을 爲한 重要한 裝置임을 提示한다. 散文의 多樣한 修辭는 作者의 생각을 讀者에게 生動感있고, 正確하게 傳達하기 위한 表現법임을 제시한다. 漢文散文의 敍述方式과 修辭法은 學習者들의 글쓰기의 좋은 模型이 됨을 認識시킨다. There are many writings for persuasion in the pros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The narrative styles of such writings are very diverse. Among them, the coversation way with host and guest and the way of quotation using allegory are narration styles and unique. The coversation way with host and guest is a method of discription that ``I`` broke the theory of guest by presenting ``I`` who substitutes writer and the guest who is talking with ``I``. The coversation with host and guest is a style which use a method that ``I`` always contradict the guest`s insistence so that we can grasp the writer`s opinion. This is usually used in the writing explaning logic or the prose type of argument. The way of quotation using allegory is a method that to suggest one`s insistence, stories which are originated in some fable or created are inserted in writings so that the writer suggest some situations concretely and livelily. Therefore it made readers or listeners be impressed to his intention. The rhetoric of Chinese character is not only a simple expressing technique but a high artistic expression. So, It can be a good means to deliver the writer`s thoughts. A hyperbole doesn`t express reality by simply exaggerating but is used to delivering some situations and landscapes realistically to the readers or the audience not in the site. Multi-meaning method is a way that involves meanings more than two in one word. For that, Multi-meaning method can give readers some pleasures and hide his intentions properly. Enumerating method is the rhetoric lists several certain phrases which have connection or similarity in contents. By enumerating various pictures of some situations or sceneries it can contain many substances in a short sentence and can express many aspects of an object and a person in short sentence actively. These narrative styles and rhetoric are contained in not only the proses in Chinese character,the past literature,but today`s our prose writings. Therefore, we need a educational application in Chinese character class. For that, the narration styles and rhetoric that are accurately analysed and modeled should be suggested. The describing style of the prose should be suggested as a device important for logical persuasion. We should suggest that various rhetoric of prose is the expressing method for conveying writer`s ideas actively and accurately and notice that the narration styles and rhetoric in the proses in Chinese character could be good models for the learner`s writing.

      • KCI등재

        투고논문 : 한문교과교육에서 한문교육용한자 선정을 위한 기초연구

        허철 ( Chul Heo ) 동방한문학회 2008 東方漢文學 Vol.0 No.35

        한문교과의 학습 내용 영역은 漢字와 어휘(詞), 漢文이라는 세부적 영역을 지니고 있다. 이 중 漢字는 어휘와 한문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며, 한문교과가 다른 교과와 다른 가장 특징적인 요소이다. 결국 한문교과교육에서 가장 기본적인 논의와 합의의 출발은 어떤 한자를 교육의 내용으로 정할 것인가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한문교과에서는 지금까지 이를 "한문교육용 기초한자"라는 명칭으로 정하고, 이에 대해 많은 논의와 합의를 이루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인은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에 대해서 새로운 논의의 관점이 필요하다 생각한다. 수량의 문제와 선정의 방법, 선정 후 학교급간 구분 혹은 수준별 구분, 교과서에의 적용 문제에 이르기까지 논의의 대상으로 삼고 연구해야 할 부분은 상당히 많다. 물론 이 부분에 대해서 지금까지 연구와 논의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 과정 속에서 아직까지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해방 이후 초기 정부주도로 이루어진 제정 한자들은 실제 한문교과교육을 위한 것이 아니라, "한자全廢"를 목적으로 시작된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한자全廢 운동은 사회적으로 큰 호응을 얻지 못하여 신문사를 비롯한 언론기관에서 나름의 한자표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이후 이러한 한자표는 언어생활을 위해서, 한문교육을 위해 나름대로 논리와 이론적 배경을 가지고 제작되고 유지되어 지금에까지 이르고 있다. 제작될 때마다 그 목적과 이유가 달랐음에도 불구하고, 전 시기의 선정한자를 검증적 절차 없이 그대로 수용하면서 현재까지 문제점을 그대로 안고 온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의 총체적 해결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를 해결하여야 한다. 첫째, 한문교과교육의 목적과 내용은 무엇인가? 둘째, 한문교과의 목적과 내용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어떤 한자를 어떻게 선정하여야 하며, 그 수량을 어떻게 정할 것인가? 이를 위해서 본고는 한문교과교육의 목적과 내용을 먼제 제시하고, 명칭의 문제에 대해서 논의를 전개하였다. 한문교과교육용 한자는 크게 한문교육용한자와 어휘교육용한자, 즉 생활한자와 상용한자라는 두가지 하위영역을 가진다. 때문에 한문교과교육용한자는 이 두가지를 포함하는 총칭이다. 한편, 이러한 한문교과교육용한자는 개별적인 전문용어한자와는 개별되는 특징을 가진다. 이는 한문교과교육의 목표와 지향점, 위치가 교양교과이면서 전문교과인 특성을 살리는 동시에 타 교과나 학문단계로 전이되는 기본요소가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명칭에 맞는 새로운 한자 선정 방식이 도입되어야 한다. 글자의 수를 한정하려한다면 과학적인 검증을 통해 수를 결정해야 한다. 일률적으로 1800이니 2000이니 하는 기준으로 수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인 검증단계를 거쳐 한자의 수를 결정하야 한다. 본고는 이러한 인식 속에서 만일 한문교과교육에서 한문교육용 한자를 선정한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를 실제 대상을 중심으로 조사를 진행하여, 한문교육을 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4000자의 기본한자와 3500자의 추가한자를 선정해야 함을 밝혔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향후 한문교과교육용한자를 재선정할 때 기본적인 자료로 활용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연구결과가 한문교과교육에 있어서 절대적인 자료가 될 수는 없다. 이는 어떤 제재를 교육의 대상으로 삼을 것인가 Sino-korean education(漢文敎科)has three sub field, chinese character(漢字), words(詞) and old chinese writing. Among this sub field, chinese character is most basic and a special distinctive elements with other subject. So, in sino-korean education, how to choice chinese character for eduction is very important and basic process. In korea, about this named "basic character in sino-korean education", long time researched. But, I think we have new point setting basic character in sino-korean education, about number of basic chinese character for education, process to setting, section for each grade, devide for level and how to apply make textbook and to education. In this field, so many scholar had research and result, but, their result has so many problem. Early in Korea, setted some of old sino-korean basic character, not for old sino-korean`s reding, for prevent use chinese character in the life, limit using chiese character in the writtne language. Their obeject purpose is quite different. Now we need setting basic character`s object is high degree of efficiency learn chiese character for useful. For research avout this topic, we have to think below question. 1. In Korea, why need sino-korean education, and this subject`s eduction`s object and contents. 2. For concur in this subject object, how to choice and make basic character. To solve this question, talked about sino-korean education` meaning and objet and elements in Korea, and fundamental notions about new naming. Sino-korean basic character in sino-korean education have two sub arrange, is for old sino korean and for sino-korean words in modern korean. If we limit basic chinese characters number, according with scientific and objective research way. In this point, I took reaserch frequcy about some of old chiense text in Korean, arrive at conclusion, we need number of 4000 basic character, and nember of 3500 adding character. This result can apply and use in future rebuild old sino-korean basic character in sino-korean education. Of course, this rusult is not compeletly, this is only suggest new way to make basic chinese charater for education, this rusult can changed with how to setting what we teach. So, this is one of new reseach way to close this subect`s educaion aim.

      • KCI등재

        자유주제 : 교육과정(敎育課程) 편제(編制) 변화(變化) 및 운영(運營) 실태(實態)와 한문과(漢文科) 교육(敎育)의 위상(位相) 변화(變化)

        宋秉烈 ( Pyeong Nyul Song ) 동방한문학회 2013 東方漢文學 Vol.0 No.57

        본 논문은 국가 수준의 제5차 교육과정 이후 편제가 변화됨에 따라 한문과의 위상이 변화된 것에 관한 연구이다. 제5차 교육과정 이후 교육과정의 편제는 국어, 영어, 수학 과목의 단위 시수를 증가시켰다. 국어, 영어, 수학 과목의 편중은 ‘과목수 축소’를 통하여 학습자의 부담을 덜어준다는 취지였다. 그러나 학교 교육과정 운영의 실제는 국어, 영어, 수학 과목의 비정상적인 운영을 부추겨왔음이 밝혀졌다. 과목 편제에서 증가된 단위 시수를 입시 준비를 위한 문제 풀이 또는 선행학습으로 낭비하여 왔음도 밝혀졌다. 일부 특정 과목에 대한 집중 편제는 상대적으로 다른 과목의 소외 또는 배제를 의미하는 것이었으며, 이로 인한 국어, 영어, 수학 외의 과목은 단위 시수의 감소를 감수해야 했다. 중학교 한문은 제5차 교육과정 필수 과목으로 단위 시수 3~5에서2009년 교육과정에서는 선택 과목으로 단위 시수 평균 1.0으로 그 위상이 약화되었다. 고등학교 한문1과 한문2는 5차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한문1 공통 필수과목 4단위, 고등학교 한문2는 과정별 필수로 4단위였다. 그러나 2009년 교육과정에서는 고등학교 한문1 ‘기술·가정/ 제2외국어/ 한문/ 교양 4개 교과(군)에 속하는 선택과목으로, 고등학교 한문2는 과정은 제시되었으나 편제 시수는 학교 자율에 맡겨져 있다. 대체로 학교 교육과정은 입시 과목을 위주로 편성되는 것을 감안한다면 고등학교 한문2는 학교에서 선택을 하지 않을 것이다.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은 시대의 요구에 의해서 바뀔 수 있다. 그러나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을 학교에서 운영할 수 있도록 분권화한 것은 자치 교육의 실천의 중요한요소이다. 그러나 학교 교육과정의 자율적 운영을 입시 위주의 선행학습 또는 참고서 및 문제 풀이로 진행하는 것은 분명히 교육과정의 낭비이다. 국어, 영어, 수학과목에 편제 단위 편중은 한문을 비롯한 다른 교과목의 주요한 교육 목표의 실현을 양보한 것이다.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서부터 현재의 낭비되고 있는 학교 교육과정의 파행적 운영을 중지시켜야 할 것이며, 현행의 교육과정을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a study about the change in the status of Chinese Character Department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organization after the fifth Country-level curriculum. After the fifth curriculum, the organization of curriculum increased the standard course hours of Korean, English, math. The concentration to the subjects-Korean, English, math- is aimed at easing the learner`s burden through the reduction of the number of subjects. However, the reality of the curriculum operation in school showed that it had incited the abnormal management of those subjects. It also proved that the standard course hours that were increased in the subject organization had been wasted on solving problems or prerequisite learning for preparing the entrance examination. The concentrated form for some specific subjects relatively meant the alienation or the exclusion on the other subjects, and the others had to submit to reduce the standard course hours. The position of Chinese character in middle school deteriorated from having 3 to 5 standard course hours as a mandatory subject in the fifth curriculum to having only 1 hour in average as a optional subjects in 2009 curriculum. In highschool, Chinese character one had 4 standard course hours as a common mandatory subject and Chinese character two had 4 hours as a mandatory subject according to the curriculum, However, Chinese character one was changed to an optional course that was included in the group of subjects-technology·home economics/ the second foreign language/Chinese character/liberal art, and Chinese character two is being run its standard course hours with each school`s autonomy, though its curriculum was suggested. Considering that school curriculums are generally formed for the sake of the subjects which are included in the entrance exam, Chinese character two would not be chosen at school. Country-level curriculum can be changed by the requirement of the age. Nevertheless, it is the important element of practicing autonomous education that the Country-level curriculum was decentralized to operate it independently at school. However, it is definitely wasting the curriculum to run the independent operation of curriculum in the way of solving problems, reference books or prerequisite learning for preparing the entrance examination. The unequal distribution of the organized hours to Korean, English and math is that the realization of major educational purpose in other subjects including Chinese character was conceded. The present limping operation of school curriculum that is being dissipated from the Country-level curriculum has to be stopped, and it needs to review the current curriculum in the beginning.

      • KCI등재

        韓國 漢文 敎科書의 變遷史 -敎育課程 適用 時期를 中心으로-

        장호성 동방한문학회 2018 東方漢文學 Vol.0 No.74

        Classical Chinese class teaching materials should be selected educationally meaningful material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e classical Chinese class curriculum. Classical Chinese teaching materials mediated to communicate teaching and learning. This study presents the history of changes in Korea Classical Chinese class teaching materials of the textbook. Classical Chinese textbooks published after the curriculum application period and The Korea textbook issuance system uses of combination that government-published textbook, authorized textbook (middle stage), and recognized textbook. Classical Chinese textbooks has been published an authorized textbook or recognized textbook in early stage and Government-published textbooks in the middle stage, after that recently recognized textbook. This article showed listing and cataloging of Classical Chinese textbooks, according as curriculum in Korea. Also, Language planning was influenced enactment of 'Educational Chinese character ‘Commercial Chinese character’, ‘Classical Chinese education basic Chinese character’.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there are various changes in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contents, methods and evalu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external structure. 漢文科 敎材는 漢文科 敎育課程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자료를 선택하여 그것을 매개로 교수․학습의 의사소통을 하는 매개체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한문과 교재 중 가장 대표적인 교재라 할 수 있는 ‘敎科書’, 그 중에서도 교육과정이 적용된 시기 이후에 발행된 ‘한문 교과서’로 한정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의 교과서 발행 제도는 國定․檢定․認定制를 倂用하고 있는데, 한문 교과서는 초기에는 검정 또는 인정 교과서로, 중기에 한때 국정 교과서로, 그리고 최근에는 인정 교과서로 발행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에서 교육과정이 제정된 이후에 발행되었거나, 혹은 그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漢文 교과서(漢字, 漢字語 포함)를 조사하여 目錄化하고, 수집 가능한 교과서를 통해 한문 교과서의 변천 과정 및 그 내용상의 특징을 개괄하고자 하였다. 한국의 한문 교과서는 국가의 語文政策 그리고 敎育課程에 따라 변화를 거듭하게 되었다. 어문정책이 바뀜에 따라 소위 ‘敎育漢字’, ‘常用漢字’, ‘漢文敎育用 基礎漢字’가 제정되었고, 제한된 紙面에 이들 한자를 소화하기 위해 單元의 數 및 구성 체계 등이 변화하게 되었다. 또 교육과정의 개정에 따라 그 기본 취지에 맞게 내용의 선정 및 조직,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그리고 외형 체제 등에 있어 다양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