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ffects of the costoclavicular block versus interscalene block in patients undergoing arthroscopic shoulder surgery under monitored anesthesia care: a randomized, prospective, non-inferiority study

        Luo Quehua,Zheng Junyi,Yang Caiqi,Wei Wei,Wang Kejia,Xiang Xiaobing,Yao Weifeng 대한마취통증의학회 2023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76 No.5

        Background: Recent studies have reported that costoclavicular blocks (CCBs) can consistently block almost all branches of the brachial plexus while sparing the phrenic nerve and provide effective analgesia after shoulder surgery. We aimed to compare the efficacy of the CCB with that of the interscalene block (ISB) as the sole blocking technique for shoulder surgery.Methods: A total of 212 patients undergoing elective arthroscopic shoulder surgery were randomized to receive an ISB or CCB based on a non-inferiority design. All patients received titration sedation with propofol under monitored anesthesia during surgery. The primary outcomes were the proportion of patients with complete motor blockade of the suprascapular nerve (SSN) and incidence of hemidiaphragmatic paralysis (HDP). The secondary outcomes included block-related variables, complications, and postoperative pain scores. Results: The proportion of patients with complete motor blockade of the SSN at 20 min between the CCB and ISB groups (53% vs. 66%) exceeded the predefined non-inferiority margin of −5%, but was comparable at 30 min (87% vs. 91%). The CCB resulted in a significantly lower incidence of HDP (7.55% vs. 92.45%), Horner’s syndrome (0% vs. 18.87%), and dyspnea (0% vs. 10.38%) than the ISB. None of the patients experienced failed blocks or required conversion to general anesthesia. Pain scores were comparable between the groups.Conclusions: Ultrasound-guided CCBs may be comparable to ISBs, with fewer unfavorable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impaired lung function undergoing arthroscopic shoulder surgery.

      • KCI등재

        중국 IT기업의 포용적 리더십이 종업원에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원호(Hao Yuan),이염남(Yannan Li),정준의(Junyi Zheng) 리더십학회 2022 리더십연구 Vol.13 No.2

        Covid-19는 디지털 세계화와 경제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시켰다. 특히 IT기업은 어느시기 보다 혁신에 대한 간절함이 더 커지고 있다. 이에 포용적 리더십은 하나의 “포용 및참여”를 강조하는 개념으로써 종업원의 혁신행동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주목받고 있고 신세대 종업원에게 적합한 리더십 유형 중 하나다. 현재 학계에서는 포용적 리더십과 그것이 종업원 혁신행동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주제로 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이 주로 포용적 리더십과 종업원 혁신행동간의 내재적 작용 기제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는 것에 반해, 본 연구는 양자 사이의 보다 구체적이고 직접적및 간접적인 상관관계를 밝히기 위해, 포용적 리더십이 오류관리분위기(EMC)와 자기효능감을 통해 종업원의 혁신행동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본연구는 조직의 오류관리분위기(EMC)와 종업원의 자기효능감을 매개변수로 선정하여 다중매개 변수를 기초로 포용적 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대해 갖는 이중경로 작용기제의 이론개념 모델을 설계하였다. 중국의 IT 기업의 재직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2021년 4월에서 6 월까지 2개월간 온라인 설문 조사를 진행한 후, SPSS 21.0과 AMOS 24.0 활용하여 설문조사 데이터에 대한 실증 분석을 시행하였다. 통계 분석 결과에 따르면, 포용적 리더십은혁신행동, 오류관리분위기(EMC) 및 자기효능감에 대하여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오류관리분위기(EMC) 및 자기효능감 역시 포용적 리더십과 혁신행동에 대해 매개효과를 미치고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코로나 시기불확실성을 대응하기 위해 끊임없이 혁신하고 도전해야 하는 기업 및 관리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혁신에 있어서 실수의 용납 및 장려, 자기효능감을 가질 수 있도록 리더로서의 개방성, 효율성, 접근용이성의 중요성을 인식해야 한다. Covid-19 represents a challenge for digital globalization and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economies. In particular, IT companies are more desperate for innovation than ever before. Inclusive leadership is based on the concept of "fully inclusive and Participation" attracting attention as a leader capable of inducing innovative behavior. And it can adapt to the independent needs of new generation employees. Currently, a large amount of literature studies inclusive leadership and its direct impact on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s. However, few studies have explored the internal mechanism of action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This study investigates how inclusive leadership influences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through error management climate and self-efficacy. Taking error management climate and self-efficacy as intermediary variables, the author constructs a theoretical, conceptual model of the dual-path mechanism of inclusive leadership on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based on multiple mediating variables. The author conducts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of on-the-job employees of Chinese Internet technology companies and adopts SPSS21.0 and AMOS 24.0 to carry out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data. The result shows that inclusive leadership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error management climate, and self-efficacy. Meanwhile, error management climate and self-efficacy also reflect the intermediary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employee innovative behav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