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0901317 as an Inhibitor of Transcriptional Activation of Constitutive Androstane Receptor (CAR)

        Hyun-Ha Kim(김현하),Wongi Seol(설원기) 한국생명과학회 2011 생명과학회지 Vol.21 No.4

        T0901317은 핵수용체 전사인자인 liver X receptor (LXR, NR1H2/3)의 강력한 합성 리간드이다. 그러나, T0901317은 farnesoid X receptor (FXR, NR1H4)와 pregnane X receptor (PXR, NR1I2)에 대해 작용물질(agonist)로, androgen receptor (AR, NR3C4)와 rertinoid-related orphan receptor-α (ROR-α, NR1F1)에 대해 길항제(antagonist)로 작용하여, LXR외에 적어도 다른 4종의 핵수용체에 대해 그 활성을 조절한다고 보고되었다. 우리는 T0901317이 또 다른 핵수용체인 constitutive androstane receptor (CAR, NR1I3)에 대해 저해제로 기능함을 확인하였다. CAR는 이미 T0901317에 의해 기능이 조절된다고 알려진 PXR, FXR, LXR과 더불어 간에서 생체이물과 콜레스테롤의 대사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T0901317에 의해 CAR의 활성이 조절된다는 사실은, 간세포에서 T0901317을 이용한 실험결과를 해석할 때 세포 내에 이미 존재하는 이들 핵수용체 단백질의 영향을 고려하여 주의깊게 해석해야 함을 의미한다. T0901317 is a potent synthetic ligand for liver X receptor (LXR, NR1H2/3), a member of the nuclear receptor superfamily that functions as a transcription factor. However, T0901317 has been also reported to modulate the activity at least four other nuclear receptors (NRs), acting as agonists for farnesoid X receptor (FXR, NR1H4) and pregnane X receptor (PXR, NR1I2) and as antagonists for androgen receptor (AR, NR3C4) and retinoid-related orphan receptor-α (ROR-α, NR1F1). We report here that T0901317 can also function as an inhibitor for constitutive androstane receptor (CAR, NR1I3). Since CAR is a major player of xenobiotic and cholesterol metabolism in the liver, along with PXR, FXR and LXR, which are reported to be regulated by T0901317, this further complicates the interpretation of potential results with T0901317 in liver cells.

      • KCI등재

        파킨스병 유전인자인 LRRK2와 상호작용하는 methionyl-tRNA synthetase

        김혜정(Hyejung Kim),호동환(Dong Hwan Ho),손일홍(Ilhong Son),설원기(Wongi Seol) 한국생명과학회 2018 생명과학회지 Vol.28 No.2

        파킨슨병은 두번째로 많이 발병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이며 약 5-10%는 유전된다. Leucine-rich repeat kinase 2(LRRK2)는 그 돌연변이의 일부가 파킨슨병을 일으키는 유전자이다. LRRK2에는 인산화효소와 GTPase 기능이 있는 도메인과 함께 단백질 상호작용에 관여하는 Leucine-rich repeat (LRR), WD40 도메인이 존재하여, LRRK2와 상호작용하는 단백질이 파킨슨병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암시한다. 우리는 이러한 LRRK2와 상호작용하는 단백질을 규명하여 그 단백질의 세포내 기능을 통해 역으로 LRRK2의 기능을 밝히고자 하였다. NIH3T3 세포 용해물을 LRRK2 항체와 IgG로 각각 면역침강하여 LRRK2 항체 침강반응에서만 특이적으로 나타나는 단백질 밴드를 질량 분석한 결과, methionyl-tRNA synthetase (MRS)로 나타났다. LRRK2와 MRS의 상호작용은 면역침강반응과 GST-pull down assay를 통해 확인됐다. 병을 유발하는, LRRK2의 돌연변이인 G2019S가 인산화효소 활성을 증가시키므로 LRRK2가 MRS를 인산화하는 지를 조사한 결과, LRRK2재조합단백질은 MRS 단백질을 인산화 하지 않았다. 또한 이들 두 단백질의 각각의 양 증가가 상대 단백질의 양 증가, 즉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조사하였으나 안정성의 변화를 관찰하지 못하였다. 결론적으로, MRS는 LRRK2와 상호작용을 하지만 LRRK2 인산화효소의 기질은 아니다. Parkinson’s disease (PD) is the most common movement disorder and the second most common neurodegenerative disease after Alzheimer’s disease. Approximately 5~10% of PD patients are familial PD cases. Leucine-rich repeat kinase 2 (LRRK2) has been known to be a causal gene of PD when it is mutated. LRRK2 contains the functional kinase and GTPase domains as well as leucine-rich repeat (LRR) and WD40 domains that are known to play critical roles for protein-protein interaction, suggesting that LRRK2-interacting proteins are important regulators for PD pathogenesis. In an effort to identify proteins interacting with LRRK2, we carried out co-immunoprecipitation of LRRK2 antibody using extracts of NIH3T3 cells that express LRRK2 at a relatively high level. The mass spectrometry analysis of a precipitated band revealed that the co-precipitated band was methionyl-tRNA synthetase (MRS), an ancient enzyme that transfers methionin to its cognate tRNA. The interaction of MRS with LRRK2 was confirmed again by co-immunoprecipitation of endogenous proteins and GST pull-down assays. However, LRRK2 did not phosphorylate recombinant MRS protein in in vitro kinase assays, and overexpression of LRRK2 or MRS did not affect the stability of its partner protein. Our data indicate that LRRK2 interacts with but does not phosphorylate MRS, and the stability of each partner is not affected by the other.

      • KCI등재

        폐암의 유전자 치료법을 위한 암특이적인 PRC1 프로모터

        조영화(Young-Hwa Cho),윤혜진(Hye Jin Yun),권희충(Heechung Kwon),김희종(Heejong Kim),조성하(Sung-Ha Cho),강봉수(Bong-Su Kang),김연주(Yeun-Ju Kim),설원기(Wongi Seol),박기랑(Keerang Park) 한국생명과학회 2008 생명과학회지 Vol.18 No.10

        우리는 최근에 PRC1 프로모터가 유방암 유전자치료를 위하여 전사 표적이 된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 후보 프로모터임을 보고하였다. 우리는 본 실험에서 PRC1이 폐암 유전자 치료에서도 적용이 가능한지 조사하였다. 특정 프로모터가 루시퍼라제 유전자와 연결된 플라스미드를 이용한 형질전환 assay에서 PRC1 프로모터는 정상폐세포주에서는 활성을 보이지 않으나 폐암세포주에선 약 30 배의 활성을 보였다. 이는 이미 암특이적인 발현으로 알려진 BIRC5 (survivin) 프로모터와 유사한 결과였다. 또한, 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한 실험에서 PRC1은 CMV 프로모터에 비해 아데노 부속바이러스에서 약 75%, 아데노바이러스에서 약 66%의 활성을 보였다. 이와 대조적으로, PRC1 프로모터를 함유한 이 들 두 종류의 바이러스는 정상 폐세포에서는 20%정도의 낮은 활성을 보였다. 흥미롭게도, 인간 폐종양세포를 이식한 생쥐모델을 사용한 결과에서는 PRC1 프로모터가 CMV 프로모터와 비슷한 생체 활성을 보였다. 종합하면, 이상의 결과는 PRC1이 폐암 유전자치료를 위한 전사표적 유전자의 발현을 위한 프로모터로 사용 가능함을 암시한다. We have recently reported the PRC1 promoter as a promoter candidate to control expression of transcriptionally targeted genes for breast cancer gene therapy. We tested whether the PRC1 promoter could be also applied for the lung cancer gene therapy. In the transient transfection assay with naked plasmids containing the luciferase fused to the PRC1 promoter, the promoter showed little activity in the normal lung cell line, MRC5. However, in the lung cancer A549 cells, PRC1 showed approximately 30-fold activation which was similar to the survivin promoter, the gene whose promoter has been already reported as a candidate for the gene therapy of lung cancer. In viral systems, the PRC1 promoter showed approximately 75% and 66% of transcriptional activity compared to the CMV promoter in the adeno-associated virus (AAV) and the adenovirus (AV) systems, respectively. However, the PRC1 promoter in either AAV or AV showed approximately 20% activity compared to the CMV promoter in the normal lung cells. In addition, human lung tumor xenograft mice showed that the PRC1 promoter activity was as strong as the CMV activity in vivo.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RC1 might be a potential promoter candidate for transcriptionally targeted lung cancer gene thera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