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토마스 로젠뢰혀의 "팔려간 포장석" : 독일 통일 6년만에 다시 읽어본 전환기의 일기 및 기록 문학의 한 예

        Brasel, Sylvia,신혜양 淑明女子大學校 統一問題硏究所 1996 통일논총 Vol.13 No.-

        신사숙녀 여러분, 이같이 뜻깊은 학술대회에 초대해 주신 것에 대해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특히 국제적으로 학제간의 협력을 위해 노력하시는 김종영 소장님께 감사드리고 싶습니다. 저는 특히 인문과학자로서 정치 및 경제와 관련된 이러한 학술대회에 참여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합니다. 저는 이 학술대회의 주제에 맞추어 경제와 문학을 연결지음으로써 이 관계를 생산적으로 고찰하고자 하기 때문입니다. 여러분들은 저의 긴 강연제목에서 이미 많은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오늘 오전의 강연들에서 이야기 되었던 바대로 통일 독일이나 통일 민족 등의 말은 수십년간 사라져버린 개념으로 여겨졌습니다. 이러한 주제는 이미 처리되어버렸고, 역사의 잊혀진 자리 정도로 남아 있을 뿐이었습니다. 『향수 Das Parf?m』란 작품으로 한국에도 알려진 작가인 파트릭 쥐스킨트가 독일통일의 전환기에 쓴 한 글이 기억납니다. 그 글에서 그는, 서독인들에게는 이태리나 프랑스의 한 도시가 동독의 한 도시보다 더 친근한 상황에서 통일이란 미친 짓이라고 누구나 말했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통일 문제를 주제로 연구하는 사람은 감탄을 불러일으키기도 하였지만 또한 낯선 느낌을 주기도 하였습니다. 사람들은 이미 분단상황에서 입장정리를 해버린 것이었습니다. 서독에서는 동독을 사회주의적 유토피아의 증거로 보았고-특히 1968년의 서독 학생운동에서-, 동독에서는 서독을 소비지향적 자유가 투영되어 있는 나라라고 보았습니다. 그래서 예를들자면 서독의 텔레비젼과 동독의 텔레비젼이 비교되기도 하였습니다. 서독에서는 자의식이나 자기정체성을 민족의 차원에서가 아니라 경제적 성공에 맞추어 형성하였습니다. 반면, 동독에서는 인간을 더욱 인간답게 만들고, 욕망의 가능성들을 물리치게 하는 공동체 의식을 지향하는 창조적 유통피아가 중심점이 되었습니다. 동독에서 씌어진 문학 (저는 의식적으로 동독 문학이라고 말하지 않습니다)은 이러한 창조적 유토피아의 형상화에 기여하였습니다. 이점에서 특히 문학이 중요한 기능을 한 것입니다. 크리스타 볼프의 『카싼드라』의 경우가 그러했고, 또 하이너 뮐러가 "우리는 사회주의 유토피아를 만들어내는 실험기사들이다"라고 말한 것도 문학의 이러한 기능을 의미한 것이었습니다. 한 시대가 곧 그 시대정신과 동일하다고는 볼 수 없습니다. 동독에서 씌어진 문학작품들은 독일이 재통일 된 지 6년이 된 지금, 그 문학적 다양성과 진언내용, 그리고 영향의 측면에 있어서 벌써 진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작품들에 나타난 많은 문제들은 동독이라는 테두리를 벗어난 것이었기 때문입니다.『낯선 친구 Der fremde Freund』라는 작품으로 유럽 전역에서 관심을 불러일으킨 크리스토프 하인이나, 헬가 쾨니히스도르프, 크리스타볼프, 프란츠 퓌만, 그리고 지난해 한국을 방문하였던 두루스 그륀바인 등이 그 대표적 작가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동독에서 창작된 문학을 오로지 동독 체제의 내적 조건들로써만 설명하려 한다면, 그것은 잘못된 일입니다. 그래서 저는 오늘의 이 짧은 강연을 위해 의식적으로 시대의 증언이 될 만한 작품을 택하였습니다. 그것은 독일 통일의 전환기에 씌어진 한 일기입니다. 그것은 구체적으로 체험한 변혁의 과정들에서 생겨난 주관적인 기록이며 이 기록에는 찬성과 반대가 표현되어 있습니다. 부분적으로는 간략한 생각의 기록들이라는 느낌을 주기도 하는 이 일기기록들을 제가 선택한 이유는, 거의 6년 이라는 세월이 흐른 지금 다시 읽어본 이 기록들에는 당시 동독에서나 서독에서의 시대체험의 직접성이 살아있기 때문입니다. 독일통일의 문턱에 이른 시점에서 자연발생적 경험들이나 착각들, 꿈들과 두려움, 선입견과 희망들이 그대로 살아 있는데 저자가 일일이 해설을 부치지는 않았습니다. 이 모든 것들은 6년이 지난 오늘날 검증의 대상이 되며, 당시 동서독 양측에 존재했던 잠재력과 가능성들 중에서 어떤 것들이 어떻게 취해졌고 또 어떤 것들이 버려졌는지를 처음으로 분석해 볼 수 있도록 해줍니다. 이러한 고려에 의해서, 또 여러분들의 관심에 따라, 저는 전환기를 소설로 형상화하는 작품들(크리스티안 프리드리히 델리우스의 "리벡의 배 Die Birnen von Ribbeck", 마르틴 발저의 "유년시절의 방어 Die Verteidigung der Kindheit"' 브리기테부어마이스터의 "노르마의 이름으로 Unter dem Namen Norma"등)을 택하지 않은 것입니다. 특히 이 소설들에는 종종 일기문학의 특징을 이루는 그러한 직접성이 결여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 정도로 머리말을 마치고 본론으로 들어가겠습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영화 제작자로서의 선교사, 한국 이미지를 창조하다- 노르베르트 베버 “고요한 아침의 나라에서”(1915 & 1927)

        질비아브래젤 ( Sylvia Brasel )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12 독일언어문학 Vol.0 No.58

        노르베르트 베버는 독일 베네딕트파 선교사로, 1911년과 1914/1915년, 두 차례에 거쳐 한국을 여행하고, 그 기록을 책과 영화로 남긴 바 있다. 베네딕트파 상트 오틸리엔 수도원의 총 원장이었던 그가 한국에 관심을 두게 된 것은 포교활동 때문이었고, 실제 그의 활동의 중심에는 선교라는 목적이 분명히 제시되어 있었다. 그러나 그는 예술적 조예뿐 아니라 매체와 여론을 다룰 줄 아는 마케팅 재능을 갖춘 뛰어난 인물이기도 했다. 그가 두 차례에 거쳐 한국을 여행하며 남긴 일지와 영화는 선교사, 민족학자, 예술인으로서의 베버의 시각을 반영하고 있다. 그는 한국의 이국적 문화를 민족학자적 관심에서 매우 정교하게 글과 카메라로 담았고, 그의 예술적 관심은 그로 하여금 정선의 금강산 화첩을 구입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탄생한 한국 여행기를 출판하면서는 한국이란 나라의 ‘낯섦’을 독일 고급시민층 독자의 이해에 맞추어 소개할 줄 아는 사람이었다. 이렇게 탄생한 그의 영화는 오늘날 한국에서도 일제강점기 한국 문화 (결혼, 장례 등)을 살펴볼 수 있는 유일한 영화 사료로 그 가치가 매우 높다. 당시 제국주의적 관점이 담긴 그의 책도 당시 서양 선교사가 한국이라는 ‘이국’을 바라보는 시각을 흥미롭게 담고 있으며, 이 책의 표지는 그의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와 예술적 감각을 탁월하게 보여주고 있다. 오늘날 서양은 과거 유럽의 식민주의, 제국주의적 자아상에서 벗어나 동양의 문화를 서양문화에 대한 영향요소로 바라보고 있다. 역사가 오스터함멜은 훔볼트의 말을 빌려 ‘낯섦을 이국화하는 대신, 이를 진지하게 바라보아야 한다’고 했는데, 이 맥락에서 볼 때 베버의 여행일지도 단순히 정적인 묘사가 아니라 (아시아와 유럽 각각) 사회적 현실과 담론을 구체적 공통텍 스트(Kon-Text), 즉 맥락으로 엮은 결과물로 보아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나의 눈에 비친 타자의 모습 -1900년대 독일에 있어서 한국수용-

        질비아브레젤 ( Sylvia Brasel ) 한국독일언어문학회(구 독일언어문학연구회) 2011 독일언어문학 Vol.0 No.54

        전지구화 시대에 세계 곳곳에서 타자(der Fremde; Andere)와의 만남은 이제 일상이 되었고 이러한 만남을 새롭게 경험하는 여러 나라에서 타자에 관한 논의는 중요한 화두가 되었다. 본 논문은 타자에 관한 논의의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서구 역사 가운데 엠마 크뢰벨(Emma Kroebel)의 여행기록문 "조선왕궁의 체험"(Wie ich an den Koreanischen Kaiserhof kam)(1909) 을 문화학적 방법으로 분석함으로써 타자와의 만남에서 작용하는 타자상(Fremdbilder) 혹은 자아상(Selbstbilder)의 여러 복합적인 구조(식민주의, 인종차별주의, 신분-가부장적 질서 등)를 드러내고자 한다. 그리고 여러 복합적인 사회-정치적 조건과 상황들의 맥락에서 가장 강력한 힘으로 타자에 관한 논의를 이끌어 가는 것은 서구 식민주의적 관점임을 밝힘으로써 한국을 비롯하여 이제 막 타자에 관한 논의를 시작한 여러 나라들에게 타자에 관한 모든 논의가 전제하고 있는 그 ``좋은`` 의도에도 불구하고 서구의 식민주의적 관점을 계승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물음을 유도한다. 본 연구는 서구의 타자에 관한 논의 속에 있는 현재 우리 자신의 모습을 비춰줌으로써 타자에 관한 논의 자체에 새로운 문제 지평을 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