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휴대전화 메시지에 나타나는 한국어 모어 화자의 요청 화행 전략 양상

        POLLY LOONG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8 국어교육연구 Vol.41 No.-

        This research analyzes 100 request conversations between Korean native speakers (KS) in mobile instant messaging (including mobile instant messages and short message service texts) to explore the use of request strategies by KS. The analysis reveals that KS mainly use mobile instant messaging to make new appointments or to request for appointment cancellations or amendments. The most frequently used request strategies are ‘suggestory formulae’, ‘strong hint’ and ‘query preparatory’ for Head acts, and ‘emoticon’, ‘alerter’ and ‘intensifier’ for supportive moves. The top three most frequently used request strategy combinations reveal that KS tend to use ‘alerter’ to initiate requests and ‘imposition minimizer’ before Head acts. Moreover, KS prefer to use ‘grounder’ or ‘descriptive statements of situation’ before or after Head acts to justify the necessity of making the request. In summary, the use of mobile instant messaging to collect real life request conversation materials is considered to be appropriate and effective. Moreover, the data collected from text conversations can be used as an excellent reference material for Korean language students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and the use of speech act strategies by KS. 본고의 목적은 첫째, 휴대전화 메시지를 통해 한국어 모어 화자(이하 KS)의 요청 대화를 분석함으로써 그들의 요청 화행 전략의 사용 양상을 파악하는 데에 있다. 둘째, 실질적 언어 자료인 휴대전화 메시지가 KS에 관한 화행 연구와 한국어교육의 참고 자료로서 활용 가능한지를 검토하는 데에 있다. 우선 요청 화행 유형별로 비교하면 수집한 총 100개의 휴대전화 메시지에서 제안 상황과 부탁 상황의 빈도가 권유와 초대 상황에 비해 월등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KS가 일상생활에서 주로 휴대전화 메시지로 식사 제안하거나 선행 약속을 취소하거나 변경하는 데에 사용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요청 화행 전략 분석 결과 KS가 가장 많이 사용한 주화행 전략은 제안하기 전략, 암시하기 전략, 요청 조건 확인하기 전략으로, 부가 전략의 경우 이모티콘, 관계 인식시키기 전략, 내용 강조하기 전략으로 나타났다. KS가 사용한 상위 요청 전략의 결합 순서를 살펴보면 KS가 요청 주화행을 언급하기 전에 먼저 관계 인식시키기 전략으로 대화를 제기하는 것과, 요청 행위 약화시키기 전략으로 청자의 체면을 보완하는 동시에 본인의 요청 부담감을 줄이는 경향이 높은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상황 진술하기 전략이나 이유 설명하기 전략과의 결합 사용도 상당히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의 결과를 통해 휴대전화 메시지는 수집하기 편한 실제적인 언어 자료로서 모어 화자의 대화 전략 양상을 보여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어교육에서 학습자의 한국어 사용 양상과의 비교 연구나 그들의 한국 언어문화 능력을 함양하는 데도 유용한 제재인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홍콩 중·고등학교에서의 한국어교육 현황과 과제

        POLLY LOONG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22 국어교육연구 Vol.50 No.-

        This paper reviews the current issues and future challenges for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KFL) in secondary schools in Hong Kong. First, a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reveal the number and types of foreign languages and cultural programs offered in 445 secondary schools in Hong Kong. The results showed that Japanese, Korean and French are the top three most popular foreign languages. Currently, Korean language programs are mainly offered as after-school or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the most popular Korean cultural program is Taekwondo. Second, a review of adding Korean in the Hong Kong Diploma of Secondary Education Examination (HKDSE) and student opinions was conducted. The results identified the problems of long learning hours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cut-off point for Korean language. Moreover, the problem of lack of professional KFL teachers with Cantonese language ability are also emphasized. 본고는 홍콩 중·고등학교에서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의 현황을 살피고, 홍콩 대학 입학시험의 외국어 영역 개편이 향후 홍콩에서의 한국어교육에 미칠 영향 및 과제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현재 445개 홍콩의 중·고등학교에서 개설하고 있거나 개설했던 외국언어문화 과정에 대해 조사한 결과, 과정 개설률이 가장 높은 언어는 1위 일본어, 2위 한국어, 3위 프랑스어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어가 현재 홍콩 대학 입학시험 외국어 과목에 포함되지 않은 점을 고려하면 홍콩의 중·고등학교에서 한국어 및 한국 문화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이 상당히 크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한국언어문화 과정을 세분화하여 분석한 결과, 한국어 과정은 자기계발을 위한 학습 활동을 위주로 진행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 문화 프로그램의 경우는 태권도가 월등하게 1위를 차지한 것과 한국관광이나 답사, 케이팝 댄스 동아리 등의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이 있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홍콩 중·고등학교에서의 한국어교육 현광에 관한 조사를 실시한 후에 대학 입학시험 외국어 영역 개편의 배경과 새로운 평가 기준 등에 대해 검토하였으며, 한국어 학습자의 의견도 함께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커트라인 및 예상 학습 시간의 적절성, 평가 기준 등에 관한 문제를 확인하였으며, 학습자 모어에 대한 지식을 겸비한 교원의 훈련 및 확보 등의 현실적인 어려움에 대해서도 짚어보았다. 마지막으로 향후 홍콩에서의 한국어교육 활성화를 위한 과제와 전망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홍콩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거절 표현 양상 연구

        폴리롱 ( Polly Loong ) 한국화법학회 2015 화법연구 Vol.0 No.27

        본 연구는 홍콩 한국어 초급 학습자(HS)와 한국어 모어 화자(KS)의거절 표현 양상을 문화적·언어적 측면에서 분석하여 초급 학습자를 위 한 거절 표현 및 문화 교육 내용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홍콩 학습자의 거절 표현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담화완성형 설문지로 HS 10명과 KS 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습의 진행에 따른 거절 표현의 사용 양상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HS보다 한국어 수준이 더 높은 홍콩 학습자 11명을 비교 집단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하여 총 8명의 KS와 함께 학습자의 거절 표현을 평가하였다. 거절 표현 분석 결과 HS는 직접 부정 표현을 더 많이 사용하였으며, 거절 이유를 언급하기 전에 청자 체면을 보완하고 본인의 거절 부담감을 줄이는 전략으로 먼저 사과를 표현하는 경향이 높았다. KS의 경우 간접 부정 표현 을 더 많이 사용하였으며, 사과 표현뿐만 아니라 이유 대기, 대안이나 연기 의 제안으로 청자의 체면을 보완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학습자의 거절 표현 양상에서 한국의 고맥락 문화와 완곡 표현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해 단정 적인 거절 표현, 사과 표현의 남용, 문체의 오용 등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연구 결과 KS가 자주 사용하는 거절 표현은 한국어 초급 교재에 포함 되어 있으나, 한국어 사용 능력 부족뿐만 아니라 문화적·언어적 차이 때 문에 적절하게 사용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홍콩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학습 진도에 맞추어 초급단계부터 문화 이해 교육 측면에서 한국어 거절 표현을 설명해 줄 필요가 있다. This study used a comparative speech act and cross-cultural approach to analyze the refusal expressions between Korean native speakers (KS) and Hong Kong Korean beginners (HS). The refusal research was conducted by Discourse Completion Test (DCT) on 10 HS, 20 KS and 11 Hong Kong students of higher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lso, 8 KS joined the analysis process to judge the appropriateness of the students’ DCT results.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HS used more direct negation expression than KS. Also, they used apology expressions before the refusal reason as refusal strategy and to reduce their refusal psychological burden. On the other hand, KS preferred using indirect negation expressions and they used fewer apology expressions than HS, but they tended to use alternatives and postponements as alternative refusal strategies. In conclusion, most of the grammatical patterns required to perform direct and indirect refusal expressions were already learnt within the beginning level and the misuse of refusal expressions and style, as well as the overuse of apology expressions were due to insufficient pragmatic and cultural competence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introduce korean refusal expressions to HS in order to increase their Korean pragmatic and cultural compet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