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알코올로 유도된 간 손상 동물모델에서 굴 추출물의 간 보호 효과

        Kenji Osaki,Teruaki Arakawa,김범식(Bumsik Kim),이민재(Minjae Lee),정창식(Changsik Jeong),강남길(Namgil K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6

        본 연구는 에탄올로 유도한 알코올성 지방간 동물모델에서 굴 열수 추출물의 알코올성 간 손상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6주령의 SD rat(male)을 총 6개 군으로 분리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500mg/kg b.w.)을 처리하였다. 6주 동안 하루 간격으로 CGW를 50, 200, 800 mg/kg b.w. 농도로 경구 투여하였으며, control군을 제외한 나머지군은 40% ethanol 5 g/kg b.w.를 6주간 투여하였다. 43일째 실험동물을 희생시켜 혈액 분석 및 간 조직의 항산화 효과 분석을 통해 에탄올로 유도한 동물모델에서 굴 열수 추출물의 알코올성 간 손상 회복 효과를 확인한 결과, 에탄올에 의해 증가한 ALT와 γ-GT의 수준이 CGW를 투여함으로써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항산화효소 활성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에탄올에 의해 손상된 간 조직의 손상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한 조직병리학적 검사에서는 에탄올의 투여로 증가한 지방변성 비율 및 간세포 수와 같은 인자들이 굴 열수 추출물의 투여로 유의적으로 회복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에탄올에 의해 증가한 CYP2E1의 발현이 굴 열수 추출물의 투여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로 보았을 때 본 실험에서 굴 추출물의 다당류 및 폴리페놀의 항산화 작용으로 알코올로 유도된 간 손상을 억제할 수 있음을 예상할 수도 있지만, 이후 추가적인 연구로 다른 활성성분의 규명과 관련 활성 기작을 탐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진은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굴 열수 추출물이 알코올성 지방간 동물모델에서 항산화 방어시스템의 강화를 통해 간 손상을 회복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러한 연구 성과들로 굴 추출물이 알코올성 간 손상 개선에 있어 효과적인 대안으로서 더욱 더 많은 분야에서 연구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s of water extract from Crassostrea gigas (CGW) against ethanol-induced hepatic toxicity in rats. Seventy-two male Wistar rats (6-week-old)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of 12 animals each: control group (1 mL saline/d), ethanol-treated group, positive control group (ethanol+Hovenia dulcis Thunb extract), CGWL group (ethanol+low dosage of CGW), CGWM group (ethanol+medium dosage of CGW), and CGWH group (ethanol+high dosage of CGW). All groups except the control group received ethanol (40% ethanol 5 g/kg) orally. CGW administration with ethanol resulted in prevention of ethanol-induced hepatotoxicity by increasing levels of serum alanine aminotransferase and γ-glutamyltransferase. CGW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reduced formation of malonaldehyde and inhibited reduction of hepatic glutathione and peroxidase levels, as compared with the ethanol-administration group. Further, CGW suppressed expression of CYP2E1, which was elevated by ethanol administration. Consequently, our results indicate that Crassostrea gigas may exert hepatoprotective effects against alcohol-induced hepatocyte injury by intensifying the anti-oxidative defense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