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nfluences of Allocating HIV/AIDS Specialized Nurses on Clinical Outcomes in Japan

        Masakazu Nishigaki,Yuko Sugino,Jongmi Seo,Megumi Shimada,Kazuko Ikeda,Keiko Kazuma 한국간호과학회 2011 Asian Nursing Research Vol.5 No.1

        Purpose This retrospective cohort study was conducted to demonstrate how allocation of nurses specialized in HIV care influences clinical outcomes of antiretroviral therapy (ART) for people living with HIV (PLWH).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116 PLWH who started ART between January 2002 and December 2004 were analyzed. Occurrence of viral suppression and viral relapse after suppression achievement and their time from baseline were observed as clinical outcomes related to ART. Clinical outcomes were obtained from medical records between January 2002 and December 2006. PLWH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allocation (n = 95, nurse allocated group) or nonallocation (n = 21, nurse nonallocated group) of nurses specialized in HIV. Results Survival analysis showed that HIV viral load was suppressed more rapidly and continuously in nurse allocated group than nonallocated group (p < .0001). Viral relapse after suppression achievement occurred easily in nurse nonallocated group than allocated group (p = .003). Conclusions The present findings demonstrated that the role of specialized nurses is critically important from the viewpoint of clinical outcome. [Asian Nursing Research 2011;5(1):11–18]

      • KCI등재

        제3문화 아이들(Third Culture Kids)의 학업·사회적 적응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이수경 ( Sookyoung Lee ),배기원 ( Kiwon Bae ),최정미 ( Jongmi Choi ),강명수 ( Myungsu Kang ),김경심 ( Kyungsim Kim ),박은희 ( Eunhee Park ),서윤정 ( Yoonjeong Seo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제3문화 아이들(Third Culture Kids)의 학업·사회적 적응의 양상을 파악하고자 해외 거주기간이 2년 이상, 귀국한 지 5년 이내인 청소년 8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고 합의적·질적 연구방법(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으로 이들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총 12개의 영역과 6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해외에서의 학업·사회적 적응으로 연구대상자들의 과반수 이상은 외국인 친구들과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없이 친하게 지냈던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부에 대한 강요가 없었다고 느꼈다. 연구대상자들의 대부분이 어릴 때 출국하였기 때문에 외국어를 잘 구사하는 편이었는데, 이러한 언어적 구사능력이 대인관계에도 영향을 미쳤으리라 생각해 볼 수 있다. 해외에서 문화충격을 느꼈다고 응답한 학생들도 있었지만, 귀국 이후 역문화 충격을 경험하였다고 보고한 학생들이 더 많았다. 구체적으로 한국 학생들에게서 주로 나타나는 생활 양상(화장, 남학생들의 거친 행동 등)을 역문화 충격으로 경험하였으며, 귀국시 한국어 구사능력 및 사회적 적응에 대한 두려움, 해외에서 사귄 친구와 헤어지는 것에 대한 상실감 등의 부정적인 감정이 나타났다. 귀국 이후 어려운 점의 해결로는 부모, 교사 혹은 친구와 같은 타인들의 도움 그리고 귀국반이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한 학생들이 많았으므로, 귀국 시 이들을 위한 심리적 지지 및 교육· 상담적 지원이 필요함을 파악해 볼 수 있다. 연구대상자들은 해외와 국내의 학업·사회적 적응을 비교할 때, 유사점보다는 차이점을 더 많이 느꼈으며, 국내 귀국 이후 학업에 대한 부담감을 많이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귀국 시 제 3문화 아이들의 학업스트레스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할 수 있으므로, 이들을 위한 학업적 지원도 필요함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제 3문화 아이들의 귀국 이후의 학업·사회적 적응 지원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cademic·social adjustment aspect of the third culture kids. For these purpose, th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argeting 8 adolescents who resided abroad at least 2 years, within five years since returning home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The analyses resulted in 12 domains and 67 categories. As the results of the academic·social adjustment, more than half of the subjects answered no compulsion to study abroad, liked foreign education methods, got along well with foreign friends without difficulty communicating. There were more subjects who felt reverse culture shock in Korea than experienced culture shock abroad. Specifically, the makeup of Korean students, rough behavior of male students, others were experienced as reverse culture shock. And the subjects felt concern about Korean speaking ability, social adjustment, had loss of separation from friends abroad when returned home. As solution to the difficulties after returning home, the subjects answered others’ support and returning class were helpful. So, psychological, educational, counseling support will be needed. And the subjects answered the academic level of Korean was higher than that of Foreign, so academic support will be necessary. The findings will be used as resources for academic·social support of third culture ki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