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벼 장해형 내냉성의 조합능력검정과 선발효과

        Huhn Pal Moon,J. Neil Rutger 韓國作物學會 1988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33 No.4

        수도의 냉해는 그 재배기간에 저온이 발생되는 수도재배지역에서 중요한 생산저해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도작기간동안의 기상은 지역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발생되는 냉해양상 또한 다르게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냉해는 저수온에 의한 생육의 지연 및 저기온에 의한 불일발생 등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본 연구는 내냉성 품종육성효율을 높이기 위한 유전정보를 얻고저 내냉성정도가 서로 다른 9개 품종의 이면교잡된 36조합 F1 , F2 , F3 , 상호여교배집단 및 모본집단을 공시하여 장해형내냉성에 대한 조합능력, 작물학적 형질과의 관련성을 검토하고 F2 집단의 선발효율을 평가하였다. 불임발생정도로서 평가된 장해형내냉성은 상가적 유전분산이 주종이었으나 비상가적 유전분산 역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내성성이 강한 모본인 M 101과 L201이 일반조합능력(GCA)이 높았는 반면, 약한 품종인 7703008에서 가장 낮았다. 장해형내냉성은 출수기, 간장 및 수당립수와 관계가 있었는데, 출수가 빠를수록, 간장이 클수록 그리고 수당립수가 많을수록 내냉성이 강한 경향이었으며, 특히 출수기의 영향이 가장 높았다. 비교적 내냉성이 강한 M101과 교배된 7조합에서 F2 개체 선발이 내냉성향상에 효과가 있었으며 이때 내냉성에 대한 평균유전력(Realized heritability)은 0.53이었고 저온불임에 대한 선발효율은 -9.4%였다. Cold-induced sterility is a problem of rice (Oryza sativa L.) production in temperate regions and high elevation tropic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combining ability, determine character associations. and to evaluate effectiveness of F2 selection for tolerance to this type of cold injury. The F1 , F2 , F3 and reciprocal backcross F1 populations of a nine-parent diallel were grown at Davis, California. a relatively cool location for rice. Additive genetic variance was predominant but some non -additive genetic variance existed for cold tolerance. Good general combining ability (GCA) was generally associated with the cold tolerant parents, 'M-201', and 'L-201', and poor GCA with the most susceptible parent. 7703008. Steril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late heading. negatively with mature plant height. and negatively with spikelet number. Of the three agronomic characters, heading date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sterility. Selection of F2 's in seven crosses involving M-101, the most cold-tolerant parent, was effective for increasing cold tolerance. Realized heritability estimates for cold tolerance averaged 0.53, and observed selection response for cold-induced sterility averaged -9.4 percentage points.

      • KCI등재

        Combining Ability Analysis and Selection Effectiveness for Tolerance to Cold-Induced Sterility in Rice

        Huhn Pal, Moon,J. Neil, Rutger The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1988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33 No.4

        Cold-induced sterility is a problem of rice (Oryza sativa L.) production in temperate regions and high elevation tropic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combining ability, determine character associations. and to evaluate effectiveness of F$_2$selection for tolerance to this type of cold injury. The F$_1$, F$_2$, F$_3$ and reciprocal backcross F$_1$ populations of a nine-parent diallel were grown at Davis, California. a relatively cool location for rice. Additive genetic variance was predominant but some non -additive genetic variance existed for cold tolerance. Good general combining ability (GCA) was generally associated with the cold tolerant parents, 'M-201', and 'L-201', and poor GCA with the most susceptible parent. 7703008. Steril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late heading. negatively with mature plant height. and negatively with spikelet number. Of the three agronomic characters, heading date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sterility. Selection of F$_2$'s in seven crosses involving M-101, the most cold-tolerant parent, was effective for increasing cold tolerance. Realized heritability estimates for cold tolerance averaged 0.53, and observed selection response for cold-induced sterility averaged -9.4 percentage points. 수도의 냉해는 그 재배기간에 저온이 발생되는 수도재배지역에서 중요한 생산저해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도작기간동안의 기상은 지역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발생되는 냉해양상 또한 다르게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냉해는 저수온에 의한 생육의 지연 및 저기온에 의한 불일발생 등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본 연구는 내냉성 품종육성효율을 높이기 위한 유전정보를 얻고저 내냉성정도가 서로 다른 9개 품종의 이면교잡된 36조합 F$_1$, F$_2$, F$_3$, 상호여교배집단 및 모본집단을 공시하여 장해형내냉성에 대한 조합능력, 작물학적 형질과의 관련성을 검토하고 F$_2$집단의 선발효율을 평가하였다. 불임발생정도로서 평가된 장해형내냉성은 상가적 유전분산이 주종이었으나 비상가적 유전분산 역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내성성이 강한 모본인 M 101과 L201이 일반조합능력(GCA)이 높았는 반면, 약한 품종인 7703008에서 가장 낮았다. 장해형내냉성은 출수기, 간장 및 수당립수와 관계가 있었는데, 출수가 빠를수록, 간장이 클수록 그리고 수당립수가 많을수록 내냉성이 강한 경향이었으며, 특히 출수기의 영향이 가장 높았다. 비교적 내냉성이 강한 M101과 교배된 7조합에서 F$_2$개체 선발이 내냉성향상에 효과가 있었으며 이때 내냉성에 대한 평균유전력(Realized heritability)은 0.53이었고 저온불임에 대한 선발효율은 -9.4%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