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동기시대 조기 설정과 송국리유형 형성 논쟁에 대한 비판적 검토

        이형원(Lee, Hyungwon) 중부고고학회 2010 고고학 Vol.9 No.2

        경기지역의 고고학은 2000년대에 구석기시대에서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룩하였다. 본고는 이 가운데 청동기시대를 대상으로 하여 발굴성과를 정리하고,최신 발굴자료를 토대로 청동기시대 조기실정과 송국리유형 형성 논쟁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했다. 발굴성과로는 첫째,충청 이남의 남부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송국리식주거지와 관련 유물이 경기지역에서도 화성 천천리유적을 필두로 하여 여러 유적에서 빈번하게 확인되었다. 둘째,81기의 주거지가 발굴된 평택 소사동유적과 같이 대규모 유적의 조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취락의 양상이 자세히 밝혀졌다. 셋째,경기지역의 고인돌이 종합적으로 집성되었으며 화장묘가 다수 검출되었다. 넷째,돌대문토기 출토 유적이 증가했으며, 기지역에서는 처음으로 비파형동검이 발굴조사를 통해 확인되었다. 다섯째,점토대토기단계의 고지성 취락이 여러 유적에서 모습을 드러냈으며,마지막으로 삼각형점토대토기를 비롯하여 동착용범,동사,동착,중국식동 검,철촉 등과 같은 금속유물이 출토된 것도 중요하다. 이와 같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발굴성과 중에는 청동기시대 조기를 둘러싼 문제나 송국리유형 형성과 관련하여 주목되는 자료가 다수 있으며, 학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두 주제 모두 인식론적인 측면도 있지만,근본적으로는 편년 문제와 직결되어 있다. 필자는 조기와 전기의 구분이 여러 가지 물질자료로 설명될 수 있지만,특히 마제석검과 유경식석촉의 등장이 유효한 기준이 될 수 있으며,이는 요령지역 비파형동검문화권의 영향과 관련되는 것으로 파악했다. 송국리유형의 형성과 관련해서는 자체발생설과 외래 기원설이 평행선을 달리는 가운데,경기 남부지역의 장방형주거지로부터 송국리식주거지가 계기적으로 이어지는 현상을 형식학적으로 설명했다. 이를 통해 송국리유형 출현의 자체발상설을 보완했으며 발생지역의 유력한 후보지 가운데 하나로 경기 남부지역을 새롭게 주목했다. This study compiled the archaeological excavation result of Bronze Age during 2000s in Gyeonggi area and discussed research issues. Regarding archaeological results, firstly, Songguk-ri type residence, concentrated in southern area lower than Chungcheong area, and related artifacts were found for the first time in Cheoncheon-ri site at Hwaseong-si in Gyeonggi area. Secondly, investigation on the large scale sites, such as Sosa-dong site in Pyeongtaek-si with 81 residence units, was done. Thirdly, dolmens in Gyeonggi area were comprehensively compiled and multiple cremation-tombs were found. Fourthly, sites have pottery with jutted band increased and mandolin-shaped bronze daggers were unearthed from excavation for the first time in Gyeonggi province. Fifthly, high-land type residences were found in multiple sites. Lastly, me excavation of pottery with triangle clay, bronzeware and ironware required attention. Compared to explosively increased excavation data, there were relatively less research arguments. Research interests were concentrated on the issue of Bronze Age early period and formation theory of Songguk-ri assemblage. Both subjects have the aspects of epistemology; however, essentially they are directly related to chronological arrangement issue. I can explain the classification of early period and former period with various material data; however, me appearance of polished stone sword and stone arrowhead with root can be valid criterions, and, it was identified that they are related to the impact of mandolin¬shaped bronze dagger cultural area. Regarding the formation of Songguk-ri assemblage, the phenomenon, where rectangle type residence of Gyeonggi southern area is linked to Songguk-ri type residence back to back, is explained from typology. Through this, the self¬occurrence theory of Songguk-ri assemblage appearance was complemented and Gyeonggi southern area became the most likely occurrence area among candidates.

      • HI-PLAN : 구조적 프로젝트 계획 기법

        이형원(Hyungwon Lee),우치수(Chisu Wu) 한국정보과학회 1996 정보과학회논문지(B) Vol.23 No.8

        프로젝트의 계획은 전체 프로젝트에 투입되는 노력 가운데 적은 비중을 차지하지만 프로젝트 수행 과정의 모든 행위에 커다란 영향을 준다. 따라서 프로젝트 관리자들은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프로젝트 계획 기법을 요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세스 모델링을 다양한 관점에서 수행하도록 지원하고, 이로 부터 개발 비용 및 일정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도록 도와주는 구조적 프로젝트 스케쥴링 기법인 HI-PLAN을 제안한다. HI-PLAN의 기본적인 개념과 표기법은 Ward와 Mellor가 제안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시간 시스템 용 구조적 분석에 기반하고 있으며, 계획 명세화 언어뿐만 아니라 명세서 검사 규칙, 스케쥴링 절차를 포함하는 통합된 계획 기법이다. Project planning may be a small part of the total project effort, but has a large effect on all activities during the project. Thus the project managers need an efficient and systematic planning method. In this paper, we propose a structured project scheduling method called HI-PLAN. It supports multiple representational paradigms (views) for effective software process modelling und facilitates natural project cost and schedule estimation. The internal concepts and the external notations of HI-PLAN are based on the Ward and Mellor's extended structured analysis for real time systems. HI-PLAN is an integrated project planning method including a planning language, analysis rules, and project scheduling procedures.

      • KCI등재

        CPS 환경에 대한 Flush+Reload 캐시 부 채널 공격의 영향 및 Flush+Reload 캐시 부 채널 공격 탐지 기술

        박형원(Hyungwon Park),이승학(Seunghak Lee),이승규(Seungkyu Lee),김대훈(Daehoon Kim)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21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Vol.27 No.2

        The security of computer systems is highly critical in CPS (Cyber-Physical Systems) as the use of physical systems controlled by compromised computing systems poses a threat to the users. In this paper, we first describe a security attack that exploits the weaknesses of computer hardware, known as the cache-side channel attack, and discuss the impact of the attack on the CPS environment. Next, we propose a two-stage attack detection technique that can dynamically detect the cache-side attack based on flush+reload by using hardware performance counters while supporting online monitoring. The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our proposed technique can detect the attacker processes effectively with zero failure rates when co-operating with certain applications.

      • Theragnostic Nanodroplets for Photoacoustic and Ultrasound Signal Amplification and Optically Triggered Vaporization-Induced Drug Release

        Moon, Hyungwon,Kang, Jeeun,Lee, Hohyeon,Lee, Minji,Chang, Jin Ho,Lee, Hak Jong,Kim, Hyuncheol American Scientific Publishers 2017 Journal of Nanoscience and Nanotechnology Vol.17 No.11

        <P>Theragnostic contrast agents are among the newest tools for simultaneous diagnosis and therapy, but still have limitations in terms of their contrast enhancement capabilities and, consequently, their effectiveness. Among the various biomedical imaging modalities, photoacoustic (PA) imaging is a technology that can enhance diagnostic capacity by use of contrast agents; however, the traditional mechanism for generating PA signals by inducing thermal expansion is limited by low efficiency and sensitivity. To address these issues, we have developed an Indocyanine Green (ICG)loaded perfluoropentane (Pen) nanodroplet for vaporization-induced amplification of PA signals, and enhancement of ultrasound echogenicity by a vaporization mechanism. We found that vaporization was a more effective mechanism for signal enhancement than thermal expansion. Under laser irradiation, vaporization of ICG nanodroplets encapsulating perfluoropentane by a graded temperature increase enabled the visualization of a PA image. The gas phase of perfluoropentane present after evaporation-induced acoustic impedance mismatch relative to the surroundings, causing echogenic signals to be effectively propagated for ultrasonographic detection. The nanodroplet also demonstrated therapeutic efficacy through optically triggered release of paclitaxel via vaporization, which reduced the viability of breast cancer cell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ICG-Pen nanodroplet is a promising theragnostic contrast agent that can both amplify photoacoustic and echogenic signals and target local delivery of chemotherapeutic drugs in cancer treatment.</P>

      • 객체 지향적 설계를 지원하기 위한 다이어그래밍 기법에 관한 연구

        이형원(Hyungwon Lee),우치수(Chisu Wu) 한국정보과학회 198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6 No.1

        객체 지향적 설계(Object-Oriented Design)가 점차 중요하게 인식됨에 따라 이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여러 다이어그램들이 개발되어 왔으나, 이들을 이용하여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들을 객체 지향적 언어(Object-Oriented Language)로 구현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본 논문은 객체 지향적 설계를 효율적으로 표현하면서 객체 지향적 언어로 쉽게 구현할 수 있게 도와주는 TTS diagram을 소개하고 이를 이용하여 소프트웨어 재사용성(Reusability)과 확장성(Extendability)을 이룰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 KCI등재

        PRAiSE : 규칙 기반 프로세스 중심 소프트웨어 공학 환경

        이형원(hyungwon Lee),이승진(Seungjin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5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1 No.3

        규칙 기반 패러다임은 복잡한 프로세스를 처리할 수 있는 정형성과 융통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여러 프로세스 중심 소프트웨어 공학 환경에 도입되어 왔다. 그러나, 기존의 규칙 기반 패러다임을 채택한 시스템들의 경우 프로세스 모델을 작성하거나 이해하기 어렵고 프로세스 모델링 언어가 확장 또는 개선될 때마다 추론 엔진을 수정하거나 최악의 경우에는 새로 개발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빈번히 발생하는 프로세스 변경에 유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프로세스 모델을 규칙 기반 언어의 사실로 직관적으로 맵핑함으로써 프로세스의 병렬성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는 규칙 기반 패러다임의 장점을 살리면서 기존 규칙 기반 PSEE의 단점인 사용의 용이성과 추론 엔진의 안정성 문제를 해결한 PRAiSE 시스템을 기술한다. PRAiSE에서는 RAiSE라는 그래픽 프로세스 모델링 언어를 제공하며 작성된 프로세스 모델은 규칙 기반 전문가 시스템 도구인 CLiPS로 구현한 프로세스 엔진에 의해 해석되고 실행된다. Rule-based paradigm is one of the principal types of software process modeling and enaction approaches, as they provide formality and flexibility sufficient to handle complex processes. However, the systems adopting rule-based paradigms are hard to define and understand process models, and their inference engine should be modified or redeveloped at worst according to the change of process language. In this paper, we describe a rule-based PSEE(Process-Centered Software Engineering Environment) PRAiSE that solves the above limitations of existing rule-based PSEEs as well as maintains the merits of rule-based paradigm such as the ability to incorporate the nature of software processes flexibly in which dynamic changes and parallelism are pervasive and prevalent. PRAiSE provides RAiSE, a graphical process modeling language, and defined process models are interpreted and enacted by process engine implemented using CLiPS, a rule based expert system t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