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 Study of Icon Shape of Car AVN(Audio, Video, Navigation) for Elderly Users

        Heewoong Jung,Solah Lee,Eunyoung Roh,Seongil Lee 대한인간공학회 2013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5

        Today, there are an increased number of elderly users using Vehicle AVN (Audio, Video, Navig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appropriate icons on designed screen to increase the elderly user’s convenience with using an AVN. To elicit the icons appropriately for the elderly users, icons are organized into 3 different shapes: small, big, and lined icons. Also, icons and texts are marked together, and the sizes of the texts are equal. The two targeted groups are elderly users in 50’s and 60’s, and time, the number of mistakes, the number of failure and satisfactory measurement during searching task were measured. The two-way ANOVA is used for the study; statistical analysis of time, the number of mistakes and failure by age groups on Icon shapes are analyzed. After experiment, the surveys are individually conducted for the satisfactory measurement.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50’s group, compare to 60’s group, generally have faster time of searching task and less number of mistakes and failures. The bigger icons are more satisfied than the other. More researches on other factors are needed later in the future; these will be utilized to increase vehicle AVN’s product convenience and added value targeting the future elderly users.

      • A Study on Navigation Display based on Icon shape, Icon area color and Background color

        Hunho Choi,Heewoong Jung,Sangmin Kim,Seongil Lee 대한인간공학회 2013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10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lation among the types of icon, Icon area color and background color in navigation display and to design the navigation screen based on optimal combinations of various components. Background: The increasing number of vehicles, and the development of navigation systems are contributing to the advancement of in vehicle navigation interface. However, there are difficulties in controlling and recognizing the navigation interface screen because of no standardization of the types of icon, background color and color of icon area on the screen of navigation interface. Method: 10 males and 5 females who have driving license are participated in usability test about navigation display. The time occupied in finding assigned icon is collected from 27 types of combination of icon shape (black and white, color, line), icon area color (black, white, gray) and background color (black, white, gray) in driving simulation environment and non-driving environment. Results: In driving environment, when navigation display consists of black background, the time occupied in finding assigned icon is the fastest (p<0.05). When navigation display consists of color icon shape, the time occupied in finding assigned icon is the fastest (p<0.05). The interaction of icon shape and background color significantly exists (p<0.05). Conclusion: The combination of the background color of white and the color of icon area that is black can be paid more attention. An environment which is combinations of color type of icon, dark background color and the icon area color of black is the best display combination among the alternatives.

      • 하수관로 보수용 자주차의 보수시스템 및 성능 평가

        양인환 ( Yang Inhwan ),박지훈 ( Park Jihun ),정회원 ( Jung Hoewon ),박희웅 ( Park Heewoong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하수관로는 발생한 하수를 처리하기 전에 수집 이송하는 핵심적인 사회 기반 시설물로써 교통, 생활 및 환경 등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다. 이러한 하수관로는 사회를 유지하고 지탱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지만, 땅에 매설되어 있는 하수관로의 손상 및 노후화로 인해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어 유지보수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현재 하수관로를 보수하는 방법으로 매설된 하수관로 주위를 파내어 보수하는 굴착방식의 공법이 주로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 굴착방식 공법의 경우, 중장비 운용을 위하여 충분한 공사 현장을 확보해야 하며 이로 인하여 교통체증, 소음공해, 미세먼지 발생뿐만 아니라 하수관로의 노출로 인하여 악취 발생, 유해가스 유출 위험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수관로의 다양한 관경과 불규칙한 관로 길이, 여러 방향으로 연결된 가지관으로 인하여 작업자가 보수작업을 원활히 수행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굴착방식의 공법을 비굴착방식의 공법으로 대체하고, 하수관로 결함부의 보수를 위한 자주차의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하수관로 보수용 자주차의 기술개발로 굴착방식에서 단점이 되었던 교통체증, 소음공해, 미세먼지의 발생 등의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주차를 활용한 다양한 보수공법으로 작업속도 향상, 보수비용 절감, 작업자의 안전 확보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수관로 결함부를 보수할 수 있는 자주차 및 보수시스템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하고 설계하였다. 실제 하수관로 환경과 유사한 환경을 구축하고 임의의 균열 및 천공을 설정하여 보수성능 평가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보수된 하수관로의 수밀성능을 실험하여 평가하였다. 보수가 완료된 하수관로는 매끈한 면을 갖춘 마감면을 보였으며, 적절한 내구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수밀성능 실험결과 30분 이상이 경과 되어도 누수가 되는 부위는 없었으며, 우수한 수밀성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 하수관로 보수용 자주차의 보수시스템 및 성능 평가

        양인환 ( Yang Inhwan ),박지훈 ( Park Jihun ),정회원 ( Jung Hoewon ),박희웅 ( Park Heewoong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하수관로는 발생한 하수를 처리하기 전에 수집 이송하는 핵심적인 사회 기반 시설물로써 교통, 생활 및 환경 등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다. 이러한 하수관로는 사회를 유지하고 지탱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지만, 땅에 매설되어 있는 하수관로의 손상 및 노후화로 인해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어 유지보수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현재 하수관로를 보수하는 방법으로 매설된 하수관로 주위를 파내어 보수하는 굴착방식의 공법이 주로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 굴착방식 공법의 경우, 중장비 운용을 위하여 충분한 공사 현장을 확보해야 하며 이로 인하여 교통체증, 소음공해, 미세먼지 발생뿐만 아니라 하수관로의 노출로 인하여 악취 발생, 유해가스 유출 위험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수관로의 다양한 관경과 불규칙한 관로 길이, 여러 방향으로 연결된 가지관으로 인하여 작업자가 보수작업을 원활히 수행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굴착방식의 공법을 비굴착방식의 공법으로 대체하고, 하수관로 결함부의 보수를 위한 자주차의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하수관로 보수용 자주차의 기술개발로 굴착방식에서 단점이 되었던 교통체증, 소음공해, 미세먼지의 발생 등의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주차를 활용한 다양한 보수공법으로 작업속도 향상, 보수비용 절감, 작업자의 안전 확보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수관로 결함부를 보수할 수 있는 자주차 및 보수시스템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하고 설계하였다. 실제 하수관로 환경과 유사한 환경을 구축하고 임의의 균열 및 천공을 설정하여 보수성능 평가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보수된 하수관로의 수밀성능을 실험하여 평가하였다. 보수가 완료된 하수관로는 매끈한 면을 갖춘 마감면을 보였으며, 적절한 내구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수밀성능 실험결과 30분 이상이 경과 되어도 누수가 되는 부위는 없었으며, 우수한 수밀성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Optimal Grip Span of A-type Pliers in a Maximum Gripping Task

        Yong-Ku Kong,Jin Woo Jung,Sangmin Kim,Heewoong Jung,Hakje Yoo,Dae-Min Kim,Hyun-Sung Kang 대한인간공학회 2013 大韓人間工學會誌 Vol.32 No.6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designing an optimal hand tool through maximum grip force study accordance to the hand grip span. Background: In order to prevent musculoskeletal diseases, studies on hand tool design are proceeding based on grip strength, finger force, and contribution of individual finger force on total grip strength. However, experimental apparatus using a tool that is actually used in work place was almost non-existent. Method: 19 males were participated in an experiment. Using the load cell inserted real plier, finger force, grip strength, and subjective discomfort rate of both hands (dominant and non-dominant) were measured in 5 different hand grip span(45mm, 50mm, 60mm, 70mm, and 80mm). Resul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p<0.001) of total grip strength, individual finger force and subjective discomfort rating according to various hand grip span(45, 50, 60, 70, and 80mm).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p<0.001) was shown between the dominant hand and non-dominant hand. In addition, individual finger force in maximum grip was in order of middle finger, ring finger, index finger, and little finger. Conclusion: Optimal grip span of pliers that exerting maximum grip strength is 50~60mm. Application: This finding is expected to be used for designing proper pliers.

      • 하수관로 보수용 자주차의 보수시스템 및 성능 평가

        양인환 ( Yang Inhwan ),박지훈 ( Park Jihun ),정회원 ( Jung Hoewon ),박희웅 ( Park Heewoong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하수관로는 발생한 하수를 처리하기 전에 수집 이송하는 핵심적인 사회 기반 시설물로써 교통, 생활 및 환경 등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다. 이러한 하수관로는 사회를 유지하고 지탱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지만, 땅에 매설되어 있는 하수관로의 손상 및 노후화로 인해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어 유지보수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현재 하수관로를 보수하는 방법으로 매설된 하수관로 주위를 파내어 보수하는 굴착방식의 공법이 주로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 굴착방식 공법의 경우, 중장비 운용을 위하여 충분한 공사 현장을 확보해야 하며 이로 인하여 교통체증, 소음공해, 미세먼지 발생뿐만 아니라 하수관로의 노출로 인하여 악취 발생, 유해가스 유출 위험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수관로의 다양한 관경과 불규칙한 관로 길이, 여러 방향으로 연결된 가지관으로 인하여 작업자가 보수작업을 원활히 수행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굴착방식의 공법을 비굴착방식의 공법으로 대체하고, 하수관로 결함부의 보수를 위한 자주차의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하수관로 보수용 자주차의 기술개발로 굴착방식에서 단점이 되었던 교통체증, 소음공해, 미세먼지의 발생 등의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주차를 활용한 다양한 보수공법으로 작업속도 향상, 보수비용 절감, 작업자의 안전 확보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수관로 결함부를 보수할 수 있는 자주차 및 보수시스템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하고 설계하였다. 실제 하수관로 환경과 유사한 환경을 구축하고 임의의 균열 및 천공을 설정하여 보수성능 평가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보수된 하수관로의 수밀성능을 실험하여 평가하였다. 보수가 완료된 하수관로는 매끈한 면을 갖춘 마감면을 보였으며, 적절한 내구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수밀성능 실험결과 30분 이상이 경과 되어도 누수가 되는 부위는 없었으며, 우수한 수밀성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 KCI우수등재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설치 목록을 이용한 사용자 특성 추론

        기홍도(Hongdo Ki),이재홍(Jaehong Lee),박희웅(Heewoong Park),채문정(Moon-jung Chae),최상우(Sangwoo Choi),박종헌(Jonghun Park)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 2018 정보과학회논문지 Vol.45 No.12

        Needs for customized services are increasing as a smart phone personalized device, has been used generally. Demographic information is beneficial for customized services, so inferring user traits based various data using statistical learning has been actively studied. This study conducted experiments of inferring user traits with a list of installed applications differed by users’ interest and lifestyle, and may can be accessed easily as a snapshot without explicit permission. Four feature vectors are used for inferring user traits, including vectors using application category or description that can be collected from the application market. Especially, one of the feature vectors is generated by applying Doc2Vec, a text embedding method based on a neural network, to application description. The application selection method we proposed is also used to achieve better performances than could be achieved by using all applications on the list. Last, we collected 100 lists of installed applications for experiments of inferring gender, age, relationship status, residential type, living together or not, income, outcome, height, weight, religion, semester and college, and confirmed effectiveness of proposed feature vectors and the application selection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