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The microRNA miR-124 inhibits vascular smooth muscle cell proliferation by targeting S100 calcium-binding protein A4 (S100A4)

        Choe, N.,Kwon, D. H.,Shin, S.,Kim, Y. S.,Kim, Y. K.,Kim, J.,Ahn, Y.,Eom, G. H.,Kook, H. Elsevier Science B.V., Amsterdam. 2017 FEBS letters Vol.591 No.7

        <P>S100 calcium-binding protein A4 (S100A4) induces proliferation and migration of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VSMCs). We aimed to find the microRNA regulating S100A4 expression. S100A4 transcripts are abruptly increased in the acute phase of carotid arterial injury 1 day later (at day 1) but gradually decreases at days 7 and 14. Bioinformatics analysis reveals that miR-124 targets S100A4. VSMC survival is attenuated by miR-124 mimic but increased by miR-124 inhibitor. miR-124 decreases immediately after carotid arterial injury but dramatically increases at days 7 and 14. miR-124 inhibitor-induced cell proliferation is blocked by S100A4 siRNA, whereas miR-124-induced cell death is recovered by S100A4. Our findings suggest that miR-124 is a novel regulator of VSMC proliferation and may play a role in the development of neointimal proliferation.</P>

      • Developmental Efficiency of Bovine Embryos Cloned with Fetal Fibroblast Arrested at G0/G1 Phase

        Cho S.R.,Son W.J.,Park C.S.,Park G.J.,S.Y. Choe 한국발생생물학회 2003 한국발생생물학회 학술발표대회 Vol.2003 No.1

        The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donor cell treatments for G0/Gl synchronization and the donor ceil type on development and incidence of apoptosis in cloned cattle embryos. Primary cultures were established from a female fetus on day 50 of gestation and

      • The Effect of Oocyte Activation on Development of Porcine Cloned Embryos

        Kim Y.S.,Lee S. L.,Park G. J.,S. Y. Choe 한국발생생물학회 2003 한국발생생물학회 학술발표대회 Vol.2003 No.1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embryos cloned by nuclear transfer (NT)have been dependent on a wide range of known factors including cell cycle of donor and recipient ooplast, oocyte quality, NT procedure and oocyte activation. The present study compared the development of cloned porcine embryos following different activation treatments. Cumulus-oocyte complexes (COCs) were aspirated from 26 mm follicles of slaughterhouse ovaries and cultured for 22 h in NCSU #23 medium supplemented with 10% porcine follicular fluid, 0.57 mM cysteine, 0.5 g/mL LH, 0.5 g/mL FSH and 10 ng/mL EGF. The COCs were further cultured for an additional 22 h in the same medium at in an atmosphere of 5% in air, without hormonal supplements. Primary cultures of fibroblasts isolated from a female fetus on day 40 of gestation were established in DMEM + 15% FCS. For nuclear donation, cells at the 5th-6th passage were cultured in DMEM +0.5% FCS for 5 days in order to arrest the cells in G0/Gl. After enucleation, oocytes were reconstructed by transfer of donor cells and fusion with three DC pulses (1.4 KV/cm, 30 sec) in 0.28 M mannitol containing 0.01 mM and 0.01 mM . Eggs were then divided into three treatment groups, control (without further treatment, Group 1), eggs cultured in 10 g/ml cycloheximide (CHX) for 5 h (Group 2), and eggs cultured in 1.9 mM 6-dimethylaminopurine (6-DMAP) for 5 h (Group 3). The eggs were then cultured in sets of 30 in 60 I drops of NCSU#23 supplemented with 4mg/ml BSA (essentially fatty acid free) until day 7 at in a humidified atmosphere of 5% . On day 4 the culture were fed by adding 20 I NCSU #23 supplemented with 10% FBS. Development rates into blastocysts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Group 3 embryos compared to Group 1 controls (, respectively), but rates did not differ in Group 2 compared to control (). Total cell number in Group 3 blastocysts was however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in Groups 1 and 2 (,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6-DMAP is more efficient than cycloheximide in the activation of electrically fused NT oocytes during in vitro production of cloned porcine embryos.

      • SCISCIESCOPUS
      • 태양전지 어레이를 위한 최대 전력점 추종기에 관한 연구

        이상용(S.Y. Lee),김한구(H.G. Kim),오방원(B.W. Oh),김홍성(H.S. Kim),최규하(G.H. Choe) 전력전자학회 2004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The output of solar array is changed non-linearly by variation of insolation and temperature. Hence, as varying insolation and temperature, Maximum Power Point Tracking(MPPT) is necessary to increase generation efficiency of solar array. This paper presented MPPT algorithm using position control of output voltage and current of solar array and implemented hardware MPP tracker which is appropriate and inexpensive for low power system(ten s~hundreds watt). Finally, those were verified through simulation.

      • Mechanical force augments the anti-osteoclastogenic potential of human gingival fibroblasts <i>in vitro</i>

        Kook, S-H.,Son, Y-O.,Choe, Y.,Kim, J-H.,Jeon, Y-M.,Heo, J-S.,Kim, J-G.,Lee, J-C. Blackwell Publishing Ltd 2009 Journal of periodontal research Vol.44 No.3

        <P>Background and Objective: </P><P>The cellular response of human gingival fibroblasts to a mechanical force is considered to be primarily anti-osteoclastic because they produce relatively high levels of osteoprotegerin. However, there is little information available on the effects of compression force on the production of osteoprotegerin and osteoclastic differentiation by these cells. In this study, we examined how mechanical force affects the nature of human gingival fibroblasts to produce osteoprotegerin and inhibit osteoclastogenesis.</P><P>Material and Methods: </P><P>Human gingival fibroblasts were exposed to mechanical force by centrifugation for 90 min at a magnitude of approximately 50 g/cm<SUP>2</SUP>. The levels of osteoprotegerin,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kgr;B ligand (RANKL), interleukin-1&bgr; and tumor necrosis factor-&agr; were measured at various time-points after applying the force. The effect of the centrifugal force on the formation of osteoclast-like cells was also determined using a co-culture system of human gingival fibroblasts and bone marrow cells.</P><P>Results: </P><P>Centrifugal force stimulated the expression of osteoprotegerin, RANKL, interleukin-1&bgr; and tumor necrosis factor-&agr; by the cells, and produced a relatively high osteoprotegerin to RANKL ratio at the protein level. Both interleukin-1&bgr; and tumor necrosis factor-&agr; accelerated the force-induced production of osteoprotegerin, which was inhibited significantly by the addition of anti-(interleukin-1&bgr;) immunoglobulin Ig isotype; IgG (rabbit polyclonal). However, the addition of anti-(tumor necrosis factor-&agr;) immunoglobulin Ig isotype; IgG1 (mouse monoclonal) had no effect. Centrifugal force also had an inhibitory effect on osteoclast formation.</P><P>Conclusion: </P><P>Application of centrifugal force to human gingival fibroblasts accelerates osteoprotegerin production by these cells, which stimulates the potential of human gingival fibroblasts to suppress osteoclastogenesis. Overall, human gingival fibroblasts might have natural defensive mechanisms to inhibit bone resorption induced by a mechanical stress.</P>

      • 수소취성의 무서운 공포

        최병학(B.G Choe),민두식(D.S Min),심윤임(Y.I Shim),최송천(S.C Choi),이장우(J.W Lee),김우식(W.S Kim) 대한기계학회 2010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0 No.11

        1. 고온, Hydrogen Attack, 펄라이트 분해(메탄반응) 2. 저온, Hydrogen Embrittlement, Delayed 균열 3. 응력/부식, Hydrogen Stress Corrosion, S/CI 집적동반 수소취성을 대하며 첫 번째 결정은 이것을 손상분류체계 중 어디에 속하게 할 것인가 이었는데, 비교적 큰 갈등 없이 사용상>피로/부식/고온 분류 중 부식에 넣는다. 고전적인 부식은 틈새/갈바닉/응력-부식/입계예민화/피트/마식/염기성부식의 7개 분야로 나눌 수 있는데, 여기에 특별히 “수소취성” 부식을 여덟 번째로 더하는 것이다. 아주 잦지는 않지만 그래도 종종 손상진단 사건들에서 수소취성 관련 의심 증거들이 나타난다. 그런데 사실 손상진단 현장에서 자신 있게 수소취성을 원인으로 내세우는 것은 실험적인 증거가 미약하여 쉽지 않다. 이것은 원자번호 1번인 작은 수소(분자 또는 이온형태)가 금속과 어떤 작용을 하는 가에 대한 분석이 어렵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수소취성을 종합 정리해 보고자한 것이다. 우선 온도에 따른 반응기구별 분류를 하였는데, 잘 밝혀보지 않은 것은 부식관련 기구로 마지막 분류체계에 넣었다. 이와 같은 분류체계가 수소취성의 “The best”일지는 확신할 수 없다. 하지만 현장에서 종종 의심되는 수소취성의 손상사건들을 인단 정형화된 분류 틀에 넣어 진단 논리를 단순화할 필요가 크다.

      • HA 단백질 발현을 위한 식물공장에서의 애기장대의 생육 최적 재배환경 조건 구명

        김현환 ( H. H. Kim ),허정욱 ( J. W. Heo ),이공인 ( G. I. Lee ),이재수 ( J. S. Lee ),정충렬 ( C. R. Jung ),최성화 ( S. H. Cho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2

        애기장대에서 단백질 발현을 최대화하기 위한 생육환경과 재배조건에 필요한 식물공장 시스템으로 광량, 광도, 광질, 광주기, 양액 조성 등 환경조건과 재배기술을 확립하기 위한 시험을 실시하였다. 최근 식물공장에서 고소득 작물을 생산하기 위한 노력으로 식물공장 공간배치의 극대화하여 다량 생산 뿐 만 아니라 식물공장 시스템을 활용하여 기능성 물질을 다량 추출할 수 있다면 식물공장의 활용도 제고와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고 판단된다. 그러한 노력 중에 하나로 모델식물인 애기장대는 고부가가치 재조합단백질 생산을 위한 재료로 다양한 유전자 조작이 가능하며 의료용 단백질 생산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식물공장 재배시스템에서 환경조건을 설정하여 단백질 생산을 위한 작물로 애기장대를 선정하고 애기장대의 단백질 함량은 잎 무게와 상관관계가 있다는 전제조건으로 먼저 최적 생육의 초장 생장을 위한 온도별 반응을 조사하였다. 전주 식물공장연구동에서 9가지 종류의 애기장대 종자를 파종한 후 4주 뒤 상대습도를 55%로 고정한 4종류의 온도조건(16, 20, 24, 28°C)을 가진 챔버 내 150 μmol m<sup>-2</sup> · s<sup>-1</sup>의 광조사 시간으로 12, 16시간 처리로 설정하였고, 담액경 방식으로 형광등 및 LED로 구분하여 처리한 재배베드에 정식하였다. 정식 후 초장 생육조사를 2015년 12월 30일부터 2017년 2월까지 매주 1회 조사하였다. 애기장대 LED 처리구에서 초장은 20°C 조건에서는 4주가 경과했을 때 평균 길이는 대부분 6 cm를 넘었고 7주가 되었을 때 20°C 12시간의 경우 1 품종(col)의 경우 9 cm를 넘지 못했고 16시간은 3품종이 넘지 못해 20°C에서는 12시간 조사시간이 우수하였다. 24°C의 조건에서의 조사기간 12시간과 16시간의 차이가 없어 12시간이면 충분한 조사시간이었다. 최적 단백질 발현을 위한 애기장대 엽수 확보 온도조건으로는 일반적으로 형광등에서는 20°C, 12시간이 좋았고 LED구에서는 24°C 16시간이 대체로 좋았다. 재배온도 조건 16°C의 형광등과 LED 광의 조건에서는 4주 후 평균초장이 6 cm가 된 반면 20 및 24°C에서는 3주 후부터 대부분 6 cm 이상을 보인 반면 28°C 조건에서는 영양생장 및 생식생장 모두 빠르게 진행되어 6cm를 넘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LED보다는 형광등에서의 성장속도가 빨랐다. 정식한 애기장대 변이품종간에도 차이를 보였는데 JL00458.1과 JL 00510.1의 경우 형광등에서는 5주부터 평균 9 cm를, LED에서는 6주부터 평균 9 cm의 길이를 보였다. 따라서 초장 최적재배를 위해서는 20°C의 형광등 재배조건과 두 변이품종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