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드-프랭크법 비리제보제도와 기업 준법문화 정립

        Eunice K. Kim 한국증권법학회 2015 증권법연구 Vol.16 No.2

        준법문화(Compliance Culture)는 기업의 존립과 지속 성장에 매우 중요한 하부구조(infrastructure)이다. 2011년 도드-프랭크법 시행 이전에도 미국 관계당국은 준법문화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적극 장려하였다. 증권거래위원회(‘SEC’)와 연방검찰은 기업이 준법문화를 제대로 구축하여야만 기업의 준법프로그램(compliance Program)이 제대로 작동할 수 있다는 판단하에 감독당국이 기업을 검사하거나 연방검찰이 기소 여부를 결정할 때 해당 기업의 준법문화 구축 여부 등을 주요 점검 고려사항으로 삼았다. 또한 SEC는 비리제보제도 강화를 통하여 금융기관의 위법행위를 효과적으로 예방·제재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관계당국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명실상부한 기업의 준법문화 구축의 성과는 제한적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2011년부터 시행된 도드-프랭크법에 의거한 비리제보제도(‘DFA 비리제보제도’)는 미국 기업들의 준법문화 조성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기업의 임직원도 내부에 사전 보고할 의무 없이 SEC로 직접 제보할 수 있게 되고, SEC의 환수금의 10~30%를 포상금으로 영수할 수 있기 때문에 내부제보를 거치지 않는 SEC 직접제보가 성행할 개연성이 커졌다. DFA 비리제보제도의 시행으로 기업내부 비리·불법행위가 감독기관에 먼저 제보될 가능성 크고, 이러한 경우 기업은 매우 불리한 입장에 처할 수 있기 때문에 최고경영진은 임직원이 기업내부의 불법·비리 등을 SEC에 제보하기에 앞서 경영진에게 미리 제보하도록 유도해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 본 논문은 사전 내부보고 없이 SEC에게로 직접 제보가 가능토록 하는 DFA 비리제보제도 시행이 기업의 준법문화 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구이다. 우선 DFA비리제보제도의 도입 배경과 주요 내용을 알아보고, 이 제도가 허용하는 SEC로의 직접 제보가 기업에 미치는 파급 영향을 살펴본다. 임직원들이 SEC에 제보하기 이전에 사전 내부보고를 유도하기 위하여 취할 수 있는 대응책이 무엇인지 분석하고 종국적으로 기업의 준법문화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DFA 비리제보제도가 기업으로 하여금 명실상부한 준법문화 구축의 필요성을 절감하게 함으로써 기업의 위법·비리행위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방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결론을 맺는다. 아울러 우리나라에 대한 시사점도 덧붙였다. Building and maintaining a culture of compliance is a prerequisite to the success and sustainable growth of any organization. The SEC and the Department of Justice have long understood this and have taken various measures to encourage corporations to establish robust culture of compliance. The SEC scrutinizes corporate culture when it inspects and examines listed companies and financial services companies. In the same vein, the Department of Justice takes into consideration a company’s culture when determining whether to prosecute the company for criminal wrongdoing. In the past 20 years, several laws were passed that required companies to implement strict internal control measures, including whistleblowing programs that were designed to induce whistleblowing and protect whistleblowers, with a view to preventing and detecting violations. However, these measures fell short of inducing the companies to take steps to build a culture of compliance in earnest. However, the whistleblower program contemplated by the Dodd-Frank Act(“DFA Whistleblower Program”), a sweeping legislation that was passed in response to the sub-prime financial crisis of 2007, may finally have just the right recipe to motivate corporations to work on building a culture of compliance. The DFA Whistleblower Program allows employees to report violations directly to the SEC without making a prior report to the company management. If the tip provided by a whistleblower leads to successful enforcement, the DFA Whistleblower Program rewards the whistleblower a bounty in the amount of 10-30% of the amount recovered by the SEC. The consequence of the DFA Whistleblower Program is that corporations must devise a mechanism to induce the employees to report internally before reporting to the SEC in order to avoid being blind-sided by the SEC. This paper examines the impact the DFA Whistleblower Program has had on management efforts to persuade potential whistleblowers to report internally first and analyzes why establishing a culture of compliance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achieve this objective.

      • KCI등재후보

        Entities should qualify as Whistleblowers under the Dodd-Frank Act Whistleblower Program

        KIM, Eunice K.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1 法學論集 Vol.16 No.2

        기업들의 금융관련 불법 비리 행위의 폐해가 증대함에 따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등 규제감독기구와 사법당국은 이러한 행위의 사전적 방지와 조기 적발을 위하여 개인이 기업비리와 불법행위에 관한 미공개 내부정보를 직접 관계당국에 제보할 수 있는 ‘내부제보자’(whistleblowers)제도를 활용하여왔다. 최근 국제금융위기를 초래한 월가(Wall Street)의 대규모 금융비리 재발방지를 위하여 2010년 7월 제정된 ‘Dodd-Frank 월가개혁 및 (금융)소비자 보호법’(DFA)과 이에 의거한 미국증권거래위원회(SEC)의 ‘내부제보자조항시행규칙’이 가장 강화된 형태의 대표적인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현행 DFA체제하에서 내부제보적격자를 자연인(natural persons)으로 한정하고 있는데, 이는 또 다른 내부제보자제도를 활용하는 법인 the False Claims Act에서는 인(person)으로 규정하여 비자연인(Entities)도 내부제보자로 허용할 수 있는 여지를 두고 있는 바와 대비되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그 배경을 살펴본 후 내부제보자 범위를 각종 단체, 기업, 협회, 조직, 법인체 등 비자연인으로 까지 확대할 필요가 있음을 논하였다. 이러한 필요성은 세 가지 이점에 바탕을 두고 있다. 첫째, 제보 건수의 획기적 증가와 제보내용의 질적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감독당국의 금융비리 사전예방 및 법 집행 역량 향상 등 DFA가 추구하는 목표를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제보자의 다양화, 제보 건수 증가로 내부제보가 상대적으로 보편화되고, 내부제보행위 및 제보자에 대한 낙인효과 등 사회의 부정적 인식이 완화되어 비리 제보의 양성화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셋째, 증거부족 등 제보내용의 정확성이 결여되어 제보를 주저하거나 개인이 혼자 힘으로 제보하기 어려울 경우라도 관련단체 등의 뒷받침도 가능하여 제보가 법적인 조치로 이어질 확률이 높아진다. 본고는 내부제보자 범위의 확대는 경쟁우위 확보 및 무고 목적의 내부제보 남용, 금전적 보상을 위한 내부제보 남발 가능성 등 부정적 효과에 대해서도 논하였다. 그러나 종합적인 관점에서 비자연인이 내부제보자의 범위에 포함될 때 긍정적 효과가 부정적 효과를 압도하는 것으로 결론지었다. In the aftermath of numerous corporate scandals in recent history that have shocked nations and generated enormous financial losses to investors around the world, the US Congress clearly recognized that the regulators and law enforcement authorities needed help in identifying and preventing fraud on timely basis. Help that Congress made available to the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 was help from individual whistleblowers who report information relating to fraud and other violations of law directly to external law enforcement authorities. In this article, the term, “whistleblower,” refers to a person who makes an allegation of misconduct to an external authority. Congress enacted on July 21, 2010 the Dodd-Frank Wall Street Reform and Consumer Protection A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DFA”) which, among others, established the most fortified whistleblower incentive and protection system seen in any federal law to date. This article contends that the scope of whistleblowers covered by the DFA should be expanded to include entities, such as corporations, firms, associations, organizations, partnerships, limited liability companies, businesses or trusts (collectively, “Entities”). The SEC clarified in the Final Rule on Implementation of the Whistleblower Provisio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inal Rule”) that only natural persons are eligible whistleblowers under the DFA since the term used in the DFA is “individual”and not “person” as was the case in the False Claims Act. While agreeing that SEC’s interpretation of the word, “individual,” as used in the DFA is a reasonable one, this article takes the view that the scope of whistleblowers should be reviewed and revised to include Entities because an important goal of the whistleblower program of the DFA is to enhance the law enforcement capability of the regulators by encouraging whistleblowers to provide quality leads directly to the regulators in a timely manner. More specifically, allowing such Entities to qualify as whistleblowers under the DFA will result in a much greater volume of tips in general and of high-quality tips in particular being submitted to the SEC on timely basis. Allowing a broad array of Entities to qualify as whistleblowers under the DFA will also have the added effect of legitimatizing the very act of whistleblowing by making it more commonplace and customary, thereby causing the public to regard it as less stigmatizing. The ultimate outcome that is desired is that more individuals and Entities would be encouraged to provide tips since the prevalence of whistleblowing will likely make the act of whistleblowing more socially acceptable and morally respectable. Individual whistleblowers who are not certain about the accuracy or relevance of their information would also be able to leverage on the resources of the Entities if they wish to assess the quality of their information or likelihood of successful enforcement action, or if they want to join forces with the Entities to strengthen their case. To assess the full effect of allowing Entities to qualify as whistleblowers, this article will also address the potentially negative aspects of the proposal. Potential abuses of the whistleblower program such as frivolous or fraudulent reports being filed by competitors or labor unions, are explored as well as the potential side effect of special interest groups or civil societies propping up to take advantage of the financial reward stipulated under the DFA . This article concludes by asserting that the harms or abuses that can be anticipated by the expanded definition of whistleblowers are outweighed by the benefits and urges that Entities be allowed to qualify as whistleblowers under the DFA. Inclusion of Entities in the definition of whistleblowers will go long way in the prevention of fraud and enforcement of securities laws by enlisting private sector resources, both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whistleblowers, to act as SEC’s eyes and ears in detecting corporate wrongdoing early on.

      • KCI등재

        기업 이사회의 여성이사 비율 확대를 위한 제언

        ( Eunice K. Kim )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法學論集 Vol.21 No.4

        우리나라 상장회사 기업이사회의 여성이사 비중은 다년간 OECD나 G20 회원국 중가장 낮다. 본 논문은 지난 30년간 미국에서 간접차별 법리의 미흡함에 대한 대안으로 활발하게 논의되어온 무의식적인 편견 (unconscious bias, 또는 implicit bias)의 개념을 여성이사의 비중을 늘리는 새로운 해법으로 제시한다. 무의식적인 편견 개념은 모든 사람들에게 사회적 약자에 대한 편견이 무의식에 잠재해 있으며 편견이나 고정관념으로부터 자유롭다고 공언 하는 사람들조차도 무의식적으로 또는 즉흥적으로 행동하는 경우에는 무의식적인 편견과 일관된 행동이나 결정을 내린다고 주장한다. 2차젠더편향 (second generation gender bias)은 무의식적인 편견 개념을 젠더에 적용하여 인적 넷트워크 형성 및 교류패턴, 오랜 관행 및 전통으로 인하여 여성이 은연중에 특정영역 또는 기회에서 배제되는 것을 의미하는 개념이다. 2차젠더편향은 고용차별 이외에도 불평등이 존재하는 여러 상황에 유연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무의식적인 편견을 약화시키거나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방안을 해법으로 제시해줄 수 있다. 특히 기업과의 관계가 고용관계가 아닌 위임관계에 있으며 기업 지배구조 관행 상 이사 후보 풀의 구축 과정이 불투명하고 후보 선발 시 평가 기준이 탄력적이며 주관적인 판단이 크게 반영되는 이사들에게는 2차젠더편향의 영향력으로 인하여 여성이 배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2차젠더편향을 약화시키고 궁극적으로 제거하는 방안으로 행동수정프로그램과 성비할당제 (gender quota)를 동시에 시행하는 것을 제안한다. For as long as we can remember, the percentage of female corporate directors at Korean listed corporations has been the lowest along all OECD member countries and the G20 nations. This Article proposes that the theory of unconscious (or implicit) bias, which was developed over the past 30 years in response to what some American legal scholars viewed as deficiencies in disparate impact approach to discrimination, be used to address the challenge of achieving gender balance on corporate board. The theory of unconscious bias posits the pervasiveness of unconscious bias against stigmatized groups such as racial minorities, women, disabled, and sexual minorities. Even individuals who avow that they are free of discriminatory biases against minority groups, are likely to behave in a manner that evidences their unconscious bias. Theory of unconscious bias as applied to gender relations in the context of social practices and patterns of interaction, formation of human networks that have the effect of excluding women from opportunities are referred to as second generation gender bias. Glass-ceiling, sexual harassment are common examples of second generation gender bias. Second generation gender bias is a useful tool for analyzing exclusion of women in various situations, enabling formuation of corrective and prevention measures above and beyond legal remedies. In recognition of the likelihood that women are excluded from corporate directorships as a result of second generation gender bias, this paper proposes recommends 2 measures to be undertaken concurrently in order to weaken and ultimately eliminate the impact of second generation gender bias: first a behavior modification program grounded in education and training, designed to raise awareness of implicit bias; secondly, imposition of mandatory gender quota to be implemented in several stages.

      • KCI등재

        비리제보제도의 활성화

        Eunice K. Kim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4 法學論集 Vol.19 No.2

        Whistleblowing has long been recognized as the most effective way to detect and prevent fraud, corruption and other unlawful activities. As with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Korea has enacted laws to encourage whistleblowing and to protect whistleblowers from retaliation and discrimin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and compare the 3 major laws that apply to whistleblowing illegal activities in the private sector, namely, the Protection of Public Interest Reporters Act,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s Act, and Act on External Audit of Stock Companies. In an effort to understand the current legal landscape for whistleblowers, the paper examines what kind of whistleblowers are eligible for protection, what kind of unlawful activities may be reported, what kind of financial incentives and protective measures available to the whistleblowers, and the penalties to be applied to those who take retaliatory action against the whistleblowers. The paper concludes by making recommendations to be considered and adopted by lawmakers with a view to strengthening the efficacy of these laws thereby inducing more potential whistleblowers to actually blow the whistle. 비리제보제도는 부패, 불법행위 및 비윤리적인 행위를 예방‧근절하는데 효과적인 방안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음에 따라 주요국가 대부분이 이제도의 활성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나라도 90년대부터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에서 비리제보를 장려하는 법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본 논문은 민간부문에서 발생하는 비리를 제보하는 자를 보호하는 주요 법률인 공익신고자보호법,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 주식회사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을 제보자 보호관점에서 비교 검토한다. 구체적으로 위 세 개의 법에서 규정하는 제보자의 자격, 제보의 대상, 제보자에 대한 포상과 보호, 책임감면과 정보보호, 그리고 제보자에게 불이익을 가한 자에게 부과되는 벌칙에 대한 조항을 검토하고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민간 부문에서의 우리나라의 비리제보제도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더 나아가 우리나라의 비리제보제도를 강화하고 활성화하기 위하여 고려해야하는 다양한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특히 현재 위 세 개의 법이 모두 허용하지 않고 있으나 비리제보의 활성화를 위해서 익명 제보의 허용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금융회사임직원의 감독책임제도 도입에 대한 고찰 -미국법의 사례를 참고하여-

        ( Eunice K Kim )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法學論集 Vol.18 No.3

        1990년대 말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우리나라도 이사회에 의한 경영감시와 내부통제 기능을 정착시키기 위하여 금융회사 지배구조 개선을 도모하였고 그 일환으로 내부통제기준을 법제화하여 도입하였다. 내부통제기준의 준수여부를 확인하고 보고해야 하는 준법감시제도는 올해 도입된 지 15년째이지만 금융권 내외에서 아직도 제대로 기능을 못하고 있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많은 사람들이 준법감시제도에 대하여 회의를 가지고 있는 이유는 준법감시제도가 단지 법규가 요구하기 때문에 비자발적으로 형식상으로만 갖추고 있는 제도라는 데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준법감시제도가 우리나라 현실에서 제대로 작동할 수 없는 근본 원인을 살펴보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 논문은 준법감시에 대한 CEO 등 경영진의 유인체계(incentive structure)에 주목하고 경영진을 포함한 임직원들의 이해와 부합되는 효과적인 준법감시제도를 만들기 위하여 미국 컴플라이언스제도의 주축이라고 평가 받는 금융법 상의 임직원의 개인 감독책임제도를 우리나라에 도입할 것을 제안한다. 개인 감독책임제도란 금융회사가 일정 기준에 부합하는 컴플라이언스제도를 구축하고 감독책임을 가진 감독자가 컴플라이언스제도에서 감독자로서 요구되는 모든 의무를 성실하게 집행했고 내부통제 규정이 잘 지켜지고 있으며 지켜지지 않고 있다고 의심할 만한 이유가 없다는 사실을 입증할 수 있으면 그 금융회사에서 위반행위가 발생하여도 해당 금융 회사와 감독자 임직원을 감독책임 미이행으로 인한 행정처벌로부터 감면시켜 주는 혜택을 부여하는 개념이다. 이 제도는 모두가 감독자인 미국 금융회사의 경영진에게 컴플라이언스제도가 아군이라는 시각을 갖게 하는 매우 강력한 유인 요소이다. 미국 연방 의회는 감독책임을 조문화 하면서 이를 절대적인 책임(absolute liability)으로 하지 않고 그 책임에서 벗어날 수 있는, 즉 적극적 방어 및 면책이 가능 하도록 하는 단서도 함께 마련했다. (i) 회사에 금융회사 소속 임직원들의 위반행위를 예방하고 적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는 각종 내부 규정(internal procedures)들이 이미 제정되어있고 그 규정들을 적용하는 시스템이 갖추어져 있으며 (ii)감독책임을 지는 감독자는 내부 규정에서 요구하는 각종 의무와 책무를 이행하였고 이런 절차들이 지켜지지 않고 있다는 의구심이 없는 경우 감독 책임을 다한 것으로 인정된다. 이렇게 미국은 컴플라이언스제도를 의무화하지 않고도 모든 금융회사가 컴플라이언스제도를 갖추는 효과적인 동기부여를 하였고 미국의 감독당국과 법원은 컴플라이언스제도를 감독책임의 이행을 증명하는 최선의 방법으로 보고 있기 때문에 미국 금융회사의 이사회와 경영진은 컴플라이언스제도가 법에서 요구되지 않아도 기꺼이 구축하고 집행하게 된다. 즉 금융회사의 영향력 있는 임직원은 금융회사의 타 임직원의 행위에 대한 통제력을 가지고 있어 자기 자신 뿐 아니라 그들이 영향력을 행사하는 자들까지 규제를 준수하도록 강요할 수 있기 때문에 감독당국의 입장으로서는 가장 효과적인 규제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법규는 감독책임에 대한 언급은 있으나 명확하게 정의하지는 않았다.「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이하 “자본시장법”) 제422조에 의하면 “금융위원회는 금융투자업자의 임직원에 대하여 조치를 하거나 이를 요구하는 경우 그 임직원에 대하여 관리,감독의 책임이 있는 임직원에 대한 조치를 함께 하거나 이를 요구할 수 있고, 다만, 관리,감독의 책임이 있는 자가 그 임직원의 관리,감독에 상당한 주의를 다한 경우에는 조치를 감면할 수 있다”고 쓰여 있지만 “위반행위를 방지하기 위”한 “상당한 주의와 감독”을 언급한 제448조와는 달리 관리,감독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확실치 않다.「금융기관 검사 및 제재에 관한 규정」은 임원의 감독책임을 부하직원의 위반행위를 예방하거나 적발하는 것에 초점을 두지 않고 결과적으로 회사에게 피해를 끼치거나 금융 불안 등 금융위기를 야기하는 것에 초점을 두어 임원의 준법의지를 강화시키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 제재규정은 금융감독당국의 금융회사의 내부통제에 대한 시각을 반영하는데 내부통제의 주목적은 금융관련 법규의 준수이기보다 금융사고의 예방이라고 명시되어 있다. 감독책임제도 도입을 통하여 준법감시제도의 확실한 정착을 이루어내기 위해서는 감독당국의 면밀한 지침과 지도가 필요하다. 감독책임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감독자체계를 어떻게 갖추어야 하는지, 감독책임준수내부규정을 포함한 내부규정은 어떻게 제정해야 하는지 등이 금융회사들에게 충분히 전달되고 감독당국의 금융회사 준법감시제도에 대한 평가능력도 제고되어 금융회사에 대한 제재 감면의 혜택도 공정하게 부여될 수 있다면 우리나라 금융권의 준법감시제도는 경영진의 전폭적인 지지 하에 성공적으로 정착될 수 있을 것이다. Since 2000, Korean financial service companies have been required to adopt several governance strengthening measures, such as appointing independent outside directors, establishing an audit committee, adopting internal control system and appointing compliance officers, among others. However, 15 years after adopting internal control system, experts agree that the compliance function has yet to be fully embraced, established and functioning effectively in Korean financial services companies. This is due to a number of reasons, but the most important reason may be inadequate understanding of and support for compliance on the part of the board of directors and senior management, who tend to view the compliance function as a cost center without palpable benefits to the organization on the whole or to its management. As a result, the board and senior management do not set the right “tone at the top” nor create compliance culture throughout the organization. In order to remedy this situation, this paper argues that the Korean legislators and regulators adopt the concept of “supervisory responsibility.” “Supervisory responsibility” or “duty to supervise” is an important cornerstone in the regulatory framework of compliance in the US financial services sector, but was not introduced to Korea when the compliance function was adopted in 2000. In a nutshell, it is a duty imposed on any person who is associated with a broker-dealer (or an investment adviser) to supervise another person (usually a subordinate) with a view to preventing violations of the provisions of Securities Act of 1933, the Securities Exchange Act of 1934, the Investment Company Act of 1940, Investment Advisers Act of 1940, the Commodity Exchange Act, the rules or regulations under any of such statutes, or the rules of the Municipal Securities Rulemaking Board. This duty is deemed to be fulfilled if the broker-dealer (or the investment adviser) has (A) “established procedures, and a system for applying such procedures, which would reasonably be expected to prevent and detect, insofar as practicable, any such violation” by those who are subject to such duty to supervise and (B) “such person has reasonably discharged the duties and obligations incumbent upon him by reason of such procedures and system without reasonable cause to believe that such procedures and system were not being complied with.” In other words, while the US regulatory framework imposes duty to supervise on supervisors, it also provides that if an appropriate and reasonable compliance program has been established and the supervisor has properly fulfilled his or her duties required by such compliance program, such supervisors will be exempt from being held liable even if a subordinate has committed a regulatory violation. Under the current Korean regulatory framework, financial services companies are required to establish a compliance program. A reference to supervisory responsibility is mentioned in Article 422 of the Capital Markets Consolidation Act, which provides that the Financial Supervisory Commission can take action against an officer or employee of a financial investment company as well as the officer or employee who is responsible for supervising the former officer or employee, provided however, that the latter officer or employee may be exempted from such action if the latter officer or employee’s management and supervision reasonably satisfies the requirements of duty of care. However, it is unclear exactly what is meant by supervisory responsibility and the legislative intent for imputing supervisory duty to officers and employees. It is also unclear who qualifies as a supervisor under the Capital Markets Consolidation Act, given the classification used in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s Regulation regarding Sanctions against Financial Services Companies. Most importantly, Korean regulatory framework does not explicitly provide that a compliance program consisting of procedures aimed at preventing and detecting regulatory violation, combined with satisfactory discharge of the duties incumbent upon the supervisor to the extent that the supervisor has not reason to doubt non-compliance with the compliance program, will be deemed to fulfill the duty of care required of the supervisor, thereby exempting the supervisor from administrative sanctions. In view of the disparity between the US approach, which is more process-oriented by providing strong incentives for senior management of financial services companies to establish compliance, and the Korean approach, which is more result-oriented by failing to provide such incentives and by focusing on whether or not the financial service companies suffer financial losses, this paper proposes the following measures be undertaken by the Korean financial regulators: (i)clearly define the notion of supervisory responsibility and its requirement; (ii)encourage or require financial services companies to assign supervisors for officers and employees; (iii)encourage or require financial services companies to formulate and adopt supervisory programs that individual supervisors must comply with; (iv)provide guidance to financial service companies in formulating effective internal control regulations, (v)take into consideration the relevant factors and circumstances surrounding each financial services company when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its compliance and supervisory programs; and (vi) refrain from taking disciplinary sanctions against individual supervisors if they made reasonable efforts to prevent and detect regulatory violations of their subordinates. These suggestions, if appropriately implemented, would effectively induce senior management of financial service companies to set the right tone at the top and establish effective compliance system throughout the company.

      • KCI등재

        금융회사임직원의 감독책임제도 도입에 대한 고찰 : 미국법의 사례를 참고하여

        Kim, Eunice K.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4 法學論集 Vol.18 No.3

        Since 2000, Korean financial service companies have been required to adopt several governance strengthening measures, such as appointing independent outside directors, establishing an audit committee, adopting internal control system and appointing compliance officers, among others. However, 15 years after adopting internal control system, experts agree that the compliance function has yet to be fully embraced, established and functioning effectively in Korean financial services companies. This is due to a number of reasons, but the most important reason may be inadequate understanding of and support for compliance on the part of the board of directors and senior management, who tend to view the compliance function as a cost center without palpable benefits to the organization on the whole or to its management. As a result, the board and senior management do not set the right “tone at the top” nor create compliance culture throughout the organization. In order to remedy this situation, this paper argues that the Korean legislators and regulators adopt the concept of “supervisory responsibility.” “Supervisory responsibility” or “duty to supervise” is an important cornerstone in the regulatory framework of compliance in the US financial services sector, but was not introduced to Korea when the compliance function was adopted in 2000. In a nutshell, it is a duty imposed on any person who is associated with a broker-dealer (or an investment adviser) to supervise another person (usually a subordinate) with a view to preventing violations of the provisions of Securities Act of 1933, the Securities Exchange Act of 1934, the Investment Company Act of 1940, Investment Advisers Act of 1940, the Commodity Exchange Act, the rules or regulations under any of such statutes, or the rules of the Municipal Securities Rulemaking Board. This duty is deemed to be fulfilled if the broker-dealer (or the investment adviser) has (A) “established procedures, and a system for applying such procedures, which would reasonably be expected to prevent and detect, insofar as practicable, any such violation” by those who are subject to such duty to supervise and (B) “such person has reasonably discharged the duties and obligations incumbent upon him by reason of such procedures and system without reasonable cause to believe that such procedures and system werenot being complied with.” In other words, while the US regulatory framework imposes duty to supervise on supervisors, it also provides that if an appropriate and reasonable compliance program has been established and the supervisor has properly fulfilled his or her duties required by such compliance program, such supervisors will be exempt from being held liable even if a subordinate has committed a regulatory violation. Under the current Korean regulatory framework, financial services companies are required to establish a compliance program. A reference to supervisory responsibility is mentioned in Article 422 of the Capital Markets Consolidation Act, which provides that the Financial Supervisory Commission can take action against an officer or employee of a financial investment company as well as the officer or employee who is responsible for supervising the former officer or employee, provided however, that the latter officer or employee may be exempted from such action if the latter officer or employee’s management and supervision reasonably satisfies the requirements of duty of care. However, it is unclear exactly what is meant by supervisory responsibility and the legislative intent for imputing supervisory duty to officers and employees. It is also unclear who qualifies as a supervisor under the Capital Markets Consolidation Act, given the classification used in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s Regulation regarding Sanctions against Financial Services Companies. Most importantly, Korean regulatory framework does not explicitly provide that a compliance program consisting of procedures aimed at preventing and detecting regulatory violation, combined with satisfactory discharge of the duties incumbent upon the supervisor to the extent that the supervisor has not reason to doubt non-compliance with the compliance program, will be deemed to fulfill the duty of care required of the supervisor, thereby exempting the supervisor from administrative sanctions. In view of the disparity between the US approach, which is more process-oriented by providing strong incentives for senior management of financial services companies to establish compliance, and the Korean approach, which is more result-oriented by failing to provide such incentives and by focusing on whether or not the financial service companies suffer financial losses, this paper proposes the following measures be undertaken by the Korean financial regulators: (i)clearly define the notion of supervisory responsibility and its requirement; (ii)encourage or require financial services companies to assign supervisors for officers and employees; (iii)encourage or require financial services companies to formulate and adopt supervisory programs that individual supervisors must comply with; (iv)provide guidance to financial service companies in formulating effective internal control regulations, (v)take into consideration the relevant factors and circumstances surrounding each financial services company when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its compliance and supervisory programs; and (vi) refrain from taking disciplinary sanctions against individual supervisors if they made reasonable efforts to prevent and detect regulatory violations of their subordinates. These suggestions, if appropriately implemented, would effectively induce senior management of financial service companies to set the right tone at the top and establish effective compliance system throughout the company. 1990년대 말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우리나라도 이사회에 의한 경영감시와 내부통제 기능을 정착시키기 위하여 금융회사 지배구조 개선을 도모하였고 그 일환으로 내부통제기준을 법제화하여 도입하였다. 내부통제기준의 준수여부를 확인하고 보고해야 하는 준법감시제도는 올해 도입된 지 15년째이지만 금융권 내외에서 아직도 제대로 기능을 못하고 있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많은 사람들이 준법감시제도에 대하여 회의를 가지고 있는 이유는 준법감시제도가 단지 법규가 요구하기 때문에 비자발적으로 형식상으로만 갖추고 있는 제도라는 데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준법감시제도가 우리나라 현실에서 제대로 작동할 수 없는 근본 원인을 살펴보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 논문은 준법감시에 대한 CEO 등 경영진의 유인체계(incentive structure)에 주목하고 경영진을 포함한 임직원 들의 이해와 부합되는 효과적인 준법감시제도를 만들기 위하여 미국 컴플라이언스 제도의 주축이라고 평가 받는 금융법 상의 임직원의 개인 감독책임제도를 우리나라에 도입할 것을 제안한다. 개인 감독책임제도란 금융회사가 일정 기준에 부합하는 컴플라이언스제도를 구축하고 감독책임을 가진 감독자가 컴플라이언스제도에서 감독자로서 요구되는 모든 의무를 성실하게 집행했고 내부통제 규정이 잘 지켜지고 있으며 지켜지지 않고 있다고 의심할 만한 이유가 없다는 사실을 입증할 수 있으면 그 금융회사에서 위반행위가 발생하여도 해당 금융 회사와 감독자 임직원을 감독책임 미이행으로 인한 행정처벌로부터 감면시켜 주는 혜택을 부여하는 개념이다. 이 제도는 모두가 감독자인 미국 금융회사의 경영진에게 컴플라이언스제도가 아군이라는 시각을 갖게 하는 매우 강력한 유인 요소이다. 미국 연방 의회는 감독책임을 조문화 하면서 이를 절대적인 책임(absolute liability)으로 하지 않고 그 책임에서 벗어날 수 있는, 즉 적극적 방어 및 면책이 가능 하도록 하는 단서도 함께 마련했다. (i)회사에 금융회사 소속 임직원들의 위반행위를 예방하고 적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는 각종 내부 규정(internal procedures)들이 이미 제정되어있고 그 규정들을 적용하는 시스템이 갖추어져 있으며 (ii)감독책임을 지는 감독자는 내부 규정에서 요구하는 각종 의무와 책무를 이행하였고 이런 절차들이 지켜지지 않고 있다는 의구심이 없는 경우 감독 책임을 다한 것으로 인정된다. 이렇게 미국은 컴플라이언스제도를 의무화하지 않고도 모든 금융회사가 컴플라이언스제도를 갖추는 효과적인 동기부여를 하였고 미국의 감독당국과 법원은 컴플라이언스제도를 감독책임의 이행을 증명하는 최선의 방법으로 보고 있기 때문에 미국 금융회사의 이사회와 경영진은 컴플라이언스제도가 법에서 요구되지 않아도 기꺼이 구축하고 집행하게 된다. 즉 금융회사의 영향력 있는 임직원은 금융회사의 타 임직원의 행위에 대한 통제력을 가지고 있어 자기 자신 뿐 아니라 그들이 영향력을 행사하는 자들까지 규제를 준수하도록 강요할 수 있기 때문에 감독당국의 입장으로서는 가장 효과적인 규제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법규는 감독책임에 대한 언급은 있으나 명확하게 정의하지는 않았다.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이하 “자본시장법”) 제422조에 의하면 “금융위원회는 금융투자업자의 임직원에 대하여 조치를 하거나 이를 요구하는 경우 그 임직원에 대하여 관리․감독의 책임이 있는 임직원에 대한 조치를 함께 하거나 이를 요구할 수 있고, 다만, 관리․감독의 책임이 있는 자가 그 임직원의 관리․감독에 상당한 주의를 다한 경우에는 조치를 감면할 수 있다”고 쓰여 있지만 “위반행위를 방지하기 위”한 “상당한 주의와 감독”을 언급한 제448조와는 달리 관리․감독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확실치 않다. 금융기관 검사 및 제재에 관한 규정 은 임원의 감독책임을 부하직원의 위반행위를 예방하거나 적발하는 것에 초점을 두지 않고 결과적으로 회사에게 피해를 끼치거나 금융 불안 등 금융위기를 야기하는 것에 초점을 두어 임원의 준법의지를 강화시키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 제재규정은 금융감독당국의 금융회사의 내부통제에 대한 시각을 반영하는데 내부통제의 주목적은 금융관련 법규의 준수이기보다 금융사고의 예방이라고 명시되어 있다. 감독책임제도 도입을 통하여 준법감시제도의 확실한 정착을 이루어내기 위해서는 감독당국의 면밀한 지침과 지도가 필요하다. 감독책임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감독자 체계를 어떻게 갖추어야 하는지, 감독책임준수내부규정을 포함한 내부규정은 어떻게 제정해야 하는지 등이 금융회사들에게 충분히 전달되고 감독당국의 금융회사 준법감시제도에 대한 평가능력도 제고되어 금융회사에 대한 제재 감면의 혜택도 공정하게 부여될 수 있다면 우리나라 금융권의 준법감시제도는 경영진의 전폭적인 지지하에 성공적으로 정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비리제보자에 대한 포상금

        Eunice K. Kim 한국증권법학회 2014 증권법연구 Vol.15 No.3

        우리나라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435조와 미국 Dodd-Frank Wall Street Reform and Consumer Protection Act(‘도드?프랭크법’)의 Section 922(a)의 공통점은 두 법 모두 제보자에 대한 포상금 지급을 통하여 자본시장에서 발생하는 불법행위에 대한 제보를 장려하고 제보자를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데 있다. 그러나 시행한지 수년이 지난 오늘날 이 두 포상금제도의 활용도와 효과는 현저히 다르다. 본 논문은 상기 두 법에서 규정한 포상금제도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비리제보 활성화를 위한 포상금제도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우선 자본시장법 제435조의 위법행위신고자와 포상금제도에 관한 조항이 이제까지 어떻게 운용되어 왔는지를 살펴보았다. 나아가서 공익신고자보호법, 주식회사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그리고 부패방지 및 국민권익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률의 포상금 관련 조항을 자본시장법의 포상금제도와 비교·검토하고 상기 네 개의 법이 비리제보자에 지급되는 포상금에 대하여 각각 다른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는 점도 지적하였다. 그리고 지난 3년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가 도드?프랭크법의 비리제보자에 대한 포상금제도를 어떻게 활성화하여 운영해 왔으며 어떤 효과를 거두었는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비리제보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포상금의 상한선 철폐, 환수금액과 포상금의 연계 등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Article 435 of the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s Act (“the Capital Markets Act”) of Korea and Section 922(a) of the Dodd Frank Wall Street Reform and Consumer Protection Act(“DFA”) both seek to encourage whistleblowing by providing for financial rewards and protection for whistleblowers. Several years after the whistleblower programs have been in effect, the program under the Capital Markets Act has yet to invogorate whistleblowing while the program under the DFA is generally regarded to have produced the desired effect of encouraging whistleblowers to report high-quality tips to the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SEC”), resulting in successful enforcement actions by the SEC and the payment of substantial financial rewards to the whistleblowers. This paper seeks to understand the reasons behind the divergent outcomes of the two whistleblower programs by focusing on the financial reward structure of the DFA, the Capital Markets Act and the other Korean laws that provide financial incentives for whistleblowers, namely, the Protection of Public Interest Reporters Act, Act on External Audit of Stock Companies and Act on the Prevention of Corruption and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the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s Commission, each of which has its own financial reward system using different criteria. The paper concludes by making recommendations aimed at improving the financial reward structure of the whistleblower program under the Capital Markets Act. Among the suggestions are removing the cap on the amount of the reward, tying the amount of the reward to the total amount of actual recovery made as a result of the successful enforcement action, and making payment of the reward compulsory cases when the tip provided by the whistleblower leads to a successful enforcement action.

      • KCI등재
      • KCI등재

        모델 금융감독법의 구조 - 기본 내용과 법안의 제안 -

        윤석헌,고동원,김상조,Eunice K,Kim,원승연,전성인 은행법학회 2016 은행법연구 Vol.9 No.1

        본 논문은 금융감독 통합법이 우리나라의 올바른 금융감독기능 개선을 위해 필요하다는 시각에 따라, 금융감독 관련 사안을 총괄적으로 규정하는 금융감독기본법을 제시하였다. 금융감독기본법 은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금융감독체계 개편의 기본 방향으로서 금융산업정책 과 금융감독정책 기능의 제도적 분리, 금융건전성감독원과 금융시장감독원으로 구성된 쌍봉형 금 융감독체계, 금융감독기구의 민간 공적기구화, 그리고 금융감독유관기구간 협력체계를 위한 금융 안정협의회의 제도화를 제시하였다. 둘째, 현행 「금융위원회의 설치 등에 관한 법률」에 없는 금융감독기구와 금융회사간의 관계에 대한 일반적 규정을 포함하여, 이 규정이 각 업법에서 개별 적으로 규정되는 양자간의 관계를 설정하는 가이드라인으로서 기능하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 금 융회사가 피규제업무를 영위하기 위해 감독기구의 허가를 얻는 과정과 금융회사의 피규제업무 영 위과정에 대한 감독기구의 감독에 관한 내용과 기본 원칙을 규정하였다. 셋째, 금융감독기본법은 분쟁조정, 제재 및 위법행위 신고자 보호에 대해서도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였다. 금융소비자분쟁 조정센터를 현행 금융분쟁조정위원회를 대체하도록 하여 분쟁조정기구가 금융소비자 보호기구로 서 독립성과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하였다. 또한 제재 절차의 공정성과 투명성 확보를 위하여 제재 위원회 설치 및 제재 방안의 개선 등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금융감독기본법은 관련 당사자의 신고 유인을 장려하여 금융규제의 유효성을 제고하는 방안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모델 금융감독법의 구조 - 기본 내용과 법안의 제안 -

        전성인,윤석헌,고동원,김상조,Eunice K. Kim,원승연 은행법학회 2016 은행법연구 Vol.9 No.1

        The current paper proposes a model of an integrated legislation for Korea that seeks to incorporate financial supervisory structure and regulatory activities. The purpose of the proposal is to improve the overall effectiveness of Korea's financial supervisory function by integrating, wherever appropriate, supervisory rules and regulations scattered in various parts of the current regulatory system. The proposal makes the following three legislative recommendations in an integrated and coherent manner. First, financial supervisory function should be separated from functions dealing with financial services industries, with a 'twin peaks' system in place for financial supervisory structure. Legislation of a coordination mechanism called 'Financial Stability Council' is also recommended. Second, legislation of relationships between financial supervisory authorities and financial firms is newly proposed. This legislation aims to fill in and serve as a guideline to cope with any lack of such relationships in the associated regulatory system in Korea. For example, it deals with the process by which financial firms obtain permissions to perform regulated functions from the regulator and the rules and principles governing such permissions and other supervisory activities by the regulator. Third, the proposal also recommends alternative and comprehensive legislation in each of the following: dispute settlements, penalties for financial service providers and whistleblower protection. Specifically, it recommends the establishment of 'Financial Consumer Dispute Settlement Center' which is to replace the existing committee in the FSS and of a new independent committee to deal with fair and transparent penalties against financial service providers. It also recommends ways to enhance the protection of whistleblowers who report actual or suspected regulatory violation to any financial regulator. 본 논문은 금융감독 통합법이 우리나라의 올바른 금융감독기능 개선을 위해 필요하다는 시각에 따라, 금융감독 관련 사안을 총괄적으로 규정하는 금융감독기본법을 제시하였다. 금융감독기본법은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금융감독체계 개편의 기본 방향으로서 금융산업정책과 금융감독정책 기능의 제도적 분리, 금융건전성감독원과 금융시장감독원으로 구성된 쌍봉형 금융감독체계, 금융감독기구의 민간 공적기구화, 그리고 금융감독유관기구간 협력체계를 위한 금융안정협의회의 제도화를 제시하였다. 둘째, 현행 「금융위원회의 설치 등에 관한 법률」에 없는 금융감독기구와 금융회사간의 관계에 대한 일반적 규정을 포함하여, 이 규정이 각 업법에서 개별적으로 규정되는 양자간의 관계를 설정하는 가이드라인으로서 기능하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 금융회사가 피규제업무를 영위하기 위해 감독기구의 허가를 얻는 과정과 금융회사의 피규제업무 영위과정에 대한 감독기구의 감독에 관한 내용과 기본 원칙을 규정하였다. 셋째, 금융감독기본법은 분쟁조정, 제재 및 위법행위 신고자 보호에 대해서도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였다. 금융소비자분쟁조정센터를 현행 금융분쟁조정위원회를 대체하도록 하여 분쟁조정기구가 금융소비자 보호기구로서 독립성과 전문성을 확보하도록 하였다. 또한 제재 절차의 공정성과 투명성 확보를 위하여 제재위원회 설치 및 제재 방안의 개선 등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금융감독기본법은 관련 당사자의 신고 유인을 장려하여 금융규제의 유효성을 제고하는 방안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