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e-Government Application Index

        Sangki Jin(진상기),Dongeun Gam(감동은),Sang-Baek Chris Kang(강상백)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16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19 No.2

        현재의 전자정부 활용의 측정방법의 대부분은 전자정부 사용자보다는 서비스 제공자의 관점에서 추진되어 왔다. 전자정부의 최근 패러다임은 전자정부 사용자 관점에 부합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요구하고 있다. 정책 마케팅의 관점에서, 전자정부 서비스는 정책 제품(서비스)로 분류될 수 있으며, 전자정부 사용자의 만족도는 제품 (서비스)의 재사용을 위한 핵심요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정책 마케팅 접근 방법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전자정부 활용지수의 측정방법에 대한 새로운 평가방법을 제안하였다. 즉, 고객만족지수 및 정보시스템 (IS) 성공요인 모델의 문헌을 고찰하여, 이를 기초로 체계적 전자정부 서비스 활용의 요소를 도출하였는데, 이는 전자정부 활용평가 → 만족 → 인식 → 사용의 순환구조가 될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사용 및 평가방법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새로운 전자정부 애플리케이션 평가모델은 전자정부 서비스의 실제 활용을 식별하기 위한 가중선형모델인데, 각 요소의 가중치는 학계, 연구 기관, 정부에서 전자정부 서비스 관련 23명 전문가의 파일럿 전문가 설문 조사를 실행한 결과로 제시되었다. Many of current e-government application measurement methods are based on the prior e-government model which was more focused on the perspective of e-government service suppliers rather than that of e-government users. The recent paradigm of e-government has been changing more toward user basis from supplier perspective, which calls for a new methodology that can be aligned with e-government user perspective. As a policy-marketing perspective, e-government service can be defined as a policy product(service) and that the satisfaction level of e-government users can be the core assets for reusing the product(service). Based on these policy-marketing approaches, the current study suggested a new application evaluation methodology for an e-government application index and measurement methodology. Furthermore, the current study has done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of customer satisfaction indexes and Information System (IS) success factor models as well. Based on these premises, the current study systematically extracts the factors for e-government service application as follows: With the influence of exogenous factors, e-government application usage mechanism is found to be the cycles of Awareness→Usage→Satisfaction→Evaluation. Based on this usage and evaluation mechanism, a new e-government application evaluation model is suggested by a weighted linear model for identifying actual application usage level of e-government services. Furthermore, the current study executed a pilot expert survey of 23 experts of e-government services from academia, research institutes, government officials, etc. to capture weights of each elements. The current study recommends a new e-government application index by “(Awareness *W1)+(Usage*W2)+(Satisfaction*W3)/3.”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avenues of future research along with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in this domain are suggested, where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