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의 신경증적 성격특성과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병렬다중매개효과

        권다영(Kwon, Dayoung),강승희(Kang, Seu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6

        목적 본 연구는 어머니의 신경증적 성격특성,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어머니의 신경증적 성격특성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가 매개하는지, 하나의 모형 내에서 여러 변인의 매개효과를 동시에 추정하는 병렬다중매개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P시의 만36개월 이하의 영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들 304명에게 신경증적 성격특성,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어머니의 신경증적 성격특성과 양육스트레스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PROCESS macro의 병렬다중매개모형 검증방법을 활용하였다. 결과 상관분석 결과, 어머니의 신경증적 성격특성과 양육스트레스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과 양육스트레스, 사회적지지와 양육스트레스 간에, 어머니의 신경증적 성격특성과 회복탄력성, 어머니의 신경증적 성격특성과 사회적지지 간에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병렬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어머니의 신경증적 성격특성과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지만, 회복탄력성은 유의한 매개효과가 없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의 신경증적 성격특성이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본인의 개인내적 특성인 회복탄력성 보다는 사회적 지지와 같은 집단수준의 대인관계 변인이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함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방향이 논의되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uroticism in a mother’s personality and parenting stress and to verify the parallel multiple mediator effects of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Methods Participants in the study included 304 mothers who had a child of under 36 months of age and who were asked to report on their personality,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stress. Correlational analyses reveal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neuroticism and parenting stress. Results The analyses also fou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resilience and parenting stress,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stress, a mother’s neuroticism and resilience, as well as her neuroticism and social support. The results from a parallel multiple mediator effects analysis, which predicts simultaneous mediation effect with one model, demonstrated that social support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who reported high levels of neuroticism and parenting stress, while resilience did not have such an effect on the mother’s stress levels.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ocial support, which was experienced in various social contexts, may have greater impacts on parenting stress than resilience among mothers of children under 36 months of age. Other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 KCI등재

        가전제품 매장의 라이프스타일 공간 특성 연구

        권다영 ( Dayoung Kwon ),이찬 ( Chan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3

        (연구배경 및 목적) 20세기 중후반에 일어난 포스트모더니즘 운동의 영향으로 개인의 라이프스타일은 다변화되었으며, 소비형태가 능동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오프라인 매장은 라이프스타일의 이상향을 제안하는 공간으로 탈바꿈하여 이제는 그 이상의 가치를 제공하는 공간으로 진화하였다. 최근 가전제품 매장을 중심으로 이러한 현상이 활발히 나타나고 있으며, 첨단화된 사회에서 차별가치를 제공하는 공간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라이프스타일 공간에 대하여 주목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가전매장에서 나타나는 라이프스타일 공간의 특성을 도출하여 향후 라이프스타일 공간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현황 및 전망과 현대사회 소비형태를 고찰한 후 관련문헌과 선행연구를 통하여 라이프스타일 공간 특성을 도출한 뒤, 각 특성에 해당하는 라이프스타일 공간의 특성 키워드를 도출하여 분석의 틀로 삼았다. 마지막으로 글로벌 매장 중 최근에 오픈한 플래그십 스토어로써 라이프스타일의 공간적 특성이 뚜렷이 나타나 있는 사례를 앞선 분석의 틀로 분석한다. (결과) 라이프스타일 공간의 특성은 제품의 특징과 장점을 살려주는 요소로 활용되었다. 또한, 전반적으로 기존의 제품 위주의 단순 진열식 디스플레이에서 벗어나 하나의 컨셉에 의하여 기획된 라이프스타일 제안은, 탈 범주의 제품을 한 공간에 유기적으로 조화롭게 디스플레이를 적용했으며 이를 통하여 원스탑 쇼핑이 가능하였다. 점수 합산으로는 세 매장 모두 지속적가치창출의 특성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 이와 같은 라이프스타일 공간의 특성을 가전매장에 적용하였을 시, 기업에게 나타나는 장점으로는 기업이 추구하는 컨셉과 가치를 소비자에게 공간 자체로써 느끼게 함으로써 브랜드 가치 경험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이로써 고객에게 차별화된 체험을 제공할 수 있으며, 긍정적 이미지를 창출하게 되어 궁극적으로 기업의 이익창출에 기여할 수 있다. 소비자에게 나타나는 장점으로는 한 공간 안에서 그저 쇼핑을 하는 것이 아닌, 라이프스타일의 일부로써 공간을 유희할 수 있게 되고, 원스탑 쇼핑의 편리함과 간편함을 누릴 수 있으며, 또한 색다른 라이프스타일의 제안을 받게 됨으로써 자신의 삶에 있어서 풍부한 가치를 누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 내용은 새로운 변화를 시도하고 있는 가전매장의 라이프스타일 공간 특성을 구체적으로 분석한 데에 의의가 있으며, 우리 생활에 깊숙이 들어온 라이프스타일 공간기획에 참고자료로써 발전적으로 사용되길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in the mid- and late-twentieth century has diversified the lifestyle of the individual, and there is a pattern of consumption that has become more present. Offline stores have therefore changed their role, occupying a space that proposes the ideal lifestyle, having evolved into a space that offers more values. In recent years, these phenomena have been clearly shown in consumer electronics stores, and there is a need to address the lifestyle space in order to provide consumers with a space that offers differentiated value in a sophisticated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the lifestyle space in home appliances stores and to present data that can be used for future research into lifestyle space. (Method) After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lifestyle trends and consumption patterns in modern society, this study derived the characteristics of lifestyle space through related literature and previous research, and then extracted characteristic keywords related to lifestyle space corresponding to each feature to produce an analysis framework. Finally, the study analyzed a case study of a recent flagship store of one of the international branches, which clearly show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lifestyle sector.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festyle space were utilized to bring out 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a product. In addition, the lifestyle proposal designed by one concept deviated from the simple display - putting existing products on shelves - and was instead applied in a harmoniously organic manner to products seen as out-of-category, thereby enabling one-stop shopping. All three stores showed high total scores in sustainable value creation. (Conclusions) When the characteristics of lifestyle space are applied to a home appliance store, there are clear advantages. The advantage presented to an enterprise is that the brand value experience can be maximized by making consumers feel the broader concept and values of the enterprise within the space itself. In turn, it is possible to provide differentiated experiences to the consumers and to create a positive image, which ultimately contributes to generating profits for the company. Benefits to consumers include not only shopping in one space, but also being able to appreciate the space as a part of the lifestyle, enjoying simplicity and convenience of one-stop shopping, through which they are offered a different lifestyle to potentially enjoy different values in their life. The analysis conducted in this study is therefore meaningful in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festyle space in a home appliance store, which is trying to move in a new direc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reference material for planning lifestyle space, which is so deeply entrenched in our lives.

      • KCI등재

        항공사 승무원 취업준비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취업불안의 관계에서 사회비교 경향성의 매개효과

        권다영(Dayoung Kwon),강승희(Seunghee K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5

        목적 항공사 승무원 취업준비생이 인식하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취업불안의 관계에서 사회비교 경향성의 매개 효과를 탐색하여 항공사 승무원 취업준비생의 취업 지원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2022년 1월 3일부터 3월 31일까지 약 3개월에 걸쳐 S시, B시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항공서비스학과 3개 학교, 승무원 양성학원 3곳의 항공사 승무원 취업준비생 303명을 대상으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사회비교 경향성, 취업불안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한 후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취업불안 간의 관계에서 사회비교 경향성이 매개 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였다. 결과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공사 승무원 취업준비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사회비교 경향성 모두 취업불안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항공사 승무원 취업준비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취업불안의 관계에서 사회비교 경향성은 부분 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취업불안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사회비교 경향성을 통해 취업불안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항공사 승무원 취업 준비생이 경험하는 취업불안을 조력하기 위한 취업교육 및 상담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고,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job-seeking anxiety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mparison tendency. Methods The study included 303 flight attendant job applicants who were asked to complete a survey on self-concept clarity, intolerance of uncertainty, social comparison tendency, and job-seeking anxiety from January 1 to March 31, 2022, for a total of three months, and 303 of them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excluding unreliable response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social comparison tendenc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seeking anxiety. Additionally, social comparison tendency was found to hav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job-seeking anxiety.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further investigation of the important role of social comparison tendency related to uncertainty tolerance and career anxiety of flight attendant job applicant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s discussed ways to improve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for flight attendant job applicants who experience emotional difficulties in their preparation. Other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