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豆乳의 遊離糖 및 Amino Acids 含量分析

        崔震相,崔相道,姜君中,朱玉守,南相海,徐源澤 진주산업대학교 농업기술연구소 1998 農業技術硏究所報 Vol.11 No.-

        두유의 유리당 및 amino acids의 함량을 HPLC 및 AAA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중 유통 두유에서는 단당류중 fructose와 glucose, 이당류중 sucrose, maltose 및 lactose를 분석하였고, sucrose는 0.78∼9.2 mg/mL의 범위로서 모든 시료에서 측정되었다. 17종의 amino acids를 확인하였으며, 그 조성은 모든 시료에서 비슷하였다. Glutamic acid를 비롯한 산성 amino acids가 전체 amino acids의 40.94%로서 가장 많은 함량이었고, threonine을 포함한 필수 amino acids는 31.78%로 측정되었다. Free sugars and amino acids that contained in soybean milk were analyzed with HPLC and AAA(amino acid analyz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ructose and glucose of monosaccharides, and sucrose, maltose and lactose of disaccharides were detected in soybean milk that collected in market. Sucrose was ranged as 0.78∼9.21 mg/mL and showed in all soybean milk. Amino acids were detected 17 varieties, and the compositions were alike in all soybean milk Contents of acidic amino acids including glutamic acid were 40.94% of total amino acids, and the next order was neutral amino acids as 24.62%. Basic amino acids and aromatic amino acids were 10.83% and 9.20%, respectively. Seven varieties of essential amino acids excluding tryptophan analyzed into 31.78% of total amino acds.

      • 증류식 소주 제조 중 고급 알콜류의 생성

        최진상,이용수 진주산업대학교 1999 산업과학기술연구소보 Vol.- No.6

        백미원료와 대맥원료의 일반성분은 큰 차이가 없었지만, 전분가는 백미원료가 대맥원료보다 3.4% 정도 높았다. 백미원료와 대맥원료의 알콜 수율은 백미원료가 우수하였으며, 대맥원료는 산의 생성량이 많았다. 효모별 발효율은 위스키 효모인 Saccharomyces cerevisiae Suntory균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Sake, Mikada 및 Hansen 균의 순이었다. 원료별 고급 알콜류로서 n-propanol, iso-butanol 및 iso-amyl alcohol 등을 본석하였으며, 고급 알콜류의 생성량은 백미원료가 대맥원료보다 높았으나 생성 특성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효모종류별 고급 알콜류의 생성특성은 유사하였지만, 그 생성량에서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General compositions were not difference between rice and barley, bur carbohydrate value was higher in rice than barley as above 3.4%. Alcohol ratio was better in rice than barley, but barley had higher contents in the formation of acids. Fermentation rate of yeast varieties vas best in Saccahromyces cerevisiae Suntory and the next order was Sake, Mikada and Hansen species. Higher alcohols were more in rice than in barley, but the characteristic of formation was not difference. And the formation of yeast varieties had little difference between species but the characteristic of formation was similar to four species.

      • Pleurotus eryngii 분말을 이용한 양갱특성 및 품질평가

        최진상,강은오 진주산업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2006 산업과학기술연구소보 Vol.- No.13

        느타리 버섯과에 속하는 새송이 버섯(Pleurotus eryngii)을 기능성 식품재료로 사용하여 그 이용성을 확대하고 소비를 증대시킬 목적으로 분말로 제조하여 농ㅈㄷ별 첨가에 따른 양갱의 물리적 변화를 측정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버섯 분말가루를 첨가하여 제조한 양갱의 당도는 대조구에 비하여 버섯 분말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색도에서 명도 값이 점차적으로 증가하였다. 양갱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 버섯 분말가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견고성 및 씹힘성이 높은 결과를 보였고, 관능평가에서 전체적인 기호도는 1 % 첨가에서 가장 좋은 반응을 나타내었다. In order to expand their usefulness and consumption as a functional foodstuffs of Pleurotus eryngii, which belongs to a family of Pleurotus ostreatus.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tested in sweet jelly that was made with the addition of Pleurotus eryngii powd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 Brix value of sweet jelly was decreased as the added amount of Pleurotus eryngii powder was increased, but brightness of color was increased. And hardness, chewiness in the textural properties were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added amount of powder. The best overall acceptability by sensory evaluation was obtained when 1% of Pleurotus eryngii powder was added.

      • 새송이 버섯(Pleurotus eryngii) 분말의 반죽 및 제빵 특성

        최진상,강은오 진주산업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2006 산업과학기술연구소보 Vol.- No.13

        느타리 버섯과에 속하는 새송이 버섯(Pleurotus eryngii)의 소비를 촉진하고 이용성을 확대하기 위하여 분말화하여 식빵을 만들고, 반죽과 빵의 품질특성을 평가하였다. 식빵 반죽의 비중은 버섯 분말가루의 첨가량이 많아짐에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식빵의 부피는 감소하였고, 색도는 명도 값이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식빵의 물리적 특성은 버섯 분말가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견고성, 점성 및 씹힘성이 높은 결과를 나타냈고, 관능평가를 통한 기호도는 대조구와 1% 첨가에서 좋은 결과를 얻었다. In order to increase the consumption of Pleurotus eryngii, which belongs to a family of Pleurotus ostreatus,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tested from the dough and bread that were made with the addition of Pleurotus eryngii powd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 Specific gravity of dough was gradual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added amount of Pleurotus eryngii powder, but the volume and brightness of bread color were decreased, gradually. The textural properties such as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that showed higher value as the added amount of its powder was increased. Overall acceptability by sensory evaluation in bread was resulted best score in control and 1% addition.

      • Vitis vinifera 적포도의 알콜발효중 화학성분의 변화

        심기환,최상도,이용수,최진상 慶尙大學校 1992 論文集 Vol.31 No.2

        Vitis vinifera 적포도의 발효중 총당, 알콜, 총산, pH, 유기산, 유리아미노산 및 총질소 함량등을 HPLC 등의 기기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효중 총산은 초기에 약간의 증가를 보이다가 발효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알콜의 농도가 증가하여 발효 후 품종에 따라 Cabernet sauvignon 15.6%, Cabernet franc 18.5% 및 Malbec 28.3% 감소하였다. 발효중 pH는 5일까지 감소현상을 보이다가 발효 후반기에 증가하여 발효완료 후 초기의 pH보다 높게 나타났다. Malic acid와 tartaric acid는 알콜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lactic acid는 발효초기에 측정되지 않았으나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생성되어 succinic acid와 함께 발효시간의 경과에 함량변화가 없었다. 또한 유리아미노산은 발효초기에 급격한 감소를 보여 발효진행 5일 후의 농도가 Cabernet sauvignon 57.5%, cabernet franc 59.0% 및 Malvec 48.8%까지 감소하였으나, proline, glycine 및 serine은 발효중 변화가 적었으며, 알콜발효가 끝나는 시점부터 증가하였다. 총질소의 함량은 발효초기에 급격히 감소하였고, 알콜생성이 완료되고 2∼3일 경과 후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으며, 발효최성기에는 초기농도의 약 13.5∼17.6%만이 발효액중에 남아있었고, 발효가 끝난 후에는 초기농도의 31∼38%정도였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some chemical components during the alcoholic fermentation of Vitis vinifera red grapes, total sugar, alcohol, total acid, pH, organic acid, free amino acids and total nitrogen contents were analyzed with HPLC etc., the results are as follows. Total acid during the fermentation which increased slightly at the early time of fermentation decreased in Cabernet sauvignon 15.6% Cabernet franc 18.5% and Malbec 28.3% according to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alcohol when fermentation was actively progress. PH during the fermentation showed decreasing phenomenon was actively progress. pH during the fermentation showed decreasing phenomenon until 5 days but showed higher at finished time of fermentation than initial time. Malic acid and tar-taric acid were decreased in proportion to increase of alcohol concentration, and lactic acid was not detected at the early time of fermentaation but the progress time of fermentation did not change the content with succinic acid. Free amino acids were rapidly decreased at the early time of fermentation when the concentration was decrased in Cabernet sauv-ignon 33.3%, Cabernet franc 55.5% and Malbec 54.2% at that time after 5 days, but the change was little in proline, glycine and serine during fermentation, and increased slightly until the finished time of fermentation. The content of total nitrogen was decreased rap-idly at the early time of fermentation of alcohol, and the concentration of total nitrogen in the height of prosperity of fermentation was exst only about 13.5∼17,6% in the liquid of fermentation than that of initial concentration, and was about 31∼38% of initial concent-ration after finished fermentation.

      • 葡萄(Vitis vinifera) 果實의 成熟 中 化學成分의 變化

        李龍守,崔震相 진주산업대학교 1997 論文集 Vol.36 No.-

        Vitis vinifera 몇 품종에 대한 성숙시기별 화학성분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H는 berry의 성숙에 따라 계속 상승하는 변화를 보였으며, 수확시의 pH는 3.1∼3.4의 범위였다. Total acidity는 점차적으로 감소하여 berry의 성숙 초기 2.7∼3.2 g/100 ㎖에서 수확기에는 0.6∼0.9 g/100 ㎖까지 감소하였다. 환원당은 포도의 성숙에 따라 증가하여 수확기에는 13.5∼15.0 g/100 ㎖ 범위였다. Tannin은 berry의 성숙 초기에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이후로는 감소 폭이 둔화되어 수확시에는 22∼38㎎/100 ㎖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The chemical components some grape berry(Vitis vinifera) varieties were analyzed during their maturation period from August to September in 1997. pH increased gradually during maturation period of grape berries, and it reached 3.1 to 3.4 at harvest. Total acidity reduced by degrees during the maturation : it was 2.7∼3.2 g/100 ㎖ at the initial time of maturation, but 0.6∼0.9 g/100 ㎖ at the time of harvest. Content of reducing sugar increased during maturation of grape berries, and its contents at harvest was in the range of 13.5 g/100 ㎖ to 15.0 g/100 ㎖. Tannin reduced rapidly at the initial time of maturation, but its content was in the range of 22 ㎎/100 ㎖ to 38 ㎎/100 ㎖ at the time of harvest.

      • 백포도주의 저온 안정성

        최진상,이용수,최상도 진주산업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2002 산업과학기술연구소보 Vol.- No.9

        Chilling 기간의 경과에 따라 비록 KHT의 석출은 진행된다 하더라도 pH의 변화는 증가 또는 감소의 어느 한 방향은 아니었다. Potassium 및 tartrate 농도는 KHT 석출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전체양은 일반적인 평균치보다 조금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각 공시재료는 5℃ 이하에서 모두 KHT가 안정하였는데, Chardonnay는 -4℃, White riesling은 0℃, Chenin blanc은 -4℃, Folloe blanc은 5℃ 및 Seibel 9110은 0℃에서 안정하였고, 그 결과는 25일째 분석한 것이었다. 포도주 주질의 향상을 위하여 CP 단위의 적용이 좋은 관리지표가 되었다. Changes in pH that although eduction of KHT being progressed did not showed only one direction of increase or decrease. Concentration of potassium and tartrate was decrease according to eduction of KHT, but the total content showed slightly lower than average value. All the value of KHT were stable below at 5℃, and Chardonnay was stable at -4℃, White riesling at 0℃, Chenin blanc at -4℃, Folloe blanc at 5℃ and Seibel 9110 at 0℃ in each, and all the results were analyzed at 25 day. In order to increase the quality of white wine, the application of CP unit should be good control point of wine.

      • 五倍子 抽出物의 Linoleic acid에 대한 抗酸化 效科

        崔相道,姜君中,朱玉守,崔震相,南相海 진주산업대학교 농업기술연구소 1997 農業技術硏究所報 Vol.10 No.-

        인체에 무해한 천연식품보존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64종의 생약을 수집하여 각 생약 추출물의 60% linoleic acid에 대한 POV로서 항산화력을 측정해 보았으며, 효과가 비교적 강하게 나타나는 五倍子 MeOH 추출물을 몇종의 극성이 다른 용매를 이용하여 성분의 극성별로 분획하여 저장기간별 POV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64종의 생약 MeOH 추출물 중 17종의 생약에서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그 중에서 五倍子 및 꿀하고 초의 MeOH 추출물은 BHA나 BHT와 비슷한 정도의 항산화력을 나타내었고, 대조군에 비해서는 POV가 80meq/kg,oil에 도달하는 유도기간이 3.5배 정도 연장되었다. 2. 五倍子 MeOH 추출물의 용매분획물의 항산화력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물분획을 제외한 모든 분획에서 비교적 약한 항산화효과가 나타났으며, 물분획에서는 비교적 강한 항산화력을 보였다. To develop the natural food preservation agents which have non-toxicity for human, sixty-four species of medicinal herbs were collected around the Ji-ri mountain, and tested antioxidative effect on 60% linoleic acid solution. Among the tested MeOH extracts in each herbs, seventeen extracts containing G. chinensis had the activities of antioxidation on 60% linoleic acid solution. In the test of POV changes on solvent fractions of MeOH extracts in G. chinensis and storage periods, all solvent fractions except aqueous layer showed weakly activities of antioxidation, but aqueous layer showed strong antioxidative effect, comparatively.

      • 苦蒙 抽出物의 抗菌效果

        崔相道,姜君中,朱玉守,崔震相,南相海 진주산업대학교 농업기술연구소 1997 農業技術硏究所報 Vol.10 No.-

        생약에서 천연항균활성물질을 찾아 인체에 무해한 천연식품보존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수종의 야생생약을 수집하여 각 생약추출물을 5종의 미생물에 대한 항균성을 측정해 보았으며, 그 중에서 항균력이 비교적 강하게 나타나는 苦蔘에 대하여는 MeOH추출물을 극성이 다른 수종의 용매를 이용하여 분획하여, 용매분획별 항균력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苦蔘을 비롯한 4종의 생약 MeOH 추출물중에서 5종의 bacteria에 대하여 모두 항균활성을 나타낸 것은 苦蔘과 黃芩이었으며, 특히 苦蔘은 다른 생약에 비하여 매우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2. 苦蔘의 MeOH 추출물의 용매분획에서도 n-butanol과 water layer에서만 V. parahaemolyticus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실험에 사용한 모든 미생물에 대하여 대부분의 용매분획에서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3. 苦蔘의 추출물에서 나타난 항균활성 유효물질은 단일물질 보다는 여러 종류의 물질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낸 것으로 보여진다. In order to find the natural preservation agents of food from wild medicinal herbs which have not toxicity for human, several species of wild medicinal herbs were collected around the Ji-ri mountain, and teste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 aureus, B. subtilis, E. coli, S. typhimurium and V. parahaemolyticus. Among the tested MeOH extracts in each wild herbs, S. flavescens had the strong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all tested microorganisms, comparatively. In the test of solvent fractions separated from S. flavescens MeOH extracts, major parts of the solvent fractions against all microorganisms showed strong activities, but n-butanol fraction and water layer against V. parahaemolyticus had not antibacterial activities.

      • Production of Curdlan-Type Exopolysaccharide from Sucrose by Batch Fermentation of Agrobacterium species

        Seo, Weon-Taek,Choi, Jine-Shang,Joo, Ok-Soo,Nam, Sang-Hae,Kahng, Goon-Gjung,Choi, Sang-Do 진주산업대학교 1997 論文集 Vol.36 No.-

        Agrobacterium sp. ATCC 31750으로 부터 glucose가 베타-1,3 결합으로 연결된 미생물 균체외 다당인 curdlan 생산에 관한 연구를 수행 하였다. 탄소원과 질소원으로서 각각 sucrose와 ammonium chloride로 구성된 curdlan 생산 최적배지가 개발 되었다. 실험실 규모의 발효조에서 최적 가동 조건은 pH 조절없이 교반속도 400rpm, 통기량 0.5 vvm이었으며, 96 시간 배양시 54 g/l의 curdlan을 대당수율 52%로 생산할 수 있었다. Production of curdlan-type exopolysaccharide, a microbial polysaccharide composed of β-1,3-linked glucose, by Agrobacterium ATCC 31750 was studied. The fermentation medium was optimized for cell growth and curdlan-type exopolysaccharied production. Sucrose and ammonium chloride were found to be the most efficient carbon and nitrogen sources, respectively, for the production of curdlan-type exopolysaccharide. Optimal agitation speed and aeration rate in a bench-top jar fermenter were found to be 400 rpm and 0.5 vvm, respectively. The pH control was not necessary. As a results, 54 g/l of curdlan-type exopolysaccharide with an yield of 0.52 g/g sucrose was obtained after 96 h of batch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