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파종기에 따른 사료용 피의 생육, 수량 및 사료가치에 관한 연구

        이정준,김정곤,성병,송태화,박태선,Lee, Jung-Joon,Kim, Jung-Gon,Sung, Byung-Ryul,Song, Tae-Hwa,Park, Tae-Sun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3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3 No.4

        본 연구는 생태형을 달리한 사료용 피를 이용해서 파종기를 5월 1일부터 10일 간격으로 6회 파종하여 생육, 사료 수량 및 사료가치를 경기도 수원 지방에서 검토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조생종 피의 초장은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작아졌고, 수장은 파종기에 따른 변화가 크지 않았다. 조생종피의 조사료 건물수량은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중부지방에서 조생종 피의 최대 건물수량을 얻기 위해서는 5월 1일까지는 파종기를 빨리하는 것이 유리하며, 안전한 조사료 수량을 얻기 위해서는 6월 1일 이전에 파종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생종 피의 초장은 파종기가 빠르거나, 너무 늦어지면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수장 역시 초장과 같은 경향을 보였다. 만생종 피의 조사료 건물수량은 파종기가 빠르거나, 너무 늦은 경우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만생종의 경우에 최대수량을 얻기 위해서는 5월 21일경에 파종을 하고, 안정된 수량을 얻기 위해서는 6월 1일 이전에 파종을 해야 한다. 조생종 피는 빨리 파종할수록 조사료 수량이 높아지고, 만생종 피는 5월 21일경에 파종할 때 가장 수량이 높아 두 생태형 간의 차이를 보였으나, 절대적 수량은 만생종 피가 어느 파종기에서나 조생종 피에 비해 수량이 높아 실제 재배적 측면에서는 만생종 피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생종 피의 조단백 함량은 파종기가 늦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ADF 함량과 NDF 함량은 파종기의 차이에 따른 변화가 적었다. 만생종 피의 조단백 함량도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증가하였으며 ADF 함량과 NDF 함량의 경우에는 조생종 피의 경우와 같은 경향을 보였다. TDN 수량은 조사료 건물수량과 동일한 경향을 보여 조생종 피는 파종기가 빠를수록, 만생종 피는 5월 21일경의 파종에서 가장 수량이 높아 적정 파종기로 판단되며, 두 생태형 모두 6월 1일 이전까지는 파종을 해야 안정적 수량을 얻을 수 있다. 동계 조사료작물을 도입한 작부체계에서는 동계작물의 종류에 따라 연중 최대생산을 얻을 수 있는 하계 사료피의 생태형과 파종기를 선택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하계사료피+동계사료작물의 작부체계 구축에 파종기별 사료피의 수량성과 사료품질 특성은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se experiments are being conducted to obtain data of plant height, panicle length, heading date, number of culm, and fresh and dry weight, crude protein, acid detergent fiber (ADF), neutral detergent fiber (NDF),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by six times seeding of 10 days interval ranging from May 1st to June 21st for two types of barnyard millet from the Suwon area in Korea. In the early-heading type, IT 170609 (Echinochloa crus-galli), the plant height and the number of culm per square meters are decreased by late seeding relatively, and heading date is 7 to 10 days earlier than the late seeding. And the dry weight of forage is rapidly decreased after the June 11th seeding. In the late-heading type, IT 195422 (Echinochloa frumentacea), the plant height and the number of culm per square meters are also decreased by late seeding relatively, and heading date is about 13 days earlier than late seeding. The dry weight of forage was rapidly decreased after the June 11th seeding. In both two types, the nutritive value of ADF, NDF, and TDN are not changed by late seeding, but crude protein is increased by late seeding. The TDN yields of late-heading type, IT 195400, show average amounts in the June 1st seeding, but the TDN yield of early-heading type, IT 170606, indicate safety amounts of dry weight to the March 21st seeding. And these data are available for cropping systems, cultivating barnyard millet in summer and cereals for forage in winter, to get high production of forage in Korea.

      • KCI등재후보

        小麥品種育成 方法에 關한 硏究 第1報 實驗誤差, 品種, 環境 및 品種×環境의 分散 成分 比較와 地域 및 反復數 推定

        Don Jae Maeng(孟敦在),Kyu Yong Chung(鄭奎鎔),Jong Jin Hwang(黃鍾珍),Byung Ryul Sung(成炳列) 한국육종학회 1985 한국육종학회지 Vol.17 No.2

        Eleven wheat lines were grown at 6 locations for 2 years to analyze the variance components of error, genotype, genotype-location, genotype-year and genotype-location-year, and to estimate their implication for the optimum number of replications and locations, explaining the interpretation of appropriate parameters related to biometrics. In analyses of variance for grain yield and its components, there were non-significant in location and year, but highly singificant in genotypes. As far as G-E interactions are concerned, there showed significant variations, especially indicating the higher significance for 2nd order interaction rather than 1st order. Mean square expectations such as σ²gsy, σ²gy, σ²gs and σ² were computed by subtraction of pooled mean squares, and variance of mean for a genotype(σ²/p) and environmental variance(σ²/g) were obtained from these mean square expectations. Among the variance components for G E interaction, there appeared highest variation in σ²gsy, which would be desirable for plant improvement. Thus, σ²e and σ²gsy, were more important than that of σ²gs and σ²gy because of their implication for estimation of optimum number of replications and locations. It was more suitable to be grown at 6 locations with 2 replications for this experiment, thus indicating that increase of locations would be much more important than that of replications. However, estimate of number of years should be conducted upon basis of gain from selection(Gs) relating to selection intensty and heritability as well as long and short term sele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