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교사자율성과 교사헌신 및 NCS 교육과정 개발의 인과적 관계

        방미란 ( Phang Miran ),김인곤 ( Kim Ingon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7 교육과정연구 Vol.3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교사자율성과 교사헌신 및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교육과정 개발의 관계를 구명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교사자율성과 교사헌신 및 NCS 교육과정 개발 간의 상관관계를 구명하고자 Pearson의 상관계수를 분석하였으며, 세 변수간의 가설적 경로모형의 적합도 검증과 인과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공분산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표본은 우리나라 17개 시·도와 학교소재지에 따라 할당표집 방법을 사용하여 특성화고등학교 50개교 450명의 교사로 하였다. 설문조사 기간 및 수집은 2017년 7월 10일부터 7월 31일까지 381부(87.5%)였다. 모든 자료는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교사자율성의 수준은 3.77, 교사헌신의 수준은 3.84, NCS 교육과정 개발의 수준은 3.71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 있어서 이론 모형의 적합도는 매우 양호하였다. 셋째, 세 변인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넷째, 교사자율성이 교사헌신에 미치는 영향보다 NCS 교육과정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사자율성은 NCS 교육과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또한 교사헌신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utonomy, teacher commitment and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curriculum development. In this stud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analyz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eacher autonomy, teacher commitment and NCS curriculum development, as perceived by specialized high school teachers. A covariance structure equ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it and causality of hypothetical path models among the three variables. The sample was selected as 450 teachers from 50 specialized high schools by using the allocation sampling method according to the 17 cities and provinces and school locations. The survey period and collection were 381 copies (87.5%) from July 10, 2017 to July 31, 2017. All data were analyzed by SPSS 23.0 and AMOS 23.0 programs. The level of teacher autonomy was 3.77, the level of teacher commitment was 3.84, and the level of development of the NCS curriculum was 3.71. The fit of the theoretical model was very good in this study,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three variables. The study revealed that teacher autonomy had a greater effect on the NCS curriculum than teacher commitment. Further, teacher autonomy had a direct impact on the NCS curriculum, and also an indirect one through teacher commitment.

      • KCI등재

        전문대학교 학생의 창의융합역량 신장을 위한 교육요구 분석

        김인곤 ( Ingon Kim ),방미란 ( Miran Pha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22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교 학생들의 창의융합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를 분석하는데 있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교 학생들의 창의융합역량에 대한 중요성 인식수준은 융합적 사고(3.92), 융합적 가치 창출(3.87), 창의적 리더십(3.86), 창의적 성격(3.83), 창의적 능력(3.81)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문대학교 학생들의 창의융합역량에 대한 실제 수행수준은 대체로 높지 않은 보통 수준인데, 융합적 사고와 창의적 능력은 다른 영역에 비해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문대학교 학생들의 창의융합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는 모든 영역(2.25)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특성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전체적으로 융합적 사고(2.71)에 대한 교육요구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전문대학교 학생들의 창의융합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과정 개선 방안을 제언하였고, 중요도에 비해 실행 수준이 낮은 영역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활동의 개선 및 정책 지원 사항 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needs for creativity confluence competency of junior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confluence competency of junior college students was in the order of confluent thinking(3.92), confluent value creation(3.87), creative leadership(3.86), creative personality(3.83), and creative ability(3.81). Second, the actual performance level of the creativity confluence competency of junior college students is generally not high, but confluent thinking and creative ability are somewhat lower than other area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educational needs for creativity confluence competency of junior college students was high in all areas(2.25). Al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ces depending on personal characteristics, overall, the educational needs for confluent thinking(2.71) was found to be the highes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ways for curriculum improvement to enhance the creativity confluence competency of junior college students and improvement of educational activities and policy support to strengthen the competency in areas with lower levels of implementation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