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운동생리학 : 종목별 운동 선수들의 혈중 GPX, GR 활성과 과산화지질에 관한 연구

        김승환(SeungHwanKim),장명재(MyoungJeiChang) 한국체육학회 2001 한국체육학회지 Vol.40 No.3

        본 연구의 유산소성 구기 종목 중 하계 스포츠인 야구 8명 동계 스포츠인 아이스하키 8명 그리고 투기 종목인 태권도 8명의 선수집단을 대상으로 안정시, 점증부하 최대운동 직후 그리고 회복기의 혈중 GPX, GR의 활성도와 MDA의 생성량 변화를 측정하여 종목별 운동선수들간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아래와 같았다.1. GPX 활성도는 운동 종목 및 자극 조건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안정시 및 운동직후에는 아이스하키선수집단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운동 후 회복 10분에서는 태권도선수집단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2. GR 활성도는 변화는 운동 종목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자극 조건간에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3. MDA농도는 자극 조건간에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으며, 종목간에는 운동직후에서만 야구선수집단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점증 부하 최대 운동은 MDA와 급격한 증가를 일으켜 산소 유리기의 증가에 따른 항산화효소 작용의 보상 작용이 인체 내에서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운동 종목간의 항산화효소 작용은 운동 형태 및 운동 강도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항산화효소의 연구결과는 연구자들마다 다소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보다 명확한 결론을 얻기 위해서는 동일분야에 앞으로도 지속적인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activity status of antioxidant enzymes and concentration of malondialdehyde in athletics. For this purpose, baseball, ice-hockey and taekwondo players were picked up to be tested to a treadmill running from rest until their entire physical exhaustion. Subject` blood was collected to be examined before, immediately after, 10 and 30 minutes after the exercis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1. Different activity status of glutathione peroxidase was observed in each group and on each different phase : before, immediately after, 10 and 30 minutes after exercise. It was found that in the time course of changes in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ice-hockey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than other two groups, but 10 minutes after exercise, taekwondo group showed slightly higher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than other two groups.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glutathione reductase activity in each group and on each different phase.3. Different concentration status of malondialdehyde was also observed in each group and on each different phase. However, 10 minutes after exercise, the baseball group showed higher concentration of malondialdehyde than other two groups.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different degree of antioxidant status exist in each group trained with baseball, ice-hockey and taekwondo, measured by the method of treadmill exercise.

      • KCI등재

        자연과학편 : 남ㆍ녀 대학운동선수의 스포츠기능성보조제 섭취실태 분석

        김승환(SeungHwanKim),강창균(ChangKyunKang),성순창(SoonChangSung,),이만균(ManGyoonLee) 한국체육학회 2012 한국체육학회지 Vol.5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K대학교에 재학 중인 운동선수 231명(남자 190명, 여자 41명)을 대상으로 대학운동선수의 스포츠기능성보조제 섭취 실태를 성별에 따라 비교·분석하는 것이었다. 스포츠기능성보조제의 섭취 여부, 섭취 종류, 섭취 개수, 섭취 목적, 정보획득 경로, 제품구입 경로, 그리고 섭취하지 않는 이유를 설문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성별로 교차분석과 다중응답 분석을 실시하여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여자(78.0%)의 섭취비율이 남자(67.9%)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고, 전체적으로 섭취 비율(69.7%)이 높게 나타났다. 2) 섭취하는 종류는 남자의 경우 홍삼(17.8%), 단백질(11.2%), 종합비타민(11.2%), 한약(7.9%) 등의 순으로, 그리고 여자의 경우 홍삼(12.2%), 종합비타민(12.2%), 크레아틴(9.2%), 동물(8.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3) 3개 이상 섭취하는 비율에서 여자(53.1%)가 남자(14.8%)보다 높아, 여자가 더 많은 개수를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섭취 목적이 피로 회복(28.5%), 건강 증진(27.3%), 경기력 향상(11.1%), 면역력 증강(11.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5) 정보획득 경로는 부모와 가족(53.6%) 및 팀동료와 친구(20.5%)가 높았고, 감독과 코치(7.2%)는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현재 성별과 무관하게 많은 수의 운동선수들이 스포츠기능성보조제를 섭취하고 있고, 그 섭취의 종류와 목적이 매우 다양하지만, 보조제에 대한 정보를 얻는 과정은 비전문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대학운동선수와 지도자를 대상으로 스포츠기능성보조제의 종류, 기능 및 적절한 섭취방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ports functional supplement (SFS) patterns between male and female collegiate athletes. Two hundreds thirty one athletes(male, n=190; female, n=41) completed a questionnaire including percentage of intaking SFS, type of SFS, number of SFS, purpose of SFS, source of information on SFS, way to purchase SFS, and reason(s) for not intaking SFS. Main results obtained by chi-square test and multiple response analysis were as follows: 1) The percentages of intaking SFS was 78.0% in female and 67.9% in male. 2) Popular SFSs were red ginseng, protein supplement, multivitamins, oriental supplement, and creatine. 3) The percentages of consuming more than three SFS were 53.1% in female and 14.8% in male. 4) The purpose of intaking SFS was various. 5) Priority source of information on SFS was parents and family members rather than experts. It was concluded that many collegiate athletes do not obtain the information on SFS in a professional way, although high percent of the athletes regardless of gender utilize the SFS. Therefore, education for the type, function, and proper way to intake SFS would be warranted for the collegiate athletes and their coaches.

      • KCI등재

        운동영양학 : 인삼복용시 과산화지질과 총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김승환(SeungHwanKim),장명재(MyoungJeiChang),이성규(SungGyuLee),장완성(WanSungChang),최현희(HyunHeeChoi),성종환(JongHwanSung) 한국체육학회 2003 한국체육학회지 Vol.4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esigned to estimate activation of a Malondialdehyde(MDA) and total antioxidant status(TAS) in human by administration the ginseng for eight weeks. For this purpose, K college students(n=7) was to be tested to a treadmill runing from rest until their entire physical exhaustion. Subject`blood was collected before, immediately after, 10 and 30 minutes after the exercise to be exa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1. Malondialdehyde(MDA)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before.2. Total antioxidant status(TA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before, Particularly TAS(total antioxidant status) were higher than before that in all-out time.In conclusion, the ginseng was decreased that oxydative stress in all-out time. Therefore, Ginseng was effected by Antioxidants.

      • KCI등재

        자연과학편 : 유산소운동 트레이닝의 강도가 비만 중년여성의 신체구성, 과산화지질 및 항산화 효소에 미치는 영향

        성순창(SoonChangSung),김승환(SeungHwanKim),이만균(ManGyoonLee) 한국체육학회 2011 한국체육학회지 Vol.5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산소운동 트레이닝의 강도가 비만 중년여성의 신체구성, 과산화지질, 그리고 항산화 효소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고강도 트레이닝 집단(7명)은 VO<sub>2</sub>max의 70%로 일회 42.87분간, 저강도 트레이닝 집단(7명)은 VO<sub>2</sub>max의 50%로 일회 72.88분간, 주 3~5회, 14주간 유산소운동 트레이닝을 실시하였고, 통제 집단(7명)은 동일한 처치기간 동안 일상생활을 유지하였다. 처치 전과 후에 종속변인을 측정하여 집단 간, 그리고 검사 간에 비교하여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고강도 트레이닝 집단의 체중, BMI, 그리고 체지방량이 유의하게 감소된 반면, 저강도 트레이닝 집단의 경우 관련된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2) MDA는 고강도 트레이닝 집단과 저강도 트레이닝 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3) GPx의 활성도는 모든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SOD는 고강도 트레이닝 집단과 저강도 트레이닝 집단에서만 유의하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CAT는 고강도 트레이닝 집단에서만 유의하게 증가된 반면, 저강도 트레이닝 집단과 통제 집단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에서 기술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유산소운동 트레이닝에 의하여 강도에 관계없이 MDA가 감소되고 SOD가 증가되었지만, 고강도 트레이닝 집단에서만 체지방이 감소되고 CAT 활성도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나 고강도 트레이닝이 저강도 트레이닝에 비하여 비만의 해소와 항산화 시스템의 강화에 보다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ensity of 14 weeks of aerobic exercise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concentration of malondialdehyde(MDA) and activation of antioxidant enzymes in middle aged women. Twenty-one inactive healthy obese females (mean BMI=26.7), aged 30-49, were divided into one of three groups, i.e., high intensity training group (HTG: jogging at 70%VO<sub>2</sub>max, n=7), low intensity training group (LTG: walking at 50%VO<sub>2</sub>max, n=7), and control group (CON, n=7). Equal amount of exercise was given to both training groups. Repeated two-way ANOVA and proper post hoc test were performed to find difference of means between two tests and among three groups. Main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Weight, BMI, and fat mass (P<.05)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HTG, but not in LTG and CON. 2) The concentration of MDA significantly decreased in HTG and LTG, but not in CON. 3) Glutathione peroxidase (GPx)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in all groups. Superoxide dismutase (SOD) increased significantly in HTG and LTG, but not in CON. Catalase (CAT) increased significantly in HTG, but not in LTG and CON. It was concluded that high intensity exercise training had greater antioxidant effects compared to low intensity exercise training.

      • KCI등재

        배드민턴 동호인의 운동경력에 따른 근력, 골밀도, 근육량 및 자세관련 변인에 미치는 영향

        성순창(SoonChangSung),최윤진(YounJinChoi),김승환(SeungHwanKim),이만균(ManGyoonLee) 한국체육학회 2011 한국체육학회지 Vol.5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배드민턴 동호인의 운동경력에 따른 근력, 골밀도, 근육량, 그리고 자세관련 변인의 차이를 규명하는 것이었다. 생활체육 배드민턴 동호인 활동에 참여하는 24~57세의 남녀 87명을 운동경력에 따라 세 집단(통제 집단, 1~3년 집단, 4~7년 집단)으로 구분한 후 악력, 골밀도, 근육량, 그리고 척추와 골반의 형태를 집단 간에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통제 집단은 악력의 좌우측 차이가 다른 두 집단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2) 상지 골밀도의 좌우측 차이와 하지 골밀도의 좌우측 차이가 4~7년 집단, 1~3년 집단, 그리고 통제 집단 순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상지 근육량의 좌우측 차이, 하지 근육량, 그리고 하지 근육량의 좌우측 차이에서 4~7년 집단과 1~3년 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4) 4~7년 집단의 골반 기울기 길이가 다른 두 집단에 비하여 유의하게 길게 나타났고, 통제 집단의 척추 측만곡이 다른 두 집단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규칙적인 배드민턴 참여에 따라 하지 골밀도와 근육량이 증가되는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지만, 반면 운동경력이 증가할수록 악력의 좌우측 차이, 상·하지 골밀도의 좌우측 차이, 상·하지 근육량의 좌우측 차이가 커지고, 골반 기울기 길이와 척추 측만곡이 증가되어 결과적으로 자세에 부정적인 영향이 나타나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따라서 생활체육으로서 배드민턴 동호인 활동에 참여하는 경우 바른 체형 교정을 위한 보조운동을 적극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e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muscular strength, bone mineral density (BMD), lean body mass (LBM), and posture-related variables by exercise career of 87 badminton club members, aged 24-57.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i.e., control group, 1-3 yrs group, and 4-7 yrs group, according to badminton career. Dependent variables were measured and compared among three groups.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Difference in grip strength between right and left was significantly lower in control group than other two groups. 2) Differences in BMD between right and left of upper and lower extremities were highest in 4-7 yrs group and lowest in control group. 3) Differences in LBM between right and left of upper and lower extremit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4-7 yrs group and 1-3 yrs group than control group. 4) Pelvic til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4-7 yrs group than other two groups. Lateral deviation of vertebra was significantly lower in control group than other two groups. It was concluded that positive effects such as increment of BMD and LBM were shown by long-term and regular participation to badminton; however, negative effects such as unbalance in posture were shown by the participation to badminton. Therefore, corrective exercise for posture should be performed by badminton club members.

      • KCI등재

        운동생리학 : 다양한 당원지수의 탄수화물 섭취가 지구성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수련(SuRyunJung),박신우(SinWooPark),김승환(SeungHwanKim),강호율(HoYoulKang) 한국체육학회 2004 한국체육학회지 Vol.43 No.4

        The purpose of this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various glycemic diets on endurance exercise performance. The eight healthy college students volunteered for this study (Height: 174.9±2.1 cm, Body weight: 70.0±2.2 kg, O2max: 46.2±2.7 ml/kg/min). After a 12-hour fasting, subjects were exercised at 65% of maximum oxygen uptake (O2max) for depletion of the muscle glycogen and then they drunk beverage and took a rest for 60 minutes. After that, subjects cycled at 75% of maximum oxygen uptake to exhaustion. Meals consisted of 1.5g/kg body weight of either Glucose (Glc, GI=99) or Sucrose (Suc, GI=60) or Starch (Sta, GI=15) or Water (CON). The amount of the each beverage was 500 ml and its temperature keep in cool condition (≒ 2~5 ℃). The four kinds of beverage were ingested in random order and the spans between each beverage were over seven days. Ingestion of Glc and Suc resulted in significantly high plasma glucose and insulin concentrations in comparison with the ingestion of the Sta and CON during 1 hour after ingesting beverage. Glc, Suc and Sta showed more prolonged time to exhaustion compared with CON. Ingestion of Suc resulted in significantly high plasma lactate concentrations in comparison with the ingestion of the Glc, Sta and CON during 1 hour after ingesting beverage.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cortisol, heart rate and RP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no effect of glycemic index on endurance exercise performance.

      • KCI등재

        냉치료가 등속성 수축 후의 지연성 근통증 관련 변인과 체력에 미치는 영향

        이만균(ManGyoonLee),엄지수(JiSooEum),성순창(SoonChangSung),김승환(SeungHwanKim) 한국체육학회 2008 한국체육학회지 Vol.47 No.5

        등속성 수축의 경우, 등장성 수축과 달리 단축성 수축 후에 지연성 근통증이 유의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등속성 수축 후 나타난 DOMS에 대한 냉치료의 효과를 밝히는 연구가 매우 미흡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냉치료가 등속성 수축 후의 DOMS 관련 변인과 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20대 남자 9명을 대상으로, 한 쪽 하지로 등속성 수축을 실시하도록 하여 근통증을 유발시킨 후, 냉치료 처치에서는 운동 후 3일에 걸쳐 하지에 매일 15분씩 냉치료를 실시하였고, 14일 간격으로 실시된 통제 처치에서는 동일한 기간 동안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모든 피검자는 이 두 가지 처치의 실험에 반복적으로 참여하였다. 두 처치 기간 중 운동 전, 운동 후 24시간, 48시간, 그리고 72시간 시점에서 DOMS와 관련된 변인인 CPK와 통증 자각도, 그리고 체력과 관련된 변인인 무릎관절의 ROM과 한발 제자리멀리뛰기를 측정하여, 두 처치 간·네 시점 간에 비교하였다. CPK는 냉치료 처치 후 통제 처치에 비하여 더 빠르게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통증 자각도는 두 처치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냉치료는 무릎관절 ROM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한발 제자리멀리뛰기 기록은 냉치료 처치 후에 유의하게 빠르게 회복되었다. 결론적으로, 등속성 수축에 따라 유발된 DOMS가 냉치료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완화된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ryotherapy on variables related to delayed onset of muscle soreness (DOMS) and physical fitness occurred after isokinetic exercise. Nine male subjects, aged 24.0±0.72 yrs, underwent two sets of experiments, such as cryotherapy trial and control trial, repeatedly according to counterbalanced order. Each subject performed isokinetic exercise using concentric contraction, followed by cryotherapy at lower extremities for 15 minutes for following three days in the cryotherapy trial, and no treatment was applied in the control trial. Before the exercise, 24 hrs, 48 hrs, and 72 hrs after the exercise, the variables related to DOMS, i.e., CPK and soreness rating scale, and the variables related to physical fitness, i.e., ROM at knee joint and long jump with one leg standing, were measured. The data of the two trials were compared utilizing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CPK was tended to be lower in the cryotherapy test than the control test from 48 hrs after exercise. 2) Soreness rating was significantly lower in cryotherapy test than control test at 72 hrs after the exercise. 3) Long jump with one leg standing of the cryotherapy test increased more than the control test at 72 hrs after the exercise. It was concluded that the cryotherapy was beneficial to relieve DOMS and to maintain the physical fitness after isokinetic and concentric exercise.

      • KCI등재

        자연과학편 : 건강체조 운동프로그램이 농촌 노인 여성의 신체조성, 혈압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이상민(SangMinYi),서충진(ChungJinShoe),김명진(MyungJinKim),김승환(SeungHwanKim) 한국체육학회 2006 한국체육학회지 Vol.45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 현실에 입각하여 운동의 숙련성이 필요치 않으며, 운동지도자의 부재 및 계절과 장소에 구속받지 않고 각 마을의 경로당이나 마을회관과 같은 소규모 장소에서 지속적으로 할 수 있는 12주간의 건강체조 운동프로그램이 농촌 노인 여성의 신체조성 및 혈중지질과 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충북 Y군에 거주하는 60세에서 79세까지 여성노인 256명(67.90±5.17세)으로서 자발적 참여 의사를 표명하고 측정 장소까지 스스로 이동이 가능하며 임상적으로 운동 실시가 가능한 대상자로 12주간 건강체조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운동전·후의 혈중지질 및 신체조성, 그리고 혈압의 변화를 검사와 측정을 실시하였다. 12주간의 건강체조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신체조성에는 긍정적 효과를 미치지 못하였으나, 혈압의 수축기혈압과 이완기 혈압이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를 하였으며, 혈중지질의 경우 TG와 HDL-C에 긍정적 효과를 보여 주었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의 구성과 강도가 농촌 여성 노인의 만성 질환인 혈압과 고지혈증의 변인에 긍정적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울러 이를 통하여 농촌 노인들의 건강관리 자조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운동 프로그램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gure out the variation of the body composition, blood pressure and serum lipid living in the rural elderly women by health calisthenics exercise program. The subject of the study were 256 elderly woman 60 year to 79 years(67.90±5.17세) ware divided 4 groups by each 5 years. This procedure is 2×2 factorial designed on the last factor. For comparison among groups two-way ANOVA on the measured on the last factor was used. The result of test revealed that the effect of the health calisthenics program, which includes body composition was statistically nonsignificant between pre and post test. In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were significantly decreases between pre and post test. In serum lipid especially triglyceride and HDL-C ware significantly decrease(p<0.5). As a conclusion, health calisthenics program has the effect of the blood pressure and blood profile in elderly women. This suggest that elderly women living in rural community need exercise programs aspects in order to improve health statue and self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