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멧돼지 생식후 발생한 선모충증의 가족 내 집단발생사례

        김에스더,편래현,박지한,김강호,최일,박홍훈,이용희,용태순,홍성관 대한감염학회 2003 감염과 화학요법 Vol.35 No.3

        선모충증은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는 기생충 인수공통감염의 한로 선모충의 유충에 감염된 육류를 덜 익혀 섭식시 발생하며 감염 초기에 설사, 복통의 증상이 나타나며 후기에 유충의 체내 이행으로 발열, 근염, 안검 부종 등이 동반된다. 확진은 근육 생검을 하여 피포 유충을 확인하는 것이고 최근에는 특이 항체를 측정하거나 유전자 검사와 같은 다양한 검사가 시도되고 있다. 저자 등은 4명의 한 가족이 야생 멧돼지를 생식한 후 선모충증의 전형적인 임상 증상 및 검사 소견을 보인 가족 내 집단발생사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richinosis is a worldwide parasitic infection caused by ingesting an uncooked raw meat containing viable larvae of nematode Trichinella. Although most cases have been reported in Western countries, the incidence has decreased due to strict control of meat handlings and improved hygiene in these countries. In Korea, the first case of Trichinella spiralis was reported in a patient who ingested an uncooked badger. We have also experienced four cases of Trichinella spiralis infestation among family members who showed typical clinical manifestations and laboratory findings after ingesting raw wild swine meat, and herein report the finding.

      • Current Status of Major Topical Endemic Diseases

        Yong, Tae-Soon,Lee, Keun-Tae,Ryu, jae-Sook,Soh, Chin-Thack,Myung, Choon-OK,Kim, Jae-JIn,Im, Kyung-Il,Kim, Tae-Woo INSTITUTE OF TROPICAL MEDICINE YONSEI UNIVERSITY 1986 YONSEI REPORTS ON TROPICAL MEDICINE Vol.17 No.1

        열대성 풍토병, 즉 말라리아, 주혈흡충증, 사상충증, 리슈마니아층, 트리파노소마증등은 현재까지도 인간에게 고통과 혹은 죽음을 가져오게 하는 중요 기생충성질환이다. 오늘날에도 국제적인 교류의 증대로 인하여 어떤 지역의 풍토병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지역에 살던 사람에게도 문제시 되게 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이러한 열대병들이 세계적으로 어떤 분포 상황을 하고 있는지 문헌을 고찰하여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말라리아는 아프리카 대륙과 중앙아시아, 동남아시아, 중남미 등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분포하며 전 세계 인구의 절반 정도가 그 유행지역에 살고 있다. 주혈흡충증은 3가지로 나뉘어 지는데 빌하르쯔주혈흡충증은 아프리카, 중동에 만손주혈흡충증은 아프리카와 남미에 그리고 일본주혈흡충증은 극동에 분포한다. 전 세계적으로 약 3역의 감염자가 있다. 사상충증 중에서 반크롭트사상충증은 아프리카, 중남미, 지중해 연안, 중동, 인도, 동남아시아, 태평양 군도에 많으며 말레이시아상충증은 극동과 동남아시아에 만연되어있다. 회선사상충증은 아프리카와 중남미 일부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사상충증은 세계적으로 약 2억의 감염자가 있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리슈마니아증의 유행지역은 피부리슈마니아증의 경우 중남미, 중동, 지중해 연안국들이며, Kala azar는 인도, 만주, 지중해연안, 아프리카 동서부 지역, 브라질 등에 분포한다. 남미에는 브라질리슈마니아증, 멕시코리슈마니아증 등이 있다. 수면병을 일으키는 트리파노소마는 아프리카에 국한되어 있고, 중남미는 T. cruzi의 유행지역이다. 현재 이러한 중대한 열대병들에 노출되는 사람들에 대한 교육 및 예방책이 긴요한 실정이며, 또한 이러한 질병들의 유입, 유행을 방지하기 위한 국가적인 대책과 노력이 요구된다.

      • Study on the Reproducibility of ELISA Technique for the Diagnosis of Clonorchiasis and Paragonimiasis

        Soh,Chin-Thack,Min,Duk-Young,Ryu,Jae-Sook,Yong,Tae-Soon INSTITUTE OF TROPICAL MEDICINE YONSEI UNIVERSITY 1985 YONSEI REPORTS ON TROPICAL MEDICINE Vol.16 No.1

        폐흡충증(pulmonary paragonimiasis)과 간흡충증(clonorchiasis)은 우리나라에 토착된 주요 기생충질환으로 전국에 만연되어 있어 폐흡충감염은 대략 50만명, 그리고 간흡충간염은 200만명이상으로 추산되고 있다. 개인위생이나 생활환경의 개선, 식생활의 개선, 적절한 구충제의 개발, 교육, 홍보활동에도 불구하고 폐흡충 및 간흡충의 감염율은 아직도 높아 커다란 국민보건문제로 인식되고 있어 다각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이들 기생충감염에 대한 역학적 조사연구를 위한 적절한 진단방법이 개발되어 있지 않다. 폐흡충감염의 경우 환자의 객담에서, 간흡충간염의 경우 대변에서 그 충란을 검출함으로써 확진이 가능하나, 많은 인원을 대상으로 하는 역학조사의 경우 재료의 수집이나 운반, 검사과정이 간단치않아 부적합하여 의료기관이나 연구실에서 소수를 대상으로 이용되고 있을 뿐이다. 국내 의료계의 일부에서는 피내반응검사(皮內反應檢査)를 흔히 이용하고 있으나 특이성(特異性, specificity)이나 감수성(感受性, sensitivity)이 낮아 위양성(僞陽性) 반응이 많으며, 완치후에도 오랫동안 위양성반응을 보여 역학조사시 참고적으로 이용되고 있을 뿐이어서 새로운 진단방법의 개발이 절실하다. 근래에 소개된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는 여러 감염질환을 진단하는데 특이성, 감수성 및 재현성(再現性, reproducibility)이 우수하여 임상 및 역학적 조사연구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도 표준화되어 있지 않다. ELISA 법은 항원(抗原)에 인체체액내 항체(抗體)를 반응시켜 항원-항체복합체를 이루게 하고 여기에 효소가 표지된 항체를 첨가하여 항원-항체-효소표지항체복합체를 형성케하고 효소의 기질용액을 첨가하여 수용성반응(soluble reaction)을 일으키게 하여 용액의 색체변화에 따른 광학적 강도(optical density)를 객관적인 흡수량(absorbance)으로 표기하는 것으로 강도가 높을수록 체액내의 항체 또는 항원의 수준이 높음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폐흡충 또는 간흡충간염의 만연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피내반응검사, 객담검사 대변검사 및 ELISA 법을 시행하여 ELISA 법이 본 생충의 감염 및 치료후의 진단을 위한 역학 조사방법으로써의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폐흡충감염에 대한 피내반응검사는 전남 완도군 노화읍 보길도주민 1,023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중 객담에서 충란이 확인된 19명, 피내반응양성이나 충란음성인자 98명, 치료후 충란음성자 10명, 피내반응 및 충란검사음성자 10명으로부터 혈청을 수집하였다. 간흡충간염에 대한 피내반응검사는 전북 옥구군 대야면 광교리 주민 24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충란양성자 68명, 피내반응양성이고 충란음성자 14명, 피내반응 및 충란검사음성자 10명, 치료후 충란음성자 31명으로부터 혈청을 수집하여 ELISA 법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폐흡충증 ㄱ. 피내반응양성율은 25.4%(1,023명중 260명)이었고 피내반응 양성자 및 의심이 가는 366명중 객담에서 충란, 검출된 사람은 19명(5.2%)뿐이었다. ㄴ. 폐흡충증환자의 ELISA 값은 1.20±0.43으로 피내반응양성이며 충란음성인자(0.21±0.18)나 건강인(0.06±0.05)에 비해 현저히 높았으며 (p<0.005), 이 검사의 감수성은 94.7%, 특이성은 100%이었다. ㄷ. 1년전에 치료를 받은 사람에서 ELISA 값은 0.9±0.47로 치료전(1.20±0.43)보다 낮았다(0.1>p>0.5). 2. 간흡충증 ㄱ. 피내반응양성율은 38.2%(246명중 94명)이었으며 대변내 충란양성율은 27.3%(298명중 80명)로 피내반응 양성율이 충란양성율보다 높았다. ㄴ. 충란양성자의 ELISA 값은 0.62±0.30으로 건강인(0.11±0.04)보다 높았고(p<0.005), 피내반응양성이고 충란음성인자(0.26±0.10)보다 높았으며(p<0.05), 이 검사법의 감수성은 100%, 특이성은 97.1%이었다. ㄷ. 1년전 치료를 받기 전의 ELISA 값은 0.63±0.25이었으나 치료후에는 0.33±0.16으로 현저히 감소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ELISA 법은 폐흡충감염이나 간흡충감염을 진단하는데 피내반응검사보다 감수성이나 특이성이 매우 높아 임상뿐만 아니라 대량검사를 필요로하는 역학적 조사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또한 질병의 경과나 치유판정에도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Current Status of Malaria in Korea

        Soh,Chin-Thack,Lee,Keun-Tae,Im,Kyung-Il,Min,Duk-Young,Ahn,Myung-Hee,Kim,Jae-Jin,Yong,Tae-Soon INSTITUTE OF TROPICAL MEDICINE YONSEI UNIVERSITY 1985 YONSEI REPORTS ON TROPICAL MEDICINE Vol.16 No.1

        한국내 주요 종합병원 26개소의 병력에 나타난 말라리아 환자를 조사하였다. 1970년을 기점으로 하여 1984년도까지의 병력을 목표로 하였으나 병원에 따라 병력지 보관 상태가 달랐으므로 가능한 연도분부터 총 107명의 말라리아 환자 병력지를 조사할 수 있었다. 1) 총 107예 중 80예는 외국으로부터 감염된 것이었고(외래성) 27예는 국내 감염(내재성)으로 판정되었다. 2) 외래성 말라리아는 아프리카, 중동 및 동남아시아에 근무후 귀국한 해외근로자를 통한 것이었으나 3명의 외국인여행자도 포함되었다. 3) 외래성 말라리아는 대부분이 열대말라리아원충 감염에 의한 것이었으나 일부는 삼일열말라리아 그리고 1예는 난형말라리아원충, 삼일열말라리아원충과의 혼합 감염자였다. 4) 내재성 말라리아는 한국 동북부 출신에서 많았으나 서남부지역에서도 1예가 나타났으나 1973년도 발생예였다. 기생충학적으로 증명된 전례가 삼일열원충이었다. 5) 외래성 말라리아는 1970년이후 증가하는 추세였고 내재성 말라리아는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1984년도는 강원도에 주소를 둔 두 사람에게서만 증명되었다. 6) 외래성 말라리아는 20∼50세 남성에서 대부분이 증명되었으나 내재성은 성별 및 연별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