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음공부 연구를 위한 전자문화지도 설계에 관한 연구

        김은진(金恩鎭),백현기(白顯基)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4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0 No.-

        본 연구는 구글맵 서비스와 마음공부 프로그램과의 매쉬업을 이용해 마음공부 콘텐츠를 제공하고자 설계되었다. 마음공부 연구를 위하여 전자문화지도 적용 방안을 제시하고 세부적으로 마음공부 연구를 위한 전자문화지도를 설계하고자 한 것이다. 마음공부 전자문화지도는 마음공부 정보를 디지털화하여 특정 지역의 지도 위에 나타낸다. 세부적으로 점, 선, 면의 공간 속성을 활용해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으며 시간, 공간(지도), 주제(마음공부) 세 가지 값이 연계된 정보로 활용이 가능하다. 즉, 전자문화지도는 인문 지역 연구를 위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결과물을 전자문화지도를 통해 전시함으로써 연구결과를 확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생성된 전자문화지도를 활용하면 마음공부 연구결과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마음공부 학습 시 학습자에게 다양한 마음공부 정보를 제시하고, 사진자료, 멀티미디어 자료 등을 제공한다. 학습자가 직접 마음공부 정보를 등록,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학습자의 참여로 이루어지는 자기주도적 학습을 유도할 수 있으며, 상호작용이 병행되는 마음공부 학습활동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마음공부 연구결과를 보다 이해하기 쉽게 되고 마음공부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하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esent mind practice contents thru a mash-up study of the Google Maps service and Mind Practice program, and to explore a method which can be applied to electronic culture map. Electronic culture atlas for mind practice is said to digitize mind practice information and represent it at a particular area on the map. It could present some data by using detailed spatial characteristics like as a point, a line. Furthermor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ime, space(map) and subject(mind practice) is available in the electronic culture atlas. That is, electronic culture atlas could be used as a method for the mind practice research, and its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be widely spread by displaying on the electronic culture atlas. This study utilized a map generated through the electronic culture studies, so its research results can be represented visually. Learners to study mind practice could obtain a variety of materials such as photos, data, multimedia data, etc. In addition, mind practice research is thought to be helpful to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nd mind practice activities by the proliferation of data. Through this study, learners can easily understand Electronic Culture Atlas for Mind Practice and could be available as a basic data of mind practice research.

      • KCI등재

        청소년 인성함양을 위한 마음공부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김은진(金恩鎭)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4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2 No.-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인성함양을 위한 마음공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청소년들이 아름다운 사람이 되도록 돕는 것에 프로그램 개발 방향을 두고, 누구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일반화된 용어로 교육현장에 적용되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체계적인 절차에 따라 개발된 본 프로그램은 10회기 동안 중학교 인성교육 프로그램으로 적용되었는데, 통제 집단과의 비교 연구를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첫째, 청소년들의 밝은 사고를 증진시키는데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들이 평온한 정서를 갖도록 하는데 유익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들의 훈훈한 행동을 돕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언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ind practice program to cultivate the character of adolescents and verify its effects. This study focuses on developing a program that can help adolescents to become sound people. Furtherm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reate a program that can easily be applied in education sites and providing easily understandable, generalized terminologies. After this program was systematically developed it was conducted 10 times in middle schools. The comparison study results with controlled groups are as follows: First, this program demonstrated effects of increasing brighter thinking in adolescents. Second,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is program helps adolescents attain emotional tranquility. Finally, this program helps adolescents to develop genial behavior. Based on such resul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중(中)ㆍ만당(晩唐) 사(詞)의 호방풍격(豪放風格) 고찰(考察)

        金賢珠,金銀珍 중국학연구회 2013 中國學硏究 Vol.- No.64

        在盛唐时期民间词很流行, 自中唐时期文人词也创作, 在风格面上词开始形成与诗不同的面貌。 在敦煌民间曲子词多样风格的歌辞比较多, 但是在中唐文人词曲调或歌词的內容和风格没有民间曲子词多。在晚唐ㆍ五代时代, 文人词的风格变到婉约一边倒, 这种风格对北宋初词的鼎盛期有重大的影响。一方面在民间曲子词有很多风格豪放的歌辞, 同时文人词也有豪放的作品。 ‘风格’是根据‘文章要具有骨气’的创作理论, 从来创造诗文的传统创作态度形成的格调或特征。但是建安时期的骨气是继承后代刚健慷慨的概念, 派生了像悲壮、新奇、飘逸等的风格用语。讴歌唐代诗歌的全盛期, 作者无论自然、边塞、社会等什么样的题材, 要把建安的风骨在作品上表现。自盛唐时期流行的词像诗的韵文的原因, 在诗里常用的题材、修饰法、内容、风格等都应用了词创作。 本稿自词在民间流行的时期至定着文人词, 把在作品上出现的多样风格中对豪放歌辞的形成背景与其表现特征考察, 推究初期词风格的多样性。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