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아일랜드에서의 일상적 사교활동과 사회집단 분화: 인류학적 사례연구

        황익주 서울대학교 국제지역원 1994 국제지역연구 Vol.3 No.3

        이 논문은 아일랜드 사람들의 일상생활에서 사회집단의 분화가 어떻게 나타나는가에 대한 인류학적 사례연구이다. 조사지인 니나 지방에서의 지배적인 담론에 따르면, 오늘날의 일상적 사교활동은 개개인의 취향과 선택에 따라 이루어질 뿐이며, 과거와 같이 사회계층이나 종파 등의 구조적 요인에 따른 사회집단간의 분리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한다. 그러나 이같은 인식은 제한적으로만 경험적 타당성을 지닐 뿐이며, 스포츠 활동 및 사교적 음주 활동의 양태에 대한 분석의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도의 사회계층과 종파에 따른 분리가 실재함을 보여준다. 사회적 차별의 제도화된 수단들이 사라지고 난 오늘날의 상황에서 이같은 분리를 재샌상시키는 주된 메카니즘은 사회집단에 따른 상이한 생활양식에의 취향들의 형성이다. This is an anthropological case study of the way social group differentiation manifests itself in everyday social mixing in Nenagh, Republic of Ireland. The dominant discourse in Nenagh area claims that social mixing is nowadays conducted simply according to personal tastes and choices and that there no longer exists social segregation by such structural variables as social class or religion, as was the case in the olden days. Such a view, however, corresponds with the empirical reality only in a limited sense, and there exist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gree of social segregation by social class and/or religion, as this study shows in reference to patterns of participation in various sporting clubs and social drinking in pubs and private homes. The main mechanism involved in the reproduction of social group differentiation in everyday social mixing behaviour despite the disappearance of the institutionalized means of social segregation is, it is argued, the formation of different tastes for different life-styles between different social classes or between Catholics and Protestants.

      • 신도시의 문화향유체계와 시민의 삶의 질 : 영국 밀튼킨즈 시의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Milton Keynes, Great Britain

        황익주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02 비교문화연구 Vol.8 No.1

        This article aims at probing, through the case study of Milton Keynes, which is often considered the most successful case of new town construction in Great Britain, the ways whereby a new town may overcome its innate disadvantages in terms of historically-given resources for culture-enjoyment and create a social environment conducive to active culture-enjoyment of the residents as well as promotion of the sense of belonging and local community identity amongst them. The case of Milton Keynes shows that there are certain pre-conditions to be met for a good culture-enjoyment system to develop, such as pleasant residential environment including ample park system and efficient traffic system, as well as some institutional devices for the promotion of social integration among the residents. Altogether, these factors contribute to make the life in the new town be felt basically comfortable both in its material and social senses thereby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The case of Milton Keynes shows, furthermore, that a combination of the meticulous and considerate arts policy initiatives taken by the Milton Keynes local government on the one hand, and spontaneous practice of the residents on the other, which have resulted in extensive utilization of public art works as landmarks for the new town, emphasis and financial support laid upon local community arts movement, construction of large-scale arts facilities in conjunction with the growth of the new town population, and systematic PR of arts activities within the locality, is the key to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culture-enjoyment system in the new town of Milton Keynes. The article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n the implications of the Milton Keynes case for Korean new town policy makers drawing upon the comparison with the failed case of the Sungnam City.

      • KCI등재

        유럽통합의 진전과 아일랜드 민족정체성의 변화 : 인류학적 사례연구

        황익주 서울대학교 국제지역원 2000 국제지역연구 Vol.9 No.3

        이 연구는 유럽통합의 진전에 따라 아일랜드 민족정체성에 생겨나고 있는 변화의 양상들을 니나(Nenagh)라는 한 지방의 사례를 중심으로 하여 분석한 것이다. 유럽의 통합과정에 참여함으로써 아일랜드인들로서는, 종래 이웃나라 영국과의 대비 속에서만 자신들의 민족정체성의 의미를 찾던 데서 벗어나, 유럽의 다른 여러 민족들과의 대비 속에서 민족정체성을 재해석해 낼 수 있는 계기를 얻었다. 그리하여 한편으로는, 종래에는 아일랜드인들의 의식속에서는 거의 존재한 바 없던 유럽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새로이 형성해내기 위한 각종의 노력들이 행해지고 있으며, 그 결과로 영국 이외의 유럽 나라들에 대한 아일랜드인들의 관심도가 높아지는 양상을 볼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유럽의 다른 민족들과는 구별되는 독특한 민족으로서의 아일랜드 민족정체성을 주창하기 위한 각종의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대 아일랜드 사회에서 보다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것은 후자의 시도들인데, 이는 관광산업과의 밀접한 연관 속에서 전개되고 있다. 그리하여 전통음악 및 춤, 그리고 아일랜드 토착어에 대한 대중적 관심의 부활 현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아일랜드의 문화적 독특성에 대한 민족적 자긍심이 고양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유럽 관광객들을 유치코자 도시산업사회와는 정반대 되는 사회로서의 아일랜드를 부각시키려는 시도들에서 그려지고 있는 시대착오적인 자화상은 아일랜드인들의 민족정체성에 딜레마를 제기하기도 한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사례연구의 결과가 유럽통합 과정의 문화적 측면에 대한 후속의 연구작업들에 대해 지니는 함의를 고찰한다. This study examines, based upon a case study in Nenagh, a small town in the Republic of Ireland, the changes in the Irish national identity stemming from the progress of the European integration. Thanks to participating in the European integration process, Irish people have obtained the opportunities to reinterpret their national identity, which hitherto had been interpreted solely in contradistinction to the English or British people. Thus, on the one hand,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newly create the consciousness that the Irish have been, and are, a integral part of the European people, a thought which had hardly ever existed in the minds of the Irish. As a result, the recent years has seen the steady improvement in the level of Irish people's general interests and knowledge vis-□-vis the continental European countries. On the other hand, various attempts have also been made to express and emphasize their identity as a nation with unique traditional cultural features which render the Irish distinct from other European nations. It is the latter aspects of the Irish national identity, which are being promoted in close relationship to the Irish tourism industry, that is more pronounced in contemporary Ireland. As a result, as can be seen from the revival of the popular interest in the traditional Irish music, dance, and above all, Irish language, Irish people's pride in their unique cultural heritage has been considerably enhanced over the years since Ireland joined the EU. However, the anachronistic self-image of the Ireland as the anti-thesis of the urban-industrial society, which is being portrayed in many promotion attempts of Irish tourism to attract European tourists, poses a serious dilemma to the Irish national identity. In conclusion, one implication of this case study for the subsequent research on the cultural aspects of the European integration process is consid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