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팔당호반 일대 수변마을 경관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황윤경 ( Yun-gyeong Hwang ) 중앙대학교 예술문화연구원 2017 예술문화융합연구 Vol.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direction and strategy of the space management through the master plan for the improvement projects of the villages which have been individually and sporadically promoted for Sucheongri in Gwangju city, to improve the value of local landscape and the quality of public space environment effectively, and ultimately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As a result, we have established a master plan through resident workshop and landscape resource analysis centered on Seochungri area. The active introduction of the master plan and action plans and programs will be the foundation for the success of the village, but more importantly, it is the will of the people.

      • KCI등재

        비파잎의 이화학적 성분과 항산화효과

        Yun Gyeong Hwang(황윤경),Jae Joon Lee(이재준),Ah Ra Kim(김아라),Myung Yul Lee(이명렬) 한국생명과학회 2010 생명과학회지 Vol.20 No.11

        비파잎의 생리활성 기능과 이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비파잎의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 효능을 검증하여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파잎의 일반성분은 건량 기준(dry basis)으로 수분 함량 5.78%, 조단백질 6.74%, 조지방 7.87%, 조회분 6.99%, 식이섬유소 43.61%, 탄수화물 29.01%를 함유하였다. 비파잎의 구성당은 총4종 검출되었으며 이중 rhamnose가 3,391.84 ㎎/l로 제일 많이 검출되었으며, galactose 663.27 ㎎/l, glucose 651.65 ㎎/l, lactose 662.40 ㎎/l 검출되었다. 비파잎의 유리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함량이 11.30 ㎎%로 가장 높았으며, asparagine 9.02 ㎎%, γ-amino-n-butyric acid 8.30 ㎎%, alanine 4.53 ㎎%, phosphoserine 3.77 ㎎%, aspartic acid 3.23 ㎎%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구성 아미노산의 경우 histidine 함량이 501.26 ㎎%로 가장 높았으며, 총 아미노산에 대한 필수아미노산의 비율은 50.15%로 높게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산 중 포화지방산은 stearic acid가 41.54%로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며, lauric acid 12.00%, myristic acid 11.13%, pentadecanoic acid 41.54% 순으로 검출되었다. 불포화지방산은 oleic acid 만 검출되었으며, 총 지방산 함량의 27.9%를 함유하고 있었다. 비타민 A는 0.039 ㎎%, 비타민 E는 0.096 ㎎%, 비타민 C는 0.575 ㎎%로 검출되었다. 무기질은 Ca 함량이 1,892.60 ㎎%, K 함량이 1,244.90 ㎎%로 많이 검출되었다. 다음으로 Mg, Na, Mn, Zn 순이었고, Cu 함량은 미량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파잎의 유기산은 succinic acid 함량이 24,343.57 ㎎/l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citric acid 2,964.87 ㎎/l, maleic acid 2538.59 ㎎/l 순으로 검출되었다. 비파잎 에탄올 추출물의 기능성을 측정한 결과 총 polyphenol 함량은 500 ppm에서 15.77 ㎎/ml, 1,000 ppm에서 32.32 ㎎/ml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1,000 ppm에서 약 2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총 flavonoid 함량은 500 ppm에서 15.58 ㎎/ml, 1,000 ppm에서 28.65 ㎎/ml으로 나타났다. 비파잎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500 ppm에서 68.26%, 1,000 ppm에서 80.53% 소거능을 보였으며, 이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 활성도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1,000 ppm에서 대조구인 500 ppm BHT 및 BHA와 비슷한 수준으로 높은 항산화 활성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비파잎은 필수아미노산 및 항산화 비타민, 무기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비파잎 에탄올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 및 DPPH radical 소거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비파잎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의 개발가치가 한층 더 높아질 것으로 기대되어 진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compositions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Eriobotrya japonoca Lindl (Loquat). The proximate compositions of the loquat leaf on a dry matter basis were 8.78% moisture content, 6.74% crude protein, 7.87% crude fat, 6.99% crude ash, 43.61% dietary fiber and 26.01% carbohydrate. In analysis of free amino acids, 16 kinds total amino acid components, 17 kinds of components were isolated from loquat. The essential amino acids contained in loquat leaf accounted for 50.15% of total amino acids, while the non-essential amino acids accounted for 49.85%. In analysis of total fatty acids, only 5 kinds of acid were detected: lauric acid, myristic acid, pentadecanoic acid, stearic acid and oleic acid. The contents of vitamin A, vitamin E and vitamin C were 0.039 ㎎%, 0.096 ㎎% and 0.575 mg%, respectively. The mineral contents of loquat leaf were greater in order of Zn<Mn<Fe<Na<Mg<K<Ca. Organic acids including succinic acid, maleic acid and citric acid were detected. The major free sugars were identified as rhamose, galactose, glucose and lactos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loquat leaf ethanol extract were found to be 15.77 ㎎/ml in 500 ppm and 32.32 ㎎/ml in 1,000 ppm. Moreover, total flavonoid contents of loquat leaf ethanol extract were found to be 15.58 ㎎/ml in 500 ppm and 28.65 ㎎/ml in 1,000 ppm.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loquat leaf ethanol extract in 1,000 ppm was high and similar to the BHA and BHT.

      • KCI등재
      • KCI등재

        교통사고 상해증후군의 한의치료에 대한 경제성평가를 위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강신우(Shin-Woo Kang),황윤경(Yun Gyeong Hwang),황만석(Man-Suk Hwang),이혜윤(Hye-Yoon Lee) 척추신경추나의학회 2021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Vol.16 No.2

        Objectives This study is aimed to evaluate cost-effectiveness of treatment of Korean Medicine for whiplash associated disorders (WAD)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Methods We searched papers in Pubmed database to use some keywords indicating whiplash injury syndrome, treatment of Korean Medicine and cost-effectiveness. After searching, appropriate papers were selected depending on the exclusion criteria. The selected papers were analyzed in the sections of author, publication year,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s, outcome measurement, the list including in the cost, cost-effectiveness, cost-utility and study design. Results Four studies about effect of Korean medicine and 3 studies about economic evaluation were finally included. Acupuncture was effective for balance disorder and neck pain. Economic evaluation studies used analytical decision model or cost-consequence analysis. Cost-effectiveness analysis using visual analog scale and cost-utility analysis using quality adjusted life years were performed. Initiating timing of proper management affected the consequence of treatments. Direct and indirect medical costs including supportive devices, and non-medical costs such as litigation were considered. Conclusions We conclude that studies haven’t been conducted so far to evaluate the cost-effectiveness of Korean Medicine in whiplash injury syndrome. Thus, future studies are needed in this section.

      • KCI등재

        비파잎 에탄올 추출물이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콜레스테롤 저하 및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김아라(Ah-Ra Kim),황윤경(Yun-Gyeong Hwang),이재준(Jae-Joon Lee),정해옥(Hae-Ok Jung),이명렬(Myung-Yul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5

        본 연구는 비파잎 에탄올 추출물의 혈청, 간 및 지방조직의 체내 지질대사 개선 및 항산화 효능을 살펴보기 위하여 5주령 된 흰쥐 수컷 32마리를 1주일 간 적응시킨 후 정상식이군(N),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군(HFC),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와 비파잎 에탄올 추출물 저용량(200 ㎎/㎏/day) 병합투여군(HFC-EJL) 및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군과 비파잎 에탄올 추출물 고용량(400 ㎎/㎏/day) 병합투여군(HFC-EJH)으로 나누어 4주간 실시하였다.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인하여 증가된 체중증가량은 비파잎 에탄올 추출물 투여로 유의차는 없었지만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식이섭취량은 실험군 간의 유의차가 없었으나, 식이효율은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군들(HFC, HFC-EJL, HFCEJH)이 정상식이군(N)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증가되어진 간조직 및 부고환 지방조직의 무게는 비파잎 에탄올 추출물 투여로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장간막지방조직 무게도 비파잎 에탄올 추출물 투여로 유의하게 감소하여 정상식이군(N)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혈청 중 ALT 및 AST 활성도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군(HFC)에 비하여 비파잎 에탄올 추출물 병합 투여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ALP와 LDH 활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혈청 중 중성지방 함량의 경우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군 간에 유의차는 없었다.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증가된 혈청 중 총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 함량, 동맥경화지수와 심혈관위험지수는 비파잎 에탄올 추출물 투여로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간조직 중 중성지방의 함량은 실험군 간의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비파잎 에탄올 추출물 고용량 병합 투여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장간막지방조직과 부고환지방조직 중 중성지방 함량은 비파잎 에탄올 추출물 투여로 유의하게 감소하여 정상식이군(N)과 비슷한 경향이었으나 장간막지방조직과 부고환지방조직 중 총콜레스테롤 함량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로 감소되어진 간조직 중 GSH 함량은 비파잎 에탄올 투여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증가되어진 과산화지질 함량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와 비파잎 에탄올 추출물을 병용투여 한 흰쥐의 간 및 지방조직의 무게 감소와 더불어 혈청 및 지방조직의 지질대사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비파잎에 함유된 polyphenol과 flavonoid 등 생리활성 물질에 의해 지방조직의 체지방 형성을 억제하고, 산화적 스트레스를 완화시킴으로써 체내 지질대사 개선과 심혈관계질환 예방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지나, 이외의 성분이 어떻게 이상지질혈증 및 산화적 스트레스를 억제시킬 수 있는지는 추후 생화학적인 작용기전 등이 더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n ethanol extract of Eriobotrya japonica Lindl. (loquat) leaves (EJ) on the lipid metabolism of serum, liver, and adipose tissue, and antioxidative activity in rats fed a fat/cholesterol diet for four weeks.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207 g were divided into 4 groups: a normal diet group (N), a high-fat/high-cholesterol diet group (HFC), a high-fat/high-cholesterol diet group administered 200 ㎎/㎏ day EJ (HFC-EJL), and a high-fat/high-cholesterol diet group administered 400 ㎎/㎏/day EJ (HFC-EJH). The serum ALT and AST activities of the EJ groups were lower than those of HFC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serum ALP or LDH activities. The serum total and LDL-cholesterol, atherogenic index, and cardiac risk factor tended to be decreased in the EJ groups compared to the HFC group, while the serum HDL-cholesterol decreased in the HFC group and increased only minimally in the EJ groups. The total cholesterol in liver and mesenteric adipose tissues was lower in the EJ groups than in the HFC group. Triglycerides in the mesenteric and epididymal adipose tissues were lower in the EJ groups than in the HFC group. The liver GSH levels of the EJ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HFC group. The liver TBARS content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EJ groups than in the HFC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EJ ethanol extract may improve the lipid metabolism of serum, liver, and adipose tissue and prevent oxidative stress by stimulating antioxidative systems in rats fed a high-fat/high-cholesterol diet.

      • KCI등재

        Loreclezole의 여러 가지 미세조류 및 식물종들에 대한 생육억제활성

        김진석(Jin-Seog Kim),김보관(Bo Gwan Kim),황윤경(Yun Gyeong Hwang),최지혜(Ji Hye Choi),이병석(Byoung-Seok Lee),이일영(Ill Young Lee) 한국잡초학회 2021 Weed & Turfgrass Science Vol.10 No.3

        본 연구에서는 1,2,4-triazole계 화합물인 loreclezole의 여러 가지 미세조류 및 식물종들에 대한 생육저해활성을 조사하였다. 미세조류에 대한 lorecrezole 활성의 경우, 종마다 약간씩 다르지만 2-35 μM 범위에서 비교적 광범위한 살조활성을 나타내었다. 녹조류 중 Scenedesmus spp.>Raphidocelis subcapitata>Chlorella sorokiniana>C. vulgaris (KCTC)>C. vulgaris (FBCC) 순으로 민감한 반응을, 남조류(시아노박테리아)의 경우엔 Microcystis aeruginosa가 Dolichospermum circinale보다 loreclezole에 대한 반응이 민감한 경향을 보였다. 개구리밥과 식물의 경우, loreclezole 처리에 대해 Lemna paucicostata가 Spirodella polyrhiza (SPIPO)보다 민감하여 처리후 5일째 IC50 농도가 10.5 μM 이었다. SPIPO에 대한 제초증상발현을 통해서 볼 때, 지금까지 알려진 상업용제초제와는 다른 제초작용기작을 가지는 것으로 보였으며 loreclezole은 광합성저해제인 bentazon과 SPIPO에 대한 제초활성에 있어서 미약한 상승작용을 나타내었다. 여러 잡초들에 대한 경엽처리 제초활성의 경우, burning symptoms이 주로 관찰되었으며 1.0 kg ha<SUP>-1</SUP>에서 평균적으로 50% 내외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고 약효지속시간도 5일 이내로서 짧은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loreclezole은 수생태계에서의 살조제로서 사용가능한 잠재력을 보였으나 잡초방제를 위한 제초제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졌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loreclezole on the various microalgae and plant species. Loreclezole roughly showed a broad algicidal spectrum with a active rate of 2.0-35 μM. Among the tested green algae, there was sensitive response in the order of Scenedesmus spp.>Raphidocelis subcapitata>Chlorella sorokiniana>C. vulgaris (KCTC)>C. vulgaris (FBCC). In the tested cyanobacteria (blue-green algae), Microcystis aeruginosa exhibited higher response to loreclezole than that of Dolichospermum circinale. In the case of Lemnaceae (duckweeds), Lemna paucicostata showed higher herbicidal activity (IC50=10.5 μM) to loreclezole than that of Spirodella polyrhiza (SPIPO). Loreclezole seemed to have a novel action mechanism different with the those of commercial herbicides when it was gathered through symptoms of SPIPO treated with loreclezole. In the mixture experiment to evaluate a chemical interaction in SPIPO control, loreclezole showed a mild synergistic effect with bentazon, photosynthesis inhibitor. In herbicidal activities against the various weeds at a foliar application, loreclezole primarily induced burning symptoms (leaf desiccation, discoloration and necrosis), had about 50% control at the rate of 1.0 kg ha<SUP>-1</SUP> and a short efficacy duration within about 5 days. Taken together, our results suggested that loreclezole had a potential as an algicide in water ecological system, but an optimization of chemical structure was likely to be required for the use of herbici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