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헐버트(H. B. Hulbert)의 한글 커뮤니케이션 활동 : 최초의 조선어 연구와 글로벌 퍼블리싱 New York Tribune 기고

        황우선 ( Wooseon Hwang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社會科學論集 Vol.51 No.1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 이후 최초로 한글을 언어학적으로 연구한 이도, 한글의 언어학적 우수성과 개념화된 가치를 국제사회에 처음으로 알려준 이도 헐버트이다. 헐버트는 1886년 7월 1차 내한 시 육영공원 교사로, 1893년 2차 내한 시 미국 감리회 선교사로 조선에 왔다. 그는 한글을 접한 지 4일 만에 한글을 읽고 썼으며, 1주일 만에 조선인들이 위대한 문자 한글을 무시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헐버트는 내한 3년 만인 1889년 최초로 한글을 언어학적으로 연구하여 “THE KOREAN LANGUAGE”라는 제목의 기고문을 당시 미국 유력 일간신문 「뉴욕트리뷴」에 기고하였다. 헐버트는 1889년 6월 9일 어머니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조선어에 관한 글을 기고하기 위해 편지에 동봉하여 보낼 것이라고 밝혔고, 그 무렵 「뉴욕트리뷴」에 고종 관련기사를 서울 특파원 자격으로 보도한 것을 통해 헐버트가 이 신문에 기고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뉴욕트리뷴」기고문에서 한글과 조선어의 우수성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설명하였다. 첫째, 한글은 완벽한 문자이고, 영어와 비슷한 구조를 지녔으며 영어보다 우수한 문자라고 평가했다. 모든 소리를 표기할 수 있어 완벽하고, 영어의 알파벳과 비슷하다는 것이다. 둘째, 한글은 영어보다 쉬운 문자라고 평가했다. 영어는 모음이 5개로 턱없이 부족하지만, 한글은 모음이 자음만큼 많아서 한글을 제대로 사용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영어 배우는 시간보다 더 적게 들 것이라고 분석했다. 셋째, 조선어는 구조적 아름다움과 단순성이 있다며, 같은 의미의 문장을 쓸 때 조선어는 영어보다 훨씬 적은 수의 단어를 사용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넷째, 불규칙 동사가 많은 프랑스어, 독일어, 히브리어와 비교할 때 불규칙 동사가 없는 조선어는 찬양받을 만한 언어라며 영어가 라틴어보다 앞서 있는 만큼 한글이 영어를 앞서 있다고 평가했다. 다섯째, 화법에서도 조선어는 영어보다 훨씬 간단하고, 높임말 표현도 쉽다고 설명했다. 헐버트는 200개가 넘는 다른 나라의 문자와 비교하여 한글의 우수성을 확인하였으며, 언어학적으로 한글의 가치를 개념화 하였다. 헐버트가 일제를 비판하며 조선의 독립운동을 펼친 것은 ‘조선인은 한글을 소유할 만큼 우수하고 자랑스러운 문화민족’이므로 독립국가의 국민으로서 마땅히 존중받아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오늘날 세계 여러 나라에서 한글 배우기 열풍에서 알 수 있듯이 이미 한글은 글로벌 문자로 인기를 얻고 있는데, 한글이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환경에 데뷔한 것은 조선말기 헐버트의 공헌이었다. 그가 한글의 우수성을 발견한 후 불굴의 한글 운동을 펼침으로써 조선의 한글을 미래가치로 승화시켰던 것이다. Homer B. Hulbert, an American who landed in Korea in July 1886 to be a teacher of the first state-run modern school in Korea, was intrigued by Hangeul(Korean alphabet), which was invented by King Sejong of Joseon dynasty in 1446, as soon as he began learning Korean language. He digested Hangeul in 4 days after the start of learning and realized that Koreans are ignoring this great alphabet in a week. Hulbert naturally began to research Hangeul linguistically and discovered the linguistic superiority of Hangeul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which labelled him the first scholar of Hangeul in modern linguistic manner. After in-depth study of Hangeul Hulbert wrote many articles on linguistic characteristics and historic background of Hangeul. His first superb accomplishment came in 1889 by writing an article titled “THE KOREAN LANGUAGE” to New York Tribune. This is the first appearance of Korean language(both written and spoken) in global publishing and international communication ecosystem. In the article, Hulbert cited Hangeul as a perfect alphabet, saying that Hangeul can spell all the sounds which is unique in the world. He opined that Hangeul, in many senses, is better than English which has only 5 vowels vs. Korean alphabet which has as many vowels as consonants. Hulbert concluded that Hangeul is the finest alphabet in the world after the comparison of it with 200 plus other alphabets over the globe. He also insisted that Korean language is superior to English, especially in terms of the structure and simplicity of the language. To prove it he reasoned that Korean language requires much less words than English in making a sentence. In addition, he said that Korean language scarcely has irregular verbs versus European languages which has uncountable numbers of irregular verbs. His conclusion is that Korean language is as much advanced as English is advanced to Latin. While fighting against Japan’s colonial attempt over Korea, Hulbert was certain that Korea must be respected as an independent nation given their ability to invent Hangul. Today Hangul is so popular to the extent that many diverse ethnics over the globe try to learn. Of course Hulbert should take credit for this popularity as he took the first step for Hangeul’s debut in global communication ecosystem 130 years ago in 1889.

      • KCI등재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 명품 권력 감시자, CBS 저널리즘의 실체, 배경과 전략

        황우선 ( Wooseon Hwang ),김성해 ( Sunghae Kim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7 社會科學論集 Vol.48 No.2

        권력으로부터의 독립과 자율은 언론이 제 역할을 다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조건이다. 그러나 한국 사회에서 언론은 한편으로는 정치권력에 의해 다른 한편으로는 대기업과 같은 이익집단에 의해 부단히 독립성이 훼손되어 왔다. 1954년 최초의 민영방송으로 출범한 CBS는 이 과정에서 권력의 감시견으로서 민주주의에 일정한 기여를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과연 CBS에 대한 이러한 평가는 정당한 것일까? 특정한 종교의 후원을 받으면서 또한 미국의 영향에서도 완전히 자유롭지 않았던 상대적으로 소규모 매체가 독립 언론의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었던 배경은 무엇일까? 연구자들은 이를 위해 권력의 탄압이 심했던 특정 시기의 보도를 분석하는 한편, CBS 내부자 인터뷰와 관련 자료 분석을 통해 CBS의 독특한 입지를 확인하고자 했다. 태생적 배경, 국제적 연대, 경영인들의 확고한 저널리즘 철학과 리더십 등에 힘입어 언론탄압의 수난까지 감내하며 민주화에 기여해온 CBS의 역사는 언론과 민주주의 역사 및 그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디지털 뉴스 생태계로 인해 뉴스는 과잉 공급되고 있다. 포털이나 SNS를 통한 뉴스 소비로 인해 저널리즘의 원칙만을 고집하기는 점차 힘들어진다. CBS에 대한 심층분석 결과는 이런 상황에서 언론다움을 지킬 수 있는 조건이 무엇인가를 배울 수 있는 계기가 된다. The history of journalism in Korean society filled with various types of intervention materialized either by political power or by powerful corporations. Recent development of digital revolution also has negative impact on maintaining journalistic integrity. Korea's Christian Broadcasting System enjoys a favorable reputation as an independent watch-dog news channel though. This paper thus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figure out the truth of journalistic performance, backgrounds and strategies. Two research questions including historical performance in terms of watch-dog function, journalistic strategies for brand power, and structure of decision-making and revenue were visited in this regard. While employing content analysis, it adopts in-depth interviews with those whom have special insights not only in organization but in history and mission as well. The authors hope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envisioning alternative models successful both in journalism and business.

      • KCI등재

        역사 속의 집단정체성

        황우선(Wooseon Hwang),김성해(Sunghae Kim)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5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0 No.4

        일제강점기 한국에서 수탈에 열을 올리는 일제, 그러나 이에 저항도 못한 채 무력할 수밖에 없었던 한국인들은 어떠한 집단정체성을 추구했는지를 밝혀내려는 게 논문의 목적이다. 특히 언론으로부터 제시되거나 이끌어진 집단정체성의 방향과 내용은 어떤 것이 있었는지를 그려내고자 하였다. 안타깝게도 일제강점 초기에 한국인을 위한 언론매체는 존재하지 않았고, 일제강점의 정당성을 홍보하기 위한 총독부 기관지 3개 신문만이 존재하였다. 그런데 다행히도 1915년 12월 서양선교사의 이름으로 장로교와 감리교의 교파연합신문으로 창간된 <기독신보>가 유일의 한글신문이자, 유일의 한국인을 위한 주간신문으로 21년여 동안 발행되었다. 이 신문은 1482건의 사설을 게재하였고, 이 중 309건은 사회적 문제를 다루는 내용을 담고 있다. <기독신보>는 이들 사설을 통해 당시 한국사회 또는 한국인이 당면한 문제가 무엇이며, 이 문제를 해결할 방안은 무엇인지에 대해 주장하고, 강조하였다. 교육문제 등 9가지 핵심 아젠다에 주목하였고, 보편적 가치 추구 등 7가지 규범적 가치와 신념을 문제의 해결방안으로 제시하였다. <기독신보>가 제시한 핵심 아젠다와 규범적 영역은 당시 한국인들이 추구해야할 집단정체성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집단정체성이 실현될 수 있도록 이 신문이 어떠한 노력을 기울였는지 살펴보았다. Few studies have been done about collective identities of those Koreans suppressed by the Japanese imperialism. Also were there little clues about the possible connection between the media and them The Christian Messenger started from 1915 would be a good resource for it given that there left non of Korean newspapers in the time. While lasting for 21 years, the paper run 1482 leading articles including 309 cases of the social agenda which emphasized the urgent problems and solutions of the Koreans and the Korean society.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disclose the suppressed dreams and visions of the Koreans who had suffered from the Japanese occupation. Not only such issues as education, life style and women movement, but those norms like freedom, progress, equality and literacy were found. The authors hope this research can be a good starting point to understand Koreans’ collective identity interwoven with colonial memory.

      • KCI등재

        미디어 리터러시의 본질과 방향성 탐구 미국 개신교의 한글 활동을 중심으로

        황우선 ( Wooseon Hwang ),김성해 ( Sunghae Kim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社會科學論集 Vol.51 No.2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정부, 학계, 언론계, 문화계, 정보통신업계 등 참여자는 많고, 정보, 인터넷, 영화, 게임, 뉴스 등으로 주제도 다양하다. 디지털 혁명이 진행되는 가운데 가짜뉴스, 사이버명예훼손, 인공지능에 의한 허위정보 등의 부작용도 늘었다. 리터러시 관련 연구는 이런 상황에 맞춰 꾸준히 증가해 왔다. 그러나 미디어 리터러시의 본질과 방향성에 대한 논의는 충분하지 않다. 국내 리터러시의 기본이 되는 한글 대중화 과정을 리터러시 관점에서 접근한 연구도 드물다. 본 연구는 이에 1885년 처음 한반도에 온 미국 개신교 선교사들이 추진했던 한글의 확산 과정을 복원하고자 했다. 인류 최초로 민주공화국을 세운 미국은 왜 조선에 관심을 가졌을까? 복음을 위한 수단으로 그들이 한글에 주목한 이유는 무엇일까? 당시만 해도 천대받던 한글이 국어의 지위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그들이 동원한 전략으로는 어떤 게 있을까? 그들의 한글 활동에 대한 조선 사대부의 평가는 어떠했을까? 기독교 중심의 한글 운동이 그 이후 민족해방운동으로 연결된 배경은 무엇인가? 연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 주제다. 미디어 리터러시의 필연성이 사회적 공감대를 얻는 현 상황에서 한글 리터러시에 관한 연구는 좋은 역사적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Media literacy is one of the top public agenda not only in government agencies, non-government organizations, but in academic communities. Such unprecedented factors as the evolution of media ecosystem, cyber harassment, dissemination of fake news, and awareness of human rights have all contributed to attracting public attention. Following research about media and news literacy has a lot to do with this kind of development. Nonetheless, there exists few studies which look into the movement of Hangul led by American Protestant missionaries who used Hangul for their missionary work by translating the Bible, studying Hangul linguistically, issuing Hangul newspapers and publishing Hangul books and dictionary. Those questions as why they had initiated it, for what purposes, how, and in which contexts remain unvisited territory as a matter of fact. This paper thus attempts to investigate their stories while identifying participants, activities, and effects. We hope that research outcomes will be helpful to clarify the principles and directions of media literacy crippled by relatively short time of pres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