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다문화사회 통합주체로서의 결혼여성이민자 활용 가능성

        황미혜(Hwang, MiHye)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6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Vol.2016 No.10

        This study is to call for the necessity of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contents for the integrated education though the analysis on the social role of the married women immigrants who have led their successful lives in Korean society, which may be considered as the professional resources and through the analysis on the role of its relevant educational institutions out of the dispensational and sympathetic case analyses on the married women immigrants through the existing methodology of role theory. The nationalities of married women immigrants are similar to those of low-skilled foreign workers, foreign students, and immigrant youths.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married women immigrants have a variety of possibilities as the productive populations who are bilingual through the similarity in their nationalities.

      • KCI등재

        대만의 결혼이민자 자녀를 위한 모어전승교육 연구

        황미혜(Mihye Hwang) 한국아시아학회 2018 아시아연구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만의 결혼이민자 자녀를 위한 언어정책으로 부모 출신국 언어를 공교육 현장에서 습득하게 하여 결혼이민자 자녀의 정체성 및 학습 신장에 도움을 주는 정책인 ‘모어전승교육’을 살펴보는 것이다. 또한 결혼이민자 자녀가 부모 출신국 언어를 구사함으로써 개인의 역량 강화와 대만사회의 다문화 편견 및 인식개선 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모어전승교육’은 대만의 결혼이민자 자녀가 향후 대만사회에서 미래인적자원으로서 국가의 경쟁력을 높게 해줄 것이라는 기대감도 갖게 되었다. 제3차 ‘모어전승교육’은 공교육 현장에서 결혼이민자 자녀가 부모 출신국의 언어를 제2외국어로 선택할 수 있는 제도로 2019년부터 시행된다는 것이다. 한편 한국의 결혼이민자 자녀를 위한 부모출신국 이중언어교육 과정을 살펴보면, 여성가족부의 사업으로 결혼이민자와 자녀에 대한 이중언어 환경조성사업이 현재 자율적으로 진행되고 있을 뿐이다. 이에 따라 대만의 제3차 모어전승교육과정 분석은 한국사회의 결혼이민자 자녀를 위한 부모 출신국 이중언어교육 활성화에 관한 중장기적인 발전 측면에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Native Languages Education is a language policy for helping multicultural students in Taiwan improve their identity and learning by allowing them to learn their parents’ native language through public education. Allowing multicultural students to speak their parents’ native language can be effective in reinforcing their personal competence and in removing multicultural prejudice and improving awareness in the Taiwanese society. In addition, Native Languages Education is expected to make the Taiwanese society more competitive as they will serve as human resources there in the future (Taiwanese Ministry of Education, 2009). Furthermore, the third Native Languages Education by which multicultural students can choose their parents’ native language as the second language in public education will start in 2019. Now South Korea just provides bilingual education so that multicultural students can learn their parents’ native language autonomously as part of extracurricular activity. In this context, analyzing the third Native Languages Education in Taiwan can have suggestions for mid- and long-term development in activating bilingual education so that multicultural students in the South Korean society can learn their parents’ native language.

      • KCI등재

        부산지역의 다문화웨딩디렉터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기초연구

        장지혜(Jang Jihye),황미혜(Hwang Mihye),로리타(LOLITHA SAUR ANDRAWINA) 한국아시아학회 2021 아시아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첫째, 다문화배우자들의 경제·사회적으로 안정된 정착을 위한 직업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 둘째, 향후 결혼을 하려는 다문화 예비 신랑··신부들의 요구에 부합하는 웨딩 전문가를 양성하며, 셋째, 이들이 결혼생활을 잘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다문화웨딩디렉터를 양성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목표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역할이론을 근거로 하여 다문화배우자들과 웨딩업 이해종사자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다문화배우자들의 전문 지식수준과 웨딩 관련 교육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웨딩업 이해종사자들이 제안하는 다문화웨딩디렉터로서의 역할에 부합되는 교육과정에 반영되어야 할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문헌연구를 통해 관련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기관을 정규 교육기관과 비정규 교육기관으로 분류하여, 각 기관별 교육과정 실태와 관련 자격증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이들 교육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공통적인 교육과정을 주제별로 분류하였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문화웨딩디렉터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기초 연구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plans for secure settlements of solution multicultural families through out analysis of in-depth interview in role theory. The major results from analysis of qualitative interview are as follow classified that educational institution is accomplished Wedding Director training to divide into formal educational institution and irregular educational institution to evaluate status of each agency training cours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eeds of multicultural family professionalism standards and educational programs. Therefore, after examining the curriculum of the current wedding director education institution against a theoretical background, we categorized the common curriculum conducted by each institution by subject. Based on these results, we develop systematic and specialized training programs for proceeding effectively Multicultural Wedding Director training to reflect incumbent Multicultural Wedding Director educational needs when we exploit Multicultural Wedding Director training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