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결절성 갑상선종과 유두성 갑상선암의 염색체 분석

        황대원(Dae Won Hwhang),정기용(Ki Yong Chung),강중신(Joong Shin Kang),김홍태(Hong Tae Kim),장성익(Sung Ik Chang) 대한두경부종양학회 1993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9 No.1

        저자들은 배양에 성공한 결절성 갑상선종 2예와 유두성 갑상선암 2예에서 염색체 이상을 찾아내어 이러한 이상들이 서로 연관을 갖는지 여부를 연구하고자 본 실험을 시행하였다. 결절성 갑상선종의 염색체 형태는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면서도 2예 모두가 특이적인 염색체 이상은 보이지 않았다. 제 1 예 : modal 염색체 슷자는 42에서 46범위 내였고 염색체 8, 19, 21, 22는 빈번한 결손을 보였다. 51개 분석 세포들 중에 9가지 구조적 변성이 관찰되었으나 집단 염색체 변화는 없었다. 제 2 예 : modal 염색체 수는 43이었고, 염색체 17과 19는 흔한 결손을 나타내었다. 이 두 결절성 갑상선종의 세포유전학적 특성은 저이배체(hypodiploidy)와 매우 다양한 염색체 양상을 나타내었다. 유두성 갑상선암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 3 예 : 다소의 숫적, 구조적 염색체 변화가 관찰되었으나 특이적인 염색체 이상은 찾아볼 수 없었다. 제 4 예 : 염색체 양상이 del(11)(q23)의 집단 염색체 변화를 수반하는 매우 다양한 이질적인 양상을 나타내었다. 유두성 갑상선암의 del(11)(q23) 염색체 변화는 이미 Eva Olah등이 1989년 보고한 바 있다. 아마도 갑상선에서 유두성 갑상선암의 암화과정에 11q 결손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상의 결과에 따르면 유두성 갑상선암과 결절성 갑상선종 둘 다 염색체 이상을 나타냈지만 양자간의 염색체의 특이적인 상관 관계를 발견할 수 없었다. The nodular hyperplasia of the thyroid is a common thyriod disease. Nodular hyperplasia does rarely progress to thyroid cancer. The differentiation of a nodular hyperplasia from a neoplasm may be simple or difficult, both clinically and anatomically. The papillary carcinoma of the thyroid is the most common type of thyroid malignancies. There were few studies about cytogenetic observation in thyroid cancer. But only one case of banding observation in nodular hyperplasia have been reported. In order to compare the chromosomal changes in the thyroid cancer and the noncancerous thyroid disease, we performed cytogenetic analysis in two papillary carcinoma and two nodular hyperplasia after cell culture. The chromosomal pattern of the nodular hyperplasia found was very heterogenous but no clonal abnormaly in both cases was observed. Case I : A modal chromosomal number was in 42-46 range. Chromosome 8, 19, 21. 22 were commonly lost. 9 structural anomalities among 51 analysed cells were observed but they were not clonal. Case II: A modal chromosomal number was 43. Chromosome 17 and 19 were commonly lossed. Common cytogenetic characters of this two nodular hyperplasia are hypodiploidity and very heterogenous chromosomal pattern. The result about the papillary carcinoma are as follow. In one case some numerical and structural chromosomal changes were observed. But they were not clonal abnormality. In another case the chromosomal pattern found was very heterogenous with a clonal abnormality of del(11)(q23). The modal number was 46. The del(11)(q23) a chromosomal change in papillary carcinoma of the thyroid have previously been reported(Eva Olah et al. 1989). We suggest that 11q deletion may be important role to pathogenesis of papillary carcinoma of the thyroid. According to this results, we could not find out specific differences about chromosomal changes and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papillary carcinoma and the nodular hyperplas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